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787A -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 Google Patents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787A
KR19990066787A KR1019980043049A KR19980043049A KR19990066787A KR 19990066787 A KR19990066787 A KR 19990066787A KR 1019980043049 A KR1019980043049 A KR 1019980043049A KR 19980043049 A KR19980043049 A KR 19980043049A KR 19990066787 A KR19990066787 A KR 1999006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activity
liver function
active ingredient
yede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078B1 (ko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ublication of KR1999006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2Compounds having a free or esterified carboxyl group attached, directly or through a carbon chain,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glucuronic acid, neuram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작용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본 발명은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불규칙한 식사, 스트레스, 과다한 음주 및 흡연 등으로 인하여 간기능이 손상되거나, 심하면 간질환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간기능의 손상 및 간질환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회복하기도 어렵다. 이와 같은 간질환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어 급성간염 및 만성간염, 간경화증, 알콜성지방간, B형 바이러스 간염 등이 있다. 특히 B형 바이러스 간염은 전염성이 있어 사회로부터 격리치료를 요하고 단체생활을 어렵게 한다. 게다가 만성간염, 간경변 및 간암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빈번하고, 이들 간질환은 거의 불치병으로 인식되어 현대인들에게 큰 위협이 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 간기능 손상 및 간질환을 부작용이나 재발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 간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는 현재 간기능 보조제, 아시클로비르와 같은 항바이러스제 및 우루소데옥시콜린산, 실리마린, 글루타티온, 글리시리진, 간수화물, 종합비타민제 등과 같은 간세포 재생촉진제, 코르테코스테로이드, 6-머캅토퓨린, 아자티오프린 등과 같은 면역억제제, D-페니실라민과 같은 섬유화억제제,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인터페론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간질환의 치료에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부작용 및 재발의 위험이 높아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본 발명의 예덕나무피(Malloti Cortex)는, 일명 야오동(野梧桐) 또는 적아백(赤芽柏) 등으로도 불리는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Mueller Agroviensis, 대극과 Euphorbiaceae)의 피(皮)를 건조한 것이며, 예덕나무피에서 추출된 예덕나무피 엑스는 현재 정장제(일본 약국방 해설서 13개정, 1996, D-4, P 1-3, 광천서림, 일본; 현대 생약학 생약연구회저, 학창사, 한국, 185-186, 1994)로 사용되고 있으며, 항위궤양 및 항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예덕나무피 엑스는 통상 예덕나무피를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 또는 물로 추출(Homma 등 J. Ag. Chem. Soc., (Jap) 15, 384-396, 1939)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덕나무피 엑스(일본 약국방외 의약품규격, P 151-2, 약업시보사, 1993)는 베르겐닌(엑스 중 12~18% 함유) 외에 20여종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일본 약국방 해설서 13개정, 1996, D-4, P 1-3, 광천서림, 일본), 급성독성 시험(마우스, 경구) 결과 LD50이 7170㎎/㎏ 이상으로 독성(회다 등, 서국의지 일본, 27(1), 61-75, 1971)이 없으며, 태아에 대한 영향(관전 등, 일본신약 주식회사 자료 P 1-6, 1979)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생약물질을 탐색하던 중 종래 정장제로 사용되고 있는 예덕나무피 엑스가 간질환의 예방 또는 보호의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예덕나무피(Malloti Cortex)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덕나무피 엑스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작용이 있으며, 이에 대한 작용기전은 글루타티온을 매개로 한 해독과정에 관여하는 글루타티온 유황-전이효소 및 생체내에서 글루타티온의 함량 유지에 관여하는 글루타티온 환원효소의 활성 유도작용에 기인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등의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덕나무피 엑스는 하기와 같은 통상의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건조한 예덕나무피 조말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10중량부를 가하고 2시간씩 2회, 3회째에는 5중량부를 가하고 2시간 동안 90~100℃ 수욕상에서 가온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수욕상에서 감압농축, 건조하여 예덕나무피 엑스를 얻을 수 있다. 베르겐닌은 예덕나무피 엑스의 지표물질이고 일본약국방외 의약품규격(약업시보사, 151-152, 1993)에 따라 베르겐닌(C14H16O9·H2O: 346.29)을 정량하면 통상 12∼18%가 함유된다.
