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158A -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 Google Patents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158A
KR19990072158A KR1019980704502A KR19980704502A KR19990072158A KR 19990072158 A KR19990072158 A KR 19990072158A KR 1019980704502 A KR1019980704502 A KR 1019980704502A KR 19980704502 A KR19980704502 A KR 19980704502A KR 19990072158 A KR19990072158 A KR 1999007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scroll element
plane
wrap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799B1 (ko
Inventor
존 로버트 윌리암스
죠오 토드 힐
제느 미카엘 필즈
Original Assignee
릭 이조
스크롤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릭 이조, 스크롤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릭 이조
Publication of KR1999007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of internal-axi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스크롤콤푸렛사(10)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12)와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14)를 포함구성한다. 각 스크롤엘레멘트에는 평면(18, 24)이 있고 이 평면은 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로 엘레멘트상의 랩으로부터 뻗는다. 각 스크롤엘레멘트에는 평면을 통해서 릴리프역(56, 62)이 형성되어 스크롤엘레멘트의 중심선을 향하여 반경상으로 내향하여 접선방향의 가스력에 역작용하는 중간압력의 효과적인 피봇점(pivot point)으로 움직이도록 해준다.
그 결과, 마찰력이 감소되고 스크롤엘레멘트에서 해야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러스트면을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롤콤프렛사에서의 스크롤엘레멘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릴리프역을 나타내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궤도를 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상에서 작용하는 힘의 력 다이아그램(force diagram)이다.
도 4 는 접선방향의 힘으로 생기는 모멘트를 역작용시키는 중간압력실에서의 중간압력(intermediate pressure)의 여러 가지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압력포켓의 압력증가를 나타내는 압축싸이클에서의 압력 대 회전수와의 상관그래프이다.
도 6 은 필요로 하는 반경 대 콤푸렛사 크랭크각도(crank angle)의 그래프이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콤푸레사, 특히 그 중에서도 스크롤엘레멘트를 가진 스크롤콤푸렛사 ( scroll compressors ) 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콤푸렛사는 가정용과 사무실용 공조시스템 ( air conditioning systems ) 에 널리 이용되는 콤푸렛사로서, 통상 고정스크롤엘레멘트 ( fixed scroll element)와 이 고정스크롤엘레멘트에 관하여 궤도를 가진 스크롤콤푸렛사엘레멘트를 포함구성한다. 각 스크롤콤푸렛사엘레멘트에는 냉매( refrigerant )를 압축하는 압축포켓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스크롤엘레멘트상에 형성되는 스크롤랩(scroll wrap)에 계합되는 인볼류트커브(involute curve)로 형성되는 스크롤랩(scroll wrap)이 있다. 이 포켓은 냉각제를 압축하기 위하여 스크롤엘레멘트의 중앙부로 스크롤랩의 외주로부터 부피를 줄여준다. 압축된 냉매(compressed refrigerant)의 고압방출은 스크롤엘레멘트의 중앙부에서 생긴다.
각 스크롤엘레멘트에는 정밀기계가공을 거친 평면(planar surface) 또는 마루면(floor)이 있다. 각 스크롤엘레멘트의 인볼류트 랩(involute wraps)의 선단부는 인접 스크롤엘레멘트상의 평면과 계합되는 씰링계합부( sealing engagement)에서 맞물린다.
중간압력포트는, 흡입압력과 배출압력사이의 위치에서 압축포켓중 하나에 연결되는데,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orbiting scroll element)와 적절한 밀봉계합(sealing engagement)으로 들어가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로 하기 위하여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의 후실(back chamber)속으로 장입된다. 이 중간압력후실에 의해 주어지는 힘은 스크롤엘레멘트를 분리하려고 하는 압축포켓으로 부터 나오는 가스의 힘을 이겨내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상호 연설된 스크롤랩(scroll wraps)사이에서 압축된 그대로 냉매(refrigerant)의 접선방향 가스력에 의해 야기되는 피봇팅모멘트(pivoting moment)를 이겨내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까지 광범위한 기계가공과 스크롤엘레멘트상의 평면(planar surface)과 스크롤선단부사이에서 필요로 하는 가까운 허용거리오차라는 문제 때문에, 또한 스크롤콤푸렛사를 적절히 운전하기 위해 필요한 밀봉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이 중개면 또는 내면(interface)의 복잡성과 과도한 비용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을 가진 스크롤엘레멘트를 구비하고, 이 스크롤엘레멘트는 또한 내점(inner point)에서 외점(outer point)으로 뻗는 인볼류트커브를 형성하는 스크롤랩(scroll wrap)을 가지고 있다. 이 스크롤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peripheral edge)로 외점을 넘어 평면이 뻗고 있다. 또한 외점과 주변단부사이의 평면을 통해서 스크롤엘레멘트에 릴리프역(relief are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평면의 한 부위가 이 릴리프역으로부터 주변가장자리부로 뻗는데, 본 발명상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이 릴리프역은 주변가장자리로 뻗는다.
