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749A - 내폭파 및 폭파통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폭파 및 폭파통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749A
KR19990063749A KR1019980702216A KR19980702216A KR19990063749A KR 19990063749 A KR19990063749 A KR 19990063749A KR 1019980702216 A KR1019980702216 A KR 1019980702216A KR 19980702216 A KR19980702216 A KR 19980702216A KR 19990063749 A KR19990063749 A KR 1999006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container
fiber
band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고르 팔레이
게리 알란 할펠
막스 빌헬름 겔라크
Original Assignee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스 로저 에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6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7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9Woun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due to explosion, e.g. inside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14Explosion or fire protection arrangements on packages or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폭발 물체를 받고 폭발시 손상을 방지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문 및 폐쇄물뿐만 아니라, 내폭파 및 폭파 통제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최소 3개의 포개진 띠로된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띠는 실질적으로 체적을 에워싸고 띠중 최소 2개의 두께의 총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용기벽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다. 상기 용기는 화물 지지대, 구체적으로는 중량이 중요한 문제인 항공기에서 그리고, 폭약 및 수류탄와 같은 화약 및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에 대한 수송 장치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내폭파 및 폭파통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Lockerbie, Scotland상에서 Pan American 편대의 1988 테러리스트 폭격에 대하여, 폭발물 및 항공기-생존 기술의 전문가들은 테러리스트 폭약에 보다 저항성있는 상업적인 정기 여객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 새세대 폭발물 검출 장치가 개발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검출은 비교적 쉬우나 폭약의 증가한 파편을 검출하지 못한 한계 폭탄 크기가 남아 있다. 검출되지 않은 폭약은 항공기 화물 컨테이너내에 저장된 수하물에서의 방식으로 쉽게 발견되었다. 절단된 모서리를 갖는 입방체 박스 형태로서의 이 화물 용기는 전형적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었으며, 경량이지만 방폭성(explosion-proof)은 없다. 결과적으로, 최근에 이 한계 크기 이하의 폭탄에 내폭파성이 있으면서 경량인 화물 용기를 재고안하려는데 매우큰 초점이 모아졌다.
재고안된 항공기 화물 용기에 대한 좋은 개요는 Ashley, S.,SAFETY IN THE SKY: Designing Bomb-Resistant Baggage Containers, Mechanical Engineering, v 114, n6, Jun 1992, pp 81-86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개시물에 개시된 용기의 한 유형은 충격파를 진정시키고 안전하게 출혈하거나 고압 가스를 배출하면서 폭파한 파편을 포함하도록 고안된 것인 반면, 다른 유형은 비행기 동체로 부터 밖으로 그리고 떨어져 폭발력을 보냄으로써 선외로 폭발 물질을 인도하도록 고안되었다. 다수의 새로운 고안이 견고하고 경량인 복합물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고안에 있어서, 경화된 수화물 용기는 AlliedSignal Inc.,로 부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SPECTRA섬유와 같은 저밀도 물질로 직조된 모포로 감고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제로 안을 대고 알루미늄 합금 시이트를 관통시킨다. 이 물질의 사이(sandwich)는 솔기가 없는 겉감(shell)으로 용기의 네면을 덮는다. 이에 관해서는 미국 특허 제 5,267,665를 참조하라.
화물 용기의 내부로의 접근은 적하 및 출하하는데 필요하며 전형적으로 문에 의해 제공된다. 문은 용기내로 부터 폭파가 전형적으로 문 외부를 향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폭발동안 용기에 대하여 현저하게 약한 지점을 제공한다. 만일 문이 힌지 (hinge)가 있고 금속 핀 결합을 통하여 연결된다면, 핀은 위험한 발사물이 된다. 만일 문이 홈(groove)이나 채널(channel)내로 미끄러지면, 홈이나 채널은 용기의 실패를 일으키도록 구부러지거나 일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문이 갖는 상기 문제를 제거하는 화물 용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존 화물 용기를 개조(retrofit)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고안은 화물 용기로의 접근 개방을 위하여 힌지가 없고 채널이 없는 폐쇄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 특허 제 5,312,182는 문이 장치를 파열시키지 않도록 보다 맞게 고정됨으로써 이러한 폭발물 폭발에 분명하게 반응하는 연동으로 홈/트랙에 미끄러짐에 의해 맞물리는 경화된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내폭파 및/또는 폭파 통제 용기는 유럽 특허 공개 제0 572 965 A1 및 미국 특허 제 5,376,426; 5,249,534; 5,170,690; 4,889,258; 4,432,285; 4,027,601; 및 3,786,956;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간행물 모두는 참고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폭발성 물품을 수용하고 폭발시 손상을 방지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문 및 대체 폐쇄물뿐만 아니라 다수의 내폭파(blast resistance) 및 폭파 통제 용기(blast directing 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이들 용기는 화물 지지대(cargo holder), 특히 중량이 중요한 고려 대상인 항공기내, 및 예를 들어 폭약 및 수류탄과 같은 화약(gunpower) 및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 수송 장치에서 유용하다. 이들은 또한 테러리스트 및 다른 위험과 싸울 때 폭약 분대원(bomb squad personnel)에게 특히 유용하다.
도 1A는 도 1F의 용기 10의 부분을 형성하는 띠 11의 3차원도이며,
도 1B는 도 1F의 용기 10의 부분을 형성하는 띠 12의 3차원도이며,
도 1C는 띠 11 및 12로 조립될 때, 도 1F의 용기 10를 구성하는 띠 13의 3차원도이며,
도 1D는 도 1E과 함께 용기 10에 대한 조립 순서를 도시한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1E는 도 1D와 함께 용기 10에 대한 조립 순서를 도시한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1F는 화물 용기 1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1G는 용기 10의 조립시 내포물을 위한 임의의 지지 구조 17의 3차원도이며,
도 2A는 플랩 X와 Y를 갖는 대체 띠 12'의 3차원도이며,
도 2B는 용기 10'에 대한 조립 순서를 도시한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2C는 화물 용기 10'에 대한 3차원 조립도이며,
도 3A는 접힐 때 립(lip) 18을 생성할 부분을 제조하도록 코너 16에서 절단된 대체 띠 11'의 3차원도이며,
도 3B는 립 18을 갖는 대체띠 11''의 3차원도이며,
도 3C는 용기 10"에 대한 조립 순서를 도시한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4는 용기 1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5A는 단면이 육각형인 대체띠""의 3차원도이며,
도 5B는 대체띠 11"" 및 12""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5C는 용기 1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용기 10""'를 사용할 때 띠 12와 동일한 2개의 부분(M 및 N)을 도시한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6B는 도 6A와 유사하나 제3띠 13"""이 추가된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6C는 용기 1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7A는 폐쇄/적하된 위치에서 내폭파 용기 2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7B는 개방/적하 위치에서 용기 2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8A는 제한된 공간내인 경우 적하/출하 능력을 갖는 내폭파 용기 30에 대한 내부 겉감 31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8B는 용기 30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8C는 용기 30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8D는 용기 30을 조립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띠 40 및 41의 3차원도이며,
도 8E는 폐쇄된(적하된) 위치내에서 조립된 용기 30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F는 개방(적하/출하) 위치내에 조립된 용기 30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A는 개방 위치에서 개선된 문/폐쇄물 51을 갖는 내폭파 용기 50의 일부에 대한 3차원도이며,
도 9B는 폐쇄된 위치에서 개선된 문/폐쇄물 51을 갖는 내폭파 용기 50의 일부에 대한 3차원도이며,
도 10A는 관형 내폭파 용기 60에 대한 내부관 61의 3차원도이며,
도 10B는 용기 60에 대하여 외부관 62의 3차원도이며,
도 10C는 용기 60을 사용하기 위하여 임의띠 65의 유사도이며,
도 10D는 제자리에 임의띠 65를 갖는 폐쇄되고, 적하된 위치에서 용기 6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11A는 개방 위치내에서 구형 내폭파 용기 7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11B는 폐쇄된 위치에서 용기 70의 유사 3차원 조립도이며,
도 11C는 도 11B의 선 C-C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11D는 도 11C의 선 D-D상에서 취한 도면이며,
도 12A는 폐쇄되고, 적하된 위치에서 또다른 내폭파 용기 80의 3차원 조립도이며,
도 12B는 용기 80의 개방 박스 82의 3차원도이며,
도 12C는 용기 80의 개방 박스 81의 3차원도이며,
도 12D는 용기 80을 조립시 사용되는 띠 83의 3차원도이며,
도 13A는 본 발명의 폭파 통제관 90의 3차원도이며,
도 13B는 본 발명의 대체 폭파 통제관 95의 3차원도이며,
도 13C는 본 발명의 폭파-통제관을 조립한 3차원도이며,
도 14A는 폭파 통제 비행기 화물 용기 100의 내부 겉감 101의 3차원도이며,
도 14B는 용기 100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14C는 또한 용기 100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14D는 분할 겉감 105의 3차원도이며,
도 14E는 용기 100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14F는 완전 조립된 용기 100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A는 내폭파 용기 110의 내부 겉감 111의 3차원도이며,
도 15B는 용기 110의 3차원 부분 조립도이며,
도 15C는 수직 위치에서 조립된 용기 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D는 도 15C의 선 D-D상에서 취한 용기 110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미니-띠 21로 보강된 폭파-통제관 120의 3차원도이며,
도 17은 실시예 1에 사용된 패턴의 계획도이며,
도 18은 스택(stack)/권취기의 부분 3차원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2,3... 띠 10,30,50,60,70,80,110... 용기
11,12,13... 띠 17... 지지 구조
18... 립(lip) 51... 문/폐쇄물
61... 내부관 62... 외부관
125... 직물 형태 126... 주위 로드
128, 128... 롤 129... 대각선 바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하기 기술적 용어들이 사용된다:
(a)"영역 밀도(Areal Density)"는 구조의 단위 영역당 구조의 중량(kg/m2)이다. 패널 영역 밀도는 패널의 중량을 패널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측정된다. 다각형 단면 영역을 갖는 띠에 대하여, 각 면의 영역 밀도는 면의 중량을 면의 표면적으로 나누어서 얻는다. 대부분의 경우, 모든 면의 영역 밀도는 동일하며, 구조의 영역 밀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다른 면의 영역 밀도는 다르다. 원형 단면적을 갖는 띠에 대하여, 영역 밀도는 띠의 중량을 띠의 외부 표면적으로 나누어서 측정된다. 입방체 박스 용기에 대하여, 영역 밀도는 박수의 면을 형성하는 6개의 패널의 각각의 영역 밀도이며 어떠한 힌지나 핀의 영역 밀도를 포함하지 않는다.
