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617A - 유압식클러치제어용유압식컨넥터 - Google Patents

유압식클러치제어용유압식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617A
KR19990071617A KR1019980703893A KR19980703893A KR19990071617A KR 19990071617 A KR19990071617 A KR 19990071617A KR 1019980703893 A KR1019980703893 A KR 1019980703893A KR 19980703893 A KR19980703893 A KR 19980703893A KR 19990071617 A KR19990071617 A KR 1999007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late
connector
clip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뒤퀘슨느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1999007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7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clutch being actuated by the fluid-actuated member via a diaphragm spring or an equivalent array of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컨넥터(4)는 후드(2)내의 개구(40)를 덮는 플레이트(41)와,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9)용 공급 도관(5)을 구비하며, 상기 플레이트(41)는 후드(2)내의 개구(40)의 에지와의 협동용 훅킹부(34, 35)를 가지는 변형가능한 클립(30)을 달고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유압식 클러치 제어용 유압식 컨넥터
이러한 컨넥터는 공개 공보 FR-A-2, 698 93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어 유닛은 간단히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으로서 언급되며, 그 제어 챔버는 오일과 같은 액상, 또는 압축 공기와 같은 가스상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지의 방식으로, 클러치는 종동축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동축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첫째로 구획형태로 될 수 있고, 플라이휠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허브를 회전시 구동시키는 플라이휠과, 축방향으로 적당한 작용을 받을 때 허브와 플라이휠의 탈착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디클러칭(declutching) 장치를 구비하는 주블록을 구동측상에 포함하며, 둘째로, 종동축측부상에, 통상 격벽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에 작용하는 디클러칭 레버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상에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유닛에 의해서 기동되는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을 구비하는 부블록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들어 전술한 공개 공보 FR-A-2, 698 931 호에 인용된 바와 같이, 주블록이 접합후 클러치 마찰 휠대신에 구동 플라이휠상에 부착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도록 주어진다. 상기 클러치 마찰 휠은 상기 허브에 강성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자동차에 적용시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회전시 결합되기에 적합한 마찰 라이너를 구비하며, 이 때 플라이휠은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상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클러치 기구는 반응판을 구성하는 구동 플라이휠상에 고정되게 배치된 덮개판을 구비한다. 격벽 또는 나선형 스프링은 덮개판상에 보유되어 일반적으로 탄성 텅에 의해서 덮개판에 회전시 결합되지만 축방향 이동도를 갖지 않는 압력판에 작용한다.
따라서 격벽(즉 압력판의 접시 링부), 또는 나선형 스프링은 상기 판들 사이에 마찰 라이너를 파지하기 위해서 압력판을 반응판을 향해 가압한다.
따라서 클러치는 정상적으로 결합된다. 마찰 라이너를 탈착하기 위해서, 격벽 또는 나선형 스프링의 작용이 없어지고 마찰 라이너를 릴리스하도록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을 사용하여 디클러칭 장치상에서 축방향으로 풀 모드 또는 푸시 모드로 작동할 필요가 있다.
상기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은 여기서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에 의해서 기동되며, 상기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은 두 개의 부품을 피스톤과 실린더 관계, 즉 공동을 규정하는 고정 부품과, 상기 공동안에서 실린더 챔버의 체적이 제어 가변되게 규정하도록 가동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 가동 부품을 포함한다.
고정 부품은 공동 따라서 제어 챔버를 제공하는 공급 입구를 구비한다. 이 제어 유닛은 후드안에 장착되어 있다. 유압식 컨넥터의 기능은 리시버를 구성하는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의 외측부로부터 이미터로부터 들어오는 공급 도관까지 연결하기 위해서 후드가 통과하게 한다.
이런 일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로 구동 플라이휠로부터 주블록의 개별적인 장착을 제공하고 둘째로 예를들어 기어박스의 케이싱으로부터 부블록의 개별 장착을 제공하여 이들 블록이 축방향으로 상호 조합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들 장착 동작은 특히 조립 라인에서 조립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빠르고 간단하게 해야 한다.
공개 공보 제 FR-A-2, 698 931 호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고정 부재의 도움으로 후드에 자체 고정되는 덮개에 고정된다.
정합은 나사가공된 구멍을 후드에 형성하는 데 필요한 만큼 용이하지 않고, 저렴하지 않으며 신속하지 않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상에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렴하고 신속하게 정합되는 유압식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드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타입의 컨넥터는 플레이트가 후드내 개구의 에지와 협동하는 훅킹부를 갖는 변형가능한 클립을 달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클립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거나 또는 가소성있게 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덮개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과 구성요소의 수가 감소된다. 조립체는 다른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나사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하다.
덜 비싼 클립을 사용하는 플레이트가 취급 및 운반할 수 있고, 고장나지 않을 수 있는 부조립체로 구성된다.