본 발명에 따라, 스크롤엘레멘트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로 되고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에 관하여 피봇팅되는데, 이는 외점과 릴리프역사이의 고정스크롤엘레멘트의 평면상의 일부 또는 일지점에 관하여 접선방향의 가스력(tangential gas force)의 효과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명확히 그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에서, 여러 가지 도면에 동일 또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를 같이 붙였는데, 특히 제 1 도를 보면, 여기에 스크롤콤푸렛사(scroll compressor) 10 가 나타나 있다. 이 스크롤콤푸렛사는 가정용, 사무실용 기타 여러 가지 용도로 냉동싸이클(refrigeration cycle)에서 사용키 위한 냉매(refrigerant)를 압축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이 스크롤콤푸렛사에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와 궤도를 같이 하는 스크롤엘레멘트(orbiting scroll element) 14 가 포함구성된다. 이 고정스크롤엘레멘트에는 12 평면(planar surface) 18 의 마루부(floor portion) 18A 로 부터 뻗는 스크롤랩(scroll wrap) 16 이 있고, 이는 외부스크롤랩면(surface) 20 과 내부 스크롤랩면 21 으로 나뉘어지는 면을 갖는다. 평면 18 은 마루부 18A 와, 마루부 18A 로 부터 스크롤엘레멘트 12 의 축 123 을 따라 공간을 두고 있는 동심의 환상부(concentric annular portion) 18B 로 형성된다. 궤도를 가지고 있는 스크롤엘레멘트(orbiting scroll element) 14 는 내부 스크롤랩면(inner scroll wrap surface) 26 과 외부 스크롤랩면 27 으로 나뉘어 있는 평면 24 으로부터 뻗는 스크롤랩 22 을 구성한다.
잘 알겠지만,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는,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가 올드햄 카플링( Oldham Coupling) 과 같은 기구에 의해 고정된 스크롤엘레멘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한편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가 궤도반경상으로 원형 궤도를 갖도록 하는 동안에는 콤푸렛사내에서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스크롤랩 16, 22 의 각각은 이들 사이에서 충분한 힘으로 만들어 주도록 밀봉을 힘으로 평면 18 또는 24 에 계합되는 씨일팁(seal tips), 즉, 봉함선단부 28 를 구성한다.
도 2 에서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의 봉함선단부 28 는 평면 18 의 환상부 18B 속으로 함입된다. 이 환상부 18B 는 따라서 고정된 스크롤엘레멘트 12 의 봉함선단부 28 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스크롤랩면 20, 21, 26, 27 은 서로 접속선을 일정하게 변경하는 곳에서 계합되는데, 이 때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는 스크롤엘레멘트의 외주가장자리 30, 32 로부터 스크롤엘레멘트의 가운데로 체적감소를 가져오는 다수의 압축포켓(compression pockets)을 이루기 위하여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에 관하여 궤도를 갖는다. 통상, 배출포트는 중앙부에서 최대압축포인트를 갖도록 냉매를 배출하기 위해 스크롤엘레멘트의 중앙선에 근접형성 되어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상에 작용하는 힘을 이하에 설명하겠다. 즉,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는 원통형 베아링엘레멘트 36 로 뻗는 곳으로부터 배면(back surface) 34 을 갖는다. 이 베아링엘레멘트 36 는 스크롤콤푸렛사의 크랑크 샤프트(도시안됨)내에 꼭 맞개 되어있다. 이 크랑크샤프트는 전형적으로 전기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궤도그림동작(orbiting motion)을 일으킨다. 이 크랑크샤프트는 베아링중앙점 44 을 통해 작용하는 베아링력(bearing forces) Fo/s 에 의해 궤도그리는 스크롤을 작동시킨다.
