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957A - 오일 부가물 컨디셔너 - Google Patents

오일 부가물 컨디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957A
KR19990063957A KR1019980702430A KR19980702430A KR19990063957A KR 19990063957 A KR19990063957 A KR 19990063957A KR 1019980702430 A KR1019980702430 A KR 1019980702430A KR 19980702430 A KR19980702430 A KR 19980702430A KR 19990063957 A KR19990063957 A KR 1999006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uct
alkyl
phase
formula
ad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나톨리 알렉산더
레이턴 케이. 쇼드후리
안나 에이. 그리프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제이. 데이비스
아이에스피 밴 다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제이. 데이비스, 아이에스피 밴 다이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제이. 데이비스
Publication of KR1999006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4Nail coating rem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acids with a six-membered 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테르가 임의의 식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을 포함한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또는 리놀레산의 불포화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와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와의 디일스-알더 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및 합성 오일 부가물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일 부가물 컨디셔너
인간의 피부는 구조의 골격을 형성하는 케라틴 및 콜라겐 섬유 단백질을 피복하고 보호하는 몇몇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층으로 언급되는 이들 층중 최외각층은 80Å 두께층으로 둘러싸인 250Å 단백질 다발로 이루어져 있다. 유사하게는 모발도 모발 섬유 또는 큐티클을 둘러싼 보호성 외부 피막을 가진다. 큐티클의 표면은 박층, 즉 지질 및 단백질을 함유한 에피큐티클로 덮혀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각질층막과 큐티클을 침투할 수 있고 탈지질화 과정에 의해 막 통합성을 파괴시킬 수 있다. 피부 및 모발 보호막의 이러한 방해는 피부의 거침 및 눈 자극을 야기시키고 결국에는 케라틴 및 모발 단백질과 계면활성제를 상호작용시켜 홍반, 차단층의 감소 및 물 보유력의 손실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중앙 난방, 에어 컨디셔닝, 빠른 기후 변화, 공기 오염원으로의 노출 증가 및 헤어 트리트먼트 제품의 빈번한 사용도 또한 피부 및 모발의 손상에 한몫을 한다. 따라서, 미용사의 주요 관심사는 피부 및 모발에 미치는 이러한 악 영향을 없애고 천연 피부 및 모발의 기능을 지지하거나 증가시키는데 있다. 로션, 크림 등과 같은 이상적인 화장용 제품은 계면활성제 또는 용매 작용에 의해 제거된 피부 표면 지질을 대신하는 대체물을 제공해야 한다. 불행하게도, 현재 크림 및 로션에 적용되는 연화성 부가제는 원하는 피부 연화 지속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반면에, 화장용 세정제는 이상적으로는 모발 및 피부를 탈지하고/탈지하거나 건조시키지 않고 빈번한 사용 후에는 눈 점막을 자극하거나 피부 긴장을 남김이 없이 세정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대부분의 거품 비누, 샤워 및 목욕 용품, 샴푸 및 비누바는 실패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친 디엔체와 지방산,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오일의 디일스-알더 반응과 관련된 문헌은 퍼스널 케어 적용을 위해 식물성 오일 폴리카복실화 부가물의 사용을 기술한 미국 특허 4, 196, 134 및 4, 740, 36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잡하고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이 부가물을 크림 및 로션에서 연화제로 사용하더라도, 이는 끈적이면서 높은 점도를 보유하고 있어 제형시에는 펴짐성 및 균일한 적용을 위해 필요한 정도의 윤활성을 달성하도록 복합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첨가를 요구한다. 이러한 제형의 예는 유럽 특허공개 WO 92/06669에서 나타내고 있다.
폴리카복실화 부가물의 다른 단점은 퍼스널 케어를 위한 제형에서 반드시 이들 농도를 조성물의 20% 이하로 제한하는 피부 자극 유발 효과이다. 또한, 이 폴리카복실화 부가물의 높은 점도로 인해, 산 작용성의 약 30 몰%만이 부가 생성물 중에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수준의 혼입은 자가 산화로 인해 산패되기 쉬운 오일 부가물에서 높은 농도의 공액 올레핀을 생성시킨다. 그러나, 산 작용성은 친수성 그룹이 낮은 습도에서 피부상태 조절 효과에 기여하도록 하는 표피 지질 이중층의 극성 접촉면에 남아있도록 구조 배열을 제공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참조문헌; D. S. Osborne, Cosmetics & Toiletries, 103, p. 57 (1988)].