클립의 가변성은 후드상에 훅킹부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이 클립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하여, 플레이트의 정합이 클립에 의해서 후드상에 직접 수행되며, 다른 공구없이 그리고 후드안에 나사 트레드의 형성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나사가공을 수행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어나 후자가 간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가 공급 도관에 고정되며,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공급 도관과 바람직하게 일체형이다. 이 구조는 컨넥터가 더 간단하게 되게 하며, 유압식 제어 유닛용 공급 입구와 이미터로부터 들어오는 관상에 컨넥터를 신속하게 정합할 수 있다.
상기 입구는 관통 헤드를 가질 수 있으며, 공급 도관은 확장된 인접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급 도관을 관의 형태로 공급 입구상에 고정한 다음 탄성 핀치 클립을 사용하여 클리핑함으로써 신속하게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보다 분명하게, 공급 입구는 일반적으로 U-자형이고 공급 도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되는 핀치 클립을 수납하는 그루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블록과 예를들어 기어박스의 케이싱의 컨넥터와의 정합은 신속하고, 저렴하며, 간단하고 용이하다.
일 특징에 따르면, 클립은 플레이트의 구멍에 의해 플레이트에 달려 있으며, 상기 클립은 일반적으로 상기 구멍을 덮는다. 이 구멍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구멍은 닫혀 있으며, 직사각형의 횡측부중 하나는 개방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클립은 구멍의 측엣지에 상기 클립을 부착하는 클립핑부를 가진다. 클립핑부는 예를들어 일반적으로 오메가의 형태이다. 클립은 이 클리핑부를 클립의 훅킹부에 결합하는 루프를 구비하며 클립에 의해서 훅킹부가 후드의 개구의 엣지상에 부착된다.
훅킹부는 바람직하게 클립을 후드상에 스냅 정합시키는 고정 훅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를 적소에 보유하고 후드내 개구의 에지의 일부와 결합하는 숄더 또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이 플레이트는 또한 플레이트의 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후드가 돌출된 케이싱 벽과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결합부용 에지부를 구비한다.
내향으로 배향되는 이 에지부는 후드내의 개구와의 협동에 의해서 플레이트가 회전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축방향 받침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도관을 가진 플레이트는 성형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관은 성형되고 외측부(플레이트의 다른 측부상)상에 제어유닛이 후드의 외측부로부터 세정될 수 있게 형성된 퍼어즈 마개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있는데, 이는 독일 공개 공보 DE-A-2 815 971 호에 개시된 타입의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용이하다. 이것은 또한 도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클립의 루프는 통풍에 유리하며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될 수 있고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이 루프는 클립을 변형가능하게 하며 그 후드상의 훅킹 결합을 상기 루프를 푸시함으로써 용이하게 한다.
후드의 형태에 따르면,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과 컨넥터로 구성된 부조립체를 향상되게 구성할 수 있고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을 후드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제어 챔버용 공급 입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제어박스의 케이싱 후드와 같은 후드내에 장착되는 유압식 제어 유닛용 유압식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후드는 첫째로, 상기 컨넥터를 후드상에 고정하고 후드에 형성된 개구의 적어도 대부분을 덮어서 공급 입구에 대해 접근을 제공하는 플레이트와, 둘째로, 상기 제어 유닛의 공급 입구를 제어유닛을 제어하는 이미터에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된 공급 도관(5)을 포함한다.
도 1은 주블록을 구동하는 플라이휠이 도시되어 있지만 플라이휠에 고정된 다른 구성요소는 도시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라 컨넥터를 가진 클러치의 부블록의 축방향 절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 방향의 도면,
도 3은 후드와 케이싱이 생략된 도 1의 화살표 2 방향의 도면,
도 4는 유압식 제어의 공급 입구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컨넥터의 축방향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면은 자동차 클러치에 적용된 본 발명을 도시한다.
따라서 기어박스의 케이싱(1), 케이싱(1)에 고정된 후드(2), 기어박스의 입력축(3), 거의 클로쉐(cloche)의 형태인 후드(2) 내측에 장착된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9), 수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9)을 위해서 후드내에 형성된 개구(40)에 의해서 상기 후드(2)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컨넥터(4)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 유닛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공급 입구(22)를 달고 있다. 컨넥터(4)는 하기에 기술하는 방식으로 이 입구(22)상에 결합되게 배치되어 있고, 후드(2)의 외측부상에 컨넥터를 이미터로부터 들어오는 도관과 결합하는 관 터미널(6)을 가진다. 유압식 제어 유닛은 하기에 기술하는 방식으로 기어박스의 입력축(3)이 통과하는 리시버를 본 실시예에서는 동심형으로 구성한다.
제어 유닛(9)은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10)에 작용하는데, 릴리스 베어링(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내부링과 고정된 외부링을 갖는 볼 베어링의 형태이다.