본 발명의 예덕나무피 엑스의 투여량은 성인에 대하여 1회 150~500㎎씩 1일 3회 투여하며, 투여량은 증상의 정도나 환자의 나이 및 체중에 따라 통상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통상적인 제제 제조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액제, 시럽제, 엘렉실제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덕나무피 엑스는 간기능 개선 음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료는 통상의 제조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다음의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제조예 1
건조한 예덕나무피 조말 1 kg에 증류수 10 ℓ를 가하고 2시간씩 2회, 3회째에는 5 ℓ를 가하고 2시간동안 90-100 ℃ 수욕상에서 가온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수욕상에서 감압농축, 건조하여 예덕나무피 엑스 130g(13%)을 얻었다.
실험예 1.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보호 효과
한국 실험 동물센타에서 구입한 150±20g의 SD계 흰쥐를 일주일 이상 일정한 조건(온도: 20±2℃, 습도: 60%, 명암 : 12시간 Light/dark cycle)에서 적응시킨 후, 8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참고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예덕나무피 엑스 150, 300 및 600 ㎎/㎏을 7일 동안 매일 경구로 투여하고, 7일째 투여 다음 12시간과 36시간 후에 사염화탄소 0.5㎖/㎏(동량의 올리브유에 용해한 것)를 각각 복강 내에 투여하고, 사염화탄소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다음 12시간 후에 탄산가스(CO2가스)로 마취하고 개복하여 채혈 및 간조직을 적출하였다. 이 때 예덕나무피 엑스 및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지 않은 군(정상군), 예덕나무피 엑스를 투여하지 않고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대조군)에 대해서도 실험하였다. 시료의 전투여는 독성 유발 예방의 차원에서 수행되어졌다.
상기에서 취한 혈액 및 간조직에 대하여 간기능 지표로서 혈액 중 혈청 s-AST(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 s-ALT(혈청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SDH(소르비톨 탈수소효소), γ-GT(γ-글루타민산 전이효소)의 활성과 간조직 중 LPO(지질과산화물)과 GSH(글루타티온)의 함량 및 GST(글루타티온 유황 전이효소)와 GR(글루타티온 환원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측정방법은 표1 참조), 이 때 효소원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세포솔(cytosol) 분획을 조제하여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정량은 우형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Sigma Fr. IV)을 표준품으로 하여 로우리법 (Lowry, O. H., Rosebrough, N. J. and Randall, R. J. (1951) J. Biol. Chem., 193, 265)을 사용하였다. 간장장해가 유발되면 간세포내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던 AST, ALT, γ-GT 및 SDH 등의 효소들이 혈액 중으로 유출되어 활성이 증가하고 간장 중에는 독성물질로 인한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이 증가된다. 또한 간장 중에는 독성물질의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GR, GST의 활성과 독성물질 포합되어 해독작용을 나타내는 GSH의 함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간기능 장해로 인해 증가 또는 감소되는 혈액 및 간장중 지표들의 전부 또는 그 일부의 활성 및 함량을 정상수준 또는 정상수준에 가깝게 감소시키거나 회복시켜주는 약물들은 간기능 개선효과를 갖게 된다.
간기능 지표 측정방법
구분 측정방법 단위
s-AST의 활성 레이트만과 프랑켈의 방법 (Reitman, S. and Frankel, S. (1957) Am. J. Clin. Pathol. 28, 56-63) Karmen unit/㎖
s-ALT의 활성 레이트만과 프랑켈의 방법 (Reitman, S. and Frankel, S. (1957) Am. J. Clin. Pathol. 28, 56-63) Karmen unit/㎖
γ-GT의 활성 스자사의 방법 (Szasa, G. (1969) Clin. Chem. 15, 124-136) mU/㎖
SDH의 활성 게라흐의 방법 (Gerlach, U. (1965) In Methods of Enzymatic Anlaysis (Bergmyer, H. U., Ed), 112-117, Verlag Chemic Press. Weitheim. Germany) Sigma unit/㎖
LPO의 함량 오카와등의 방법 (Ohkawa, H., Ohishi, N and Yaki, K. (1979) Anal. Biochem., 95, 351) 조직 1g당 말론디알데히드의 nmol
GSH의 함량 엘만 등의 방법 (Ellman, G. L. (1959) Arch. Biophys., 30, 2409) 조직 1g당 μmol
GST의 활성 하비그등의 방법 (Habig, W. H., Pabist, M. J. and Jakoby, W. B. (1974) J. Biol. Chem., 249, 7130) 1분동안 단백질 1㎎당 1-클로로-2,4-디니트로벤젠의 nmole