(b)"복합물의 섬유 영역 밀도(Fiber Areal Density of a Composite)"는 복합물의 단위 면적당 섬유 보강제의 중량에 상응한다.
(c)"C50", 내폭파의 측정은 폭발 시간에서 용기/관을 50%를 파열시킬 장입물의 수준(온스 단위)로 측정된다(C0는 실패/파열이 없음을 나타내고 C100은 그 시간에 100% 실패를 의미한다). 실패는 하나의 수준에서 형성되고 다음 보다 낮은 수준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면, C50은 상기 2개의 수준을 평균함으로써 계산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만일 다른 언급이 없다면, 사용된 폭발물은 Explosives Technologies International의 산물 및 16,700ft/sec의 충격파 속도를 갖는 폭발물, TRENCHRINE 5이다. 또한 고속 비디오 결과가 기록된 박스 및 관에 대하여 폭발 현장을 기록하는데 사용된 비디오 카메라는 vhs 비디오, Sylvania Model VCC159 AV01이었다. 카메라는 떨어져 조작되고 물체 박스 혹은 관이 관측 면적의 약 30%를 채우도록 위치되었다.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특정 기술, 조건, 물체, 특성 및 보고된 데이터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문 및 그 대체 폐쇄물을 포함하는 내폭파 및 폭파 통제 용기를 제공하고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새로운 용기는 최근에 항공기에 사용시 용기가 현존 알루미늄 방폭성없는 용기를 대체한다.
본 발명은 최소 3개의 띠(band)로된 물체로 이루어지는 용기가 제공된다. 제1 내부띠는 제3띠내에 포개지는 제2띠내에 포개진다. 3개의 띠는 실질적으로 체적을 둘러싸고 띠중 최소 2개의 두께의 총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용기 내벽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한 견지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각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복합물질로된 3개의 관형띠로 이루어진 내폭파성 용기이다. 강성인 제1 내부띠는 제2 띠내에 포개지고 차례로 이것은 제3띠내에 포개진다. 3개의 띠는 6개의 면을 갖는 직사각형 프리즘을 형성하도록 포개지고, 이들 각각은 띠중 최소 2개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접근 개방을 갖는 내폭파성 용기에 개선책을 제공한다. 상기 개선책은 개방을 위해 힌지가 없고, 채널이 없는 폐쇄물을 포함한다. 상기 폐쇄물은 접근 개방을 최소 일부분 덮더록 용기를 둘러싼 최소 1개의 띠로된 물체를 포함한다. 대체 견지에 있어서, 상기 개선책은 강성 물질로된 평행하고 휨성있게 연결된 복수의 널빤지(slat)으로 이루어진 자체-보관하고, 미끄러지는 문을 포함한다. 상기 널빤지는 개방부를 노출시키도록 제1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개방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위하여 상기 개방에 인접한 용기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 궤도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장착되고 서로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최소 2개의 관을 포함하는 내폭파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관 각각은 용기를 회전시켜 접근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용기를 회전시켜 폐쇄하게끔 잘못-정렬될 수 있는 접근 개방을 갖는다. 상기 관중 최소 하나는 내폭파 물체로 형성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내폭파 용기는 동심으로 장착되고 서로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최소 2개의 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 각각은 회전시켜 용기를 접근하게끔 정렬될 수 있으며, 용기를 회전시켜 폐쇄하게끔 잘못-정렬될 수 있는 접근 개방부를 갖는다. 상기 구중 최소 하나는 내폭파 물체로 형성된다.
또한 또다른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폭파 용기, 바람직하게는 관형이고 그 말단에서 개방되는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개선책은 부착되어 용기를 보강하는 복합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립은 후우프 방향으로 용기를 최소 한 번 둘러싸는 단향 고강도 섬유로된 테이프나 배향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또다른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최소 2개의 박스와 최소 하나의 강성 띠로 이루어진 내폭파 용기이다. 박스중 하나는 다른 박스내로 면한 개방면을 갖고 포개진 박스를 둘러싸는 띠를 갖는 다른 박스내에 포개진다. 예를 들면, 각각 5개의 면과 1개의 개방면을 갖는 2개의 입방체는 폭발 사건도중 2개의 입방체가 서로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박스를 포위한 4-면 띠와 함께 포개진다. 최소 하나의 박스와 강성 띠가 내폭파 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내폭파 물체로된 최소 하나의 강성,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 띠를 포함하는 폭파 통제 용기 또는 관이 제공된다. 상기 띠는 2개의 개방면을 갖으며, 상기 내폭파 물체는 수지 매트릭스내에 고강도 섬유로된 망을 띠의 방향에 연속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섬유의 최소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7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맨드릴(mandrel)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체 최소 하나의 휨성 시이트를 감는 단계;
B. 상기 물질로된 층을 함께 고정시켜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고, 바람직하게는 강성인 제1 띠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띠를 맨드릴로 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최소 하나의 내폭파 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내폭파 용기내로 조립하기 위하여 복수의 띠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맨드릴(mandrel)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된 제1 휨성 시이트를 감아 제1 띠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휨성 시이트의 고강도 섬유 물질을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띠의 외부상에 간격(spacing) 수단을 재치시키는 단계;
D.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상기 간격 수단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된 제2 휨성 시이트를 감아 제2 띠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2 휨성 시이트의 고강도 섬유 물질을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는 단계;
F. 상기 제2 띠의 외부상에 제2간격 수단을 재치시키는 단계;
G.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상기 제2 간격 수단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된 제3 휨성 시이트를 감아 제3 띠를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제3 휨성 시이트의 고강도 섬유를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는 단계;
I. 원하는 수의 띠를 생성하도록 재치하고, 감고, 접촉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J. 맨드릴상에 각 띠의 최소 일부를 합체(consolidate)시키는 단계; 및
K. 상기 띠와 간격 수단을 맨드릴로 부터 제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기의 3개의 띠로된 박스 설계는 종래 기술의 용기에 비하여 다수의 잇점을 갖는다. 이는 접근이 개방면 또는 최내부띠의 면들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출입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종래 기술 용기의 단점중 하나를 제거한다: 문과 강철 로드를 갖는 패널 힌지는 더 이상 필요치 않으며 문-채널 연동 시스템도 필요하지 않다. 다른 변형은 한정된 외부 공간 제한에도 불구하고 적하 및 출하용 용기 내부에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폭발성 가스에 불침투성이 아니며 설계 목적에 기여하는 코너를 통하여 가스를 조절ㆍ방출하게끔 한다. 상기 박스 산물은 기술적으로 고가이지 않으며 단순하다. 박스의 띠는 원하는 대로 강성 내지는 휨성있게 제조될 수 있다. 박스의 띠가 휨성 모서리와 강성 면으로 제조된다면, 그런 다음 이들은 차후 조립 및 사용을 위하여 셋이상의 본질적으로 평평부(띠)의 셋트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되도록 합체되어 운반될 수 있다. 간단한 형태에 있어서, 용기를 개조하고 문 폐쇄물 등을 제공하기 위한 띠는 비슷한 잇점을 얻도록 선택적으로 강성이고 그리고/또는 휨성있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 예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견지는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만 철저하게 하거나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을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적용처 및 실제 사용처를 기술하거나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내폭파 물체로된 띠는 첨부 도면에서 띠의 후우프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 섬유/필라멘트를 나타내는 평행선으로, 즉 단향 섬유상 띠로서 나타난다. 이러한 표현은 발명을 이해하기 쉬우며,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고려되는 하나의 직물로 이루어지는 반면, 독점적인 직물은 아니며, 사실상 사용을 위해 고려되는 가장 바람직한 직물은 수반되는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연속 섬유/필라멘트의 크로스 플라이(cross-ply)이나, 이를 서술하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이해는 보다 어려울 것이다.