공지된 방식으로, 릴리스 베어링(10)은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위,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격벽(11)의 핑거의 내단부에 작용하며, 클러치를 기동시키며, 여기서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상에 나사(120)에 의해서 고정되기에 적합한 구동 플라이휠(12)만이 도시되어 있다.
디클러칭 장치(11)를 갖는 클러치의 주블록이 이 플라이휠(12)상에 조립되어 있다.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10)은 본 실시예에서 디클러칭 장치(11)상에 마찰 라이너를 상술한 방식으로 푸시함으로써 클러치 마찰 휠로부터 릴리스하도록 작동하며, 클러치 마찰 휠은 스플라인 자유단부를 가지는 입력축(3)과 회전시 중앙 허브를 결합하도록 내방으로 스플라인 형성된 중앙 허브를 구비한다.
더 자세히 인용되어 있는 공개 공보 FR-A-2 698 931 호에 기술된 방식으로, 클러치의 제어는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를 당김(pulling)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9)은 두 개의 체적이 변하는 유압식 제어 챔버, 즉 유압식 챔버와 공압식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유닛(9)은 공급 입구(22)로부터 가스상 또는 액체상 유체가 공급되기에 적합한 제어 챔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유체는 예를들어 오일이다. 따라서 간단히 하기 위해서 제어 유닛(9)은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으로서 언급gks다.
이 제어 유닛(9)은 체적이 변하는 제어 챔버를 형성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 관계의 2부품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9)이 기어박스의 케이싱(1)에 고정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중 하나는 고정되는 한편, 다른 부품은 가동형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어 챔버를 규정하도록 고정형 부품에 의해서 구속되는 공동(20)내부에서 축방향으로 가동하는 피스톤(19)으로 구성된다.
고정형 부품내 구성요소의 수는 실시예에 따른다. 이 부품은 하나, 둘 또는 3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형 부품은 동축으로 일반적으로 관형 외부 바디(13), 동심형 내부관(14)을 포함한다. 관(14)은 외부 바디(13)보다 축방향으로 더 길어서 피스톤(19)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관(14)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제어 유닛의 전체 반경방향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작은 두께를 가진다. 입력축(3)은 관(14)의 내부를 통과한다. 바디(13)는 성형가능한 물질,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알루미늄계로 이루어지며, 다른 변형예에서는 단지 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성형 공정에 의해서 공급 입구(22)를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바디(13)는 또한 이 경우에 케이싱(1)안에 나사가공된 구멍에 정합되는 나사(18)를 사용하여 제어 유닛(9)을 케이싱(1)에 고정하는 구멍을 가지는 귀형부(17)을 가진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물론 이 고정은 리벳, 볼트 등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귀형부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변한다.
외부 바디(13)는 내부관(14)과 함께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공동(20)을 규정한다. 이 공동은 막혀 있으며, 플랜지(16)에 의해서 닫혀 있다.
공급 입구(22)는 공동의 기저(16) 영역에서 상기 공동(20)속으로 개방되는 내부 도관(26)을 가진다.
피스톤(19)은 공동(20)안에 축방향 운동하도록 기밀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기밀 장착을 위해서 그 후방단부에 밀봉부(25)를 가진다.
물론 밀봉부는 플랜지(16)와 외부 바디(13) 사이에도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19)은 공동(20)이 가압 또는 감압되는지에 따라, 공동(20)속으로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관통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체적이 변하는 챔버가 형성된다.
보다 명백하게, 클러치를 탈착하기 위해서, 공동(20)이 가압되고 이 효과에 의해서 피스톤(19)과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10)을 도 1의 우방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클러치를 탈착한다.
공동(20)이 감압될 때, 격벽(11)이 릴리스 베어링(10)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바디(13)와 피스톤(19)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영구 복귀 스프링(23)을 압축함으로써 피스톤(19)은 도 1의 좌방을 향해 이동하며, 스프링(23)은 도 1과 도 5의 상부에 완전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보호 벨로즈(24)에 의해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둘러싸여 있다.
스프링(23)은 릴리스 베어링(10)을 격벽(11)상에 영구 결합상태로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릴리스 베어링(10)이 소위 자동 중심조정 링(58)에 의해서 피스톤(19)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다.
보다 명백하게, 상기 릴리스 베어링(10)을 구성하는 롤링 베어링의 내부링은 격벽(11)의 핑거와 접촉하는 점에 대해 프로파일되는 한편, 롤링 베어링의 외부링은 참조번호로 지시되지 않았으며 그 전방 단부가 피스톤(19)상에 형성되어 있는 반경방향면 플레이트부와 접촉하게 조립체의 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플랜지를 구비하는데, 상기 대면 플레이트부는 상기 대면 플레이트부와 상기 스프링(23) 사이에 벨로즈(24)의 단부를 파지하도록 복귀 스프링(23)용 당접부로서 역할을 또한 한다. 스프링의 타단부는 벨로즈(24)의 타단부를 보유하도록, 간접적으로 외부 몸체(13)의 숄더상, 본 실시예에서는 참조번호로 나타내지 않은 부재상에 고정된다.
