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867A - Fm라디오수신기 - Google Patents

Fm라디오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867A
KR19990072867A KR1019990005995A KR19990005995A KR19990072867A KR 19990072867 A KR19990072867 A KR 19990072867A KR 1019990005995 A KR1019990005995 A KR 1019990005995A KR 19990005995 A KR19990005995 A KR 19990005995A KR 19990072867 A KR19990072867 A KR 19990072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eceiver
filter
counter
field strengt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0788B1 (ko
Inventor
고바야시게이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7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2001/1054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by changing bandwidth

Abstract

단순한 구성으로 검출 감도를 임의로 설정하여 인접 방해를 검출한다. FM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IF 신호는 IF 카운터(15)에 인가되고, IF 신호의 주파수가 카운트된다. 카운트 값은 제어 회로(17)에 입력되고, 카운트 값이 희망국의 IF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벗어나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인접 방해를 판단한다.

Description

FM 라디오 수신기{FM RADIO RECEIVER}
본 발명은 인접 방해 대책을 세운 라디오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M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희망국에 인접해서 강전계의 방해국이 존재하는 경우, 방해국의 전파가 FM 라디오 수신 계통으로 들어가 희망국이 방해국에 의해 방해를 받는 인접 방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IF 필터로서 광대역 및 협대역의 2개의 필터를 준비하고,, 인접 방해가 발생하면 FM IF 신호의 대역을 보다 협대역 제한해서 방해국을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접 방해 대책을 세운 FM 라디오 수신기가 도 4와 같이 구성된다.
도 4에 있어서, FM의 RF 신호는 FM-RF 동조 증폭 회로(1)에서 동조 및 증폭된 후, 혼합 회로(2)에서 국부 발진 회로(3)의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중심 주파수 10.7 MHz의 IF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IF 신호는 IF 필터(4I)에서 대역 제한된 후, 선택 회로(5)를 통해서 광대역 필터(4W) 및 협대역 필터(4N)에 인가되고, 각각의 통과 대역폭에 의해 IF 신호가 대역 제한된다. 광대역 필터(4W) 또는 협대역 필터(4N)의 출력 신호는 선택 회로(6)에서 선택되고, 이의 일방의 선택 신호가 리미터 앰프(7)에서 증폭된 후, FM 검출 회로(8)에서 FM 검출된다. 통상 수신시, 광대역 필터(4W)의 출력 신호(이하, 와이드 IF 신호라 칭한다)가 선택되고, 이의 와이드 IF 신호가 FM 검출된다.
FM 수신시, 희망국 Fd에 인접해서 방해국 Fud가 발생한다고 하자. 이 방해국 Fud는 도 3(b)와 같이 광대역 필터(4W)의 통과 대역 내에 있는 한편 협대역 필터(4N)의 통과 대역 외에 있다. 단,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W 및 4N)의 통과 대역은 도 3(a)의 관계에 있다. 인접 방해 검출 회로(9)에 있어서, 신호 라인(a)과 같이 접속해서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 및 5)의 출력 레벨의 레벨 관계를 확인하거나 또는 신호 라인(b)과 같이 접속해서 FM 검출 회로(8)의 검출 출력의 평활 레벨을 확인하므로써 인접 방해를 검출한다. 그러면, 검출 신호 DET가 발생하고, 이에 기초해서 제어 회로(10)는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선택 신호 SL에 의해 협대역 필터(4N)의 출력 신호(이하, 내로우-IF 신호라 칭한다)가 선택된다. 협대역 필터(4N)에서는 방해국 Fud는 그의 통과 대역 밖에 있게 되므로 협대역 필터(4N)에서 제거되어 인접 방해가 제거되고, 그 결과 수신 상태가 개선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인접 방해는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 및 5)의 출력 레벨의 관계나, FM 검출 회로(8)의 평활된 출력 레벨을 확인하므로써 검출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와이드 IF 신호 및 내로우 IF 신호의 레벨 관계를 확인해서 검출하는데 있어서는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W 및 4N)의 출력 신호를 각각 평활해서, 양방의 평활 레벨을 비교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IC화에 즈음해서, 평활용의 외부착 콘덴서 및 이들이 접속되는 외부착 핀이 필요하게 되므로 IC화에는 적합하지 않은 회로로 되었다. 또한, FM 검출 회로(8)의 출력 신호를 확인 검출하는데 있어서는 방해국 Fud에 의해서 검출 출력의 평활 레벨이 IF 신호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로부터 벗어나므로써 인접 방해가 검출된다. 그러나, 희망국 Fd의 레벨을 높게해서 방해국 Fud 레벨이 방해하지 않으면 상기 평활 레벨이 벗어나지 않으므로 방해의 영향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평활 레벨이 명확히 변화하지 않아, 인접 방해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고, 방해의 영향이 작은 경우에도 확실히 인접 방해를 검출할 수 있는 FM 라디오 수신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특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특성도.