도면의 초기 논의는 적당한 물체의 토의에 이은 설계 거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이 어떻게 구조물의 내폭파 및/또는 폭파 통제능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도 1F를 참조하면, 부호 10은 조립된 내폭파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 1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잇점을 위해 중요하다. 용기 10은 최소 3개가 포개지고, 입방체내로 조립된 서로 보강하는 4-면 연속하는 띠 11, 12 및 13으로된 물체 셋트로 이루어진다. 도 1A, 1B 및 1C를 참조하라. "띠"란 얇고, 평평하고, 체적-둘러싸는 스트립을 의미한다. 다각형은 원형이 바람직하고, 직사각형이 보다 바람직하고 사각형이 가장 바람직한 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둘러싼 체적의 단면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D와 1E를 참조하면, 제1 내부띠 11은 약간 더 큰 제3띠 13내에 포개진 약간 큰 제2띠 12내에 포개지며, 이들 각각의 세로축은 모두 서로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 입방체 용기 10의 면을 형성하는 6개의 패널의 각각은 띠 11, 12 및 13중 최소 2개의 두께의 총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을 것이며, 이들은 겹치고, 용기 10의 모든 모서리 15는 물체중 최소 하나의 띠 11, 12 혹은 13으로 덮여 있다. 달리 설명하자면, 짐(폭발물이나 수하물)이 제1띠 11내에 재치된 다음, 약간 큰 치수인 제2 구조적으로 유사한 띠 12가 그 세로축이 제1 띠 11의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제1띠상에 재치된다(도 1D 참조). 제3, 비슷하나 약간 더 큰, 띠 13은 제2띠 12위에 미끄러지고, 그 결과 그 세로축은 띠 11과 12 모두의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이 된다(도 1E 참조). 제3띠 13은 바람직한 내폭파 용기 10을 완성한다. 띠 11, 12 및 13사이의 끼움은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하려는 것은 아니고, 폭발의 경우에 입방체 용기 10의 코너 16으로 부터 가스가 서서히 배기되도록 조밀하게 끼워진다. 띠들은 서로 미끄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므로 차후에 보다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그 표면의 마찰 특성은 수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용기 10은 별도의 출입물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용기에 의해 나타나는 모든 제한점을 피한다. 도 1G에는 용기 10이 그내부에 적재하려는 품목을 지탱하기에 불충분하게 강성인 경우에 용기 10내에 임의로 포개질 수 있는 중량/하중 지탱 프레임 17을 도시한다. 내부띠 11은 초기에 프레임위에서 미끄러진 다음,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조립이 진행된다. 프레임 17은 구조물의 하중 지탱능을 최적화하고 용기 중량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고안된 금속 혹은 구조적 복합 로드로 부터 제조될 수 있다.
기본 구조상에 변화로서, 제2띠 12는 5-면이며, 불연속 스트립인, 띠12'(도 2A 참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즉 띠 12'는 표면이 연속하여 5개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을 포함하며, 이는 직사각형 단면을 이루는 4면보다 하나 더 있는 것이다. 띠 11과 13은 기본 고안과 동일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띠 12'는 플랩 X와 Y를 생성하도록 제1띠 11의 개방면중 하나에 겹치는 제1 및 제5 면으로 내부 띠 11주위를 싸고 있다. 제3 띠 13은 내폭파 용기 10'를 완성한다. 입방체 용기 10'의 한면에의 접근은 띠 13을 제거하고 플랩 X와 Y를 개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 견지에 있어서, 띠 12'는 바람직하게 플랩 X와 Y가 폭발도중 불어 날림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개진 띠이다. 용기 10'는 별도의 출입문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종래 기술의 용기에서 나타나는 모든 제약을 피할 수 있다.
기본 고안에서 또다른 변형을 나타낸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면, 내부띠 11은 다른 띠 12와 13으로 조립하기 전에 그 양면에 형성된 립(lip) 18을 갖는 내부띠 11"로 대체된다. 띠 11"는 필요한 것보다 넓게 제조되고, 각 코너 16에서 절단되며, 각 면에서 립 18을 생성하도록 접을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립 18은 사용시 띠 11"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안된 모서리나 작은 플랩이며-다음 최외곽띠(이 경우 띠 12)는 띠 11"에 대하여 플랩 18을 지지할 것이다. 용기의 폭발도중 립 18의 존재는 폭발후 용기로 부터 고온 가스 방출 속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바로 가까이의 사람 및 재산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불붙은 용기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어떠한 내부 띠도 립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결과는 최내부띠 11"상에 립 18을 갖는 경우 얻어진다.
많은 다른 용기 형태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용기 10"'는 3개의 띠로된 다른 직사각형 단면으로 인하여 입방체가 아닌 직사각형 프리즘을 둘러싼다. 도 5C에서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육각형이고, 제1 내부 띠 11""로 형성되며(도 5A참조), 4면 띠 12""에 포개지며, 이는 4면 띠 13""에 포개지고, 4면 띠 14""에 포개지는(도 5B) 용기 10""가 도시된다. 띠가 다각형 단면을 갖는 잇점은 폭발도중 내부 체적을 증가시키도록 용기가 변형되는 경향으로 부터 유도된다.
용기의 기본 입방체(혹은 직사각형 프리즘) 설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3개 이상의 띠가 본 발명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이제 명백하다. 입방체 용기 10""'를 나타내는 도 6A, 6B 및 6C를 참조하면, 제2 띠 12""'는 설계상 2개의 동일하고 내부띠 11""'가 포개진(혹은 내부띠 11""'상에 재치된) 평행한 공축 부분 M과 N내로 분할된다. 띠 11""'의 조립은 외부 띠 13""'내에 포개진 보다 작은 부분(띠) M과 N을 갖는다. 이러한 용기 10""'는 표준 항공기 크기, 즉 6×6×6ft와 비교가능한 용기 10보다 훨씬 쉽게 적하되고 출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띠 11""'가 종래 승강 관습에 의해 폭약상에 재치될 때 적하가 일어난다. 차후에 제1띠 11""'는 그 주위에 재치하려는 띠 M에 대하여 상부로 변동(see-saw)된다. 그런 다음 띠 11""'는 제1띠 11""'상에 적하하려는 품목 19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적하후, 띠 11""'는 근처에 재치하게 하는 다른 방향내에 상부로 변동된다. 그후 조립은 안정화되고 띠 13""'는 도 6B와 6C에 보여진 바와 같이 조립된 띠상에 재치된다. 상기 절차는 용기 10""'를 출하하기 위해서는 역으로 일어난다. 중간부분(띠) M 및 N은 출하하도록 전체 제거될 필요는 없으며, 바람직한 모든 방향,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 혹은 동일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동일 방향으로 겹쳐 미끄러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외부띠 13""'는 원하는 대로 2이상의 단면으로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동축띠의 제한되지 않은 수가 본 발명의 기본 3-띠 개념에서 어떠한 하나의 띠를 대체하도록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촉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내부띠상에서, 모든 공축띠는 립(예를 들어 도 3B참조) 혹은 겹침 플랩(예를 들면 도 2B 참조)를 갖을 수 있다. 동등한 중간띠상에서, 모든 공축띠는 플랩을 가질 수 있으나, 모서리에 인접한 것에만 모서리에 인접한 면상에 립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최외곽띠가 단일 연속 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7B는 효과적인 폐쇄물의 문제를 해결하는 내폭파 용기 20을 나타낸다. 용기 20은 그 하나 이상의 측면상에 접근 개방부를 갖는 종래의 내폭파 용기일 수 있으며, 혹은 이미 논의된 3개띠 개념중 2개의 띠를 갖고 그 하나 이상의 측면상에는 접근 개방부를 갖는 용기일 수 있다. 도 7B는 적하 혹은 출하하기 위한 개방 위치내 용기 20을 나타낸다. 플랩문 21은 일면으로 부터 용기 20의 내부에 접근을 제공한다; 용기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측면상에 유사한 접근이 있을 수 있다. 문과 용기모두는 강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강성띠 22,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사각형인 것이 그 측면을 에워싸도록 용기 20상부로 미끄러지고 이에 따라 용기 20의 폐쇄물을 고정한다(도 7A참조). 띠 22는 폐쇄될 때 플립문 21의 모두 내지는 단지 소형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띠 22는 도 7B에 인용된 바와 같이, 플랩문 21의 일측으로 미끄러지거나 혹은 문 21을 통하여 접근하게 하도록 용기 20을 완전히 벗긴다. 띠 22의 내부 단면의 형태는 에워싸는 용기의 부분에 들어맞아야 한다. 다각형 단면으로는 직사각형이 보다 바람직하며 정사각형(도시된 바)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고안에 대한 폐쇄물은 힌지(및 부속품, 잠재적으로는 치사핀)이나 채널없이 얻어진다. 폭발도중 띠 22는 문 21을 제자리에 지지한다.