링(58)은 일반적을 2면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 단부가 피스톤(19)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그루브안에 결합되는 한편, 그 외주부가 릴리스 베어링(10)의 반경방향 플랜지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릴리스 베어링(10)은 피스톤에 부착되며 피스톤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반경방향 여극이 베어링(10)의 내부링의 반경방향 플랜지와 피스톤(19)의 전방 단부 사이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후드(2)는 클러치에 접근을 제공하는 검사 덮개(도시안함)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후드(2)는 클로쉐의 형태이기 때문에, 회전체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개구(40)를 가진다. 이 개구(40)는 기어박스의 케이싱(1)의 벽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구속되며, 이 실시예에서 후드(2)는 상기 케이싱(1)과 일체이며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엔진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케이싱 후드상에 그 자유 단부가 고정되게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도 2는 참조번호로 지시되지 않은, 두 개의 후드용 고정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을 도시한다.
개구(40)는 서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하는 축방향 단부를 갖는 궁형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유압식 컨넥터(4)의 부품인 플레이트(41)에 의해서 거의 충분히 덮어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컨넥터는 후드(2)안에 장착된 제어 유닛(9)을 제어 유닛(9)을 제어하고 후드(2)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이미터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공지의 방식으로, 상기 이미터는 예를들어 클러치 페달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작동되게 배열되어 있으며 도시안된 도관을 통해서 컨넥터(4)에 결합되어 있는 출구를 가진다.
플레이트(41)는 후드(2)상에 컨넥터(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플레이트(41)는 이 실시예에서 공급 관(5)으로도 불리는 입구 또는 공급 도관(5)과 일체형(단일 블록)이며, 상기 공급 도관(5)은 제어 유닛(9)의 공급 입구(22)에 결합되어 있다.
플레이트는 가소성 물질과 같은 성형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41)는 궁형이다.
공지의 방식으로, 공급 도관(관)(5)은 일특징에 따라 플레이트(41)의 양 측상에 연장되며, 일반적으로 입구(22)를 플레이트(41)에 결합하는 수직한 내부와 함께 플레이트(41) 외측부로 대부분 연장되고 퍼어즈 마개(7)와 관 터미널(6)을 갖는 비스듬한 외부를 포함한다. 이 외부 관 터미널(6)상에서 외측부로부터 나오며 제어 유닛(9)과 연관된 도관이 결합된다.
도관의 외부 부품은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궁형 플레이트(41)에 대해서 비스듬하다.
도관(5)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르므로, 그 외부는 꼭 비스듬할 필요는 없다. 상기 도관(5)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이 실시예에서 플레이트(41)와 일체형이다. 이 모두가 퍼어즈 마개(7)와 마찬가지로 성형에 의해서 얻어진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입구(22)는 관통 형태의 헤드를 가지며, 이 실시예에서는 절두원추형이다.
입구(22)안에 규정된 도관(26)은 상기 헤드의 자유 단부가 공동(20)속으로 개방되어 있다.
입구(22)의 헤드는 탄성의 핀치 클립(27)을 수용하는 그루브를 가지며, 이것은 보통 U-자형이며 도관(5)의 넓은 내단부를 관통한다.
참조 번호로 나타내지 않은 밀봉부가 물론 헤드(22)와 도관(5)의 넓어진 내단부 사이의 연결부를 밀봉하는데 제공된다.
이것을 위해서, 상기 단부는 보통 U-자형 핀치 클립(27)의 분기부가 통과할 수 있는 슬롯(28)(도 4)을 가지며, 상기 분기부는 공급 입구(22)의 헤드의 그루브안에 결합된다.
이런 종류를 조립하는 방법이 본 발명에 참조하 되는 예를들어 제 2,736,136 호로 공고된 프랑스 출원 번호 제 95 08087 호에 개시되어 있다.
관형 공급 관(5)의 외단부는 파이프 터미널(6)을 이루며 또한 그 내부에 내부관을 갖는 컨넥터 노즐(8)을 고정하는 확장부를 가진다. 이 컨넥터 노즐(8)은 이미터로부터 들어오는 가요성 관에 고정되는 강체 단부를 가진다.
컨넥터 노즐(8)은 프랑스 공고 공보 제 FR-B-2 736 136 호에 개시된 타입과 동일하다.
따라서, 고정 위치에서, 컨넥터 노즐(8)은 후드(2)의 외측의 상기 터미널(6)의 퍼어즈 오리피스(7)를 기밀하게 폐쇄한다.