도 4는 종래예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 증폭 회로
2 : 혼합 회로
3 : 국부 발진 회로
4W : 광대역 필터
4N : 협대역 필터
4I : IF 필터
5, 6 : 선택 회로
7 : 리미터 앰프
8 : FM 검출 회로
9 : 방해 검출 회로
14 : 필터
15 : IF 카운터
16 : 전계 강도 검출 회로
10, 17 : 제어 회로
본 발명은 FM 변조 신호가 수신되는 FM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IF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트하는 IF 카운터와,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 따라서 인접 방해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IF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 밖에 있을 때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된 때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M 라디오 수신기는 서치용 IF 카운터를 갖고 있고, 상기 카운터가 서치용의 IF 카운터와 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해국이 희망국과 함께 FM 라디오 수신기에 수신되는 경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IF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벗어나므로 이의 벗어남이 발생한 때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11은 혼합 회로(2)로부터의 FM의 IF 신호가 도출되는 1차 코일, 12 및 13은 1차 코일(11)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2차 코일, 14는 광대역 필터(4W) 또는 협대역 필터(4N)와 IF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 15는 필터(14)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트하는 IF 카운터, 16은 필터(14)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전계 강도 검출 회로, 17은 IF 카운터(15)의 카운트 값 및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서 선택 회로(6) 및 국부 발진 회로(3)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도 2와 동일의 회로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혼합 회로(2)로부터의 IF 신호는 공통의 출력 회로로 되는 1차 코일(11)로 도출된다. 그래서, 2차 코일(12 및 13)에는 각각 동일한 IF 신호가 도출되고, 각각의 IF 신호는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W 및 4N)에 인가된다. 또한,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W 및 4N)는 각각 도 3(a)와 같은 필터 특성을 갖고 있다. 이후, 와이드 및 내로우 IF 신호의 일방이 선택되어 필터(14)에 인가된다. 필터(14)에 광대역 또는 협대역 필터(4W 또는 4N)에서 주파수 선택된 신호가 인가되므로써 필요한 IF 필터 특성이 얻어진다. 필터(14)의 출력 신호는 리미터 앰프(7)에서 증폭된 후 FM 검출 회로(8)에서 FM 검출된다.
