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742A -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 Google Patents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742A
KR19990068742A KR1019990022562A KR19990022562A KR19990068742A KR 19990068742 A KR19990068742 A KR 19990068742A KR 1019990022562 A KR1019990022562 A KR 1019990022562A KR 19990022562 A KR19990022562 A KR 19990022562A KR 19990068742 A KR19990068742 A KR 19990068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isplay unit
auxiliary display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김동일
주식회사 아리아 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일, 주식회사 아리아 미디어 filed Critical 김동일
Priority to KR101999002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742A/ko
Publication of KR1999006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7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6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coins and/or bank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복수 또는 단수 게임자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소망하는 섹터의 영상신호가 모니터와 별도로 구성된 보조표시부나, 모니터상에 선별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의 게임기기의 게임진행을 총괄하며, 프로그램모드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임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출력시키는 통신부와, 코인의 투입을 감지하는 코인감지부와,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게임 프로그램 메모리와,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메모리로 구성된 게임기기에 있어서, 상기 코인감지부로부터 코인의 투입이 감지되어 상기 영상메모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독취하여 출력시키는 표시부(34)와;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중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별도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34)의 하단 소정부에 구비된 보조표시부(16)와;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표시부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조작부(24)와; 상기 기능조작부(24)로부터 보조표시부의 영상신호 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표시되는 해당 부분의 그래픽 코드 프레임을 상기 영상메모리(30)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폐쇄적으로 운용되어야할 게임 예컨대, 카드게임 등에서 히든카드가 별도의 보조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근접되어 있는 위치에서 동일한 게임에 참여하는 게임자가 자신의 히든카드를 볼 수 없도록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게임의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측면에서 출력되는 화상을 보려고 하여도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의해 쉽게 보이지 않으므로 보조표시효과가 보다 크게 된다.

Description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Game apparatus having displaying aids}
본 발명은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기기의 하단 소정부에 모니터와는 별도로 보조표시장치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모니터상의 화면중 그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 모니터상의 화면중 소망하는 부분을 보조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오락실 및 PC게임방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전자 게임기기가 설치되는 바, 상기한 전자 게임기기의 경우에는 주로 게임자와 게임기기 내부의 컴퓨터 상호간의 단일 게임이 대부분이었다.
상기한 게임기기는 그 전면 하단 소정부에 주화를 투입할 수 있는 주화투입구(도 1참조; 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화투입구(2)의 하측으로는 상기 주화투입구(2)로 투입된 주화가 불량주화 또는 게임기기의 기능실행에 문제가 발생되면 주화가 반환되는 주화반환구(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하, 게임자라고 함)이 게임을 운용하거나 소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그 전면 소정부에 다수의 기능버튼(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능버튼의 일측 소정부에 진행방향을 조작하는 방향조작스틱(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방향조작스틱(8)의 상측으로 게임화상을 출력시키는 모니터(10)가 구비되어 상기 기능버튼(6)과 방향조작스틱(8)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신호를 그 내부회로가 신호처리함으로써 발생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모니터(10)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한 게임기기중 게임자와 게임기기 상호간의 게임외에 게임자와 게임자간에 이루어지는 복수의 게임자 상호간의 게임과, 게임자와 게임자, 게임기기와 같이 복수의 게임자와 게임기기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게임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복수 게임자간의 게임은 일반적으로 인터넷 통신망을 매개로하여 원거리상에 이루어지는 통신용 복수자 게임과, PC방 및 오락실 등에서 내부 통신망(LAN)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자 게임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복수 게임자 간에 이루어지는 게임은 PC방 및 오락실 등의 다수의 게임기기가 구비된 곳에서는 게임기기의 위치가 근접되어 동일한 게임에 참여하는 게임자가 자신의 게임내용을 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복수 게임자가 참여하는 카드게임에서는 자신의 히든카드(Hidden Card)가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해야지만 게임이 진행되지만 현재, 그러한 방식의 게임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소망하는 일부분을 모니터상에서 클리어(Clear)시켜야만 하는 게임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주로, 소망하는 일부분에 대한 클리어상태가 필요없는 격투기 게임과, 원거리에서 인터넷망을 매개한 바둑게임 등이 복수 게임자가 참여하는 게임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는 게임에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복수 또는 단수 게임자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소망하는 섹터의 영상신호가 모니터와 별도로 구성된 보조표시부나, 모니터상에 선별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간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로 인가되는 그래픽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모니터, 12:보조모니터,