도 8A-8F는 제한된 공간내일 때 적하 및 출하능을 갖는 또다른 내폭파 용기 30을 나타낸다. 이 고안은 이미 논의된 3띠 개념과 매우 유사하며, 이는 폭파-봉쇄에 매우 효과적이다. 3띠 개념에 대한 변형은 항공기 화물 지지의 공간 제한내에 용기 30의 내부에 편리한 접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8A에서는 완전히 조립된 용기 30에 구조적 강성률을 제공하는 하니콤(honeycomb) 코어 패널 31을 도시한다. 패널 31은 본질적으로는 조립될 때 용기 30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할 일 측면상에 절단된 모서리 32와 개방부 33을 갖는 입방체이다. 제1 내부띠 34는 이들이 개방부 33을 덮도록 패널 31주위에 재치된다. 띠 34를 형성하는 물체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휨성있으며 개방부 33에서 띠 34내에 상부 접근 플랩 35와 저부 접근 플랩 36을 생성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중간띠 37은 바닥패널 39가 부착되는 경우 연속 스트립/띠이다(도 8C 참조). 외부띠는 용기 30을 개방하도록 다른 단면 41내에 하나의 단면 40을 미끄러지고 중첩될 수 있는 단면 40과 41로 이루어지는 2조각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띠이다. 용기 30이 폐쇄될 때, 단면 40과 41은 함께 플랩 35와 36을 완전히 덮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 영역보다 다소 적게 덮을 수 있으며, 이또한 효과적이다. 단면 41의 내부는 도 8F에서 보여지듯이 완전히 개방 접근 33상에 걸쳐 미끄러지도록 단면 40의 외부보다 약간 큰 크기이다(도 8D 참조). 중지부(stop) 38은 용기 30의 측면상에 제공된다. 중지부 38의 저부상에 테두리(rim)는 중지부 38의 상부가 단면 41의 내부에 걸려 떨어져 단면 40을 고정시키면서 바닥으로 떨어져 단면 41을 고정시킨다. 도 8E는 폐쇄된 완전히 조립된 용기 30을 나타낸다. 이 고안의 접히는 형태는 표준 입방체 박스 용기의 절반까지 적하하거나 출하하기 위해 필요한 여분의 공간을 줄인다. 3개의 접힘 단면 등의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여분의 공간을 1/3까지 줄일 수 있다. 3개이상의 단면이 이론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실용적이지 않다. 이 고안의 겹침 형태는 또한 종래 기술의 용기를 이용한 도 7A와 7B에 나타낸 폐쇄물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A 및 9B에 도시한 대체 견지에 있어서, 용기 50에 대한 측면 접근용 용 폐쇄물51은 내폭파, 자체-보관, 미끄러지는 문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문은 강성 물체로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휩성있게 연결된 복수의 널빤지 52로 이루어진다. 널빤지 52는 바람직하게는 내폭파 직물내에 감기고 단면사이에 직물내에 스티치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허니콤 단면을 포함한다. 연결된 널빤지 52는 개방부 51을 노출하도록 제1, 상부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개방부 51을 폐쇄하도록 제2,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개방 51에 인접한 용기 50의 내부면에 고정된 트랙(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된다. 도 9A의 개방 위치에서 문은 천장에 인접한 용기 50 내부에 있다. 핸들(도시되지 않음)은 개방 및 폐쇄를 돕도록 미끄러지는 문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고안은 그 자체-보관능으로 인하여 비행기 화물 지지대내에 적하 및 출하를 촉진할 것이다. 도 7A, 7B, 8E 및 8F에서와 같은 폐쇄문 띠 혹은 띠들 뿐만 아니라, 도 16에 결합된 하기 기술된 미니-띠 121이 이 문 설계에 이롭게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또다른 내폭파 용기 60이 도시된다. 상기 용기 60은 그 주요부로써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장착되고 조립될 때 서로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최소 2개의 관 61과 62로 이루어진다. 내부관 61은 그 말단에서 폐쇄된 반면(도 10A 참조), 그 외부관 62는 내부관 61상으로 미끄러지는 원통형 관을 형성하도록 그 말단에서 개방되는 것(도 10B 참조)이 바람직하다. 도 10D에서 보듯이, 외부 원통형관 62는 지지하는 바닥에 의존하지 않으나, 내부관 6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관 61 및 62의 인접 표면의 한편 또는 모두에 낮은 마찰 필름(도시되지 않음)을 놓거나 대체 방안으로 볼 베어링으로된 띠(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촉진된다. 원통관 62의 길이 치수는 실질적으로는 관 61의 원통형 중간단면의 길이에 해당한다. 양쪽관 61과 62는 각각 접근 개방부, 63과 64를 갖으며, 대략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부 63과 64는 관 61과 62를 회전시켜 용기 60의 내부에 접근하게끔 정렬될 수 있으며, 이들은 회전시켜 용기 60을 폐쇄하도록 잘못-정렬될 수도 있다. 최소 하나의 관은 하기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내폭파 물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내폭파 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관 62상에 폐쇄된 용기 60상에 걸쳐 재치된 보강하는 관형띠 65를 사용하는 것이다. 비록 2개의 띠 65가 바람직한 것으로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되었으나, 다수가 이롭게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하기 도 16에 관하여 보다 완전하게 기술된 미니-띠가 여기서 이롭게 임의로 사용될 수 있으며-미니-띠 121은 이들의 보강을 위하여 후우프 방향으로 개방관 62를 고정하고 에워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D는 도 10A-D의 관형 용기 60에 대한 개념과 유사한 구형 용기 70을 도시한다. 각각 유사한 접근 개방부 73과 74를 갖는 2개의 구 71 및 72는 다른 구 72내에 장착된, 둘중 보다 적은 구 71에 동심으로 장착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내부구 71은 외부구 72내에서 회전하도록 여기에 부착된 2개의 폴(pole)/핸들 75를 갖는다. 대체 방안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을 촉진하도록 구의 적도주위에 볼 베어링으로된 띠가 제공될 수 있다. 구 71과 72는 구 71의 내부에 접근하게끔 개방문 73 및 74를 정렬하거나 또는 용기 70을 폐쇄하도록 개방문 73과 74를 잘못-정렬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구의 최소 하나, 바람직하게 양쪽다 내폭파 물체로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보강한 원형 띠 및/또는 미니-띠가 임의로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견지에 있어서 도 12A-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최소 2개의 개방 박스, 81과 82 및 최소 하나의 강성 띠 83으로 이루어진 내폭파 용기 80이다. 박스 81중 하나는 다른 박스 82내로 면한 개방면을 갖는 다른 박스 82내에 포개지고 포개진 박스 81과 82를 에워싸는 띠 83을 갖는다. 다른 박스 81과 82의 형태는 이들이 서로 잘 들어맞도록 작은 개방 박스 81의 치수가 개방 박스 82보다 약간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최소 하나의 박스 81 또는 82, 바람직하게 둘다 및 강성띠 83은 내폭파 물체로 형성된다. 박스 81과 82, 및 따라서 용기 80이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었고, 즉 4개의 수직면과 평평한 저부를 갖더라도, 이들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방 박스는 굴곡진 측면을 갖는 컵형태이거나 혹은 박스에 다른 수의 측면, 최소 3면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폭파 통제 용기 및 관을 제공한다. 도 13A는 관 90을 나타내며, 이는 내폭파 물체로된 강성이고, 솔기가 없으며 원통형 띠이다. 관 90의 중심에 재치된 장입물의 폭발시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관 90의 개방부 말단을 통하여 발사될 것이다. 관의 바람직한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일 것이다. 도 13B의 관 95 및 하기 실시예에 수반하는 논의를 참조하라. 유사한 크기 및 구조로된 다수의 관/띠 96은 폭발성 폭파를 통제하기 위하여 접촉하는 관계로 공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도 13C 참조). 바람직한 구조는 그 개방면중 어느 하나상에 립 18을 갖는 도 3B의 띠 11"와 유사할 것이다. 임의로 단일 보다 큰 띠는 모든 관/띠 주위에 재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3B에서와 같은 단일 관/띠가 도 13C에서와 유사한 띠주위에 재치될 수 있다. 원한다면, 보다 큰 띠가 전체 배치의 개방 말단과 측면을 에워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임의의 단일 보다 큰 띠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써, 하나 이상의 로프(도시되지 않음)가 모든 관주위에 재치될 수 있다. 이들 임의의 배열 모두에서, 하기 기술된 내폭파 물체의 성질은 극히 중요하다.