이하,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FM 라디오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FM 라디오 수신기는 통산 수신 상태에 있고, 광대역 필터(4W)의 와이드 IF 신호가 FM 검출된다(S1). 통상 수신중, 제어 회로(17)에 의해서 인접 방해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의 검출 동작이 개시된다. IF 카운터(15)는 필터(14)로부터의 와이드 IF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트한다. IF 카운터(15)의 카운트 값은 제어회로(17)에 출력된다. 인접 방해 검출 동작이 개시되면 제어회로(17)는 상기 카운트 값을 취하고, 이 카운트 값에 따라서 인접 방해를 받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2). 그래서, 제어회로(17)는 상기 카운트 값이 소정의 주파수 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3). 도 3(b)와 같이, 희망국 Fd로부터 예를 들면 0.1 MHz 떨어져 방해국 Fud가 존재하고, 방해국 Fud의 전계강도가 희망국 Fd 보다 강한 경우, 희망국의 IF 신호에 방해국의 IF 신호가 중첩되어, 방해국의 IF 신호 레벨이 희망국의 IF 신호 레벨 보다 높게 되고, 그 결과 IF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방해국측으로 끌려간다. 이 때문에 와이드 IF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희망국 Fd의 중심 주파수 10.7 MHz로부터 벗어난 주파수로되고, 그 결과 FM 검출시 희망국 Fd가 방해국 Fud에 의해 방해를 받아, 수신 상태가 악화된다. IF 카운터(15)는 와이드 IF 신호의 주파수를 정확히 카운트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인접 방해가 발생하면 카운트 값이 10.7 MHz(희망국)에 대응하는 값에서 벗어나므로, 제어 회로(17)는 카운트 값을 확인해서 인접 방해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회로(17)는 도 3(b)와 같이 IF 카운트 값에 대한 검출범위 △f를 정하고, 카운트 값이 검출 범위 △f 밖에 있으면 방해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트 값이 검출 범위 △f 내에 있으면 방해국이 없고 희망국만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FM 변조 신호는 통상 주파수가 편이하므로 IF 카운터의 검출 타이밍에 따라서 IF 신호의 주파수가 10.7 MHz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어, 주파수 편이에 따른 인접 방해의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 3(b)와 같은 검출 범위 △f가 정해진다. 이 검출 범위 △f 내에서는 와이드 IF 신호의 주파수 벗어남은 주파수 편이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IF 카운터(15)의 카운트 값이 소정의 검출 범위 △f내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 회로(17)는 인접 방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해서 제1 상태의 전환 신호SL을 발생한다. 전환 신호 SL에 의해서 와이드 IF 신호가 선택된다. 다시 말하면, FM 라디오 수신기의 통상 수신 상태가 계속된다(S4). 이후 제어 회로(17)는 대기 상태로 되고(S5),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10초)이 경과하면 단계 S1으로 복귀하여 인접 방해를 다시 검출하기 시작한다.
또한, 단계 S3에서 인접 방해를 검출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인접 방해 이외의 원인에 의해 IF 주파수가 벗어나는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IF 카운터(15)의 카운트 값이 소정의 검출 범위 △f 밖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 회로(17)는 방해가 정말로 인접 방해에 의한 것인가를 검출하는 다음의 단계로 이행한다. 그런데, 리미터 앰프(7)의 출력 신호는 전계 강도 검출 회로(16)에 인가되고, 상기 출력신호를 평활해서 수신 전계 강도가 검출된다. 전계 강도 검출 회로(16)의 출력 신호는 제어 회로(17)로 들어가고, 수신 전계 강도가 측정된다(S6). 다음에, 와이드 IF 신호의 선택 상태에서 제어 회로(17)는 검출된 수신 전계 강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 수신 강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전계 강도가 강한 방해국이 희망국을 방해해서 IF 주파수를 벗어나게 하기도 하고, 또는 희망국의 전계 강도가 강해도 이 보다 강한 방해국이 IF 주파수를 벗어나게 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하여 인접 방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소정 레벨 이하의 경우 희망국 자체가 작기 때문에 다른 방해를 받고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전계 강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제어 회로(17)는 인접 방해가 실제로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제2 상태의 전환 신호 SL을 발생한다. 전환 신호 SL에 따라서 협대역 필터(4N)의 내로우 IF 신호가 선택되고, 내로우 IF 신호가 FM 검출된다. 이 방해국 Fud는 도 3(b)와 같이 광대역 필터(4W)의 통과 대역 내에 있으나 협대역 필터(4N)의 통과 대역 밖에 있으면, 협대역 필터(4N)에서는 방해국 Fud가 그의 통과 대역 밖에 있으므로, 방해국 Fud는 협대역 필터(4N)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방해국을 제거할 수 있어, FM 라디오 수신기의 수신 상태가 개선된다(S8). 이 제어 회로(17)는 대기 상태로 되고(S9),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10초)이 경과하면, 전환 신호 SL이 제1 상태로 되어서 와이드 IF 신호가 선택되므로써 FM 라디오 수신기가 통상 수신 상태로 전환된 후(S10), 단계 S1으로 복귀하여 인접 방해를 다시 검출하기 시작한다.
