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770A -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770A
KR20120028770A KR1020100090798A KR20100090798A KR20120028770A KR 20120028770 A KR20120028770 A KR 20120028770A KR 1020100090798 A KR1020100090798 A KR 1020100090798A KR 20100090798 A KR20100090798 A KR 20100090798A KR 20120028770 A KR20120028770 A KR 2012002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hole
washing apparatu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895B1 (ko
Inventor
김평환
김형용
박석규
오영기
이득희
박은진
권태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95B1/ko
Priority to US13/232,480 priority patent/US8719986B2/en
Priority to AU2011302774A priority patent/AU2011302774B2/en
Priority to CN201180044523.0A priority patent/CN103119211B/zh
Priority to RU2013117011/12A priority patent/RU2537162C2/ru
Priority to BR112013004366-0A priority patent/BR112013004366B1/pt
Priority to PCT/KR2011/006815 priority patent/WO2012036485A1/en
Publication of KR2012002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상부의 관통율이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드럼을 구비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의 포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까지 급수하는 제1 급수단계, 상기 제1 수위와 상기 드럼의 관통율이 변화하는 기준높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따라 물을 추가적으로 급수하는 제2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일반적으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및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세탁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런트로딩방식(front loading type)과 상부에서 투입하는 탑로딩방식(top loading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탑로딩방식의 세탁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게 되며, 드럼의 하부에서 상부로 세탁수가 순환하는 유로 및 유로 상의 보프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조립체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조립체는 드럼을 따라 구비되는데 드럼의 외부에 터브가 구비되므로,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조립체가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게 되면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물과 필터조립체와의 마찰 및 충돌이 빈번해져서 세탁물에 마모를 일으켜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의류의 옷감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의 발생을 줄이며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드럼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필터조립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세탁장치 및 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소정 높이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율이 달라지는 드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의 관통율이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드럼을 구비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의 포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까지 급수하는 제1 급수단계, 상기 제1 수위와 상기 드럼의 관통율이 변화하는 기준높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따라 물을 추가적으로 급수하는 제2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필터조립체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드럼의 구조가 단순해지며,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세탁장치에 비하여 드럼의 용량을 더 키울 수 있다. 나아가, 필터조립체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세탁물의 마모를 방지하여 보푸라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세탁물의 옷감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세탁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터조립체를 구비하지 않은 세탁장치의 드럼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드럼의 관통홀의 크기에 따른 유지보수비용과 불량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도 2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도 2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일부 평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다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및
도 7은 관통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장치를 살펴보고, 이어서 상기 세탁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은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세탁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장치(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0)을 구비할 수 있다. 드럼(30)은 수직한 축(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의 측벽에는 필터조립체(5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조립체(50)는 드럼(30)의 측벽을 따라 구비되며, 그 내부에 세탁수가 순환하는 순환유로(5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터조립체(50)는 그 하부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4) 및 중앙부에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56)를 구비하며, 배출구(56)에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5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의 하부에서 필터조립체(50)로 유입된 세탁수는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순환유로(52)를 따라 상승하여 필터부(58)를 통하여 다시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세탁장치에서는 드럼(30)의 외부에 터브(20)가 구비되므로, 전술한 필터조립체(50)는 드럼(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50)는 소정 두께(t) 만큼 드럼(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조립체(50)가 드럼(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게 되면 드럼(30)이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물과 필터조립체(50)와의 마찰 및 충돌이 빈번해져서 세탁물에 마모를 일으켜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의류의 옷감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장치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면서도 드럼 내부의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의 측벽을 따라 필터부가 돌출되어 세탁물의 마모에 의한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의 발생 및 세탁물의 옷감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별도의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게 되므로, 세탁 또는 헹굼행정에서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특히, 헹굼행정은 세탁을 마치고 세탁물에 배인 세제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므로 헹굼행정에서 드럼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드럼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드럼의 구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을 도시하는 일부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130)은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미도시)를 개방하여 드럼(13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130)은 다수개의 관통홀(132)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130)은 소정 높이(H)를 경계로 하여 그 상부와 하부의 관통율이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관통율'은 드럼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율이 크다고 하면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관통율이 작다고 하면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가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통율이 크다고 하면 관통홀의 크기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관통율이 작다고 하면 관통홀의 크기가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드럼(130)의 소정 높이(H)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율이 작다는 의미는 드럼(130)의 소정 