GR의 활성 미즈와 랑돈의 방법 (Mize, C. E. and Langdon, R. G. (1962) J. Biol. Chem., 237, 1589) 1분동안 단백질 1㎎당 생성되어지는 GSH의 nmole
상기 실험에 대하여 실험결과는 평균치±표준오차로 표시하여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고, 이 때 통계적인 유의성 검증은 T-test를 이용하였다.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보호효과(혈청 중 지표)
구분 예덕나무피엑스(㎎/㎏) 사염화탄소(㎖/㎏) 혈청 중 지표
s-AST의 활성 s-ALT의 활성 γ-GT의 활성 SDH의 활성
정상군 0 0 54.2±0.80 31.6±0.94 24.4±0.51 18.2±0.50
대조군 0 0.5 181.4±3.45# 88.6±1.19# 189.8±4.40# 61.0±1.20#
시료군1 150 0.5 168.2±2.36@ 70.4±0.72@ 171.1±3.28@ 56.9±0.94$
시료군2 300 0.5 100.1±2.32@ 58.4±0.62@ 102.8±2.58@ 31.2±0.89@
시료군3 600 0.5 97.0±2.15@ 55.5±0.53@ 98.1±2.18@ 30.1±1.08@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보호효과(간장중 지표)
구분 예덕나무피엑스(㎎/㎏) 사염화탄소(㎖/㎏) 간장 중 지표
LPO의 함량 GSH의 함량 GST의 활성 GR의 활성
정상군 0 0 20.8±0.53 5.23±0.09 252.3±3.45 24.6±0.48
대조군 0 0.5 67.4±0.97# 2.73±0.09# 143.7±4.15# 13.5±0.44#
시료군1 150 0.5 61.2±1.18@ 2.91±0.06 152.2±3.28 14.4±0.39
시료군2 300 0.5 42.8±0.78@ 3.95±0.07@ 201.8±4.38@ 19.9±0.33@
시료군3 600 0.5 43.7±0.70@ 4.03±0.05@ 198.4±4.13@ 20.0±0.39@
# : P<0.01로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 : P<0.05, @ : P<0.01 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사염화탄소 투여시 간기능 지표인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예덕나무피 엑스를 미리 투여한 경우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은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예 2.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보호 효과
참고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예덕나무피 엑스 150, 300 및 600 ㎎/㎏을 흰쥐에 7일동안 매일 경구로 투여하고 7일째 투여 다음, 24시간과 96시간 후에 갈락토사민 400㎎/㎏을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각각 복강내에 투여하고, 갈락토사민을 마지막으로 투여한 다음 72시간 후에 탄산가스로 마취하여 개복하고, 채혈 및 간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표 5에 기재하였다.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보호효과(혈정중 지표)
구분 예덕나무피엑스(㎎/㎏) 갈락토사민(㎎/㎏) 혈청 중 지표
s-AST의 활성 s-ALT의 활성 γ-GT의 활성 SDH의 활성
정상군 0 0 54.2±0.80 31.6±0.94 24.4±0.51 18.2±0.50
대조군 0 400 105.8±9.60 56.0±1.15# 84.2±1.12# 54.5±1.32#
시료군1 150 400 98.8±1.77@ 53.4±0.56 79.4±2.27 50.3±3.94$
시료군2 300 400 69.0±1.47@ 39.7±1.06@ 49.8±1.21@ 29.6±1.02@
시료군3 600 400 68.6±1.14@ 37.3±0.50@ 47.6±1.08@ 27.8±0.81@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보호효과(간장중 지표)
구분 예덕나무피엑스(㎎/㎏) 갈락토사민(㎎/㎏) 간장 중 지표
LPO의 함량 GSH의 함량 GST의 활성 GR의 활성
정상군 0 0 20.8±0.53 5.23±0.09 252.3±13.8 24.6±0.48
대조군 0 400 57.2±0.94# 3.16±0.07# 164.6±3.68# 16.2±0.37#
시료군1 150 400 55.1±0.49 3.38±0.06$ 176.1±3.43$ 18.4±0.40@
시료군2 300 400 34.3±0.48@ 4.54±0.06@ 210.1±3.80@ 21.1±0.41@
시료군3 600 400 33.3±0.62@ 4.62±0.06@ 208.4±3.05@ 21.3±0.32@
# : P<0.01로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 : P<0.05, @ : P<0.01 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갈락토사민 투여시 간기능 지표인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예덕나무피 엑스를 미리 투여한 경우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은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예 3.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치료 효과
실험시작(0시간)과 12시간 후에 사염화탄소 0.5㎖/㎏(동량의 올리브유에 용해한 것)을 흰쥐에 각각 복강내 투여하고 최초 투여 후 24시간부터 참고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예덕나무피 엑스 150, 300 및 600 ㎎/㎏을 7일 동안 매일 경구로 후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탄산가스 마취 후 개복 채혈 및 간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의 후투여는 간독성 치료의 차원에서 수행되어졌다. 나머지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결과를 표 6, 표 7에 기재하였다.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치료효과(혈청중 지표)