스크롤콤푸렛사 케이싱(도시안됨)의 일부는 궤적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배면 34 에 대면되는 면을 형성한다. 두 개의 씨일 45, 47은 스크롤콤푸렛사 케이싱의 접하는 면과 배면 34 사이에 위치되어 환상의 중간압력실(annular intermediate chamber) 38 을 구성한다. 이 압력실 38 은 배면 34 과 평면 24 사이로 뻗는 중간압력포트 40 를 통해서 스크롤엘레멘트 12, 14 의 스크롤랩 사이에서 형성되는 압축포켓의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실 38 에서 압축화된 가스는 힘 Fip 를 만드는데, 이 힘은 평면 18, 24 와 밀봉합(sealing engagement) 되어 스크롤랩의 선단부를 유지하도록 궤도를 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축 125 을 따라 작용한다.
스크롤콤푸렛사가 스크롤엘레멘트의 스크롤랩사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작동되면, 이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가스는 접선방향의 가스력(tangential gas force) Ftg 을 만들어 주게 되고, 이는 베아링력(bearing force) Fo/s 에 의해 부분적으로 평형을 유지하게 되나, 그러나 접선방향의 가스력의 효과적인 벡타(effective vector)와 궤도를 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베아링중심점(bearing center point) 44 사이에서 모멘트 아암(moment arm)을 나타내는 거리 Zi 를 통하여 또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접선방향의 가스력은 스크롤엘레멘트 14 를 기울어지게도 하고 또한 스크롤엘레멘트의 봉함선단부 28 를 엘레멘트의 평면봉함면(sealing surfaces) 18, 24 으로 부터 분리하게도 하여 준다.
또한, 축상의 힘 Fag 는 축 123, 125 를 따라 스크롤엘레멘트사이에서 압축되는 가스에 의해 발생된다. (이 축 123, 125 는 스크롤 비교라는 정상적인 작업과 병행하되, 단 축 125 는 콤푸렛사의 궤도반경(orbital radius)으로 축 123 에 관하여 궤도를 그린다.) 이 모멘트와 축력(axial force)은 화살표 42 와 같이, 배면 34 상에 작용하는 중간압력실 38 에 있는 압축화된 냉매에 의해 역작용되어 힘 Fip 를 만든다. 이 힘은 모멘트를 거역하는 것으로 선단부 스러스트력(tip thrust force) Ftt 로 되고 이는 Ftt = Fip-Fag 으로 산출된다. 이 힘 Ftt 는 도 1 에서와 같이 반경 R 로 정의되는 모멘트아암(moment arm)을 통해 작용한다. 여기에서 궤도를 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평면 24 은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의 평면 18 상에서 피봇(pivot)작동된다. 종래의 스크롤콤푸렛사에서는, 평면 18, 24 이들 스크롤엘레멘트의 바깥가장자리 30, 32 로 또는 그 근처로 뻗는데, 피봇(pivot)은 가장자리근처에 있게 된다.
여러 가지 힘들은 다양하다. 예컨데, 압력실 38 에서의 중간압력은 제 4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각각의 전 궤도를 따라 변화된다.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가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에 관하여 궤도를 그리면, 특수압축포켓이 부위 40 를 넘어 움직이게 된다. 이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가 그 궤도운동을 계속하면, 포켓이 최대압력점 46에서 포트 40 의 반경상 안쪽으로 움직일 때까지 압축포켓은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포켓과 압력실 38 에서의 압력은 증가된다. 다음의 압축포켓은 이에 따라 낮은 중간압력하에 포트 40 위로 열리게 되고, 이는 압력실 38 에서의 압력을 최소압력 48 으로 가파르게 떨어뜨려서 싸이클을 새로 바꾸기 시작하게 된다. 최대압력과 최소압력사이의 차이점은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가 모든 궤도를 그리게 하는 데 있다. 이와같이, 스크롤콤푸렛사 10 의 반경 R 은 중간압력실 38 이 접선방향의 가스모멘트(tangential gas moment)에 대항하는 역할을 통해서 제 6 도의 라인 50 에서와 같이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가 회전함에 따라 변화한다.