16:보조표시부, 18:데이터저장부,
20:메인제어부, 24:기능조작부,
26:통신부, 28:게임프로그램메모리,
30:영상메모리, 30a:화상메모리,
30b:캐릭터메모리, 32:음성메모리,
38: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게임기기의 게임진행을 총괄하며, 프로그램모드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임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출력시키는 통신부와, 코인의 투입을 감지하는 코인감지부와,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게임 프로그램 메모리와,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메모리로 구성된 게임기기에 있어서, 상기 코인감지부로부터 코인의 투입이 감지되어 상기 영상메모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독취하여 출력시키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중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별도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의 하단 소정부에 구비된 보조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상기 보조표시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표시부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조작부와; 상기 기능조작부로부터 보조표시부의 영상신호 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해당 부분의 그래픽 코드 프레임을 상기 영상메모리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보조표시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표시부(16)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보조모니터(12)와, 출력구동회로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전면 하단 소정부에 주화를 투입할 수 있는 주화투입구(도 1참조; 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화투입구(2)의 하측으로는 상기 주화투입구(2)로 투입된 주화가 불량주화 또는 게임기기의 기능실행에 문제가 발생되면 주화가 반환되는 주화반환구(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게임자가 게임을 운용하거나 소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그 전면 소정부에 다수의 기능버튼(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기능버튼(6)중에 상기 모니터(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후술되는 보조모니터(12)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 출력모드변환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기능버튼의 일측 소정부에 진행방향을 조작하는 방향조작스틱(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방향조작스틱(8)의 상측으로 게임의 영상신호를 출력시키는 모니터(10)가 구비되어 상기 기능버튼(6)과 방향조작스틱(8)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신호에 의해 게임이 진행되며 그에 대한 신호처리를 내부회로가 수행함으로써 처리된 최종 영상출력신호가 상기 모니터(10)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10)의 하단에 빗각으로 단차면이 형성되어 그 단차면에 보조모니터(12)가 구성되는 바, 상기 모니터(10)상에 출력되는 영상신호중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출력신호를 상기 기능버튼(6)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보조모니터(12)에 출력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간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4a∼14n은 다수 또는 단일의 게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게임기기를 나타내며, 상기 게임기기(14a∼14n)의 내부에는 상기 게임기기상에 구비된 모니터(도 1참조; 10)에 출력되는 영상중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만을 출력시키는 보조모니터(12)와 출력회로를 구비하는 보조표시부(16a∼16n)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표시부(16)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LCD)로 구성되어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측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특성에 의해 정확한 화상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18은 상기 게임기기(14a∼14n)의 게임선택에 대한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데이터가 독취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 및 모드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이다.
또한, 20은 다수의 상기 게임기기(14a∼14n)에 형성된 기능버튼(6)을 조작하여 소망하는 게임을 게임자가 실행시킬 때, 예컨대 동일한 게임이 실행되는 게임기기(예컨대;14a, 14b, 14c 등)의 사이에 매개하여 그 게임기기(예컨대;14a, 14b, 14c 등)의 사이에서 모드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저장부(18)로부터 게임프로그램을 독취하여 각각의 게임기기(14a∼14n)를 운용하는 메인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22는 게임자가 투입한 주화를 감지하기 위한 코인감지부를 나타내며, 24는 게임을 진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기능버튼(6)과는 별도로 상기 보조표시부(16)에 소망하는 영상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기능조작부를 나타낸다.
26은 본 게임기기(예컨대;14a)와 상기 메인제어부(20)의 사이에 매개하여 신호변환 및 신호입/출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나타내며, 28은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게임프로그램 메모리를 나타낸다.