구분 사염화탄소(㎖/㎏) 예덕나무피엑스(㎎/㎏) 혈청 중 지표
s-AST의 활성 s-ALT의 활성 γ-GT의 활성 SDH의 활성
정상군 0 0 56.2±1.10 38.4±1.09 25.3±0.88 17.2±0.77
대조군 0.5 0 174.3±4.15# 88.3±1.71# 190.5±4.03# 59.9±1.23#
시료군1 0.5 150 154.0±3.83@ 83.3±1.52$ 172.2±3.75@ 56.2±1.24
시료군2 0.5 300 92.8±1.49@ 65.1±1.66@ 98.7±1.94@ 37.6±0.86@
시료군3 0.5 600 87.0±2.02@ 64.6±1.71@ 96.1±1.90@ 35.7±0.67@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치료효과(간장중 지표)
구분 사염화탄소(㎖/㎏) 예덕나무피엑스(㎎/㎏) 간장 중 지표
LPO의 함량 GSH의 함량 GST의 활성 GR의 활성
정상군 0 0 20.3±0.45 5.43±0.12 248.7±3.80 26.1±0.60
대조군 0.5 0 59.7±1.33# 2.78±0.12# 131.8±3.30# 12.1±0.39#
시료군1 0.5 150 57.4±0.89 3.05±0.10 149.7±3.80 13.4±0.31$
시료군2 0.5 300 27.3±0.60@ 4.56±0.07@ 203.0±3.88@ 20.6±0.46@
시료군3 0.5 600 27.5±0.62@ 4.69±0.38@ 209.4±3.40@ 21.3±0.48@
# : P<0.01로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 : P<0.05, @ : P<0.01 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사염화탄소 투여시 간기능 지표인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예덕나무피 엑스를 후 투여한 경우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예 4.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치료 효과
실험 시작(0시간)과 72시간 후에 갈락토사민 400㎎/㎏을 흰쥐에 각각 복강내 투여하고 최초 투여후 7일 후부터 참고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예덕나무피 엑스 150, 300 및 600 ㎎/㎏을 7일동안 매일 경구로 후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탄산가스 마취 후 개복 채혈 및 간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머지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그 결과를 하기 표 8, 표 9에 기재하였다.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치료효과(혈청중 지표)
구분 갈락토사민(㎎/㎏) 예덕나무피엑스(㎎/㎏) 혈청 중 지표
s-AST의 활성 s-ALT의 활성 γ-GT의 활성 SDH의 활성
정상군 0 0 56.2±1.10 38.4±1.09 25.3±0.88 17.2±0.77
대조군 400 0 114.6±2.95# 75.4±1.90# 82.0±1.63# 49.5±1.12#
시료군1 400 150 104.0±3.15$ 70.6±1.30 76.2±1.34$ 44.6±0.92@
시료군2 400 300 68.9±1.17@ 47.0±1.25@ 45.1±1.03@ 31.3±0.72@
시료군3 400 600 65.0±1.17@ 46.8±1.51@ 45.1±0.80@ 29.7±0.57@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예덕나무피 엑스의 간 치료효과(간장중 지표)
구분 갈락토사민(㎎/㎏) 예덕나무피엑스(㎎/㎏) 간장 중 지표
LPO의 함량 GSH의 함량 GST의 활성 GR의 활성
정상군 0 0 20.3±0.45 5.43±0.12 248.8±3.80 26.1±0.60
대조군 400 0 49.7±0.97# 3.24±0.06# 162.3±3.80# 16.1±0.45#
시료군1 400 150 47.9±0.80 3.35±0.11 169.1±4.45 17.5±0.43$
시료군2 400 300 32.6±0.67@ 4.72±0.07@ 208.1±3.65@ 21.4±0.47@
시료군3 400 600 32.5±0.92@ 4.68±0.08@ 212.5±3.48@ 21.5±0.45@
# : P<0.01로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 : P<0.05, @ : P<0.01 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갈락토사민 투여시 간기능 지표인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예덕나무피 엑스를 후 투여한 경우 혈청 중 s-AST, s-ALT, γ-GT, SDH 활성과 간장 중 LPO의 함량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장 중 GSH 함량, GST 및 GR의 활성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예 5. 예덕나무피엑스의 간경화(섬유화) 억제효과
쿤투라스(Kountouras, Biling, B.H. and Scheuer, P.J. (1984) Br.J.Exp. Pathol. 65, 305-311)의 방법에 따른 담도결찰 모델은 간경변의 원인, 기전, 간경변시의 여러 변화 등을 연구하기 위해 간경화(섬유화)의 실험동물모델로 널리 사용되었다.