라인 52 는 도 6 에서 삼각점선을 연결한 것으로 팁핑(tipping)즉, 뒤집힘을 방지하기 위해 크랑크각도에서 소정의 중간힘(intermediate force)에 필요한 정도로 크랭크각도에 대한 이상적인 소요반경 R 을 산출해서 이를 점점이 찍어 나타낸 것이다. 접선가스력 그 자체는 변화되어, 제 6 도의 라인 5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적인 선단모멘트(variable tip moment)를 일으킨다. 그리고 라인 50 은, 사각형으로 표시한 통계치 점들에서와 같이, 실질적인 스크롤콤푸렛사 10 에서의 소정의 반경을 나타내는데, 이는 주어진 크랑크각도에서의 피봇점(pivot point)를 형성하는 점 66 과 이후에 설명할 릴리프역(relief area) 56, 62 를 형성하므로써 생기는 스크롤콤푸렛사의 중앙선 사이의 임의로 주어진 거리로 정의된다. 종래의 스크롤콤푸렛사는 릴리프역을 갖고 있지 않아서, 반경 R 은 고정 및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의 바깥가장자리사이의 접촉선에서 종래의 스크롤콤푸렛사에서의 반경이 비교적 일정하게 되어 형성되는 제 6 도에 도시된 직선 53 으로 나타나 있다. 종래의 스크롤콤푸렛사에서는, 반경은 뒤집힘을 방지하기 위한 소요반경 52 보다 높은 가장 높은 반경이 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소정의 반경 52 이 완전히 360°싸이클 갖는 동안 가장 높은 소정의 반경으로 부터 크게 감소됨에 따라 종래의 스크롤콤프렛사의 소요반경과 일정한 반경사이의 임의로 주어진 크랑크각도로 분리되는 것은 역 평형력(counter-balancing forces)이 뒤집는 힘(tipping forces)에 단순히 역작용하는데 필요한 힘을 훨씬 초과하여야 하는데, 이는 불필요한 마찰손실을 가져오게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소정의 반경라인 52 의 윤곽선을 가깝게 따라 가급적 릴리프역 56, 62 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반경라인 50 을 가지도록 제안하고 있다.
도 5 는 포켓이 반경상으로 내향하여 움직임에 따라 압축포켓에서 가스의 압력증가를 나타내고, 스크롤엘레멘트에 의해 압축된다.
냉매가스는 포켓이 바깥가장자리부에 가까운 스크롤엘레멘트사이에서 처음 형성되면 낮은 흡입압력 P1을 가지게 된다. 이 압력은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가 궤도를 그리고 포켓이 스크롤엘레멘트의 중심선을 향해 반경상으로 내향하여 움직일 때 올라간다. 점 54 에서, 스크롤포켓은 먼저 방출압 또는 배출압 P2로 콤푸렛사의 높은 압력쪽으로 배출포트속으로 배출을 시작한다. 이 배출포트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력으로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의 회전을 위해 압축체적으로 개방된다.