폭파 통제 개념은 도 14A-F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비행기 화물 용기에 쉽게 채용된다. 화물 용기 100은 2개의 개방 측면 혹은 말단을 정의하는 립을 갖는 절단된 겉감 101(도 14A 참조)를 포함한다. 겉감 101은 질기고 거친 물체, 바람직하게는 회전하여 성형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분말과 같은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하기 기술된 내폭파 물체로된 강성,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 띠 102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측면 혹은 말단, 모두에 접근을 차단하지 않고 겉감 101주위에 재치된다. 띠 102는 다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 부착된 핸들 104를 갖는 겉감 101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랩(wrap)내 겉감 101주위에 내폭파 물체 103을 감아서 형성되며(도 14B 참조), 이어서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내폭파 물체의 합체가 바람직하다.
겉감 101 및 띠 102의 조립보다 약간 크며 또한 질기고 거친 물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 도 14C내에 제2 절단된 겉감 105가 용기 100에 대한 외부 피복을 형성한다. 겉감 105는 조립된 겉감 101과 띠 102주위에 조립을 위하여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리하게 분할될 수 있으며 임의로 통상의 방식, 예를 들면 접착제, 로프등으로 제자리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내폭파띠 102로 항공기 화물 지지대내에 재치될 때, 띠 102는 인접한 용기내로 개방 말단(앞뒤)에 대하여 폭파를 통제하는 동안 폭약 폭파의 영향으로 부터 연료실과 승객실을 보호한다. 비행기 화물 용기 100의 폴리에틸렌 겉감 105는 띠 102로 이루어진 내폭파 물체에 일반적인 사용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제공되며, 특히 내부에 고강도 섬유는 이로 부터 유도되는 최대 잇점을 위하여 폭발 시간에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또다른 폭파 통제 용기 110이 도 15C에 도시되었다. 이 용기 110은 도 15A에 도시 된 통상의 직사각형-형태로된 쓰레기 용기 안감(liner) 111이며, 하기 기술된 내폭파 물체로된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 띠 112(도 15B 참조)의 내포물에 의해 변경된다. 띠 112는 용기 안감 111의 측면 주위에 내폭파 물체를 감고, 이를 합체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혹은 용기 안감 111로 차후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B의 조립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기 110을 완성하도록 도 15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겉감(안감) 113내에 포개질 수 있다. 도 15D에서 보듯이, 쓰레기 용기 110의 밑면 114는 내부에 내폭파 물체를 갖지 않는다. 이 견지에서, 상기 쓰레기 용기에 재치된 폭약으로 부터의 폭파는 상하방향 모두를 통제할 것이다. 대체방안으로, 솔기가 없는 띠 112가 컵 형태(도시되지 않음)로 제조되도록 기저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변형된 용기는 2개의 안감/겉감사이에 포개진 내폭파물로된 강성 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 예에서, 폭약으로 부터의 폭파는 수직으로 통제될 것이다. 안감 111 및 겉감 113은 하기 기술된 분말을 사용하여 회전시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폭발동안 관 120의 큰 재해 실패를 방지하게 하는 복수의 공간을 부여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미니-띠 121로 보강된 개방-말단된 관 120을 보인다. 미니-띠 121은 복합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으로, 관 120에 부착되어 보강된다. 각 스트립은 최소 한번, 보다 바람직하게는 2-3회 후우프 방향으로 용기를 에워싸는 단향 고강도 섬유 혹은 배향된 필름으로된 테이프를 포함한다. 이 스트립은 약 2-6인치(약 5.1-15.3cm), 바람직하게는 약 3-4인치(약 7.6-10.2cm)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되며, 이들이 부착되는 용기 표면적의 약 20% 이하를 덮는다. 관 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이다. 이는 밀폐되거나 개방 말단일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후자가 바람직하다. 하나가 재치되더라도 미니-띠 121은 관의 큰 재해 실패를 막을 수 있다.
기술된 다수 견지에 있어서, 강성 내부 안감 혹은 띠는 뒤이어 하나 이상의 기술 및/또는 물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내부 안감/띠, 특히 도 14의 안감용으로, 그리고 도 15의 쓰레기 용기 및 겉감은 폴리에틸렌, 교차결합성 폴리에틸렌, 나일론 6, 혹은 나일론 6,6 분말을 사용하여 회전하여 성형될 수 있다.Plastics World, p.60, July, 1995에 기술된 기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관, 로드 및 연결관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 혹은 열경화성 수지, 임의로 보강된 섬유,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저밀도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안감/띠는 연속 4면 금속 띠를 이용할 수 있다. 허니콤, 발사목(balsa wood) 혹은 강성 가장자리면을 갖는 발포 코어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허니콤은 알루미늄, 셀룰로오스 산물 혹은 아라미드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중량은 항공우주 산업에 잘 알려진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최소화될 수 있다(탄소 섬유 보강된 에폭시 복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강성 내부 겉감/띠는 목수 기술로써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목재로 부터 제조될 수 있다(방염 도료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강성 내부 안감/띠는 권취되고 최종 폭파 용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띠상에 맨드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체방안으로 내부 안감은 띠가 제조된 다음 내부 띠내로 삽입될 수 있다.
띠에 관해 본명세서에서 사용된, "강성(rigid)"는 띠가 그 표면 혹은 그 표면들을 가로질러 휨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띠가 복수의 면과 모서리를 포함하면, 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휨성이 없으나 모서리에서 그 휨성을 유지하므로 여전히 "강성"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띠는 또한 그 휨성 모서리가 실질적으로 휨성없는 면을 연결하는 핀이 없는 힌지로서 작용하며 그 띠는 최소 2개의 모서리에 접힘으로써 본질적으로 평탄화될 수 있기 때문에, "겹침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면에 관하여, 휨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물체의 길이는 길이 "L"의 지지되지 않은 걸린 부분을 갖는 평평한 지지면상에 일 측면을 따라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 걸린 부분의 고정되지 않은 측면이 상기 평평한 지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걸리는 거리 "D"가 측정된다. 비 D/L은 주름성(drapability)를 측정한다. 비가 1에 근접할 때, 구조/면은 매우 휨성이 있으며, 그 비가 0에 접근할 때, 매우 강성이거나 휨성이 없다. 구조는 D/L이 약 0.2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이하일 때 강성인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구조적 설계, 특히 3띠 입방체 설계는 용기의 폭파 봉쇄 성능을 증진시킨다. 폭파 봉쇄 성능이란 또한 용기의 증가된 영역 밀도로 개시된다. 상기 "영역 밀도"란 하기 실시예와 결합하여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으로, 구조의 단위 면적당 구조의 중량(kg/m2)이다. 본 발명의 3띠 입방체 고안에 의해 제조된 판지 박스의 영역 밀도는 약 0.05kg/m2이고 따라서 상기 영역 밀도는 최소 약 0.05kg/m2이다. 본 발명의 구조의 영역 밀도는 따라서 최소 약 0.05kg/m2이고,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0.10kg/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0.20kg/m2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0kg/m2인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 및 띠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바람직한 내폭파 물체는 배향된 필름, 섬유상층 및/또는 그 조합이다. 수지 매트릭스는 임의로 섬유상 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필름(배향되거나 되지 않음)은 수지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내폭파물체로서 사용시 수용가능한 단축 혹은 쌍축 배향된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탄성체, 교차결합된 열가소성물, 교차결합된 탄성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플루오로카본, 우레탄, 에폭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그 혼합물로된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단일층, 이층 혹은 다중층 필름일 수 있다. 선택하는 필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탄성체 혼합물이다. 필름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2-40mi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20mi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5mil이다.