이와같이, 본 조사의 목적은 사용의 장기간에 걸쳐 보습 효과를 유지하면서 상당히 낮은 점도와 자극성을 지닌 비점착성 지방산 에스테르 부가물을 발견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의 글리세라이드 부가물의 유리한 특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이면서 의외로 우수한 기질 실체성 및 현격히 낮은 점도를 나타내어 분자당 낮은 산가를 가진 귀중한 비지방성, 비점착성 모발 및 피부 컨디셔닝제를 제공하고 알칼리 또는 산 유도 홍반에 대한 보호용으로 비가시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는 이러한 향상된 부가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원에서 기술된 특유 부가물을 합성하기 위해 경제적이면서도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외 다른 목적은 하기 명세서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을 가진 다가 또는 1가 알콜의 공액 폴리올레핀 모노-, 디- 또는 트리- 에스테르의 오일 부가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에서,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a는 b 및/또는 c가 양의 값을 가질 경우에는 0이고 b 및 c가 0일 경우에는 1이며;
R은 수소 또는 C1내지 C20알킬이며;
R1, R2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OR6(여기서 R6는 하이드록시로 임의로 치환된 C10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임), 또는 화학식 2이다.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각각 3 내지 9의 값을 가지며, 단 부가산물의 R1, R2및 R3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2이고,
R4및 R5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 알케닐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의 C1내지 C22라디칼이고 임의의 다른 R4및 R5는 수소 또는 알킬, 알케닐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의 C1내지 C22라디칼이다.
상기 부가물이 유도되는 오일은 하기 작용 그룹을 함유한 임의의 식물성 오일에서 발견되는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 및/또는 리시놀레산을 함유한다.
-CH=CH-(CH2)p-(CH=CH)q-(CH2)r-CH=CH-
상기 식에서,
p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값을 가지고,
q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천연 식물성 오일은 탈수된 피마자유 및 아몬드, 살구씨, 캔델너트, 옥수수, 목화씨, 자몽씨, 삼씨, 판야, 아마인, 오이티시카, 올리브, 오랜지씨, 팜, 땅콩, 페릴라, 포피씨, 쌀겨, 잇꽃, 참깨, 대두, 해바라기씨, 차열매, 오동나무, 호두 및 밀싹 오일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다불포화 부위는 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4, 196, 13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약 80℃ 내지 약 250℃의 온도를 받는 경우에, 요오드, 황, 이산화황, 나트륨, 니켈, 셀레늄 등과 같은 이성화 촉매 약 0.05 내지 약 2 중량% 존재하에 공액된다. 공액 이중 결합을 가진 합성 글리세린,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글리콜 지방 오일은 모노-, 디- 및 트리-리놀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 중에서, 대두, 해바라기 및 잇꽃 오일과 같이 다량의 리놀레산을 함유한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고, 이 중 대두 오일이 가장 바람직하다.
작용 그룹 -CH=CH-(CH2)p-(CH=CH)q-(CH2)r-CH=CH- 및 화학식 R5OOC=CH=CH-COOR4의 공반응물 에스테르를 함유한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또는 레시노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에서와 같이 합성 오일을 포함하는 공액 폴리올레핀 오일과 식물성 오일간의 디일스-알더 축합 반응에 의해 본 부가 생성물을 수득한다.
지방 오일의 공액결합 반응은 단계 반응중의 제 1 단계에 이어 R5OOC=CH=CH-COOR4공반응물과 함께 약 150℃ 내지 약 260℃에서의 디일스-알더 축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공액 결합 반응 및 축합 반응이 단일 단계로 동시에 수행되는 과정이 바람직하다. -CH=CH-CH=CH- 라디칼 : 에스테르 공반응물의 몰비는 약 1 : 1 내지 약 3 : 1 사이이다.