컨넥터 노즐은 핀치 클립(27)과 같은 타입인 탄성의 핀치 클립에 의해서 고정되는 부분적으로 수축된 위치를 점유할 것이며, 공급 도관(5)은 내부관을 갖는 퍼어즈 오리피스(7)와 기밀하게 연통된다.
컨넥터(4)는 또한 구멍 또는 개구를 가지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클립(3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플레이트(41)를 관통해 형성된 구멍(33)을 가진다. 이 개구(33)는 본 발명에 따라 후드(2)내 개구(40)의 엣지와 결합하는 훅킹 수단(34)을 가지는 변형가능한 클립(30)을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클립(30)은 소성 변형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얇다. 이것은 예를들어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다.
클립(30)은 클립(30)을 구멍(33)의 측에지 중 하나에 조립하는 훅킹부(34, 35)를 클리핑부(31)에 결합하는 중앙 루프(32)를 가지는데 구멍(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직사각형이다. 클립(30)은 구멍(33)을 거의 폐쇄한다. 이 클립핑부(31)는 거의 오메가의 형태이며, 따라서 플레이트(41)의 하부면과 상부면과 접촉하는 지점에 있고, 클립핑부(31)의 둥근부는 구멍(33)의 엣지 주위로 연장된다. 클리핑부(31)는 플레이트(41)를 파지한다.
루프(32)는 클리핑부(31)를 훅킹부(34, 35)에 결합하는데, 고정 클립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 부분은 거의 U자형 훅크를 구성하는 부분을 구비하며, 도 1 에서, 루프(34)는 부분(35)을 루프(32)에 결합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부분(35)은 그 내부 에지를 통해 플레이트(41)의 저면을 통해 적절히 접촉된다.
이 내부 분기부는 기울어져 있고, 그 자유 단부를 통해 플레이트(41)에 적절히 접촉되어 있다.
부분(35)의 다른 분기부(즉 외부 분기부)는 기울어져 있고, 그 단부가 부분(34)에 결합되어 있는 둥근부분을 제공하는데 이 부분은 후드 개구(40)의 에지의 상면과 점 접촉한다.
플레이트(41)는 후드(2)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결합부(42)에 의해서 그 축방향 단부중 하나로 연장되어 있으며, 보다 분명하게는 개구(40)의 에지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컨넥터(4)가 벽(2)상에 고정된 후, 클립(30)이 플레이트(41)의 하부면과 접촉하며, 보다 분명하게 플레이트(41)의 결합부(42)와 접촉한다. 그 클립핑부(31)에 의해서 구멍(33)의 에지상에 클립핑된다. 이 에지는 결합부(42)를 규정하는 에지에 대향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의 전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처리되고 운송될 수 있는 단일 조합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케이싱(1)상의 부블록의 정합은 신속히 이루어진다.
이 정합은 물론 주블록이 제공되기 전에 수행된다. 컨넥터(4)와 플레이트(41)의 정합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플레이트(41)의 정합은 후드의 내부를 관통하여 입구(22)상의 도관(5)의 단부와 결합을 통해 그리고 핀치 클립(27)의 도움으로 부착함으로써, 플레이트(41)와 후드(2)상의 컨넥터(4)를 클립(30)에 의해서 클리핑하며, 클립(30)의 훅킹부를 후드의 상부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한다. 플레이트(41)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후드(2)의 프로파일을 긴밀하게 따르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궁형이다. 개구(40)[즉 하나는 결합부(42)에 대면함)의 다른 측방향 에지의 영역에, 소위 결합부(42)에 대면하는 다른 축방향 단부에, 플레이트(41)는 후드(2)상, 이 실시예에서는 보다 분명하게는 케이싱(1)의 상부상에 결합하기에 적합하게 하는 숄더(44)를 가진다.
이 구조 때문에, 플레이트(41)는 숄더에 의해서 적소에 고정되며 클립(30)과 조합되어 떨어질 수 없기 때문에 고정 동작이 저렴하고 용이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믿을 만하다.
플레이트(41)가 또한 숄더(44)의 근처에 도 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벽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된 에지부(43)를 가진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에지부(43)는 숄더(44)뒤에 축방향으로 있으며, 제어 유닛을 향해 내방으로 연장되고 일방향으로 케이싱(1)의 벽과 접촉함으로써 플레이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축방향 받침대를 구성한다. 다른 축방향에, 플레이트가 클립(3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19)이 공동(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14)에 달린 단부 정지 받침대로 인하여, 관상의 관(5)으로 유체를 압력하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이 단계에서 미리 제어 유닛(9)을 검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되야 할 것이다.
컨넥터(4)와 제어 유닛이 고정된 후, 엔진 유닛이 기어박스 유닛과 연결된 다음에 상기 유닛의 후드 고정이 수행되고 입력축(3)이 클러치 마찰 휠의 허브속으로 관통될 수 있게 제공된다.