한국 실험 동물센타에서 구입한 150±20g의 SD계 흰쥐를 일주일 이상 일정한 조건(온도: 20±2℃, 습도: 60%, 명암: 12시간 명/암 주기)에서 적응시킨 후, 10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마취하에 개복하여 담도를 결찰하고 근육과 피부를 봉합한 다음 3일간 안정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예덕나무피엑스 150, 300 및 600mg/kg을, 양성대조군으로는 실리마린 40mg/kg을 각각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이때 개복 및 봉합(담도결찰은 하지 않음)만 하고 예덕나무피엑스도 투여하지 않은 군(정상군), 담도결찰은 하고 예덕나무피엑스는 투여하지 않은 군(대조군)에 대해서도 실험하였다. 마지막 약물투여 후 16시간 절식하고 에테르 마취하에 복부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고 간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취한 혈액 및 간조직에 대하여 간기능 지표로서 혈액 중 혈청 s-AST(아스파라진산 아미노 전이효소), s-ALT(알라닌 아미노 전이효소)의 활성은 레이트만과 프랑켈의 방법(Reitman, S. and Frankel, S.(1957) Am.J.Clin.Pathol. 28, 56-63)으로 측정하였으며, 간경화(섬유화)의 정도는 그 지표로서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함량을 자말 등(Jamall, I.S., finelli, V.N. and Que Hee, S.S.(1981) A simple method to determine nanogram levels of 4-hydroxyproline in biological tissue. Anal. Biochem. 117, 7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담도가 결찰되어 간장장해가 유발되면 간세포 내에서 선택적으로 존재하던 AST 및 ALT 등의 효소들이 혈액중으로 유출되어 활성이 증가되고 간조직은 경화(섬유화)가 진행되어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담도결찰로 인한 간장장해로 증가된 AST 및 ALT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간조직중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을 감소시키는 약물들은 간경화(섬유화)를 방지 및 예방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실험에 대하여 실험결과는 평균치±표준오차로 표시하여 하기 표10에 기재하였고, 이때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은 t-test를 이용하였다.
구분 예덕나무피엑스(mg/kg) 간경화(섬유화) 지표
히드록시프롤린(㎍/0.2g) AST ALT
정상군 0 61.1±5.5 60.1±5.7 34.0±1.1
대조군 0 232.4±16.6# 1087.3±45.7# 127.2±10.0#
시료군1 150 176.4±6.1*** 1116.7±59.4 99.8±7.3*
시료군2 300 169.8±2.7*** 916.1±31.0** 92.5±3.8***
시료군3 600 167.6±5.3*** 759.8±12.9*** 89.0±3.5***
실리마린 40 193.7±6.1* 917.3±47.8 105.6±4.0*
#: P<0.01로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 P<0.05, **: P<0.02, ***: P<0.01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이 있다.
대조군에서 간섬유화의 지표물질인 히드록시프롤린의 함량은 232.4㎍/0.2g으로 정상군 61.1㎍/0.2g에 비해 약 3.8배 증가하였고, AST는 16.9배, ALT는 2.9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예덕나무피엑스 투여군은 히드록시프롤린 함량 및 AST, ALT 활성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예덕나무피엑스는 간경화(섬유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제 제조예 1:정제
예덕나무피 엑스 300.0mg
락토오스 BP 150.0mg
전분 BP 30.0mg
전젤라틴화 옥수수 전분 BP 15.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0mg
예덕나무피 엑스를 락토오스, 전분 및 전젤라틴화 옥수수 전분과 혼합한 후, 적합한 용적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분말로 과립화시켰다. 과립을 건조시킨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혼합하고 압착하여 정제를 얻었다.