일반적으로, 대기 또는 약간의 승압에서 약 0.5 내지 약 15 시간에 걸쳐 부드럽게 혼합하면서 반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분별증류 또는 진공 증류에 의해 저 분자량의 부산물을 스트리핑하고 약 100 내지 약 1500 cps 사이의 브룩필드 점도를 가진 투명한 오일 생성물을 수집한 후에 부가 생성물을 회수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생성물은 모노(2-에틸 헥실) 말리에이트/대두 오일 부가물(MSO)이지만; 임의의 낮은 방향 오일 부가물도 또한 권장된다.
본 생성물은 본원에서 참조 문헌으로도 인용되는 미국 특허 4, 740, 367 및 유럽 특허공개 WO 92/06669에서 기술된 부가물의 모든 유리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물은 비점성이며, 상당히 높은 분자량에도 불구하고, 특허된 부가물보다 최소 25% 정도 감소된 점도를 보유한다. 추가로, 낮은 점도 부가물의 저 산가는 불쾌한 피부 자극없이 퍼스널 케어 및 다른 제형에서 80% 이하의 높은 로딩을 가능케한다. 본 부가물은 가죽 및 비닐 처리 조성물 뿐만 아니라, 퍼스널 케어 제형에 있어 보습 및 컨디셔닝 효과를 위한 오일 또는 물 기제 유탁액, 분산액 또는 콜로이드로 적당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고 농도의 본 부가물을 함유한 조성물로 비닐 실내장식품류 또는 자동차 지붕에 처리하면 플라스틱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긁힘, 균열 및 무디어짐으로부터 이를 보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시판용 퍼스널 케어 제형에 있어 본 부가물의 유효 농도는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5 중량%이지만, 가죽 및 비닐 처리 조성물의 경우, 부가물 농도는 조성물의 50% 정도로 높을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 현탁액, 분산액, 콜로이드 등과 같은 로션, 크림 또는 고약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부가물의 이러한 시판용 제품으로의 혼입은 우수한 보습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메틸 니코티네이트와 같은 피부 및 가죽 침투제 및 다른 자극유발 또는 표면을 무디게하는 물질에 대해 차단층 역할도 한다.
설명을 위해, 본 도면은 말리에이트화 부가물의 부재(샘플 A), 10 중량% 말레산-대두 오일 부가물의 존재(샘플 A1) 및 10 중량% MSO의 존재하에(샘플 A2) 물 기제 겔중의 0.85% 메틸 니코티네이트에 의해 야기된 피부 홍반 및 말리에이트화 부가물의 부재(샘플 B), 8 중량% 말레산-대두 오일 부가물의 존재(샘플 B1) 및 8 중량% MSO의 존재(샘플 B2)하에 겨 기름 기제 겔중의 1% 메틸 니코티네이트에 의해 야기된 피부 홍반의 감소를 비교하고 있다. 보는 바와 같이, 10% 말레산 부가물을 함유한 수용액에서는 니코티네이트 자극에 있어 거의 두배에 해당하는 감소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동량의 본 부가물로 추가로 7%가 감소하며 말레산-대두 오일 부가물 8 중량%를 함유한 오일 조성물에 있어서는 거의 40%의 감소가 수득되며 본 MSO 부가물 8%를 사용하여 추가로 6%가 향상된다.
본 부가물을 함유한 제형은 추가로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10 중량%까지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양쪽성 이온, 비이온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데 이들은 따로따로 또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공개 WO 92/06669에서 기술된 바에 따른 혼합물과 같이 혼합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부가물 제형은 방향제, 방부제, 추가적인 연화제, 막 형성 중합체, 비타민 E 등도 또한 함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부제는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0 중량%의 농도로 이용될 수 있다. 나머지 첨가물은 각각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약 0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개별 양으로 존재한다.
하기는 본 부가물의 용도를 유형화하는 제형을 나타내고 있다.