본 발명을 위하여, 섬유상층은 단독으로 혹은 매트릭스를 갖는 섬유의 최소 하나의 망으로 이루어진다. 섬유는 신장된 본체를 의미하며, 그 길이 치수는 너비 및 두께의 교차 치수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용어 "섬유"란 단일 필라멘트, 다중 필라멘트, 리본, 스트립, 풀 및 저며지고, 절단되고 혹은 불연속 섬유 등의 형태로 규칙 혹은 불규칙 단면을 갖는 것이다. 용어 "섬유"란 복수의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필라멘트의 단면은 매우 다양할 것이다. 이들은 단면이 원형, 평탄형 혹은 타원형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섬유의 선형 혹은 세로축으로 부터 발사하는 하나 이상의 규칙 혹은 불규칙 로브(lobe)를 갖는 불규칙하거나 규칙적인 다중 로브 단면일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원형, 평탄형 혹은 타원형 단면의 필라멘트가 특히 바람직하며, 전자가 가장 바람직하다.
망(network)이란 미리결정된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섬유 혹은 꼬이거나 꼬이지 않은 사를 형성하도록 함께 그룹화된 복수의 섬유를 의미하며, 이 사는 미리 결정된 구조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망내에 섬유 혹은 사는 펠트 혹은 다른 부직포, 편직되거나 직물(무지, 그물, 새틴 및 차양 밧줄 직물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어떠한 통상의 기술에 의해 망내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망 구조에 의하면, 섬유는 이들이 통상의 섬유 방향을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평형하도록 단향으로 정렬된다. 연속 길이 섬유가 가장 바람직하며, 섬유가 배향되고 약 3-12인치(약 7.6-30.4cm)의 길이를 갖더라도 수용가능하며 본 발명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연속"인 것으로 추정된다.
섬유상층내에 섬유가 최소 약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50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75중량%가 용기에 의해 에워싸이는 체적을 둘러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적을 에워쌈이란 띠 혹은 후우프 방향으로, 즉 띠가 앞서 정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띠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혹은 띠의 방향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띠에 실질적으로 평행 혹은 띠의 방향내에란 ±10。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띠는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이란 띠가 섬유상 층의 최소 한번이상 완전 한 감김동안 인접한 면을 연결하는 각 모서리를 가로질러 솔기가 없고 또한 어떠한 주어진 점에서 띠상에 솔기가 없는 최소 하나의 랩/층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의에서, 도 2A의 띠 12'는 그 플랩 X와 Y가 서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연속 띠는 다수의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견지에서, 띠, 특히 수지 매트릭스가 없는 띠는 맨드릴 주변에 직물을 권취하고 적절한 고정 수단, 예를 들어 가열 및/또는 압력 결합, 열 수축, 접착제, 풀, 바느질 및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알려진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형태를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바느질은 스팟 바느질, 선 바느질 혹은 평행한 선의 교차하는 셋트로 바느질될 수 있다. 스티치는 바느질에 전형적으로 이용되나, 어떠한 특정 스티치 형태 혹은 방법도 본 발명에 사용하기 바람직한 고정 수단을 이루지는 않는다. 스티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섬유는 또한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유용한 섬유는 비교적 낮은 모듈러스 혹은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를 갖을 수 있으며, 비교적 낮은 강인도 혹은 비교적 높은 강인도를 갖을 수 있다. 스티치내에 사용하기 위한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약 2g/d이상의 강인도 및 약 20g/d이상의 모듈러스를 갖는다. 모든 인장 특성은 Instron Tensile Tester상에서 10in/min(25.4cm/min)에서 배럴 클램프사이에 고정된 10in(25.4cm) 섬유 길이를 압압함으로써 측정된다. 띠를 다소 보다 강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강성 플레이트내로 직물내에 바느질될 수 있는 포켓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또다른 강성 띠의 "겹침가능한" 실시예, 즉 면이 강성 플레이트의 존재로 인하여 강성이나, 모서리는 띠를 형성하거나 예를 들면 강성 면 부분의 중량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는 휨성 직물로 인해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겹침가능한 실시예에 대한 잇점은 상기 장치가 사용하기 직전에 평평하게 운반되고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티치내에 선택적으로 강성인 직물로된 랩을 제조하는 띠내에 직물 선택적으로 강성인 직물의 랩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은 스티치 패턴에 의해, 즉 스티치의 평형열이 또다른 "겹침가능한" 강성 띠를 생성하도록 바느질되지 않은 연결부/모서리를 남기면서 이들을 강성으로 제조하도록 띠의 면 부분을 가로질러 사용될 수 있다.
내폭파물체에 사용되는 섬유의 유형은 매우 넓으며, 무기 혹은 유기 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히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길이에 대하여 사용하기 바람직한 직물은 약 10그램/데니어(g/d)이상의 강인도를 갖으며, 인장 모듈러스는 약 200g/d이상(Instron Tensile Testing기에 의해 측정)을 갖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직물은 약 20g/d이상의 강인도 및 약 500g/d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섬유의 강인도가 약 25g/d이상이며, 인장 모듈러스는 약 1000g/d이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선택되는 직물은 약 30g/d의 강인도 및 약 1200g/d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상기 섬유의 데니어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 데니어는 약 8000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섬유 데니어는 약 10-4000, 그리고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섬유 데니어는 약 10-2000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섬유 데니어는 약 10-1500이다.
유용한 무기 섬유는 S-유리 섬유, E-유리 섬유, 탄소 섬유, 보론 섬유, 알루미나 섬유, 지르코니아-실리카 섬유, 알루미나-실리카 섬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유용한 무기 필라멘트의 예는 석영, 마그네시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비-알칼리성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소다 보로실리케이트, 소다 실리케이트, 소다 석회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납 실리케이트, 비-알칼리성 납 보로알루미나, 비-알칼리성 바륨 보로알루미나, 비-알칼리성 아연 보로알루미나, 비-알칼리성 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카드뮴 보레이트, η,δ,θ상 형태내에 "saffil"섬유를 포함하는 알루미나 섬유, 석면, 보론, 실리콘 카바이드와 같은 유리 섬유, 사란의 탄소화로 부터 유도된 것과 같은 흑연 및 탄소, 폴리아라미드(Nomex), 나일론,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옥사디아졸, 폴리페닐렌, PPR, 석유 및 석탄 피치(등방성), 메조상 피치, 셀룰로오스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세라믹 섬유, 예를 들어 강철, 알루미늄 금속 합금과 같은 금속 섬유 등을 포함한다.