제제 제조예 2:코팅정
예덕나무피 엑스 300.0 mg
유당 60.0 mg
옥수수 전분 300.0 mg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3.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0 mg
예덕나무피 엑스와 유당 및 옥수수 전분의 혼합물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용액을 이용하여, 1 mm 메쉬의 체를 통하여 과립화하고, 40oC에서 건조한 후 다시 체로 걸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과립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압축하였다. 얻어진 중심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백당, 산화티탄, 탈크 및 아라비아 고무의 수성 현탁액에 의해 당의로 코팅하였다. 코팅된 정제를 밀랍으로 염출하였다.
제제 제조예 3:캡슐제
예덕나무피 엑스 300.0mg
전분 1500 100.0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BP 2.0mg
예덕나무피 엑스를 부형제와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 중에 충전하여 캡슐을 수득하였다.
제제 제조예 4: 간기능 개선음료의 제조
참고제조예 1에서 얻어진 예덕나무피 엑스 100.0㎎에 증류수를 가하여 90㎖로 한 다음, 액상과당 7~10중량부, 구연산 0.1~0.2중량부를 가하여 간기능 개선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제 제조예 5: 간기능 개선 차(tea)의 제조
참고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예덕나무피 엑스 300 mg에 덱스트린(dextrin) 300 mg과 포도당 300 mg에 적당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충분히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후, 이를 건조하여 간기능 개선 차(tea)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험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예덕나무피 엑스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어 간기능 개선제 또는 간기능 개선음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베르겐닌이 12∼18% 함유된 예덕나무피 엑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3. 제1항에 있어서, 예덕나무피 엑스는 건조한 예덕나무피 조말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10중량부를 가하고 2시간씩 2회, 3회째에는 5중량부를 가하고 2시간 동안 90~100℃ 수욕상에서 가온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수욕상에서 감압농축,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개선제.
  4.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음료.
  5. 예덕나무피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차.
KR1019980043049A 1998-01-09 1998-10-14 예덕나무피엑스를유효성분으로하는간기능개선제 KR100473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00389 1998-01-09
KR1998-389 1998-01-09
KR1019980000389 199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787A true KR19990066787A (ko) 1999-08-16
KR100473078B1 KR100473078B1 (ko) 2005-07-18

Family

ID=1953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049A KR100473078B1 (ko) 1998-01-09 1998-10-14 예덕나무피엑스를유효성분으로하는간기능개선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57388B1 (ko)
KR (1) KR100473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8851B1 (en) 2012-05-29 2016-03-23 Ueno Fine Chemicals Industry, Ltd. Liver function-improving ag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999A (ja) * 1983-08-09 1985-02-27 Osaka Chem Lab 肝障害有効薬物の簡易試験法
JP3547782B2 (ja) * 1993-12-28 2004-07-2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活性剤
JPH11209282A (ja) * 1998-01-09 1999-08-03 Haku Shan Kim ベルゲニン及びその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改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09297A (ja) 1999-08-03
KR100473078B1 (ko) 2005-07-18
JP2857388B1 (ja) 199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essen et al. Silymarin as supportive treatment in liver diseases: A narrative review
CA2701190C (en) Herb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epatic disorders
US20070160626A1 (en) Medicinal composition for liver diseases
MXPA02009695A (es) Uso profilactico y terapeutico de oltipraz como un agente antifibrotico y anticirrotico en el higado y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ntiene oltipraz.
JP2007516991A (ja) 慢性静脈不全の治療のための赤ブドウの葉の水性抽出物及び血液循環改善剤を含む組成物
KR10041418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0473078B1 (ko) 예덕나무피엑스를유효성분으로하는간기능개선제
KR19990066786A (ko) 베르겐닌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KR100592792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KR100653877B1 (ko)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Oloyede et al. Protective potentials of Vernonia amygdalina leaf extracts on cadmium induced hepatic damage
JPH09241157A (ja) リソスペルメートb含有肝臓保護作用医薬組成物
RU2250768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рогрессирующего фиброза и цирроза печени
JP2955679B2 (ja) エタノール代謝促進剤
KR100377789B1 (ko) 간섬유화 및 간경화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JP2004262929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100495825B1 (ko) 간 기능 개선 및 간 질환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0137602B1 (ko)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의약조성물
RU2311919C2 (ru) Разработка противокашлевой и смягчающей горло травяной композиции
KR20240011489A (ko)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pp4 과발현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1335503A (ja) ラジカル消去用医薬品
KR970005328B1 (ko)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KR20030021072A (ko) 간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간장질환용제
KR20020004193A (ko) 알콜 흡수 억제제를 함유한 숙취 제거 및 간장 보호용조성물
KR20000074867A (ko) 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