컨디셔닝 비누바
성분 % 중량/중량
브래드프라이드 비누 베이스 97.00
MSO 1.00
방향제 2.00
컨디셔닝 매니큐어 제거제
성분 % 중량/중량
아세톤 (99%) 90.00
MSO 10.00
애프터 쉐이브 밤
성분 % 중량/중량
상 A 탈이온수 52.5
가교 결합된 폴리아크릴산(Carbomer 941) 25.00
상 B 트리에탄올아민 (99%) 0.50
에탄올 (40% 무수) 10.00
상 C MSO 5.00
20 에톡실화된 스테아레이트(CERASYNTR840) 3.00
미네랄 오일/라놀린 알콜 3.50
상 D 프로필렌 글리콜/디아졸리디닐 우레아/메틸 및 프로필 파라벤(GERMABENRII) 0.50
방향제 충분량
100.00
본 조성물은 75 내지 80℃에서 일정한 교반하에 A-C를 상기 순으로 첨가한 다음 D를 첨가하기 전에 40℃로 냉각시킨 후 점차 실온으로 냉각시켜 제조된다.
선 스크린
성분 % 중량/중량
상 A 옥틸 디메틸 p-아미노벤조산(ESCALOLR507) 8.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ESCALOLR557) 7.50
벤조페논-3 (ESCALOLR567) 5.00
Brij 72 (Steareth-2) 2.00
Arlacel 83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00
옥틸 팔미테이트 (CERAPHYLR368) 5.00
상 B 탈이온 수 충분량
프로필렌 글리콜 4.00
Carbopol 1342 (아크릴산 중합체) 0.20
메틸파라벤 0.20
프로필파라벤 0.20
상 C 트리에탄올아민 99% 0.20
상 D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GERMALLR115) 0.15
상 E 방향제 0.20
상 F MSO 3.00
100.00%
제조 과정1. 카보폴의 분산 및 상 B의 제조.2. 상 A 및 B를 80℃까지 가열.3. 80℃에서 상 A를 상 B로 첨가하고 30분간 혼합.4. 80℃에서 상 C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 35℃로 냉각한 다음 상 D 및 상 E를 혼합. 상 F 첨가.5. 실온으로 냉각하고 균질화시킨 다음 포장.
애프터 선 모이스쳐 로션
성분 % 중량/중량
상 A 코코아 버터 1.00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5.00
미네랄 오일 7.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비타민 E 아세테이트) 0.50
PEG-40 스테아레이트 (Myrj 52S) 1.00
바셀린 (Penreco Super) 2.00
파라핀 130/135 2.00
아보카도 오일 0.50
상 B 아크릴산 공중합체 (Carbomer 1342) 0.40
MSO 3.00
상 C 탈이온수 충분량
글리세린 5.00
메틸파라벤 0.20
프로필파라벤 0.20
Aloe Vera Gel (Veragel 액체 1:1) 10.00
상 D 트리에탄올아민 99% 0.40
상 E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GERMALLR115) 0.15
상 F 방향제 0.20
100.00%
제조 과정1. 상 C를 배합하고 80℃까지 가열.2. MSO의 Carbomer 1342로의 분산 및 상 B의 제조.3. 80℃에서 상 B를 상 C로 첨가하고 15분간 혼합.4. 상 A의 배합 및 80℃까지 가열.5. 80℃에서 상 A를 상 BC로 첨가. 15분간 혼합. 이에 상 A를 첨가하고 충 분히 혼합.6. 35℃까지 냉각하고 이에 상 E 및 F 첨가. 실온으로 냉각 및 포장.
보습 내수성 선스크린 겔
성분 % 중량/중량
상 A 탈이온수 충분량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데카디엔 가교 결합된 중합체(STABILEZER06) 0.40
상 B 나트륨 하이드록시메틸글리시네이트(SUTTOCIDERA) 0.40
상 C 페녹시에탄올 0.60
상 D MSO 2.00
Aloe Vera Gel (10배 농축물) 0.2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5
가용성 콜라겐 0.05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ESCALOLR557) 또는옥틸 디메틸 PABA (ESCALOLR507) 5.00
방향제 0.10
100.00%
제조 과정1. 상 A를 80℃까지 가열한 후 다시 85℃까지 가열.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2. 60℃까지의 저온. 상 B의 첨가.3. 뱃치에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혼합.4. 상 C의 첨가.5. 표에 실린 순서로 상 D의 성분을 동시에 첨가. 첨가와 첨가 사이에 잘 혼 합.