플레이트의 에지부(43)는 후드(2)의 개구(40)의 종방향 에지와 협동하여, 플레이트가 회전에 대해 고정되게 하며, 에지부의 단부가 개구(40)의 종방향 에지와 협동하게 한다.
플레이트(41)는 그 결합부(42)를 통해 후드(2)의 하부면과 접촉하며 그 숄더를 통해 후드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후드(2)의 클로쉐형 형상으로 인하여, 결합부(42)는 숄더(44)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플레이트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궁형으로 된다.
공급 도관(5)의 외부 부품은 상기 부품이 플레이트(41)가 후드(2)내에서 축방향으로 도 1 내지 도 5에서 우에서 좌로 변위될 때 간섭없이 후드(2)내 개구(40)를 통과할 수 있게 경사져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 특히 단부 정지 받침대(15)로 인하여, 유압식 제어 유닛(9)과 그 컨넥터로 구성된 부조립체가 미리 구성된다.
따라서, 처리되고 운송될 수 있고 고장이 있어서는 안될 부조립체를 미리 검사 및 제어할 수 있다. 부조립체는 결과적으로 후드속으로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귀형부(17)와 에지부(43)가 케이싱(1)의 단부벽과 당접할 때까지 내부관(14)이 기어박스의 입력축(3)상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되며, 관(5)의 외부 부품이 개구(40)를 통과한다. 이 상태중에, 클립(30)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수축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유닛은 나사(18)에 의해서 케이싱(1)상에 고정되고 클립(30)의 스냅 고정에 의해서 후드(2)상에 고정된다. 이 후에 이미터로부터 들어오는 관에 고정된 컨넥터 노즐(8)은 관 터미널(6)로 도입된다. 이것은 변형 및 수축가능한 클립(30)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상의 최종 고정은 신속하며 축방향 삽입에 의해서 간단히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관(5)은 임의의 타입의 컨넥터, 예를들어 나사 컨넥터에 의해서 공급 입구(22)에 결합될 수 있다.
클립(30)이 미리 플레이트(41)상에 결합되지 않고, 에지부(43)가 케이싱(1)의 벽과 결합된 후 적소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미터 출구관 컨넥터 노즐(8)이 결합되기전에 고정된다는 것은 물론일 것이다.
본 발명은 물론 기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앞의 도면에 있어서 클립(30)이 후드(2)의 외측부상에 놓인 루프(32)를 가졌을지라도,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의 내측에 루프(32)를 놓는 방식으로 구조를 거꾸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도면에서, 부분(34)은 생략되며, 훅크(35)의 외부 분기부의 단부는 후드(2)의 외부면과 점 접촉하는 궁형부를 가진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부분(35)은 서로를 향하는 기울어진 분기부를 갖는 U-자형 고정 훅크를 구성한다.
이들 분기부는 다른 길이를 가지며, 외부 분기부는 후드의 상부면과 접촉하기에 적합하며 축방향으로 더 길기 때문에 내부 분기부보다 더 가요성이 있다.
도 1에서, 부분(34)은 어떤 고장(jamming) 없이 후드(2)상에 고정하기에 유리하다. 도 5에서, 이 고장은 고정 훅(35)의 외부 분기부의 부리형으로 만곡된 단부에 의해서 회피된다. 훅크의 기저부는 후드의 벽의 에지와 접촉하도록 중앙의 둥근 지점을 가진다. 루프(32)는 통풍을 보조한다. 개구 또는 구멍(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공일 수 있고, 훅크(35)는 그 내부 분기관을 통해 후드(2)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결합부(42)는 후드(2)의 하부면과 접촉상태에 놓인다.
후드(2)가 클립(30)의 고정 훅크(35)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두껍게 되어, 고정 클립으로서 역할을 하며, 결합 숄더(44)와 결합부(42)는 후드(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촉하여, 플레이트(41)가 후드(2)내부에 장착가능하게 하며, 플레이트(41)의 양호한 보유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클립(30)은 후드와 플레이트(41)를 접촉상태로 고정하며, 플레이트(41)가 후드(2)에 스냅-고정되게 할 수 있다.
플레이트(41)는 물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관은 플레이트(41)에 고정될 수 있다. 용접이나 또는 도관이 이것을 통해 통과시켜 도관을 플레이트에 시밍(seaming)함으로써 고정하는 칼라부를 기계적으로 가짐으로써 플레이트(41)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에 고정된 도관(5)은 예를들어 2개의 귀형부를 갖는 기저부를 가질 수 있어서 도관(5)을 헤드(22)상에 고정하며 이 경우에 도관의 터미널 기저부의 귀형부를 통과하는 나사를 수납하기 위해서 나사가공되며, 밀봉부가 기저부와 헤드부 사이에 개재된다.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프랑스 공개 공보 제 FR-A-2 194 263 호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어박스의 케이싱과 결합하고 엉키지 않을 수 있는 가요성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에 고정된 도관(5)은 독일 특허 출원 DE-44 1273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급 입구상에 축방향 장착용으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회귀부를 그 단부에 가질 수 있으며,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의 롤링 베어링의 크기가 작으며 피스톤안에 장착되어 있다.
