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307A -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307A
KR19990068307A KR1019990009962A KR19990009962A KR19990068307A KR 19990068307 A KR19990068307 A KR 19990068307A KR 1019990009962 A KR1019990009962 A KR 1019990009962A KR 19990009962 A KR19990009962 A KR 19990009962A KR 19990068307 A KR19990068307 A KR 1999006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uel
load
vehi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박
Original Assignee
김재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박 filed Critical 김재박
Priority to KR101999000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307A/ko
Publication of KR1999006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307A/ko
Priority to AU34615/00A priority patent/AU3461500A/en
Priority to KR10-2001-7012052A priority patent/KR100418689B1/ko
Priority to PCT/KR2000/000253 priority patent/WO2000056575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4Economic dr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소비량과 운행효율을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지시켜 경제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 제어장치에서 연료 분사기간을 측정한 후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입력하는 입력변환부(A2)와, 상기 입력변환부(A2)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A3)와, 상기 입력변환부(A2)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입력 횟수를 측정하여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A4)와, 측정된 부하량과 엔진 회전수로부터 급출발·급가속 및 연료의 과소모 여부를 판단하는 급출발·급가속 판단부(A5)와, 상기 급출발·급가속 판단부(A5)에서 판단한 결과를 운전자에게도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A7)와, 부져가 울려 청각적으로 확인케 하는 경보부(A9)와, 상기 부하량 검출부(A3)에서 측정된 부하량을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A6)와 표시용 발광다이오드가 연속적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확인케 하는 디스플레이부(A8)와, 제어장치의 초기화, 내부제어변수설정, 경보제어 등을 수행하는 스위치입력부(A10)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 것으로 급출발·급가속 및 연료 과소모시 운전자에게 경고음과 표시 발광 다이오드의 연속적인 점등으로 주의를 환기시켜 줌으로써 연료의 과소모를 줄이고, 또한 부적절한 부분부하 영역에서의 운전을 자제시켜 운전자에게 경제운전을 유도함으로서 연료절감 및 유해 배기 가스 방출 감소, 차량 성능유지, 급출발·급가속 사고 예방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Fuel saving system of the car}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연료의 소모량과 부하량을 알려 경제운전을 유도하며 자동차의 급가속, 급출발시에 발생하는 과부하 상태로 인한 과연료 소모를 회피하고부적절한 저부하영역 운전시에는 황색 경고등을 적용하여 연료 컷 이나 적정부하로의 운행을 유도하여 불필요한 연료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자동차 연료 절감유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연료분사기로부터 연료유량 데이터를 감시한 후 연료량에 따른 부하량을 측정하고, 급출발, 급가속 상황에서는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음과 표시램프의 연속적인 점등으로 주의를 환기시켜 즉시 급출발, 급가속을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과부하로 인한 연료 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절감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소비율은 적정부하 영역에서 가장 낮고 저부하 및 고부하 영역에서는 높다. 그러므로 적정부하영역에서 운전을 하면 경제적인 운전을 할 수 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는 연료의 소모량이나 부하정도를 알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운전자는 운전중에 어느 부하 영역에 있는지 알 수가 없어 적절한 부하영역에서 운전할 수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연료의 소모는 급출발이나 급가속 및 부적절한 저부하 영역 에서는 일반주행보다 약 30% 이상 많이 든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자의 잘못된 습관으로 인한 급출발, 급가속 상황에서의 적절한 보정수단이 미흡하였고 이에 따른 과다 연료 소모, 배기 매연 증가, 차량 수명 단축의 여러 문제점이 함께 노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연료분사기로부터 연료유량 데이터를 감지한 후 이를 부하량으로 변환 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경제적인 운전을 유도하는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출발·급가속 상황에서는 과부하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음과 표시램프의 연속적인 점등으로 주의를 환기시켜 즉시 급출발·급가속을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과부하로 인한 연료 소모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부적절한 저부하영역에서는 황색 표시등을 사용하여 적정부하 운행 및 연료 컷기능을 사용 불필요한 연료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연료분사기간으로부터 정확한 연료량을 계측함과 동시에 이를 부하량으로 환산 및 엔진회전수를 계측하여 부분부하영역과 과부하영역의 판단, 이에 따른 적절한 표시기의 선택과 경보의 설정 등을 통한 운전자에게 부하량과 급출발·급가속 및 과소모 시점을 인식시키기 위한 적절한 제어 알고리듬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차 연료절약 유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 연료절약 유도장치의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연료절약 유도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자동차의 연료분사신호, A2 - 입력변환부,