드라이 오일 바디 스프레이
성분 % 중량/중량
상 A 디옥틸 말레이트 (CERAPHYLR45) 20.10
MSO 8.00
옥틸 디메틸 PABA (ESCALOLR507) 1.40
방향제 0.50
사이클로메티콘 (실옥산) 45.00
알콜 SD 40 (에탄올) 25.00
100.00%
제조 과정1. 적당한 용기에서 교반과 동시에 표에 기재된 순서로 성분을 칭량.2.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 및 포장.
배스 오일
성분 % 중량/중량
상 A 트리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CERAPHYLR55) 20.00
(C12-C15) 알킬 락테이트(CERAPHYLR41) 5.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5.00
PEG-40 솔비탄 퍼올리에이트(Arlatone T) 2.00
미네랄 오일 65/75 53.00
MSO 5.00
방향제 및 방부제 충분량
100.00%
제조 과정총 뱃치를 함유할 수 있는 적당한 용기에서, 모든 성분을 칭량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 다음 포장.
다중-보호 광범위 스펙트럼 보습제
성분 % 중량/중량
상 A 세틸 알콜 1.00
사이클로메티콘 (실옥산 SWS-03314) 2.00
세테아릴 알콜 및 Ceteareth-20(Promulgen D) 4.00
트리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CERAPHYLR55) 6.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ESCALOLR557) 6.00
벤조페논-3 (ESCALOLR567) 3.00
Steareth-21 (Brij 721) 1.50
Steareth-2 (Brij 72) 1.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비타민 E 아세테이트) 0.50
상 B 탈이온수 55.35
가교 결합된 폴리아크릴산 (Carbopol 934) 0.20
글리세린 5.00
메틸파라벤 0.20
프로필파라벤 0.20
알로에 베라 겔 (베라겔 액체 1:1) 10.00
상 C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10% 수용액 0.70
상 D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GERMALLR115) 0.15
상 E 방향제 0.20
상 F MSO 3.00
100.00%
제조 과정1. Carbopol을 물에 분산시킨 다음, 다른 성분과 배합하여 상 B 제조.2. 80℃까지 상 A 및 상 B의 가열.3. 상 B에 상 A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4. 상 AB에 상 C를 첨가. 80℃에서 15분간 혼합.5. 35℃까지 냉각하고 상 D 및 E를 첨가. 상 F 첨가.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 장.
본 발명의 에스테르 부가물을 위해 적당한 다른 제형은 미국 특허 No. 4, 740, 367의 실시예 10, 11 및 12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본 에스테르화 부가물은 PCW-178을 대신하여 사용된다. 이 특허 명세서는 본원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 참조 문헌은 바람직한 부가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실시예를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상기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좀더 광범위하게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104 g의 모노(2-에틸헥실)말리에이트 및 329 g의 대두 오일을 스테인레스 1 리터 오토클레이브에 충진시키고 주위 온도에서 10분간 이 혼합물을 질소로 스파지시키며, 이렇게 한 후 1.3 g의 요오드 원소를 첨가한 후 추가적으로 5분간 이 오토클레이브를 또다시 질소로 스파지시킨다.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을 890 rpm의 속도로 교반시키고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킨 후 225℃까지 2시간에 걸쳐 가열한 다음 30분간 같은 온도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오토클레이브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배출시킨 다음 270℃ 및 100 μm Hg의 잔류압에서 319 그램의 물질이 제거되는 짧은 통로 증류 유닛으로 통과시켜, 42 mg KOH/g의 산가 및 360 cps의 점도를 가진 279 g의 최종 생성물을 수득한다 . 본 생성물은 가드너 스케일로는 컬러 1-2로 특징지워지고, 대두 오일에 대해 전형적인 낮은 방향을 가진다.