도관(5)은 프랑스 특허 공개 공보 제 FR-A-2 194 263 호의 도 1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통과할 수 있다.

Claims (20)

  1. 첫째로, 제어 챔버(19, 20)와 그 제어 챔버(20, 19)용 공급 입구(22)를 구비하며, 둘째로, 후드(2)내에 장착되는 유압식 클러치 제어 유닛(9)용 유압식 컨넥터로서, 상기 후드(2)는 상기 후드(2)상에 상기 컨넥터를 고정하고 상기 공급 입구(22)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후드(2)안에 형성된 개구(40)의 적어도 대부분을 덮는 플레이트(41)와, 상기 제어 유닛(9)의 공급 입구(22)를 상기 제어 유닛(9)을 조정하는 이미터(emitter)에 접속하도록 상기 플레이트(41)에 부착되어 있는 공급 도관(5)을 포함하는 유압식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1)는 상기 후드(2)내 개구(40)의 에지와 협동하는 훅킹부(hooking portion)(34, 35)를 갖는 변형가능한 클립(3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소성 변형가능한(plastically deform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1)는 그 내부에 클립(30)을 장착하는 구멍(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상기 클립(30)을 상기 구멍(33)의 에지상에 조립하는 클립핑부(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상기 클립핑부(31)를 상기 훅킹부(34, 35)에 결합하는 루프(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훅킹부는 상기 개구의 에지와의 점 접촉용 물결모양의 기저부를 갖는 거의 U-자형 고정 훅크(35)를 구비하는 컨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훅크(35)는 그 분기부중 제 1 부분에 의해서 상기 후드(2)내 개구(40)의 에지의 상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클립(30)의 루프는 후드의 외측에 놓여 있으며, 그 고정 훅크(35)의 제 2 분기부는 상기 플레이트(41)내 구멍(33)의 에지를 규정하는 결합부(42)와 접촉하며, 상기 결합부(42)는 상기 후드(2)내 개구(40)의 에지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의 루프(32)는 상기 후드(2)내에 놓여 있으며 그 고정 훅크(35)의 제 2 분기부를 통하여, 상기 후드(2)내 개구(40)의 에지의 하면과 협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도관(5)은 상기 플레이트(4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도관(5)은 상기 플레이트(41)와 단일블록(Monobloc)이며, 상기 플레이트(41)와 함께 성형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도관(5)은 상기 플레이트(41)의 양측면상에서 연장되는 2개의 부품, 즉, 상기 공급 입구(22)의 헤드와 결합하도록 상기 후드(2)내로 연장되는 내부 부품과, 상기 후드(2) 외측으로 주로 연장되는 외부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품은 상기 후드(2) 외측으로 연장되는 퍼어즈 오리피스(purge orifice)(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도관(5)의 외부 부품의 자유 단부는 퍼어즈 오리피스(7)를 폐색하고 개방하기에 적합한 컨넥터 노즐(8)의 체결을 위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도관(5)의 내부 부품의 단부는 상기 공급 입구(22)의 관통 헤드와 협동하도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5)의 내부 부품의 단부는 핀치 클립(27)에 의해서 상기 공급 입구(22)의 헤드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5)의 외부 부품은 상기 플레이트(41)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어서, 궁형이며 축방향 단부가 서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후드(2)의 개구(40)를 축방향으로 그리고 간섭없이 통과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1)는 상기 후드(2)의 하부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결합부(42)를 그 축방향 단부중 하나에 가지며, 그 축방향 단부중 다른 하나에 상기 후드의 상단부와 접촉시키기에 적합한 숄더(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44)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며 케이싱 벽과 협동하기에 적합한 에지부(43)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KR1019980703893A 1996-09-26 1997-09-25 유압식클러치제어용유압식컨넥터 KR19990071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1841 1996-09-26
FR9611841A FR2753772B1 (fr) 1996-09-26 1996-09-26 Connecteur hydraulique pour commande hydraulique d'embrayage
PCT/FR1997/001681 WO1998013613A1 (fr) 1996-09-26 1997-09-25 Connecteur hydraulique pour commande hydraulique d'embray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617A true KR19990071617A (ko) 1999-09-27

Family

ID=949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893A KR19990071617A (ko) 1996-09-26 1997-09-25 유압식클러치제어용유압식컨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16898A (ko)
EP (1) EP0862701B1 (ko)
KR (1) KR19990071617A (ko)
BR (1) BR9706762A (ko)
DE (1) DE69716573T2 (ko)
ES (1) ES2185997T3 (ko)
FR (1) FR2753772B1 (ko)
WO (1) WO1998013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6537A1 (de) * 1997-10-22 1999-04-29 Schaeffler Waelzlager Ohg Nehmerzylinder mit einem aus Kunststoff hergestellten Adapter