A3 - 부하량 검출부, A4 - 엔진회전수 측정부,
A5 - 급출발·급가속 판단부, A6 - 디스플레이 제어부,
A7 - 경보 제어부. A8 - 디스플레이부
A9 - 경보부 A10 - 스위치 입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분사기로부터의 신호를 제어장치에 받아들일 수 있게 변환하는 입력 변환부와, 상기 연료분사기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와, 상기 연료분사기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엔진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회전수 측정부와, 상기에서 검출한 부하량과 엔진회전수로부터 급출발·급가속 및 과소모 시점을 판단하는 급출발·급가속 판단부와, 상기 급출발·급가속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부와, 상기 경보제어부의 출력신호로부터 부져가 울려 청각적으로 확인케 하는 경보부와, 상기 부하량 검출부로부터의 부하량에 따라 표시 발광 다이오드가 연속적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확인케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스위치 입력을 받아 제어기의 초기화, 내부변수 설정, 경보설정 등을 수행하는 스위치 입력부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자동차의 연료 절감 유도장치에 있어서, 시작스위치의 동작 후 스위치 입력에 따라 제어기를 초기화시키거나 경보를 설정을 켜고 끄거나 내부 기준 설정데이터를 자동설정하는 단계와, 연료분사기로부터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급가속, 급출발시에 발생되는 과부하 상태를 일정 수치 데이터로 기준 설정한 데이터와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판단하는 단계에서 정상이라고 판별되면 계속 과부하 상태로 검사하고, 비정상이라고 판별되면 표시램프의 연속적인 점등과 이어서 경고음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과부하 상황임을 알리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부하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있어서 연료량과 부하량을 나타내기위한 10개의 발광다이오드와 연료소비율과 급출발·급가속을 나타내기 위한 1개의 3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10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연료량은 켜진 개수로 나타내고 부하량은 부분부하 영역은 녹색으로 나타내며 부하가 높을수록 황색·적색으로 표시하며, 1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연료 소비율이 높으면서 저부하영역일 때는 황색으로 고부하영역일 때는 적색으로 적정 부분부하에서는 녹색으로 켜지며, 또한 급출발·급가속 및 과소모 시점에서는 적색으로 켜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차 연료 절감유도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 연료절약 유도장치의 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2)는 자동차의 연료분사량을 측정한 후 연료분사량을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후술하는 부하량 검출부(A3)과 엔진회전수 측정부(A4)에 입력하는 입력변환부이며, (A3)은 상기 입력변환부(A2)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이고, (A4)는 상기 입력변환부(A2)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엔진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회전수 측정부이고, (A5)는 상기 부하량검출부(A3)와 엔진회전수 측정부(A4)로부터 신호로 급출발·급가속을 판단하는 급출발·급가속 판단부(A5)이고, (A6)은 상기 검출된 부하량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A6)이고, (A7)은 상기 급출발·급가속 판단부(A5)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부(A7)이고, (A8)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A6)에서의 출력을 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A8)이고, (A9)는 상기 경보제어부의 출력으로 부져를 울려 청각적으로 알리는 경보부(A9)이고, (A10)은 스위치 입력을 받아 초기화 및 경보 설정, 기준 설정 등을 하는 스위치 입력부(A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A8)은 여러개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출력신호로 순차적인 점등 동작이 이루어져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급출발, 급가속을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 부하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으로 표시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구성 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분사기 데이터를 감지한 후 이를 부하량으로 변환하여 적정 부분 부하 영역에서 운전하도록 유도함으로서, 경제적인 운전을 유도하여 연료 절약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급출발, 급가속 상황에서는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음과 표시램프의 연속적인 점등으로 주의를 환기시켜 즉시 급출발, 급가속을 회피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과속으로 인한 연료 소모를 크게 절감하며, 또한 저부하 영역에서는 황색 표시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부하유도 및 연료 컷 기능을 사용 불필요한 연료소모량을 줄여 연료량을