실시예 2
대두 오일 대신 잇꽃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40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42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3
대두 오일 대신 해바라기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41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42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4
64 g의 모노(2-에틸헥실)말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27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32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5
127 g의 모노(2-에틸헥실)말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58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2-3, 및 130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고 부하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6
104 g의 모노(2-에틸헥실)말리에이트 대신 85 g의 모노부틸 말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46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75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7
104 g의 모노(2-에틸헥실)말리에이트 대신 125 g의 모노(이소세틸)말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32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82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8
104 g의 모노에스테르 대신 156 g의 디(2-에틸헥실)말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한다. 0.4 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45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9
209 g의 디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을 반복 수행한다. 0.3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1-2, 및 615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10
104 g의 모노(2-에틸헥실)말리에이트 대신 48 g의 말레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76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3-4, 및 32,00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11
36 g의 말레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을 반복 수행한다. 61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3-4, 및 5, 60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12
24 g의 말레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을 반복 수행한다. 41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2-3, 및 1, 20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13
말레산 대신 24 g의 푸마르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를 반복 수행한다. 41 mg KOH/g의 산가, 가드너 스케일로 컬러 2-3, 및 1, 200 cps의 점도를 가진 최종 생성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14
329 g의 대두 오일 대신 300 g의 메틸 리놀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결과적인 생성물은 46 mg KOH/g의 산가를 가지는 투명 밀짚 색을 띤 액체이다.
실시예 15
329 g의 대두 오일 대신 300 g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올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결과적인 생성물은 41 mg KOH/g의 산가를 가지는 투명 밀짚 색을 띤 액체이다.
실시예 16
329 g의 대두 오일 대신 300 g의 글리세린 디리놀리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 수행한다. 결과적인 생성물은 44 mg KOH/g의 산가를 가지는 투명 밀짚 색을 띤 액체이다.
놀랍게도, 대응하는 다중산 부가물보다 고 분자량을 가진 본 에스테르 부가물은 제형시에 부합할 정도의 높은 로딩을 가능케하는 상당히 감소된 브룩필드 점도를 가진다. 이 특유 효과는 다양한 농도의 말리에이트화 작용성을 사용하고 대응하는 부가물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대두 오일로 혼입시키는 하기 표 10에서 설명되고 있다.
생성물예 적용된 말리에이트화 작용성 오일에 혼입된말리에이트화리놀리에이트 % 점도(cps)
4 모노(2-에틸헥실) 말리에이트 40 320
1 모노(2-에틸헥실) 말리에이트 60 360
5 모노(2-에틸헥실) 말리에이트 75 1, 300
8 디(2-에틸헥실) 말리에이트 60 450
9 디(2-에틸헥실) 말리에이트 80 615
12 말레산 32 1, 200
10 말레산 64 32, 000
상기 실험은 에스테르 부가물의 75% 혼입은 1, 300 cps의 점도를 생성함에 비해, 다중산 부가물의 단지 32%(1/2 이하)만의 혼입으로도 거의 동일한 점도의 생성물을 생성하고 다중산 부가물의 64% 혼입은 32, 000 cps의 점도를 가진 실질적으로는 비퍼짐성 생성물을 생성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중말레산/대두 오일 부가물과 적당하면서 고 부하 샘플인 모노(2-에틸헥실) 말리에이트/대두 오일 부가물 사이의 추가적인 비교 시험은 0.4 중량%의 가교 결합된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 + 5.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CERASYNT GMS) + 2.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스테아레이트 + 4.0 중량% 부가물 + 물(q.s)로 구성된 전형적인 수성 제형에서 및 부가물 단독으로 수행된다. 인간 피부에 적용된 이 시험의 결과는 하기 표 11에서 보고하고 있다.