통상의 스크롤콤푸렛사에서,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는 압축포켓이 흡입측에서 배출측으로 움직이기 전에 2 1/2 회전한다. 도 5 는 일반적으로 배출압 P2로 가스압의 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스크롤콤푸렛사의 특수설계에 따라 결정되며, 중간포켓내에서의 압력은 실질적인 배출압을 초과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낮은 압력비가 예컨데 2.0 이고 높은 압력비를 예컨데 2.5 와 같이 설계한 콤푸렛사에 사용할 경우 일어나기 쉽다. 이와 같이, 통상 스크롤콤푸렛사의 배출포트를 향하여 안쪽으로 반경상으로 중간압력포트(intermediate pressure port) 40 를 움직이는 것은 중간실에서의 압력을 높이고저 하는 것인데, 그러나 항상 그렇게 되지는 않는다. 만일 중간포트의 체제시간의 많은 부분이, 포켓이 배출압으로 개방되고, 또한 배출압이 배출포트속으로 개구되기 전에 즉시 닫혀진 포켓에 의해 달성되는 압력보다 작은 압력일 경우로 주어지게 되면, 평균중간압력은 실질적으로 작아진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상의 중요한 특징이 나타나 있다. 스크롤엘레멘트 12, 14 에 앞서의 설계는 통상 평면 18, 24 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 평면은 스크롤엘레멘트의 바깥가장자리 30, 32 로 스크롤엘레멘트의 중심선사이로 뻗는다. 특히, 평면 18 의 환상부 18B 는 그 전체범위(라인 86 밖으로)에 걸쳐 정밀납작면(precision flat surface) 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는 평면 18 의 부위 58 와 바깥가장자리 30 에 있는 평면 18 의 부위 60 사이에서 반경상으로 뻗는 환상의 릴리프 역 56 을 갖는다. 동일한 요령으로 환상의 릴리프역 62 도 평면 24 의 부위 64 로 부터 궤도를 갖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바깥가장자리 32 로 뻗는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평면을 통해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의 바깥가장자리 30 가 도시되어 있다. 라인 86 은 종래의 설계에서 평면 18 의 정밀기계가공 부위의 바깥가장자리를 나타낸다. 라인 86 과 바깥가장자리 30 사이의 환상부는 통상 스크롤엘레멘트를 콤푸렛사속으로 정밀가공없이 단순히 볼팅하기 위하여 볼트구멍이 구비된다. 라인 88 은 선반기계가공작업시 스크롤 봉함선단부 28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선반상에서의 선회원(turning circle)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상의 가능한 한가지 실시예로서는 라인 86 과 라인 88 사이의 둥근고리(annulus)와 같은 릴리프역 56 이 형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라인 90 은 스크롤 팁 28 과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최대 잠재적 릴리프역 제한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 역시 라인 86 과 라인 90 사이에서 릴리프역 56 을 만들 수 있다. 점 92 는 스크롤랩 16 또는 작업인볼류트(working involute)의 단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디자인은 여러 가지 특징을 갖는다. 과거에는, 부위 58 로부터 외부가장자리 30 에 가까운 라인 86 으로 전체평면 18 이 그리고 스크롤랩 22 로부터 바깥가장자리 32 로 전체평면 24 이 극히 빡빡한 허용오차내에서 형성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평면에서 형성된 것이면 어떤 충돌재(bumps), 놋치(notches) 또는 파도형(waves)이든 스크롤콤푸렛사의 적합한 작동을 간섭하곤 했다. 이와같은 표면불량은 스크롤콤푸렛사가 작동함에 따라 납작할 정도로 마모되었다. 이는 스크롤콤푸렛사가 최대효과로 작동되지 않게 하면서 작업기간도 비교적 길게 만든다. 또한 나아가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의 가장자리 32 가까이로, 위로 일어나는 곱슬(upraised curl)이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통해 발생되기도 하고, 또한 기계가공시 스크롤엘레멘트를 찍기도 한다. 이 곱슬은 또한 평면으로 닳아빠질 때까지 스크롤콤푸렛사를 작동시키는 시간에 중대한 작업도 할 수 밖에 없도록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 의해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 14 는 부위 58에서 고정스크롤엘레멘트 12 상에 형성되는 피봇점(pivot point) 66 에 관하여 피봇되어, 모멘트반경 R 이 종래의 설계로 부터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만든다. 릴리프역 56, 62 때문에, 피봇점 66 의 위치는 보다 예상가능하고, 일정하여, 스크롤콤푸렛사를 최대효율로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스크롤엘레멘트의 선단부 28 와 이 선단부가 계합되어 있는 것에 대향하여 평면 18, 24 의 부위들과의 사이에는 단지 소정의 봉함부만이 있다. 정상적인 작업동안 포인트 66 를 포함하는 원 바깥쪽으로 반경상으로, 스크롤엘레멘트들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릴리프역이 충분한 깊이를 가질 것이 필요하다. 물론, 포인트 66 는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가 고정스크롤엘레멘트에 관하여 궤도를 그리면 부위 58 의 전체 바깥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한다. 만일 릴리프역 56 이 충분히 깊으면, 릴리프역 62 는 본원발명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있어 아무런 필요가 없을 것이다. 평면 18, 24 의 큰 부위들 사이의 계합(engagement)은 스크롤 선단부의 반경상 바깥쪽으로 되어 소정의 봉함기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릴리프역 56, 62 가 없는 종래의 설계에서는, 이들 표면 18, 24 가 계합되어, 마찰력을 일으키고, 누설통로를 만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반경 R 을 줄이게 됨에 따라, 중간압력은 모멘트아암의 감축에 따른 보상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간압력포트 40 는, 릴리프역 56, 62 없이도 위치 70 으로 스크롤콤푸렛사의 기능을 적정화하는데 이용되는 위치 68 로부터 반경상으로 안쪽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위치 70 에서, 중간압력포트 40 는 압축포켓과 연통되는데, 이는 고압비(high pressure ration)조건에서의 높은 평균중간압력을 가져오고 또한 압력실 38 에서의 높은 평균압력을 가져오는 배출압에 보다 예민하다. 보다 높은 평균압력은 따라서, 고압비작업에 필요한 추가적인 힘 Fip 를 만든다.