높이(H)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홀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30)의 상부의 관통율이 하부의 관통율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럼(130)의 상부의 관통홀(134)의 크기가 하부의 관통홀(136)의 크기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130)의 소정 높이(이하 '기준높이'라 함)(H)를 경계로 관통홀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130)의 기준높이(H)를 경계로 그 상부의 관통홀(134)의 크기가 그 하부의 관통홀(136)의 크기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기준높이를 경계로 상부의 관통홀(134)은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이 드럼(130)의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관통홀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면 드럼(130)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상부의 관통홀(134)은 그 지름이 3.5 내지 4.0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7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하부의 관통홀(136)은 상부의 관통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3은 관통홀의 크기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과 불량율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관통홀의 크기를 나타내며, 오른쪽 세로축은 불량율을, 왼쪽 세로축은 유지 보수 비용을 도시한다. 불량율은 세탁장치의 구동 중에 관통홀에 이물질 등(특히, 세탁물 중의 메모리 와이어(memory wire))이 끼이게 되어 발생하는 불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은 관통홀의 크기에 따른 연간 유지 보수 비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통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메모리 와이어와 같은 이물질 등이 관통홀에 끼이지 않아 불량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관통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세탁장치의 사용에 따라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관통홀의 크기가 커질수록 메모리 와이어와 같은 이물질 등이 관통홀에 끼이게 되어 불량율이 높아지지만, 세탁장치의 사용에 따라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량율과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을 모두 적절하게 만족시키는 값을 찾아보면 대략 2.5 내지 3.0 mm의 범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크기는 전술한 대략 2.5 내지 3.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대략 2.7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드럼의 관통율이 달라지는 경계를 형성하는 기준높이(H)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장치의 제조사는 사용자들이 헹굼행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량에 대한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헹굼행정에서 5kg의 포량을 투입하여 헹굼을 수행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다는 정보 등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높이(H)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포량에 대응하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헹굼행정이 실행되면 드럼(130)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드럼(130)의 관통홀을 통하여 드럼(1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드럼의 기준높이(포량이 5kg인 경우에 물의 수위) 이상에서 관통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므로, 드럼의 회전에 따라 물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물질들은 드럼 상부의 관통홀(134)을 통하여 드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드럼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드럼 내부의 이물질 등은 물의 상부로 떠오르게 되므로 드럼 상부의 관통홀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드럼의 기준높이 이하의 관통홀(136)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으므로 물의 이동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물질 등은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이물질 등이 관통홀을 따라 관통하는 중에 관통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드럼의 제어방법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드럼(130)의 기준높이(H)를 경계로 하여 관통홀의 크기가 이분법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준높이를 포함하는 소정 높이 대역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하고자 하는 포량이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세탁하는 포량이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높이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이분법적으로 달라지게 되면, 상기 기준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포량의 경우에 물의 수위가 드럼의 기준높이의 하부에 있게 되므로 드럼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드럼 하부의 관통홀의 크기는 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높이(H)를 포함하는 높이 대역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된다면 사용자가 세탁하고자 하는 포량이 변화하여도 드럼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드럼의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높이(H)를 포함하는 소정 높이 대역(B)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높이(H)의 상하부로 소정 범위, 예를 들어 대략 2 내지 5 cm의 범위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높이(H)의 하부 대략 2 내지 5 cm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비되어, 기준높이(H)의 상부 대략 2 내지 5cm에 도달하게 되면 관통홀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드럼(130)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132)들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드럼(130)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드럼 내부의 물이 유동하는 경우에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이물질 등을 보다 용이하게 드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즉, 드럼(130) 또는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130) 내부의 물은 유동하게 되며, 상부의 물은 그 회전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32)이 도면의 왼쪽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경우에 드럼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도 2는 드럼의 내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상부의 물은 관통홀(132)의 경사를 따라 유동하게 되어 관통홀(132)을 따라 이물질 등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세탁 및 헹굼행정에서 드럼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관통홀이 일측으로만 경사져서 구비되면 양방향 회전 시에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은 일측이 아니라 양측으로 소정각도록 경사져서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통홀(23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이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 내부의 물의 유동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도 이물질 등이 관통홀(232)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드럼의 기준높이 이상의 관통홀의 개수와 기준높이 이하의 관통홀의 개수를 비교해보면, 상부 관통홀(134)의 개수가 하부 관통홀(136)의 개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는 상부와 하부를 경계짓는 기준높이(H)가 드럼의 상부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관통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하부 관통홀에 비하여 더 크므로 상부 관통홀의 개수가 더 많게 되면 드럼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드럼의 관통홀 사이에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싱 형태의 돌출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하여 세탁 성능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드럼의 내부가 돌출부 및 오목부가 전혀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되면 드럼이 회전하여도 세탁물과 드럼 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히 낮아 세탁 및 헹굼 성능을 소정치 이상으로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은 상하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리브(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리브(150)는 드럼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브(150)는 드럼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돌출부(140)와 함께 세탁물과의 마찰을 증가시켜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특히 헹굼행정에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제어방법은 먼저 드럼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제1 급수단계(S6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급수단계에서 제어부는 제1 수위까지 급수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위는 드럼 내부의 포량에 대응하는 수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탁장치의 제어부는 헹굼 행정에 앞서서 드럼 내부의 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포량에 대응하는 수위를 제1 수위로 설정할 수 있다. 