KR101146276B1 -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276B1
KR101146276B1 KR1020050124490A KR20050124490A KR101146276B1 KR 101146276 B1 KR101146276 B1 KR 101146276B1 KR 1020050124490 A KR1020050124490 A KR 1020050124490A KR 20050124490 A KR20050124490 A KR 20050124490A KR 101146276 B1 KR101146276 B1 KR 10114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tergent
drum
valv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002A (ko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2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함을 지나 공급되는 세제수가 드럼 내부에 담겨진 세탁물에 직접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탁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세탁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급수장치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이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고이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급수관이 연결되고, 밸브가 설치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이루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도록 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제수가 담겨지고, 토출구가 드럼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직접급수함과, 상기 토출구 내측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직접급수함 내부에 세제수가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이를 판단하여 밸브를 폐쇄토록 하는 감지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세탁기, 드럼, 터브, 벨로우즈, 인장동기모터

Description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WATER SUPPLY APPARATUS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의 개폐밸브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의 개폐밸브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 : 캐비닛 42 : 터브
44 : 드럼 46 : 모터
52 : 급수관 54 : 밸브
56 : 공급관 58 : 세제함
60 : 직접급수함 62 : 토출구
70 : 개폐밸브 72 : 벨로우즈 밸브
74 : 와이어 76 : 인장동기모터
78 : 스프링 80 : 감지수단
82 : 가이드 84 : 부표
86 : 접촉감지센서 88 : 제어부
90 : 거름망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함을 지나 공급되는 세제수가 드럼 내부에 담겨진 세탁물에 직접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탁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세탁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수평하게 또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드럼 내에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과 세탁물간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것으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터브(4) 및 드럼(6)과, 상 기 드럼(6)과 연결되도록 상기 터브(4)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6)을 회전시키는 모터(8)와, 상기 드럼(6)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리는 리프터(10)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6) 내부로 세탁물이 출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전면패널(3)과, 상기 캐비닛(2)의 상면에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5) 하측 전방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세제함(12)이 상기 터브(4)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5) 하측 후방에는 세탁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밸브(14)가 공급관(13)에 의해 상기 세제함(12)과 연결되며, 캐비닛(2) 외부로부터 삽입된 급수관(15)이 결합된다.
이로써, 드럼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밸브(14)가 개방되어 급수관(15)을 따라 캐비닛(3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공급관(13)을 따라 세제함(12)에 공급되므로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세탁수는 터브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급수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므로 세탁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함(12)에서 연장된 공급관(13)이 터브(4)에 연결되기 때문에 터브(4)의 바닥으로부터 세제수가 고이게 되므로 세탁물을 세제수로 적셔 모터(8)가 구동되기 전에 포적심을 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제함에서 공급되는 세제수가 드럼 내부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드럼에 담겨진 세탁수를 쉽게 포적심할 수 있어 세탁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제함으로부터 공급된 세제수가 일정 시간 동안 고인 후에 세제가 완전히 융해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세제는 드럼으로 직접 투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세제가 세탁물의 일 부분에만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드럼세탁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급수장치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이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고이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급수관이 연결되고, 밸브가 설치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이루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도록 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제수가 담겨지고, 토출구가 드럼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직접급수함과, 상기 토출구 내측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직접급수함 내부에 세제수가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이를 판단하여 밸브를 폐쇄토록 하는 감지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32)이 설치된 캐비닛(30)과,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고이는 터브(42)와, 상기 터브(42)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44)과, 상기 캐비닛(30)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급수관(52)이 연결되고, 밸브(54)가 설치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이루는 공급관(56)과, 상기 공급관(56)의 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도록 하는 세제함(58)과, 상기 세제함(58)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제수가 담겨지고, 토출구(62)가 드럼(44)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직접급수함(60)과, 상기 토출구(62) 내측에 설치된 개폐밸브(70)와, 상기 직접급수함(60) 내부에 세제수가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이를 판단하여 밸브(54)를 폐쇄토록 하는 감지수단(8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드럼세탁기 구동되면 밸브(54)가 개방되어 급수관(52)으로부터 캐비닛(30)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공급관(56)을 따라 세제함(58)으로 공급되고, 세제함(58) 내부에서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어 이루어진 세제수가 직접급수함(60) 내부에 고이게 된다.
이때, 직접급수함(60) 내부에서 세제수의 수위가 올라가고, 세제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감지수단(80)이 이를 감지하여 밸브(54)를 폐쇄시키고, 개폐밸브(70)가 개방되면서 직접급수함(60)에서 배출되는 세제수가 토출구(62)를 따라 드럼(44) 내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상기 직접급수함(60)은 상기 터브(42)의 개구부 상단에 설치되어 세제함(58)과 연결되고,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62)가 드럼(44) 내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세제함(58)에서 배출되는 세제수가 드럼(44) 내부로 분사되는 바, 상기 토출구(62)는 터브(42)와 캐비닛(30)의 전면패널(32) 사이에 설치된 개스킷(34)을 관통하여 드럼(44)의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토출구(62)는 상기 개폐밸브(70)가 대응되는 내벽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안착부(62a)가 형성됨으로써, 개폐밸브(7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 개폐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밸브(70)와 토출구(62)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세제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밸브(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62) 내측에 설치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그 부피가 가변되는 벨로우즈 밸브(72)와, 상기 벨로우즈 밸브(72)의 일 측 단부에 그 일 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 측 단부는 벨로우즈 밸브(72)의 타 측 단부를 관통하여 토출구(62) 외측으로 돌출된 와이어(74)와, 상기 와이어(74)의 타 측 단부가 회전축에 감기는 인장동기모터(76)와, 상기 벨로우즈 밸브(72)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78)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62) 내측에 거름망(90)이 설치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세제는 걸러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감지수단(80)은 상기 직접급수함(60) 상면에 형성된 홀부(81)와, 상기 홀부(81)의 둘레면 설치된 접촉감지센서(86)와, 상기 홀부(81)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82)와, 상기 가이드(82)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부표(84)와, 상기 부표(84)가 홀부(81) 외측으로 돌출되어 접촉감지센서(86)에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 밸브(54)를 폐쇄하는 제어부(88)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밸브(54)가 개방되어 급수관(52) 및 공급관(56)을 따라 세탁수가 세제함(58)으로 이동되므로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어 세제수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세제수는 직접급수함(6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70)는 폐쇄상태를 이루므로 직접급수함(60) 내부의 수위는 계속 올라가는 바, 상기 부표(84)가 수위에 따라 가이드(82)를 따라 상승되고, 부표(84)가 상기 홀부(81) 외측으로 돌출되면 접촉감지센서(86)와 닿으면서 제어부(88)로 전기적 신호가 송신되어 제어부(88)의 판단에 의해 밸브(54)가 폐쇄된다.
이후에 상기 인장동기모터(76)가 구동되어 상기 와이어(74)를 토출구(62) 외측으로 당기면 벨로우즈 밸브(72)가 압축되면서 토출구(62)가 개방되어 직접급수함(60)에 담겨진 세제수가 드럼(44) 내부로 분사되어 세탁물의 포적심을 행할 수 있 다.
아울러, 직접급수함(6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수는 세제 입자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를 이루도록 하여 세탁물 일 부분에 필요 이상의 세제가 공급되는 것을 억제하는 바, 이는 토출구(62) 내측에 설치된 거름망(90)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세제가 걸러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제수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에 터브(42) 내부에 설정치 이상의 세제수가 공급되지 않았으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의 동작이 다수 차례 반복되어 터브(42) 내측에 설정치 이상의 세제수가 담수되도록 한다.
아울러, 세제수가 설정치 이상 담수되면 모터(46)가 구동되어 드럼(44)이 회전하면서 세탁작동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는 세제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수가 직접급수함에 설정치 이상 담수되어 드럼 내부로 직접 분사됨으로써, 포적심 작동을 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직접급수함 내부에 설치된 거름망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세제는 걸러지므로 세탁물 일 부분에 세제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는 것을 억제하여 세탁물이 변색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일정 공간을 이루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이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고이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급수관이 연결되고, 밸브가 설치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이루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도록 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제수가 담겨지고, 토출구가 드럼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직접급수함과;
    상기 토출구 내측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직접급수함 내부에 세제수가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이를 판단하여 밸브를 폐쇄토록 하는 감지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토출구 내측에 설치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그 부피가 가변되는 벨로우즈 밸브와, 상기 벨로우즈 밸브의 일 측 단부에 그 일 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 측 단부는 벨로우즈 밸브의 타 측 단부를 관통하여 토출구 외측으로 돌출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 측 단부가 회전축에 감기는 인장동기모터와, 상기 벨로우즈 밸브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2. 일정 공간을 이루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이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고이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급수관이 연결되고, 밸브가 설치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이루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도록 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제수가 담겨지고, 토출구가 드럼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직접급수함과;
    상기 토출구 내측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직접급수함 내부에 세제수가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이를 판단하여 상기 밸브를 폐쇄토록 하는 감지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직접급수함 상면에 형성된 홀부와, 상기 홀부의 둘레면 설치된 접촉감지센서와, 상기 홀부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부표와, 상기 부표가 홀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접촉감지센서에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급수함은 상기 토출구 내측에 거름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급수함은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에 설치되어 세제함과 연결되고,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가 드럼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개폐밸브가 대응되는 내벽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6. 삭제
KR1020050124490A 2005-12-16 2005-12-16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10114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90A KR101146276B1 (ko) 2005-12-16 2005-12-16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90A KR101146276B1 (ko) 2005-12-16 2005-12-16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002A KR20070064002A (ko) 2007-06-20
KR101146276B1 true KR101146276B1 (ko) 2012-05-16

