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702A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702A
KR19990070702A KR1019980005682A KR19980005682A KR19990070702A KR 19990070702 A KR19990070702 A KR 19990070702A KR 1019980005682 A KR1019980005682 A KR 1019980005682A KR 19980005682 A KR19980005682 A KR 19980005682A KR 19990070702 A KR19990070702 A KR 1999007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tator
case
vibrator
rotating shaf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054B1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8000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0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을 감싼 상태로 진동자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단축할수 있고 또한 진동이 국부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므로 모터의 수명이 연장되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고정된 마그네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선단에 브러쉬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정류단자를 갖는 정류자가 결합되며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원통형 코일을 구비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진동부를 구비하는 진동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부에 정류자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진동자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수 있고 또한 진동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를 보호할수 있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는 핸드폰, 호출기 등에 내장되어 이들을 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핸드폰, 호출기 등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진동모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진동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케이스(1)의 내부에 원통형의 슬리브(1a)가 일정한 깊이로 돌출 형성되며 슬리브(1a)의 외주연에 마그네트(3)가 구비되고 이의 내주연에는 회전축(2)이 베어링(2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2)의 일측단은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편심된 진동자(7)가 결합되고 회전축(2)의 타측단은 슬리브(1a)로부터 케이스(1)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정류자(4)가 결합된다.
정류자(4)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정류단자(5)가 인서트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1)에는 브러쉬(8)가 구비되어 정류단자(5)와 접촉된다. 또한 마그네트(3)와 케이스(1)의 사이에 일정한 에어갭(air gap)을 유지하며 코어리스형 코일(6)이 구비되고 코일(6)의 선단은 정류자(4)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정류단자(5)와 코일(6)의 리드선이 용접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진동모터는 브러쉬(8)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단자(5)를 거쳐 코일(6)에 인가되면 마그네트(3)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류자 및 회전축(2)이 회전된다. 회전축(2)이 회전되는 동안 선단에 형성된 진동자(7)에 의해 회전축(2)과 케이스(1)가 함께 진동을 일으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케이스(1)가 고정된 휴대폰, 호출기 등이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는 옆사람이 모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자신을 호출하고 있는 사실을 감지할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모터는 진동자(7)가 회전축(2)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됨으로 파손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케이스(1)의 축방향 길이가 길어져 이를 소형으로 제작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2)의 선단에 진동자(7)가 형성된 상태에서 진동하기 때문에 회전축(2)의 어느 특정부위에서 진동이 집중적으로 일어나게되어 모터에 무리가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을 감싼 상태로 진동자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단축할수 있고 또한 진동이 국부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므로 모터의 수명이 연장되는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진동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진동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진동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회전축
13 : 마그네트 14 : 정류자
15 : 정류단자 16 : 브러쉬
17 : 코일 18 : 진동자
19 : 고정부 20 : 진동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고정된 마그네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선단에 브러쉬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정류단자를 갖는 정류자가 결합되며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원통형 코일을 구비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진동부를 구비하는 진동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진동자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진동모터의 단면도 이다. 원통형 케이스(10)의 일측단에 내부로 돌출된 중공상의 슬리브(11)가 구비되고 슬리브(11)의 내부에는 베어링(12a)에 의해 회전지지되는 회전축(12)이 구비된다. 회전축(12)은 슬리브(11)로부터 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된 부분이 있으며 이 연장부에 원판형의 정류자(14)가 결합된다. 그리고 정류자(14)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정류단자(15)가 마련되며 케이스(10)에는 정류자(14) 쪽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쉬(16)가 결합되어 있다.
슬리브(11)에는 외주면에 케이스(10)의 내주면과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마그네트(13)가 설치되며 정류자(14)에는 마그네트(13)와 케이스(10) 사이에 놓이도록 코일(17)이 구비된다. 코일(17)은 마그네트(13)와 일정한 에어갭이 유지되도록 정류자(14)에 설치되며 코일(17)의 외주면에는 정류자(14)에 고정되어 회전축(12)과 함께 회전되는 진동자(18)가 설치된다.