한편, 30은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메모리를 나타내는 바, 상기 영상메모리(30)는 화상전용 메모리인 화상메모리(30a)와 문자전용 메모리인 캐릭터 메모리(30b)로 구성되며, 32은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모리를 나타낸다.
또한, 34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34)에 화상신호 및 캐릭터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그 내부에는 표시부(3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36는 상기 음성메모리(32)로부터 독취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음성출력부를 나타내며, 그 내부에는 음성출력부(36)을 구동시키기 위한 음성출력구동회로가 구비된다.
38은 게임기기(예컨대;14a)의 각 구성요소간에 전반적인 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바, 상기 코인감지부(22)에서 주화의 투입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버튼(6)으로부터 1:1 단수게임모드/또는 복수 게임모드에 대한 선택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통신부(26)를 매개로하여 상기 메인제어부(20)로부터 프로그램모드신호를 인가받아 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신호를 상기 게임 프로그램 메모리(28)로부터 독취하여 게임을 운용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상기 기능조작부(24)로부터 발생된 표시부에 대한 스위칭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영상메모리(30)로부터 독취된 화상 및 캐릭터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4) 또는 보조표시부(16)에 선별적으로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부(28)는 상기 음성메모리(32)로부터 음성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음성출력부(36)를 구동시킴으로써 음성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20)에서 전반적인 게임을 운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제어부(20)가 단지 모드신호만을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38)가 게임전체를 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로 인가되는 그래픽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HD는 데이터의 처음을 나타내는 헤더(Header)이며, X/Y는 표시하고자 하는 보조표시부(16)의 위치값을 나타내는 좌표이다.
한편, GC는 표시하고자 하는 그래픽데이터 코드값을 나타내는 바, 해당 정보의 내용인 표시데이터를 내장하고 있으며, EC는 코드의 끝을 나타내는 엔드코드(End Code)며, CS는 체크섬(Check sum)을 나타낸다.
이때, 그래픽의 구성은 단지 코드입출력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프트웨어 그래픽 운용자의 구동으로 용이하게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을 선행하며,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보조표시장치로의 신호출력에 대한 설명을 후술한다.
게임자가 코인을 투입하게 되면 상기 코인감지부(22)는 코인투입신호를 상기 제어부(38)측으로 인가시키게 되고, 이때 게임자가 상기 기능버튼(6)을 조작하여 소망하는 게임을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게임자가 선택한 게임이 복수 게임자가 통신을 매개로하여 이루어지는 게임이면 상기 메인제어부(20)는 현재 참여하는 각각의 게임기기(14a∼14b)의 제어부(38a∼38b)측으로 모드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8)는 그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게임프로그램 메모리(28)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신호를 독취하여 게임을 운용함과 동시에 그에 해당되는 프레임코드신호를 상기 영상메모리(30)측으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능조작부(24)가 조작되어 표시부 변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중 소망하는 위치의 영상신호를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된 해당 부분은 이전에 출력된 영상과는 다른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예컨대, 복수인이 참여하는 카드게임중 동일한 게임에 참여하는 게임자의 자리가 인접되어 있어 상기 모니터(10)를 통해 히든 카드 등이 출력되게 되면 불리한 경우에는 상기 기능조작부(24)의 선택으로 상기 모니터(10)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중 소망하는 히든카드가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되게 되며 최초에 상기 모니터(10)상의 히든카드위치의 영상은 배경화면의 영상이 출력되거나 블랭킹으로 남아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는 상기 보조표시부(16)로의 영상신호 출력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코인감지부(22)에서 코인의 투입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버튼(6)을 통해 복수 게임자가 참여하는 게임이 선택되게 되면 상기 통신부(26)를 매개하여 상기 메인제어부(20)와 해당 게임에 참여하는 각각의 게임기기의 제어부(38a∼38b)의 신호 입/출력으로 게임이 진행되게 된다. (ST1, ST2)
이때, 상기 기능조작부(24)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보조표시부(16)로의 영상출력 스위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중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신호에 대한 그래픽 코드 프레임을 발생시키게 된다. (ST3,ST4)
그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보조표시부(16)의 사용여부를 체크한 다음 영상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그래픽 코드 프레임을 전송하게 된다. (ST5,ST6)
또한,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그래픽 코드 프레임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메모리(30)의 화상메모리(30a)와 캐릭터메모리(30b)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시킨다. (ST7,ST8)
한편, 상기 2단계에서 복수게임이 아닌 단수 게임자가 컴퓨터와 진행하는 게임이 선택되게 되면, 상기 제어부(38)에서 게임을 통괄하게 되며 이때에는 별도의 보조표시부(16)의 출력과정이 생략되게 된다.