부가물 단독
접착성 보통 낮음 보통
촉감 (피부상에서) 거침 부드러움/드라이어 거침
미끄러짐 보통 보통 보통
냄새 일반적임 옅음 옅음
부가물의 예 12 1 5
지시에 따라 배합된 부가물
접착성 보통 약간 보통
후촉감 보통 드래그 약간 드래그 약간 드래그
미끄러짐 양호 양호 양호
문지름 양호 양호 양호
부가물의 예 12 1 5

Claims (14)

  1. 모발, 피부, 가죽 및 비닐 세정을 위한 부가물 및 본질적으로 화학식 1을 가진 에스테르 부가물로 구성된 컨디셔닝 제형으로 적당한 보습 화합물.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a는 b 및/또는 c가 양의 값을 가질 경우에는 0이고 b 및 c가 0일 경우에는 1이며;
    R은 수소 또는 C1내지 C20알킬이며;
    R1, R2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OR6(여기서 R6는 하이드록시로 임의로 치환된 C10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임), 또는 화학식 2이며,
    m 및 n은 각각 3 내지 9의 값을 가지고, 단 부가 생성물에서 R1, R2및 R3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2이고,
    R4및 R5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 알케닐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의 C1내지 C22라디칼이고 임의의 다른 R4또는 R5는 수소 또는 알킬, 알케닐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의 C1내지 C22라디칼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m과 n의 총합이 12인 부가물.
  3. 제 1 항에 있어서, b 및 c가 각각 1이고 a가 0인 부가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및 R3가 -COR6인 부가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및 R5중 하나가 C1내지 C22알킬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인 부가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및 R5가 각각 C1내지 C22알킬인 부가물.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R4및 R5중 적어도 하나가 2-에틸헥실인 부가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100 내지 약 1, 500 cps의 브룩필드 점도를 가진 부가물.
  9. 연화제로 오일 부가물을 함유한 개선된 퍼스널 케어 제형에 있어서, 공액 불포화를 갖는 오일과 불포화 모노- 또는 디- 에스테르를 반응시켜 제조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부가물에 의한 증진된 보습 및 조절된 개선점을 포함하는 제형.
  10. 모발 또는 피부 컨디셔닝 유효량의 제 1 항의 부가물 및 이에 대한 담체를 함유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제 1 항의 부가물 약 0.5 내지 약 65 중량%를 함유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1 항의 부가물 약 1 내지 약 30 중량%를 함유한 조성물.
  13. 약 150℃ 내지 약 260℃의 온도에서, q가 0 또는 1의 값을 갖는 작용 그룹 -CH=CH-(CH=CH)q-CH=CH-를 함유한 공액 폴리올레핀 오일과 R4및 R5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R4OOC-CH=CH-COOR5를 가진 공반응물 에스테르간의 디일스-알더 축합반응 실행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에스테르 부가물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q는 0이고 -C=C-C=C-라디칼 : 에스테르 공반응물의 몰비가 약 1 : 1 및 약 3 : 1인 방법.
KR1019980702430A 1995-10-18 1996-08-21 오일 부가물 컨디셔너 KR19990063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44,750 US5731450A (en) 1995-10-18 1995-10-18 Oil adduct conditioners
US8/544,750 1995-10-18
PCT/US1996/013703 WO1997014402A1 (en) 1995-10-18 1996-08-21 Oil adduct condition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957A true KR19990063957A (ko) 1999-07-26

Family

ID=2417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430A KR19990063957A (ko) 1995-10-18 1996-08-21 오일 부가물 컨디셔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31450A (ko)
EP (1) EP0874617A4 (ko)
JP (1) JPH11514362A (ko)
KR (1) KR19990063957A (ko)
CN (1) CN1199333A (ko)
AU (1) AU6859596A (ko)
BR (1) BR9611051A (ko)
CA (1) CA2231671A1 (ko)
MX (1) MX9802758A (ko)
NZ (1) NZ316377A (ko)
WO (1) WO1997014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9298B1 (en) * 1998-05-26 2001-05-29 International Lubricants Inc. Fuel lubricity additives
JP2002523561A (ja) * 1998-08-25 2002-07-30 クラリアン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ィド Uv活性剤の水性組成物、その製造及び使用
US5985806A (en) * 1999-01-19 1999-11-16 Lambent Technologies Inc Telomerized complex ester triglycerides
DE19958612B4 (de) * 1999-12-06 2005-02-10 Hübner, Georg Lipidische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sowie die Verwendung von Neopentansäureester, n-Octadecansäure-12-[(1-oxo-octadecyl)oxy]-ester oder eine Kombination aus beiden als Lösungsmittel