진동자(18)는 코일(17)에 끼워져 정류자(14)에 나사못(21)으로 고정되도록 고정부(19)가 구비되며 코일(17)의 일부면과 접촉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진동이 일어나도록하는 진동부(20)가 구비된다. 진동부(20)는 고정부(19)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회전축(12)으로부터 편심된 상태로 놓인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모터는 진동자(18)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고정부(19)가 코일(17) 외주면을 통하여 정류자(14)에 고정설치되고 고정부(19)의 일측에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코일(17)의 외주면 일부와 접하는 진동부(20)가 마련된다. 진동부(20)는 고정부(19)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12)으로 볼 때 편심된 상태에 놓여 있으므로 회전축(12)이 회전되는 동안 편심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모터가 작동되면 브러쉬(16)와 정류자(14)를 통하여 코일(17) 쪽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마그네트(13)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코일(17)과 정류자(18) 및 회전축(12)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과정에서 정류자(14)에 고정된 진동자(18)가 함께 회전된다. 진동자(18)가 회전되면 편심된 진동부(2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이 정류자(14)를 거쳐 회전축(12)으로 전달된다. 또한 회전축(12)을 지지하는 베어링(12a)을 통하여 케이스(10)가 진동을 일으켜 결국 원하는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진동자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진동모터의 단면도 로서,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단지 진동자(18)의 형상이 달라진다. 제 1 실시예의 진동자(18)에 형성된 진동부(20)의 단부에 원통형의 연장부(19a)가 형성되며 연장부(19a)가 코일(17)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진동자의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진동모터의 단면도 로서,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단지 원호형의 진동부(20) 선단에 정류자(14)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9)가 판상의 부채꼴 형태로 구성된 차이가 있다. 그리고 고정부(19)의 중앙에는 회전축(12)이 관통되는 구멍(19b)이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 3 실시예는 코일(17)과 정류자(14)가 회전되는 동안 정류자(14)에 고정된 고정부(19)를 통하여 진동부(20)가 함께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축으로부터 편심된 진동부(20)에 의해 케이스(10)가 진동을 일으키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을 감싸는 원호형의 진동부와 정류자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진동자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됨으로 케이스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자가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구성됨으로 회전축에 대하여 진동이 국부적으로 발생되지 않으므로 재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또한 진동부가 코일의 일부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의 자속이 코일 쪽으로 잘흐르도록하는 코어의 역할을 할수 있어 모터출력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고정된 마그네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선단에 브러쉬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정류단자를 갖는 정류자가 결합되며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원통형 코일을 구비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진동부를 구비하는 진동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진동부는 코일의 외주면 일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일정한 에어갭이 유지되도록 원호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19980005682A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KR10043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82A KR100431054B1 (ko)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82A KR100431054B1 (ko)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702A true KR19990070702A (ko) 1999-09-15
KR100431054B1 KR100431054B1 (ko) 2004-07-30

Family

ID=3733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682A KR100431054B1 (ko)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02B1 (ko) 2005-09-16 2007-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518B2 (ja) * 1990-11-16 1996-09-0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円筒コアレス振動モ―タ
JP3064500B2 (ja) * 1991-05-24 2000-07-1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円筒型ブラシレス振動モ−タ
JPH05344700A (ja) * 1992-06-10 1993-12-24 Tokyo Parts Ind Co Ltd 円筒コアレスモータ
KR100411141B1 (ko) * 1995-08-17 2004-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054B1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7843A (ja) 薄型振動モータ
JP2005012987A (ja) 振動モータ
CA2340957C (en) Dc brushless vibration motor
JP3229560B2 (ja) 扁平な外転型コアード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5012988A (ja) 偏平型振動モータ
JP2002254029A (ja) Dc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US6495939B1 (en) Coreless motor having tubular housing with end mounting portions
KR100431054B1 (ko) 진동모터
JPH10174361A (ja) 偏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19990036523U (ko) 진동모터
JPH0937511A (ja) 加振用モータ
KR19990036524U (ko) 진동모터
KR100538686B1 (ko) 진동모터
KR19990038430U (ko) 진동모터의 베어링장치
JPH0937510A (ja) 円筒形コアレス振動モ−タ
KR100431055B1 (ko) 진동모터의 코일 연결장치
KR19990070704A (ko) 진동모터의 코일구조
KR0152563B1 (ko) 무선수신기용 편평형 모터
KR20018461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용 진동장치
KR100489830B1 (ko) 브러쉬리스타입 진동모터
KR100411141B1 (ko) 진동모터
JP3527799B2 (ja) 円筒形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H10150741A (ja) 円筒形マイクロ振動モ−タ
JP2590165Y2 (ja) 呼び出し装置などにおける偏平形振動発生装置の界磁々極を有するブラケット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