포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세탁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 헹굼행정에 앞서서 수행되는 세탁행정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하지 않고 별도의 헹굼행정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제1 급수단계에 앞서서 포량감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포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까지 급수를 하고 나서, 이어서 제1 수위와 드럼의 관통율이 변화하는 기준높이를 비교할 수 있다(S630). 이는 후술하는 드럼 회전 단계(S670)에서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드럼 내부의 수위가 기준높이(H) 이상으로 상승하여야 드럼의 구동에 의해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이물질 등이 상부 관통홀(134)을 통하여 드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포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가 기준높이 이하인 경우에 제2 수위까지 급수를 하는 제2 급수단계(S65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위는 전술한 관통율이 변화하는 기준높이(H)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수위가 너무 고수위로 설정되면 포량이 작은 경우에 물을 낭비할 수 있으므로, 제2 수위는 기준높이(H)와 드럼 상단부 사이의 적절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위는 기준높이(H)와 드럼 상단부 사이의 중간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는 드럼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S670). 기준높이 이상으로 제2 수위까지 급수를 하고 나서 드럼을 회전시키게 되면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 등은 물의 상부로 떠올라 부유하게 된다. 나아가, 드럼이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면 물의 상부를 따라 부유하는 이물질은 물의 유동에 의해 드럼의 상부 관통홀(134)을 통하여 드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내부의 이물질을 드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드럼 외부로 배출된 이물질은 드럼 내부로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드럼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경우에 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펀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을 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32)은 드럼(13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31)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은 용이하지만, 드럼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다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전술한 비교단계에서 제1 수위가 상기 기준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급수하는 제2 급수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드럼 회전단계(S67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포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가 이미 드럼의 관통율이 변화하는 기준높이(H) 이상이므로 별도의 급수가 더 필요 없기 때문이다.
드럼 회전 단계를 소정시간 동안 수행하고 나서, 제어부는 드럼 및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게 된다(S690). 드럼 및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함으로써 드럼과 터브 사이에 있는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배수단계에서는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이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을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제1 급수단계(S610) 및 제2 급수단계(S650)에서 제어부는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 급수단계 및 제2 급수단계의 전반에 걸쳐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와 동시에 드럼을 회전시키게 되면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드럼 회전 단계(S670)에서 보다 많은 양의 이물질을 드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헹굼행정은 한번으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2 급수단계(S650), 드럼 회전 단계(S670) 및 배수단계(S690)를 하나의 싸이클로 구비하여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배수단계에 이어서 다시 제2 급수단계(S650), 드럼 회전단계(S670) 및 배수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단계에 물을 모두 배수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을 남겨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모두 배수하게 되면 이어서 다시 제2 급수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2 수위까지 물을 급수하게 되어 물 소모가 현저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싸이클을 반복하는 경우에 배수단계에서는 모두 배수하지 않고 소정 수위까지, 예를 들어 제1 수위까지만 배수할 수 있다.
130...터브 132...관통홀
134...상부 관통홀 136...하부 관통홀
140...돌출부 150...리브

Claims (16)

  1.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소정 높이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율이 달라지는 드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부의 관통율이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율은 상기 소정 높이를 포함하는 높이 대역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소정 높이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홀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부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크기가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소정 높이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홀의 개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부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개수에 비하여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구비되는 관통홀은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드럼에 양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상부의 관통율이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드럼을 구비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의 포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까지 급수하는 제1 급수단계;
    상기 제1 수위와 상기 드럼의 관통율이 변화하는 기준높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따라 물을 추가적으로 급수하는 제2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수단계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기준높이 이하인 경우에 제2 수위까지 급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위는 상기 기준높이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위는 상기 기준높이와 상기 드럼 상부의 중간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수단계 또는 제2 급수단계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드럼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제1 수위까지 배수를 하며, 상기 배수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급수단계 및 드럼 회전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90798A 2010-09-15 2010-09-15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98A KR101752895B1 (ko) 2010-09-15 2010-09-15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232,480 US8719986B2 (en) 2010-09-15 2011-09-14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U2011302774A AU2011302774B2 (en) 2010-09-15 2011-09-15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CN201180044523.0A CN103119211B (zh) 2010-09-15 2011-09-15 洗衣机的控制方法
RU2013117011/12A RU2537162C2 (ru) 2010-09-15 2011-09-15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BR112013004366-0A BR112013004366B1 (pt) 2010-09-15 2011-09-15 Método de controle de uma lavadora de roupa.