절감하며, 최적의 운행 조건하에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유도 차량의 성능을 유지, 급출발·급가속에 의한 자동차 사고를 줄이는 등의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연료분사기의 분사량을 측정한 후 분사량을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입력하는 입력변환부(A2)와, 상기 입력변환부(A2)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를 부하량으로 변환하는 부하량검출부(A3)와, 상기 입력변환부(A2)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로부터 엔진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회전수 측정부(A4)와, 상기 부하량검출부(A3)로부터 측정된 부하량으로부터 급출발,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급출발·급가속 판단부(A5)와, 상기 부하량검출부(A3)로부터의 부하량과 상기 엔진회전수 측정부로부터의 엔진회전수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부하량을 나타내기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A6)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A6)의 신호를 받아 표시용 발광다이오드가 연속적으로 점등되어 시각적으로 확인케하는 디스플레이부(A8)와, 상기 급출발·급가속 판단부(A5)에서의 판단에 따라 경보를 제어하는 경보제어부(A7)와, 상기 경보 제어부(A7)의 출력신호로 부져가 울려 청각적으로 확인케 하는 경보부(A9)와, 스위치 입력을 받아 제어기의 초기와 및 경보 ON/OFF, 내부변수 설정등을 하는 스위치 입력부(A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A8)에서 표시 발광 다이오드의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부하와 연료소모량 및 연료소비율을 동시에 나타내고, 또한 연료의 소비율에 따른 시각적 차별인식 표시(부적절한 부분부하 황색, 과부하 적색, 최적연료소비율과 과소모 싯점 경계 황색)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시작스위치의 동작 후 스위치 입력을 받아 초기화 및 경보설정, 기준치 설정을 하는 단계(B1)(B2)와,
    자동차 시동을 시작한 후 시동이 안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B3)(B4)와,
    자동차의 연료분사기로부터 부하량과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B5)와,
    차종에 따른 급가속, 급출발시에 발생되는 과부하 상태를 일정 수치값으로 기준 설정한 데이터와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B6)와,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서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표시 발광다이오드의 연속적인 점등과 이어서 경고음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과부하 상황임을 알리는 단계(B7)(B8)(B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연료분사기 측정데이터에서 부하량을 검출하여 기준치와 비교함과 아울러, 일정시간에 따른 획득한 부하량을 환산한 데이터로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시스템.
KR1019990009962A 1999-03-24 1999-03-24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KR19990068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62A KR19990068307A (ko) 1999-03-24 1999-03-24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AU34615/00A AU3461500A (en) 1999-03-24 2000-03-23 Fuel saving guidance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1-7012052A KR100418689B1 (ko) 1999-03-24 2000-03-23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0/000253 WO2000056575A1 (en) 1999-03-24 2000-03-23 Fuel saving guidance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62A KR19990068307A (ko) 1999-03-24 1999-03-24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307A true KR19990068307A (ko) 1999-09-06

Family

ID=195774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962A KR19990068307A (ko) 1999-03-24 1999-03-24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KR10-2001-7012052A KR100418689B1 (ko) 1999-03-24 2000-03-23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052A KR100418689B1 (ko) 1999-03-24 2000-03-23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9990068307A (ko)
AU (1) AU3461500A (ko)
WO (1) WO200005657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240A2 (ko) * 2009-08-13 2011-02-17 주식회사 블루포인트 경제운전 안내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94730B1 (ko) * 2015-07-09 2016-02-23 고성석 급발진 방지 장치
CN111976491A (zh) * 2020-08-27 2020-11-24 内蒙古莱拓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无轨胶轮车的安全防护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351B1 (ko) * 2003-02-10 2004-08-18 김종식 연료절감 자동차 도로주행모드 지시, 기록 및 평가 시스템.