DE19754702A1 (de) * 1997-12-10 1999-06-17 Schaeffler Waelzlager Ohg Winkelarmatur für eine Druckleitung einer hydraulischen Kupplungsbetätigung
FR2784431B1 (fr) 1998-10-07 2001-04-06 Valeo Double volant ammortiss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89140B1 (fr) * 1999-01-29 2001-03-02 Valeo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FR2802592B1 (fr) * 1999-07-28 2008-09-19 Valeo Equip Electr Moteur Embrayage a friction portant le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006160A1 (de) 2000-02-11 2001-08-30 Bosch Gmbh Robert Starter
FR2808851B1 (fr) * 2000-05-10 2002-08-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utee hydraulique de commande d'un embrayage equipant un vehicule automobile
FR2842266B1 (fr) * 2002-06-28 2006-01-20 Renault Sa Dispositif de commande hydraulique d'embrayage
DE10308771B4 (de) * 2003-02-28 2005-07-14 Dr.Ing.H.C. F. Porsche Ag Reibungskupplung für ein Antriebsaggregat eines Kraftfahrzeugs
DE112011102006B4 (de) * 2010-06-17 2021-04-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vorrichtung und Abtrennelement mit integraler Drehmomentabstützung
US8794416B2 (en) * 2012-05-15 2014-08-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lutch assembly with an energy control plate
FR3057315A3 (fr) * 2016-10-11 2018-04-13 Renault Sas Entretoise pour pipette d'actionneur d'embrayage hydraulique
CN115917174A (zh) * 2020-09-03 2023-04-04 采埃孚商用车系统欧洲有限公司 气动致动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94263A5 (ko) * 1972-07-26 1974-02-22 Citroen Sa
DE2815971A1 (de) * 1978-04-13 1979-10-18 Daimler Benz Ag Ausrueckvorrichtung fuer eine kraftfahrzeug-motorkupplung
FR2698931B1 (fr) * 1992-12-09 1995-02-10 Valeo Dispositif de débrayage à actionneur hydraulique, notamment pour action en traction sur la pièce d'accostage d'un embrayage.
DE4412734A1 (de) * 1993-09-14 1995-03-16 Daikin Mfg Co Ltd Ringförmige hydraulische Kupplungsausrückzylinder-Vorrichtung
FR2736136B1 (fr) * 1995-06-30 1997-08-08 Valeo Dispositif de branchement d'alimentation pour systeme a pression de fluide et verin hydraulique de commande d'un embrayage muni d'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6573T2 (de) 2003-06-26
EP0862701A1 (fr) 1998-09-09
US6016898A (en) 2000-01-25
DE69716573D1 (de) 2002-11-28
WO1998013613A1 (fr) 1998-04-02
ES2185997T3 (es) 2003-05-01
FR2753772A1 (fr) 1998-03-27
FR2753772B1 (fr) 1998-12-18
EP0862701B1 (fr) 2002-10-23
BR9706762A (pt) 199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7084A (en) Clutch release apparatus for pull type clutches
KR19990071617A (ko) 유압식클러치제어용유압식컨넥터
KR100310564B1 (ko) 클러치의연결부상에견인작용하는유압액츄에이터를갖는클러치해제기구
US6840364B2 (en) Power train for use in motor vehicles and the like
AU648589B2 (en) A tamper-resistant brake actuator and a method of forming a tamper-resistant brake actuator
US5829794A (en) Vacuumtight connection
JPH0130012B2 (ko)
KR100566866B1 (ko) 클러치 제어용 유압 리시버
GB2098697A (en) Apparatus for hydraulically actuating a friction clutch for motor vehicles
US5018352A (en) Modular prefilled hydraulic control apparatus
JPH0791478A (ja) 特に自動車用の調整可能な液圧式振動ダンパ
US6193036B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with lock-up clutch for motor vehicle
KR100613236B1 (ko) 클러치용 유압 조절식 디클러칭 장치
US4624290A (en) Prefilled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6811143B2 (en) Valve spring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JPH0221449B2 (ko)
KR100505304B1 (ko)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GB2272742A (en) A compact hydraulic clutch slave cylinder with release bearing
JPH08504023A (ja) 自動車用油圧式プルレリーズ型クラッチ装置
US5899505A (en) Piping joint structure
CN111306217A (zh) 具有固定在发动机壳体后壁上的从动缸的驱动组件
JP2002515101A (ja) ポンプ
US6105745A (en) Disengagement mechanism for a friction clutch
CN109996971B (zh) 用于离合器执行器的控制壳体
US6243937B1 (en) Method of forming driveshaft slip yoke fluid sealing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