또한, 단계 S7에서 제어 회로(17)는 희망국 자체의 전계 강도가 작아 다른 방해를 받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희망국의 방해로 되는 노이즈 등을 상세히 검출한다. 희망국 자체의 전계 강도가 작게되면 노이즈 등에 따라서도 방해를 받는다. 먼저, 제어 회로(17)는 국부 발진 제어 회로 L0를 시프트시켜 국부 발진 회로(3)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시프트시키면, IF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10.7MHz로 되는 RF 신호의 주파수가 시프트된다. 제어 회로(17)는 RF 수신 대역의 1채널 스텝 단위로 시프트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3(c)와 같이 희망국의 rf 주파수 Fd를 저주파 방향의 RF 주파수 FdL에 시프트시킨 다음에 고주파 방향의 RF 주파수 FdH를 시프트시키고, 최종으로 RF 주파수를 희망국으로 돌려보낸다. 시프트시에 제어회로(17)는 RF 주파수 FdH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이 값을 제어 회로(17)의 내부 메모리(도시안됨)에 기억하고, 또한, RF 주파수 FdL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억한다(S11). RF 주파수를 시프트해서 전계 강도를 검출하므로써 희망국의 근방에 발생하는 다른 방해신호의 크기 및 량을 검출하고 있다. 이후, RF 주파수 FdL 및 FdH의 수신 전계 강도 양방이 소정 레벨 V2 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출한다(S12). RF 주파수 FdL 및 FdH의 수신 전계 강도 양방이 소정 레벨 V2 보다 작은 경우, 희망국 자체의 전계 강도가 약하고, 전계 강도의 부족에 의해 수신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RF 주파수 FdL 및 FdH의 수신 전계 강도의 적어도 일방이 소정 레벨 V2 보다 큰 경우, 희망국 자체의 전계 강도가 약해서, 희망국 근방의 다른 방해 신호에 의해 방해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계 S12에 있어서, RF 주파수 FdL 및 FdH의 수신 전계 강도의 양방이 소정 레벨 V2 보다 작은 경우, 제어 회로(17)는 방해를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4로 이행하여 와이드 IF 신호에 의한 약전계 상태에서의 통상 수신이 소정 시간 계속되고, 다시 인접 방해가 검출된다. 또한, RF 주파수 FdL 및 FdH의 수신 전계 강도의 적어도 일방이 소정 레벨 V2 보다 큰 경우, S8로 이행하여 내로우 IF 신호를 선택하므로써 희망국 근방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FM 라디오 수신기의 수신 상태가 개선된다. 소정 시간 경과 후, FM 라디오 수신기는 대기 상태후 통상 수신 상태로 전환되어 인접 방해를 다시 검출하기 시작한다.