본 발명의 간단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으로 나타내고 보다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상 개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여러 가지 재정리, 수정, 부품 또는 엘레멘트의 대치 등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임을 말해둔다.

Claims (6)

  1. 스크롤콤푸렛사에서 평면(planar surface)과 스크롤랩(scroll wrap)을 가진 스크롤엘레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롤랩은 스크롤엘레멘트의 내부점으로 부터 바깥점으로 뻗는 위로 스크롤랩면을 가지며 ;
    이 평면은 스크롤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로 랩면의 바깥쪽 점(point)를 넘어 뻗고 ;
    상기 랩면과 주변가장자리의 사이에서 평면을 통해서 스크롤엘레멘트에서 릴리프역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콤푸렛사에서의 스크롤엘레멘트(A scroll element)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의 일부는 스크롤랩의 바깥점으로 부터 릴리프역으로 뻗고, 이 릴리프역은 주변가장자리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엘레멘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의 일부는 릴리프역으로 부터 스크롤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엘레멘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엘레멘트는 정지적인 것으로 되는 스크롤엘레멘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엘레멘트는 궤도를 가지도록 한 스크롤엘레멘트(orbiting scroll element).
  6. 스크롤콤푸레사가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는 평면과 스크롤랩(scroll wrap)을 가지고, 이 스크롤랩은 내부점으로 부터 외부점으로 평면상으로 뻗는 랩면을 가지며, 또한 이 평면은 외부점으로 부터 고정스크롤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로 뻗으며, 또한 상기 외부점과 주변가장자리사이에서 평면을 통해 스크롤엘레멘트에 릴리프역이 형성되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 (a fixed scroll element)와 ;
    평면과 스크롤랩을 가지고, 이 스크롤랩은 평면상에서 내부점으로 부터 외부점으로 뻗는 랩면을 가지며, 이 평면은 궤도를 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로 외부점을 넘어 뻗으며, 또한 상기 외부점과 궤도를 가지는 스크롤엘레멘트의 주변가장자리사이에서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에 평면을 통해 릴리프역이 형성되는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an orbiting scroll element)와 ;
    접선방향가스력으로 부터 팁핑모멘트(tipping moment)를 역 작용하기 위하여 중간압력에 노출되는 부위로 배면을 가지고, 궤도를 그리는 스크롤엘레멘트는 고정스크롤엘레멘트의 외부점과 고정스크롤엘레멘트의 릴리프역사이에서 고정스크롤엘레멘트상에 형성되는 점에 관하여 관련 고정스크롤엘레멘트를 피봇팅하는 궤도를 가진 스크롤엘레멘트 (the orbiting scroll element)와로 구성되는 스크롤콤푸렛사(A scroll compressor)
KR10-1998-0704502A 1996-10-17 1997-10-02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KR100458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34,415 1996-10-17
US08/734,415 US5791887A (en) 1996-10-17 1996-10-17 Scroll element having a relieved thrust surface
US08/734,415 199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158A true KR19990072158A (ko) 1999-09-27
KR100458799B1 KR100458799B1 (ko) 2005-01-24

Family

ID=2495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502A KR100458799B1 (ko) 1996-10-17 1997-10-02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91887A (ko)
EP (1) EP0865576A4 (ko)
JP (1) JP2000502423A (ko)
KR (1) KR100458799B1 (ko)
CN (1) CN1114042C (ko)
BR (1) BR9706866A (ko)
ID (1) ID19594A (ko)
MY (1) MY133907A (ko)
WO (1) WO1998016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089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간섭방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5736A (en) * 1997-10-23 2000-10-24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non-machined anti-thrust surface
JP2001173580A (ja) * 1999-12-15 2001-06-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流体圧縮装置
JP2003328963A (ja) * 2002-05-16 2003-11-19 Daikin Ind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00396930C (zh) * 2003-10-17 2008-06-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涡旋式压缩机
WO2005038254A2 (ja) * 2003-10-1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EP2096310B1 (en) * 2006-12-20 2017-03-2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croll compressor