US7022861B1 (en) 2004-06-10 2006-04-04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Thermally cleavable surfactants
US9382352B2 (en) 2009-11-12 2016-07-05 Ndsu Research Foundation Polymers derived from plant oil
US9631040B2 (en) 2012-05-18 2017-04-25 Ndsu Research Foundation Functionalized amphiphilic plant-based polymers
WO2013173734A1 (en) * 2012-05-18 2013-11-21 Ndsu Research Foundation Functionalized amphiphilic plant-based polymers
WO2014113326A2 (en) 2013-01-15 2014-07-24 Ndsu Research Foundation Plant oil-based materials
CN109160999B (zh) * 2018-08-03 2021-01-05 华南农业大学 植物油基环氧预聚物和uv固化预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20332A1 (en) 2020-07-21 2022-01-27 Chembeau LLC Diester cosmetic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134A (en) * 1977-01-31 1980-04-01 Westvaco Corporation Vegetable oil adducts
DE3032612A1 (de) * 1980-08-29 1982-03-25 Grillo-Werke Ag, 4100 Duisburg Gewuenschtenfalls sulfierte partialester von mehrwertigen alkoholen -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autfreundliche, nicht ionogene und/oder anionenaktive oberflaechenaktive substanzen
US5008039A (en) * 1988-03-15 1991-04-16 Westvaco Corporation Low foaming rust inhibiting composition
EG19610A (en) * 1990-10-12 1995-07-27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4617A4 (en) 2000-01-12
CN1199333A (zh) 1998-11-18
MX9802758A (es) 1998-11-29
BR9611051A (pt) 1999-07-06
US5731450A (en) 1998-03-24
WO1997014402A1 (en) 1997-04-24
JPH11514362A (ja) 1999-12-07
NZ316377A (en) 1999-02-25
AU6859596A (en) 1997-05-07
EP0874617A1 (en) 1998-11-04
CA2231671A1 (en) 199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8631A (en) Monohydric alcohol-free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solubilized ethylcellulose
EP1024783B1 (en) Emollient compositions based on jojoba oil
US4829092A (en) Glycerol and diglycerol mixtures for skin moisturizing
AU2008226319B2 (en) Dispersion, gel and emulsification system
US20060093571A1 (en) Hair and skin protecting compositions based on esters or ethers of betulin
US20090285876A1 (en) Natural butters reconstituted by transesterification with glycerin and its use in cosmetics applications
US6692728B2 (en) Polyesters based on hydroxy fatty acids and lower hydroxy alkyl acids and uses thereof
TWI666028B (zh) 調節劑及調節組合物
US5731450A (en) Oil adduct conditioners
CA2327815C (en) Di-behenyl fumarate and its use in dermatological products
CZ20031646A3 (cs) Oleje na kůži složené z komponent rozpustných v oleji, z emulgátorů voda/olej s hodnotou HLB 2 až 6 a v případě potřeby z jedné nebo více běžných přísad, způsob jejich výroby a jejich použití
AU2015255686B2 (en) Non-petrochemically derived cationic emulsifiers,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US6706768B2 (en) Production and use of novel alkoxylated monoesters
US8927034B2 (en) High unsaponifiabl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1682482B1 (en) A method for improving spreading properties of fatty alcohol compounds, products, and uses of the same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05204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N117919128A (zh) 含4-叔丁基环己醇的稳定油脂组合物
KR20220144583A (ko) 에스테르계 유지로 팔미트산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457181B1 (ko) 피부자극이없는피부회생용화장품조성물
CA2156930C (en) Sunscreens containing plant extracts
JP2001106640A (ja) 皮膚塗布剤用基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