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524U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524U
KR19990036524U KR2019980002415U KR19980002415U KR19990036524U KR 19990036524 U KR19990036524 U KR 19990036524U KR 2019980002415 U KR2019980002415 U KR 2019980002415U KR 19980002415 U KR19980002415 U KR 19980002415U KR 19990036524 U KR19990036524 U KR 199900365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vibrator
case
commutator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80002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524U/ko
Publication of KR19990036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524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진동자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개선함으로써, 진동자의 진동효율이 향상되도록하고 또한 진동자의 무게를 줄여 소형모터의 전체무게가 감소되도록한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고정된 마그네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선단에 브러쉬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정류단자를 갖는 정류자가 결합되며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원통형 코일을 구비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의 외주면과 접하는 요입부가 형성된 진동자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요입부가 용접되면 상기 진동자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
본 고안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동자를 회전축에 결합함으로써, 진동효율이 향상되도록한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는 핸드폰, 호출기 등에 내장되어 이들을 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핸드폰, 호출기 등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진동모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진동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케이스(1)의 내부에 원통형의 슬리브(1a)가 일정한 깊이로 돌출 형성되며 슬리브(1a)의 외주연에 마그네트(3)가 구비되고 이의 내주연에는 회전축(2)이 베어링(2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2)의 일측단은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편심된 진동자(7)가 결합되고 회전축(2)의 타측단은 슬리브(1a)로부터 케이스(1)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정류자(4)가 결합된다.
정류자(4)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정류단자(5)가 인서트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1)에는 브러쉬(8)가 구비되어 정류단자(5)와 접촉된다. 또한 마그네트(3)와 케이스(1)의 사이에 일정한 에어갭(air gap)을 유지하며 코어리스형 코일(6)이 구비되고 코일(6)의 선단은 정류자(4)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정류단자(5)와 코일(6)의 리드선이 용접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진동모터는 브러쉬(8)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단자(5)를 거쳐 코일(6)에 인가되면 마그네트(3)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류자 및 회전축(2)이 회전된다. 회전축(2)이 회전되는 동안 선단에 형성된 진동자(7)에 의해 회전축(2)과 케이스(1)가 함께 진동을 일으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케이스(1)가 고정된 휴대폰, 호출기 등이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는 옆사람이 모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자신을 호출하고 있는 사실을 감지할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모터는 진동자(7)가 회전축(2)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무게중심이 회전축(2)으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진동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진동자(7)는 회전축(2)을 감싸는 덮개부(7a)가 진동자(7)의 반대편으로 돌출되어 진동자(7)를 회전축(2)에 결합할 때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덮개부(7a)가 진동자(7)의 무게중심을 회전축(2)과 가깝게함으로 진동효율이 저하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진동자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개선함으로써, 진동자의 진동효율이 향상되도록하고 또한 진동자의 무게를 줄여 소형모터의 전체무게가 감소되도록한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진동자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회전축
13 : 마그네트 14 : 정류자
15 : 정류단자 16 : 브러쉬
17 : 코일 18 : 진동자
19 : 요입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고정된 마그네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선단에 브러쉬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정류단자를 갖는 정류자가 결합되며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원통형 코일을 구비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의 외주면과 접하는 요입부가 형성된 진동자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요입부가 용접되면 상기 진동자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진동모터의 단면도 이다. 원통형 케이스(10)의 일측단에 내부로 돌출된 중공상의 슬리브(11)가 구비되고 슬리브(11)의 내부에는 베어링(12a)에 의해 회전지지되는 회전축(12)이 구비된다. 회전축(12)은 슬리브(11)로부터 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된 부분이 있으며 이 연장부에 원판형의 정류자(14)가 결합된다. 그리고 정류자(14)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정류단자(15)가 마련되며 케이스(10)에는 정류자(14) 쪽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쉬(16)가 결합되어 있다.
슬리브(11)에는 외주면에 케이스(10)의 내주면과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마그네트(13)가 설치되며 정류자(14)에는 마그네트(13)와 케이스(10) 사이에 놓이도록 원통형의 코일(17)이 구비된다. 코일(17)은 마그네트(13)와 일정한 에어갭이 유지되도록 정류자(14)에 설치되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2)의 단부에 진동자(18)가 결합된다. 진동자(18)는 무게중심이 회전축(1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기위해 회전축(12)의 외주면을 덮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회전축(12)의 외주면 일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부(19)를 갖는다. 따라서 요입부(19)가 회전축(12)과 접하면 스폿트용접 등의 수단으로 용접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모터가 작동되면 브러쉬(16)와 정류자(14)를 통하여 코일(17) 쪽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마그네트(13)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코일(17)과 정류자(18) 및 회전축(12)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과정에서 회전축(12)의 단부에 형성된 진동자(18)가 함께 회전된다. 진동자(18)가 회전되면 편심된 량만큼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이 회전축(12)과 베어링(12a)을 통하여 케이스(10)로 전달되고 원하는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에 결합된 진동자(18)는 무게중심이 회전축(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요입부(19)가 마련되어 있다. 결국 진동자(18)가 회전축(12)과 결합되면 요입부(19)가 회전축(12)의 외주면 일부와 접한 상태로 되고 이때 용접에 의해 진동자(18)가 회전축(12)에 결합되면 진동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기위해 회전축의 일부를 감싸는 요입부가 진동자에 형성된다. 따라서 요입부가 회전축과 접한 상태에서 스폿용접되면 진동자가 회전축에 결합되어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멀어짐으로 진동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진동자에 회전축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는 덮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무게가 경감되어 소형모터의 출력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고정된 마그네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선단에 브러쉬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정류단자를 갖는 정류자가 결합되며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한 에어갭을 갖는 원통형 코일을 구비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의 외주면과 접하는 요입부가 형성된 진동자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요입부가 용접되면 상기 진동자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2019980002415U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KR199900365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415U KR19990036524U (ko)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415U KR19990036524U (ko)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524U true KR19990036524U (ko) 1999-09-27

Family

ID=6971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415U KR19990036524U (ko) 1998-02-24 1998-02-24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52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8070B (fi) Tasatyyppinen värähtelymoottori
US6479914B2 (en) Vibration motor having an eccentric weight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motor
JPH0217843A (ja) 薄型振動モータ
JP3229560B2 (ja) 扁平な外転型コアード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2254029A (ja) Dc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3904227B2 (ja) 小型モータの給電機構
KR20010078118A (ko) 비원형 편평 모터와 그 제조 방법
JPH10174361A (ja) 偏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19990036524U (ko) 진동모터
US20010040412A1 (en) Radial gap, rotary yoke type brushless vibration motor
KR100431054B1 (ko) 진동모터
JP3796238B2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H05304743A (ja) 永久磁石ロータを慣性体とした振動モータ
KR19990036523U (ko) 진동모터
KR19990038430U (ko) 진동모터의 베어링장치
JP3634428B2 (ja) 円筒形マイクロ振動モ−タ
JP3339501B2 (ja) 扁平なコアード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3973767B2 (ja) 超小型モータ、携帯機器用超小型振動モータ、並びに情報伝達装置
KR100431055B1 (ko) 진동모터의 코일 연결장치
JPH0937510A (ja) 円筒形コアレス振動モ−タ
JPH1198756A (ja) 円筒形マイクロ振動モータ
KR19990070704A (ko) 진동모터의 코일구조
KR100538686B1 (ko) 진동모터
JP3004537U (ja) 給電端子付振動モ−タ
KR0152563B1 (ko) 무선수신기용 편평형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