US8060284B2 (en) * 2007-10-31 2011-11-15 Deere & Company Work machine with torque limiting control for an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JP6274281B1 (ja) * 2016-08-31 2018-0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6667564B2 (ja) 2018-03-23 2020-03-18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サーボプレス機械及びサーボプレス機械の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599A (en) * 1973-06-11 1975-05-20 Little Inc A Scroll-type positiv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JPS5960090A (ja) * 1982-09-29 1984-04-05 Toshiba Corp スクロ−ル・コンプレツサ
JPS59110883A (ja) * 1982-12-17 1984-06-26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DE3525933A1 (de) * 1985-07-19 1987-01-29 Bock Gmbh & Co Kaeltemaschinen Spiralverdichter
US5192202A (en) * 1990-12-08 1993-03-09 Gold Star Co., Ltd. Scroll-type compressor with an apparatus for restraining compressed fluid from being leaked
TW223674B (ko) * 1991-09-23 1994-05-11 Carrier Corp
JPH05321855A (ja) * 1992-05-21 1993-12-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におけるシール構造
US5342183A (en) * 1992-07-13 1994-08-30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discharge diffuser
US5342184A (en) * 1993-05-04 1994-08-30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sound attenuation
JPH06346871A (ja) * 1993-06-14 1994-1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5478219A (en) * 1994-02-22 1995-12-26 Carrier Corporation Lightweight scrol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JP3016536B2 (ja) * 1994-03-15 2000-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ロール型圧縮機
AU4645196A (en) * 1994-12-23 1996-07-19 Bristol Compressors, Inc. Scroll compressor having bearing structure in the orbiting scroll to eliminate tipping for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089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간섭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9594A (id) 1998-07-23
JP2000502423A (ja) 2000-02-29
BR9706866A (pt) 1999-12-28
CN1209862A (zh) 1999-03-03
EP0865576A4 (en) 2000-01-12
US5791887A (en) 1998-08-11
EP0865576A1 (en) 1998-09-23
KR100458799B1 (ko) 2005-01-24
WO1998016745A1 (en) 1998-04-23
MY133907A (en) 2007-11-30
CN1114042C (zh)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062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26853B1 (ko) 스크롤 콤프레사의 베어링 윤활 시스템
US4781549A (en) Modified wrap scroll-type machine
US4437820A (en) Scroll type fluid compressor unit with axial end surface sealing means
KR100330456B1 (ko) 역회전소음을감소시킨스크롤머신
US4645436A (en)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improved anti-wear device
JPH07197891A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JPH08319981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9990072158A (ko)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JP331456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560492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924817B2 (ja) 容積形流体機械
US5800149A (en) Electrically-driven closed scroll compressor having means for minimizing an overturning moment to an orbiting scroll
CA2227682C (en) Scroll hydraulic machine
WO1999056020A1 (en) Fluid pump
US4413959A (en) Scroll machine with flex member pivoted swing link
JP3445794B2 (ja) 高い固有容積比を有するスクロール型流体排出装置およびセミ・コンプライアント・バイアス機構
JPH09310687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470385B2 (ja) 圧縮機
JPS58106190A (ja) スクロ−ル型圧縮機
JP4151996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70182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074980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4657493A (en) Rotary-sleeve supporting apparatus in rotary compressor
WO2024106230A1 (ja) 規制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