또한, 광대역 및 협대역 필터(4W 및 4N)의 통상 대역, IF 주파수의 검출범위 △f를 도 3(b)와 같이 설정하면, 확실히 인접 방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에서 1회만 IF 주파수를 카운트하고 있지만 복수회 카운트해서 카운트 값이 동일한 값으로 일치한다면 단계 S3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므로써, 일시적인 방해가 항상 인접 방해를 받게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단계 S6에서 전계강도를 복수회 측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특히 자동차의 튜너에서는 이동에 의해 수신 전계 강도가 변하기 때문에 검출된 전계 강도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인접 방해를 확실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FM 라디오 수신기에는 서치시의 국검출은 IF 신호의 주파수 검출에 의해서도 행해지고, IF 카운트가 준비되어 있다. 이 서치용 IF 카운터를 사용하면, 인접 방해용의 IF 카운터와 공용할 수 있으므로 새롭게 IF 카운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인접 방해국의 강한 전계 강도에 따라서 희망국의 IF 신호에 중첩되는 방해국의 IF 신호의 크기가 변해서 온다. 이 때문에, 방해국의 강도에 따라서 IF 신호의 주파수의 어긋나는 양이 변화하므로 IF 카운터(15)의 카운트 값이 변한다. 따라서, 검출 범위 △f를 임의로 변화시키므로써 인접 방해의 검출 감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1에 있어서, RF 주파수의 시프트를 희망국 Fd로부터 RF 주파수 FdL로 시프트한 후 희망국 Fd로 복귀하고, 다음에는 희망국 Fd로부터 RF 주파수 FdH로 시프트한 후 희망국 Fd로 복귀시켜도 좋다. 이 시프트 동작에서는 국부 발진 회로(3)의 국부 발진 주파수가 이동하는 시간이 늦어도 유효하므로, 짧은 이동거리를 복수회 시프트시키므로써 실제로 국부 발진 주파수가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음절(音切)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 따라서 인접 방해를 검출하므로 회로의 증가가 초래되지 않고 외부에 부착할 소자가 필요없게 되어 IC화에 적합한 라디오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해를 받은 정도로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변하기 때문에 검출 감도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희망국의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므로서 보다 상세히 확실하게 인접 방해를 받은 것인지 그 외의 방해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외의 방해를 받은 경우 희망국의 근방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므로, 희망국의 전계 강도가 작은지 주변 노이즈의 방해를 받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광대역 또는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대략 정확히 선택하므로써 FM 라디오 수신기의 수신 상태를 확실히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4)

  1. FM 변조 신호가 수신되는 FM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IF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트하는 IF 카운터와,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 따라서 인접 방해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IF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바깥에 있을 때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된 때 인접 방해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 라디오 수신기는 서치용 IF 카운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카운터가 서치용 IF 카운터와 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5. FM 라디오 수신기에 있어서,
    IF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 따라서 인접 방해의 발생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및 상기 제1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광대역 필터 또는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의 일방을 선택하는 제1 선택 수단으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수단은 상기 IF 카운터의 카운터 값이 소정의 검출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인접 방해가 발생했음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범위를 협대역 필터의 통과 대역 내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8. 제5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수단은 인접 방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고, 인접 방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9. 제5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인접 방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함과 동시에, 인접 방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희망국의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상기 희망국의 수신 전계 강도를 제1 레벨과 비교하는 제1 비교 수단, 및 상기 제1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광대역 필터 또는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제2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택 수단은 상기 희망국의 수신 전계 강도가 상기 제1 레벨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희망국의 수신 전계 강도가 상기 제1 레벨 보다 낮은 경우 상기 광대역 필터의 출력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상기 제1 레벨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상기 제1 레벨 보다 낮은 경우에 수신 주파수를 희망국의 근방으로 시프트하는 시프트 수단, 수신 주파수가 시프트된 때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 상기 제3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전계 강도를 제2 레벨과 비교하는 제2 비교 수단, 및 상기 제2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광대역 필터 또는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제3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택 수단은 상기 제3 검출 수단의 검출 전계 강도가 상기 제2 레벨 보다 큰 경우 상기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검출 전계 강도가 상기 제2 레벨 보다 낮은 경우 상기 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수단은 수신 주파수를 희망국으로부터 소정 주파수만큼 전후로 이격된 주파수로 시프트시키고, 상기 제3 검출 수단은 시프트된 수신 주파수의 각각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또한 제3 선택 수단은 상기 제3 검출 수단의 검출 전계 강도 중에서 적어도 일방이 상기 제2 레벨 보다 큰 경우만 협대역 필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파수는 FM 수신 대역의 1채널 스텝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라디오 수신기.