유용한 유기 필라멘트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아미드, 플루오로중합체, 폴리에테르, 셀롤로오스, 페놀계,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아미노플라스틱, 실리콘,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 술파이드, 폴리에테르 아크릴 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이미드를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유기 필라멘트의 예는 폴리(m-크실렌 아디프아미드), 폴리(p-크실렌 세바크아미드), 폴리(2,2,2-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피페라진 세바크아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와 같은 아라미드(방향족 폴리아미드); 헥사메틸렌 디암모늄 이소프탈레이트 30%와 헥사메틸렌 디암모늄 아디페이트 70%로된 공폴리아미드, 비스-(아미도시클로헥실)메틸렌, 테레프탈산 및 카프로락탐최대 30%로된 공폴리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 폴리(부티로락탐)(나일론 4), 폴리(9-아미노노아논산)(나일론 9), 폴리(에난토락탐)(나일론 7), 폴리(카프릴락탐)(나일론 8),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 세바크아미드(나일론 6,10), 폴리아미노운데칸아미드(나일론 11), 폴리도데카노락탐(나일론 12), 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카프로아미드, 폴리(노나메틸렌 아젤라미드(나일론 9,9), 폴리(데카메틸렌 아젤라미드)(나일론 10,9), 폴리(데카메틸렌 세바크아미드)(나일론 10,10), 폴리[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1,10-데칸디카르복시아미드](Quina)(트란스), 혹은 그 혼합물과 같은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지방족, 폴리(1,4-시클로헥실리덴 디메틸 에네테레프탈레이트) 시스 및 트란스, 폴리(에틸렌-1,5-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트란스), 폴리(데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시벤조에이트), 폴리(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폴리(디메틸프로피오락톤), 폴리(데카메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 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 아젤레이트), 폴리(데카메틸렌 세바케이트), 폴리(α,α-디메틸프로피오락톤)등과 같은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유용한 유기 필라멘트의 예는 폴리-α-벤질 L-글루타메이트등과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용매변성(lyotropic) 액체 결정질 중합체; 폴리(1,4-벤즈아미드), 폴리(클로로-1,4-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1,4-페닐렌 퓨마르아미드), 폴리(클로로-1,4-페닐렌 퓨마르아미드), 폴리(4,4'-벤즈아닐리드 트란스, 트란스-뮤코아미드), 폴리(1,4-페닐렌 메사콘아미드), 폴리(1,4-페닐렌)(트란스-1,4-시클로헥실렌 아미드), 폴리(클로로-1,4-페닐렌)(트란스-1,4-시클로헥실렌 아미드), 폴리(1,4-페닐렌 1,4-디메틸-트란스-1,4-시클로헥실렌 아미드), 폴리(1,4-페닐렌 2,5-피리딘 아미드), 폴리(클로로-1,4-페닐렌 2,5-피리딘 아미드), 폴리(3,3'-디메틸-4,4'-비페닐렌 2,5피리딘 아미드), 폴리(1,4-페닐렌 4,4'-스틸벤 아미드), 폴리(클로로-1,4-페닐렌 4,4'-스틸벤 아미드), 폴리(1,4-페닐렌 4,4'-아조벤젠 아미드), 폴리(4,4'-아조벤젠 4,4'-아조벤젠 아미드), 폴리(1,4-페닐렌 4,4'-아조옥시벤젠 아미드), 폴리(4,4'-아조벤젠 4,4'-아조옥시벤젠 아미드), 폴리(1,4-시클로헥실렌 4,4'-아조벤젠 아미드), 폴리(4,4'-아조벤젠 테레프탈 아미드), 폴리(3,8-페난트리디논 테레프탈 아미드), 폴리(4,4'-비페닐렌 테레프탈 아미드), 폴리(4,4'-비페닐렌 4,4'-비벤조 아미드), 폴리(1,4-페닐렌 4,4'-비벤조 아미드), 폴리(1,4-페닐렌 4,4'-테레페닐렌 아미드), 폴리(1,4-페닐렌 2,6-나프탈 아미드), 폴리(1,5-나프탈렌 테레프탈 아미드), 폴리(3,3'-디메틸-4,4-비페닐렌 테레프탈 아미드), 폴리(3,3'-디메톡시-4,4'-비페닐렌 테레프탈 아미드), 폴리(3,3'-디메톡시-4,4-비페닐렌 4,4'-비벤조 아미드)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2,2'-디메틸-4,4'-디아미노 비페닐 및 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으로 부터 유도된 것과 같은 폴리옥사미드; 폴리 클로로테레프탈산 히드라지드, 2,5-피리딘 디카르복실산 히드라지드, 폴리(테레프탈산 히드라지드), 폴리(테레프탈산 클로로테레프탈산 히드라지드)등과 같은 폴리히드라지드; 폴리(테레프탈로일 1,4 아미노-벤즈히드라지드) 및 4-아미노-벤즈히드라지드, 옥살산 디히드라지드, 테레프탈산 디히드라지드 및 파라-방향족 이산(diacid) 클로라이드로 부터 제조된 것과 같은 폴리(아미드-히드라지드);폴리(옥시트란스-1,4-시클로헥실렌옥시카르보닐-트란스-1,4-시클로헥실렌카르보닐-β-옥시-1,4-페닐-에네옥시테레프탈오일) 및 폴리(옥시-시스-1,4-시클로헥실렌옥시카르보닐-트란스-1,4-시클로헥실렌카르보닐-β-옥시-1,4-페닐렌옥시테레프탈오일) 대 메틸렌 클로라이드-o-크레졸 폴리(옥시-트란스-1,4-시클로헥실렌 옥시카르보닐-트란스-1,4-시클로헥실렌카르보닐-b-옥시-(2-메틸-1,4-페닐렌)옥시-테레프탈오일) 대 1,1,2,2-테트라클로로에탄-o-클로로페놀-페놀(60:25:15 v/v/v), o-클로로페놀내 폴리[옥시-트란스-1,4-시클로헥실렌옥시카르보닐-트란스-1,4-시클로헥실렌카르보닐-b-옥시(2-메틸-1,3-페닐렌)옥시-테레프탈오일]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및 테레프탈알데히드, 메틸-1,4-페닐렌디아민 및 테레프탈알데히드등으로 부터 제조된 것과 같은 폴리아조메틴; 폴리(-페닐 에틸 이소시아니드), 폴리(n-옥틸 이소시아니드)등과 같은 폴리이소시아니드; 예를 들면 폴리(n-부틸 이소시아네이트), 폴리(n-헥실 이소시아네이트)등과 같은 폴리(n-알킬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1,4-페닐렌-2,6-벤조비스티아졸)(PBT), 폴리(1,4-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PEO), 폴리(1,4-페닐렌-1,3,4-옥사디아졸), 폴리(1,4-페닐렌-2,6-벤조비스이미다졸), 폴리[2,5(6)-벤즈이미다졸](AB-PBI), 폴리[2,6-(1,4-페닐렌-4-페닐퀴놀린], 폴리[1,1'-(4,4'-비페닐렌)-6,6'-비스(4-페닐퀴놀린)]등과 같은 헤테로고리 단위체를 갖는 용매 변성 결정질 중합체; 폴리포스파진, 폴리비스페녹시포스파진, 폴리[비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렌)포스파진]등과 같은 폴리유기포스파진; 제1구리 요오드 및 아미드의 존재하에 비스아세틸렌 혹은 트란스-비스(트리-n-부틸포스핀)비스(1,4-부타디에닐)백금 및 유사 결합을 갖는 트란스-비스(트리-n-부틸포스핀) 백금 디클로라이드의 응축에 의해 유도되는 것과 같은 금속 중합체; 이를테면 트리아세테이트 셀롤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 및 술페이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의 에스테르, 및 예를 들면 에틸 에테르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 에테르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에테르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에테르 셀룰로오스, 에틸 히드록시에틸 에테르 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에틸 에테르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예를 들면 아세톡시에틸 에테르 셀룰로오스 및 벤조일옥시프로필 에테르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의 에테르-에스테르, 및 예를 들면, 페닐 우레탄 셀룰로오스와 같은 우레탄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이를테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프로피온옥시프로필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와 같은 굴열성 액체 결정질 중합체; 이를테면 6-히드록시-2-나프톤산 및 p-히드록시 벤조산의 공중합체, 6-히드록시-2-나프톤산, 테레프탈산, p-아미노페놀의 공중합체, 6-히드록시-2-나프톤산, 테레프탈산 및 하이드로퀴논의 공중합체, 6-히드록시-2-나프톤산, p-히드록시 벤조산, 하이드로퀴논 및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체,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하이드로퀴논의 공중합체,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및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체, p-히드록시벤조산, 테레프탈산 및 4,4'-디히드록시디페닐의 공중합체, p-히드록시벤조산, 테레프탈산 및 4,4'-디히드록시디페닐, p-히드록시벤조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하이드로퀴논 및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의 공중합체, 페닐테레프탈산 및 하이드로퀴논의 공중합체, 클로로하이드로퀴논, 테레프탈산 및 p-아세톡시 신나믹산의 공중합체, 클로로하이드로퀴논,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 디옥시-r,r'-디벤조산의 공중합체, 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p-히드록시벤조산 및 이소프탈산의 공중합체, (1-페닐에틸)히드로퀴논, 테레프탈산 및 히드로퀴논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p-히드록시벤조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굴열성 공폴리에스테르; 및 굴열성 폴리아미드 및 굴열성 공폴리(아미드-에스테르);이다.