PCT/KR2011/006815 WO2012036485A1 (en) 2010-09-15 2011-09-15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98A KR101752895B1 (ko) 2010-09-15 2010-09-15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70A true KR20120028770A (ko) 2012-03-23
KR101752895B1 KR101752895B1 (ko) 2017-06-29

Family

ID=4580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98A KR101752895B1 (ko) 2010-09-15 2010-09-15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19986B2 (ko)
KR (1) KR101752895B1 (ko)
CN (1) CN103119211B (ko)
AU (1) AU2011302774B2 (ko)
BR (1) BR112013004366B1 (ko)
RU (1) RU2537162C2 (ko)
WO (1) WO2012036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439B2 (en) * 2011-09-30 2013-07-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ter recirculation and drum rotation control in a laundry washer
WO2015035607A1 (en) * 2013-09-13 2015-03-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Washing machine including integral filter module
US10066333B2 (en) * 2014-02-21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US10781548B2 (en) 2014-12-23 2020-09-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using a unit dose packag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70096769A1 (en) * 2015-10-02 2017-04-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78676B1 (ko) * 2016-10-05 202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639680B1 (ko) 2016-12-23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926144B1 (ko) * 2017-05-17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9202018A (ja) * 2018-05-25 2019-11-28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US10465324B1 (en) 2018-05-31 2019-11-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detecting a low water level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11041267B2 (en) 2018-09-14 2021-06-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aundry
US11066775B2 (en) 2018-09-14 2021-07-2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aundry
US11162209B2 (en) 2018-09-14 2021-11-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using a unit dose packag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WO2021001549A1 (en) * 2019-07-03 2021-01-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for use with unit dose detergent packag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115B2 (ja) * 1986-08-22 1995-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3162960B2 (ja) 1995-07-14 2001-05-08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MY138987A (en) * 2002-03-25 2009-08-2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CN2707796Y (zh) * 2003-06-08 2005-07-06 合肥荣事达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
JP2004121883A (ja) 2004-02-02 2004-04-22 Hitachi Ltd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4029845B2 (ja) * 2004-02-06 2008-01-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CN1743536A (zh) * 2005-09-20 2006-03-08 (中外合资)合肥荣事达洗衣机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洗涤方法
CN101082168A (zh) * 2006-05-31 2007-12-0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滚筒洗衣机脱水程序的控制方法
JP5193588B2 (ja) * 2007-12-26 2013-05-08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洗濯機
CN201165610Y (zh) * 2008-01-18 2008-12-17 上海泰硕商务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洗衣机
KR101462172B1 (ko) * 2010-02-05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무게 감지방법
KR20120008554A (ko) * 2010-07-17 2012-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및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4366A2 (pt) 2016-05-17
CN103119211B (zh) 2016-04-06
US8719986B2 (en) 2014-05-13
WO2012036485A1 (en) 2012-03-22
BR112013004366B1 (pt) 2020-06-02
RU2013117011A (ru) 2014-10-20
KR101752895B1 (ko) 2017-06-29
AU2011302774A1 (en) 2013-03-28
AU2011302774B2 (en) 2014-10-09
CN103119211A (zh) 2013-05-22
US20120060301A1 (en) 2012-03-15
RU2537162C2 (ru) 2014-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770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4397B1 (ko) 세탁장치
KR100480133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5919487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838134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disentangling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JP6523764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制御方法
JP2006312019A (ja) 洗濯機及びその泡除去方法
EP2110474A2 (e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JP200805501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04132A (ko) 드럼세탁기의 탈수방법
KR10169273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070283726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pin drying thereof
JP6883739B2 (ja) 洗濯乾燥機
KR10249315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EP3222767B1 (en) Laundry method
JP595769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505255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100495063B1 (ko) 드럼세탁기의 애벌세탁방법
KR100479096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0739546B1 (ko) 세탁물 부유 검출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1037152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H09225175A (ja) 洗濯機
KR20070114976A (ko) 전자동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20070009192A (ko) 습식 사우나수를 이용한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방법
KR20050040575A (ko) 세탁수 비산 검출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