WO2009051407A2 (en) * 2007-10-15 2009-04-23 Jae Park Kim Guidence optimal driv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223U (ko) * 1976-03-12 1977-09-14
KR970005125U (ko) * 1995-07-19 1997-02-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급제동 표시장치
KR19980081165A (ko) * 1998-04-08 1998-11-25 이민화 자동차의 연료절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264A (en) * 1975-08-29 1977-03-04 Nippon Soken Inc Device for alarming rapid accelleration or deceleration
US4065961A (en) * 1977-01-11 1978-01-03 C & E Enterprises, Inc. Engine actuated instrumentation and a fuel saving and diagnostic system based thereon
US4398174A (en) * 1979-04-05 1983-08-09 Smith Jr Raymond P Fuel consumption signalling system
JPS58202115A (ja) * 1982-05-21 1983-11-25 Hino Motors Ltd 経済走行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223U (ko) * 1976-03-12 1977-09-14
KR970005125U (ko) * 1995-07-19 1997-02-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급제동 표시장치
KR19980081165A (ko) * 1998-04-08 1998-11-25 이민화 자동차의 연료절감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240A2 (ko) * 2009-08-13 2011-02-17 주식회사 블루포인트 경제운전 안내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1019240A3 (ko) * 2009-08-13 2011-06-16 주식회사 블루포인트 경제운전 안내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94730B1 (ko) * 2015-07-09 2016-02-23 고성석 급발진 방지 장치
CN111976491A (zh) * 2020-08-27 2020-11-24 内蒙古莱拓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无轨胶轮车的安全防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131A (ko) 2002-02-02
WO2000056575A1 (en) 2000-09-28
KR100418689B1 (ko) 2004-02-14
AU3461500A (en) 200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8805B1 (en) Traffic light
CN106379234B (zh) 汽车坡道停车检测和报警装置
US4940965A (en) Vocal alarm for outboard engine
US6116971A (en) Alarm device of outboard motor
KR19990068307A (ko) 자동차의연료절약유도장치
CN206224760U (zh) 用于车辆的疲劳驾驶预警系统和具有其的车辆
KR200189824Y1 (ko) 최적운전유도장치
JPH10267113A (ja) 変速機の油量検出装置
KR100301528B1 (ko) 자동차의 연료절감시스템
KR100319492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방법
JP5413322B2 (ja) 車両の表示制御装置
KR100506672B1 (ko) 자동차용 연료센더의 고장 인식방법
JP2004203197A (ja) 車両用異常警告装置
KR102482227B1 (ko) 차량의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225991Y1 (ko) 자동차 계기판의 연료절약 표시유도장치
KR100405343B1 (ko) 차량의 제동등 점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538991A (ja) 車間距離検知装置
KR970031152A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방지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31013A (ko) 연료부족 경고 표시 장치 및 연료부족 경고 표시 방법
KR19980013218U (ko) 자동차의 알피엠 경고장치
CN202986962U (zh) 一种具有闪光和声音提醒刹车灯异常功能的控制器
KR19980014011U (ko) 차량의 최저 연료량 보유시 경보장치
KR100337827B1 (ko) 자동차의 연비 향상장치
KR20040065870A (ko) 차량의 엔진꺼짐 경고시스템 및 그 경고방법
KR19980016986U (ko) 차량의 속도 경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