이는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방식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방식이 단지 그래픽코드신호의 인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래픽 전용 소프트웨어의 구동으로도 상기 보조표시부(16)로의 영상신호 출력이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는 그 발명의 요지가 인접되어 있는 게임자가 동일한 게임을 실행할 때 폐쇄적이며, 단독적으로 볼 수 있는 보조표시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게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영상신호 출려방식에 대해서는 일정한 방식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에 의하면 폐쇄적으로 운용되어야할 게임 예컨대, 카드게임 등에서 히든카드가 별도의 보조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근접되어 있는 위치에서 동일한 게임에 참여하는 게임자가 자신의 히든카드를 볼 수 없도록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게임의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측면에서 출력되는 화상을 보려고 하여도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의해 쉽게 보이지 않으므로 보조표시효과가 보다 크게 된다.

Claims (2)

  1. 다수의 게임기기의 게임진행을 총괄하며, 프로그램모드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임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출력시키는 통신부와, 코인의 투입을 감지하는 코인감지부와,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게임 프로그램 메모리와,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메모리로 구성된 게임기기에 있어서,
    상기 코인감지부로부터 코인의 투입이 감지되어 상기 영상메모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독취하여 출력시키는 표시부(34)와;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중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별도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34)의 하단 소정부에 구비된 보조표시부(16)와;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소망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표시부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조작부(24)와;
    상기 기능조작부(24)로부터 보조표시부의 영상신호 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34)를 통해 표시되는 해당 부분의 그래픽 코드 프레임을 상기 영상메모리(30)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보조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표시부(16)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보조모니터(12)와, 출력구동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표시장치가 부착된 게임기기.
KR1019990022562A 1999-06-16 1999-06-16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KR19990068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562A KR19990068742A (ko) 1999-06-16 1999-06-16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562A KR19990068742A (ko) 1999-06-16 1999-06-16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42A true KR19990068742A (ko) 1999-09-06

Family

ID=5475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562A KR19990068742A (ko) 1999-06-16 1999-06-16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7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106A (ko) * 2000-07-11 2002-01-19 박규진 다중 디스플레이 제어를 통한 온라인 게임기기 및 그 방법
KR100648262B1 (ko) * 2004-05-03 2006-11-23 김학균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과다형 게임의과다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106A (ko) * 2000-07-11 2002-01-19 박규진 다중 디스플레이 제어를 통한 온라인 게임기기 및 그 방법
KR100648262B1 (ko) * 2004-05-03 2006-11-23 김학균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과다형 게임의과다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891B2 (en) Game apparatus, recording medium having game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game system
US6607443B1 (en) Game device
JP3183632B2 (ja) 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装置
US7438639B2 (en) Gaming machine with column linking feature
US8961303B2 (en)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am
JP3910890B2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4167710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20040063482A1 (en) Game machine, server, and program
US6923722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for providing multi-player gameplay on individual displays and a common display
US20060009270A1 (en) Game system
JPH08206357A (ja) ゲーム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2006102210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5008866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H09299593A (ja) 遊技機
JP2005066339A (ja) 個別プレーヤ情報の表示を必要とするゲーム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7325904A (ja) 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コンテンツ選択方法、電子遊戯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006004A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9990068742A (ko) 보조표시장치가부착된게임기기
JP3818769B2 (ja) 情報記憶媒体、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3618454B2 (ja) 画像合成方法及びゲーム装置
JP413780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3673771B2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9168668A (ja) ゲームシステム
KR20030035301A (ko)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가 부가된 게임기 장치
JP4326412B2 (ja) 共有クレジット設定が可能な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