Family

ID=3836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490A KR101146276B1 (ko) 2005-12-16 2005-12-16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305A1 (ko) 2011-08-10 2013-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화수 공급용 세탁기
CN103748277A (zh) 2011-08-10 2014-04-23 大宇电子株式会社 用于提供磁化水的洗衣机
CN111850925B (zh) * 2019-04-30 2023-04-21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51U (ko) * 1998-11-09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의 세액투입장치
KR20030070630A (ko) * 2002-02-26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51U (ko) * 1998-11-09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의 세액투입장치
KR20030070630A (ko) * 2002-02-26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002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218B2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233164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389238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71615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70078328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EP2527515A2 (en) 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water supply ho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20028770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0194A (ko) 드럼세탁기 가스켓의 배수장치
KR101146276B1 (ko)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101216073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1082566B1 (ko) 세탁기의 플로트 스위치
KR20070064000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물 끼임 방지장치
KR20060128409A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KR10044109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유출 방지 구조
KR20040046971A (ko) 드럼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60106029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배수구조
KR10120274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WO2023066274A1 (zh) 滚筒洗衣机
KR101054396B1 (ko) 세탁기
KR101192188B1 (ko) 세탁기
KR101357341B1 (ko) 세탁물의 세탁 방법
KR101270608B1 (ko)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KR20070019346A (ko) 세탁기
KR101636081B1 (ko) 세탁기의 세탁수 급수방법
KR100640772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