KR10-1999-0005995A 1998-02-24 1999-02-23 Fm 라디오 수신기 KR100410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237398A JP3579241B2 (ja) 1998-02-24 1998-02-24 Fmラジオ受信機
JP1998-042373 1998-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867A true KR19990072867A (ko) 1999-09-27
KR100410788B1 KR100410788B1 (ko) 2003-12-18

Family

ID=1263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995A KR100410788B1 (ko) 1998-02-24 1999-02-23 Fm 라디오 수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39496B1 (ko)
JP (1) JP3579241B2 (ko)
KR (1) KR100410788B1 (ko)
DE (1) DE6994164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7939A1 (en) 1999-06-16 2000-1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m receiver with bandwidth control means
JP2001285033A (ja) * 2000-03-29 2001-10-12 Sony Corp シンセサイザ受信機
US7917088B2 (en) 2004-04-13 2011-03-29 Impinj, Inc. Adaptable detection threshold for RFID tags and chips
US7973643B2 (en) 2004-04-13 2011-07-05 Impinj, Inc. RFID readers transmitting preambles denoting data rate and methods
US7501953B2 (en) 2004-04-13 2009-03-10 Impinj Inc RFID readers transmitting preambles deno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and RFID tags interpreting the same and methods
US7183926B2 (en) * 2004-04-13 2007-02-27 Impinj, Inc. Adaptable bandwidth RFID tags
WO2006102553A2 (en) 2005-03-24 2006-09-28 Impinj, Inc. Error recovery in rfid reader systems
EP2045926B1 (en) * 2006-06-28 2011-03-16 Panasonic Corporation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8098720B2 (en) 2006-10-06 2012-01-17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and multipath propagation signals and radio receiver using said apparatus
DE602006018743D1 (de) * 2006-10-06 2011-01-20 St Microelectronics Srl Detektion und Unterdrückung von Nachbarkanalinterferenzen in einem empfanganen Signal durch die Nutzung der Teager-Kaiser Funktion
US8744336B2 (en) * 2008-08-27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8838017B2 (en) 2009-03-31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Wideband jammer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248U (ko) * 1988-08-24 1990-02-28
JPH02194736A (ja) * 1989-01-23 1990-08-01 Alpine Electron Inc Fmラジオ受信機
US5307515A (en) * 1991-08-05 1994-04-26 Ford Motor Company Adjacent channel controller for radio receiver
JP2825389B2 (ja) * 1991-11-22 1998-11-18 株式会社東芝 Fm受信機
DE4208605A1 (de) * 1992-03-18 1993-09-23 Blaupunkt Werke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nachbarkanalerkennung und -unterdrueckung in einem rundfunkempfaenger
KR970007041B1 (ko) * 1993-10-12 1997-05-02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환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JP3291462B2 (ja) * 1998-02-18 2002-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39065A (ja) 1999-08-31
KR100410788B1 (ko) 2003-12-18
JP3579241B2 (ja) 2004-10-20
EP0939496B1 (en) 2009-11-25
EP0939496A1 (en) 1999-09-01
DE69941643D1 (de)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0788B1 (ko) Fm 라디오 수신기
US5465408A (en) AGC circuit fo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interference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is circuit
US6011962A (en) Circuit for testing the function of mobile receiving installations
EP0597905B1 (en) Intermodulation controller for radio receiver
US6389273B1 (en)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eduction in a FM receiver
JPH05199134A (ja) Fm受信機
JP2009081839A (ja) Fmチューナ
KR20030031414A (ko) 송신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수신 디바이스
EP1959575A2 (en) FM receiver
US7877073B2 (en) Superheterodyne receiver having at least one downconversion stage empolying a single image reject filter stage and both low-side injection and high-side injection of a local oscillator signal
US4903328A (en) Automatic frequency sweeping method for controlling a frequency synthesizing type autotuner
CA1107389A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trap circuit
US4490699A (en) Intermediate frequency band-pass filter
JP3263650B2 (ja) Fmラジオ受信機
EP1233554A1 (en)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US4144501A (en) Quadrature FM detector including low reactance phase shifter
JPH06188765A (ja) 隣接チャネルの妨害の検出および抑圧回路装置
JP4711640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3961263A (en) Bandstart detector system for a television tuning system
US20240019564A1 (en) Detector for detecting continuous wave signal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inuous wave signal of detector
JPH0210680Y2 (ko)
JPH06291688A (ja) 受信機
KR0135038Y1 (ko) 인접채널의 특성개선을 위한 중간주파수 탱크회로
JP4204027B2 (ja) 放送受信方法及び放送受信機
JPH02106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