또한 유용한 유기 필라민트의 예는 하기식 (1)로된 α,β-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확대된 사슬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R1R2-C=CH2
(단 상기 R1및 R2는 같거나 다르며 치환되지 않거나 혹은 알콕시, 시아노, 히드록시,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 헤테로고리형 혹은 알킬 혹은 아릴이다)
상기 α,β-불포화된 단량체로된 중합체의 예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옥타데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1-펜텐), 폴리(2-메틸스티렌), 폴리(4-메틸스티렌), 폴리(1-헥센), 폴리(4-메톡시스티렌), 폴리(5-메틸-1-헥센), 폴리(4-메틸펜텐), 폴리(1-부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펜텐-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 포르말), 폴리(3-메틸-1-부텐), 폴리(4-메틸-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폴리(1-헥산), 폴리(5-메틸-1-헥센), 폴리(1-옥타데센), 폴리(비닐 시클로펜탄),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a-비닐나프탈렌),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에틸에테르), 폴리(비닐 프로필에테르), 폴리(비닐 카르바졸),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2-클로로스티렌), 폴리(4-클로로스티렌), 폴리(비닐 포르메이트), 폴리(비닐 부틸 에테르), 폴리(비닐 옥틸 에테르), 폴리(비닐 메틸 케톤), 폴리(메틸이소프로페닐 케톤), 폴리(4-페닐스티렌) 등을 포함한다.
가장 유용한 고강도 섬유는 확장된 사슬 폴리올레핀 섬유, 구체적으로는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ECPE)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액체 결정질 공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유리섬유, 탄소 섬유 및/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올레핀 및 아라미드 섬유이다. 만일 섬유의 혼합물이 사용되면, 섬유는 최소 2개의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제 4,457,985는 상기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일반적으로 거론한다.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적절한 섬유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최소 150,000, 바람직하게는 최소 1,000,00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0-5,000,000인 것이다. 이러한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섬유는 미국 특허 제 4,137,394 내지는 미국 특허 제 4,356,138에 기술된 용액내에서 성장될 수 있거나 혹은 독일 특허 3,004,699 및 영국 특허 2051667, 그리고 특히 미국 특허 4,413,110, 4,551,296에 기술된 겔 구조를 형성하도록 용액으로 부터 방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폴리에틸렌은 사슬 분지되거나 주 사슬 탄소수 100개당 개질 단위 5개를 초과하지 않는 공단량체를 소량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여기에 알켄-1-중합체,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혹은 폴리부틸렌, 제1 단량체로서 단일-올레핀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산화된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첨가제, 혹은 산화방지제, 윤활제, 자외선 차단제, 착색제등과 같은 저분자량 첨가제를 50중량% 미만으로 혼합시켜 함유할 수 있는 우세적으로 선형인 폴리에틸렌 물질을 의미한다. 정보 기술, 연신비 및 온도, 및 다른 조건에 따라, 다수의 특성이 이들 필라멘트에 부여될 수 있다. 필라멘트의 강인도는 최소 약 15g/d, 바람직하게는 최소 20g/d,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25g/d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30g/d이다. 유사하게 Instron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의 인장 모듈러스는 최소 약 200g/d, 바람직하게는 최소 500g/d,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1,000g/d,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1,200g/d이다. 인장 모듈러스와 강인도에 대한 최고값은 일반적으로 용액 성장 혹은 겔 필라멘트 공정을 사용함으로써만 얻어질 수 있다. 많은 필라멘트는 이들이 형성되는 중합체의 용융점보다 높은 용융점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150,000, 1,000,000 및 2,000,000의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138℃의 크기내에서 일반적으로 용융점을 갖는다. 이들 물체로 제조된 고도로 배향된 폴리에틸렌 필라멘트는 약 7-13℃높은 용융점을 갖는다. 따라서 용융점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는 벌크 중합체에 비하여 결정질 완전화 및 보다 높은 필라멘트의 보다 높은 결정질 배향을 반영한다.
유사하게 중량 평균 분자량이 최소 200,000, 바람직하게는 최소 1,000,00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2,000,000인 고도로 배향된 확장된 사슬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확장된 사슬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언급한 여러 가지 참고문헌, 특히 미국 특허 4,413,110, 4,551,296, 4,663,101 및 4,784,820의 기술에 의해 이론적으로 잘 배향된 필라멘트내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이 폴리에틸렌보다 훨씬 덜 결정질 물질이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으로 얻어질 수 있는 인장값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에 대한 상응하는 값보다 실질적으로 낮다. 따라서 적절한 강인도는 최소 약 8g/d, 바람직한 강인도는 최소 약 11g/d이다.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인장 모듈러스는 최소 약 160g/d,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200g/d이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점은 배향 공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몇도 상승되며, 그 결과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의 주 용융점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168℃,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170℃를 갖는다. 상기 기술된 파라미터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최종 물품내에 개선된 성능을 이롭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파라미터(모듈러스 및 강인도)에 대한 바람직한 범위로 결합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최소 약 200,000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최종 물품내에 이롭게 개선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높은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 고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가 미국 특허 제 4,440,711에 기술되어 있다. 고분자량 PV-OH섬유는 최소 약 2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져야만 한다. 특히 유용한 PV-OH 섬유는 모듈러스가 최소 약 300g/d, 강인도가 최소 약 7g/d(바람직하게는 약 10g/d,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4g/d,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7g/d)이고 파단 에너지(energy-to-break)가 최소 약 8줄/g이어야 한다. 중량 평균분자량이 최소 약 200,000이고, 강인도가 최소 약 10g/d이고, 모듈러스가 최소 약 300g/d이고 파단에너지가 약 8줄/g인 PV-OH 섬유가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데 보다 유용하다. 상기 특성을 갖는 PV-OH 섬유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599,267에 기술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의 경우에,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PAN 섬유는 분자량이 최소 약 400,000인 것이다. 특히 유용한 PAN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 10g/d이고 파단 에너지가 최소 약 8줄joule/g을 가져야만 한다. 분자량이 최소 약 400,000이고, 인장도가 최소 약 15-20g/d이고 파단 에너지가 최소 약 8joule/g인 PAN 섬유가 가장 유용하며; 이러한 섬유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4,535,027에 개시되어 있다.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에, 적절한 아라미드 섬유는 미국 특허 제 3,671,542에 기술된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부터 이론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아라미드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 2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 400g/d이고 파단 에너지가 최소 약 8joule/g일 것이며, 특히 바람직한 아라미드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 20g/d이고, 모듈러스는 최소 약 480g/d이고 파단 에너지가 최소 약 20joule/g일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아라미드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 20g/d이고, 인장 모듈러스는 최소 약 900g/d이고 파단 에너지가 최소 약 30joule/g일 것이다. 예를 들면, 상표 KEVLAR29, 49, 129 및 149하에 DuPont Corporation에 의해 통상 제조되고 적절히 높은 모듈러스 및 인장도값을 갖는 폴리(페닐렌디아민 테레프탈아미드) 필라멘트가 본 발명의 물품을 형성하기에 특히 유용하다.
KEVLAR 29는 모듈러스와 강인도값으로써 각각 500g/d 및 22g/d를 갖고, KEVLAR 49는 각각 1000g/d 및 22g/d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용한 것은 상표 NOMEX하에 DuPont에 의해 상업적으로 제조되는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섬유이다.
액체 결정 공폴리에스테르의 경우에, 적합한 섬유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3,975,487; 4,118,372; 및 4,161,470에 개시되어 있다. 강인도 약 15-30g/d,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20-25g/d 및 인장 모듈러스 약 500-1500g/d 및 바람직하게는 약 1000-1200g/d가 특히 바람직하다.
만일 매트릭스 물질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된다면, 이는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 혹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혹은 상기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의 선택은 띠가 어떻게 형성되고 사용되는지에 따를 것이다. 띠 및/또는 최종 용기의 원하는 강성률은 매트릭스 물질의 선택에 크게 영향받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열가소성 수지"란 가열될 수 있고, 기본 변형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여러번 연화되고, 냉각되고 경화될 수 있는 수지이며, "열경화성 수지"란 성형, 압출 혹은 캐스팅후 재연화되고 재작업할 수 없으며, 일단 각 수지에 임계 온도에서 설정될 때 새롭고, 비가역적인 특성을 얻을 수 없는 수지를 의미한다.
띠내에서 매트릭스 물질의 인장 모듈러스는 띠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따라 낮거나(휨성) 높을(강성)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의 핵심 요건은 띠-형성 방법의 어느 단계에서 공정에 첨가되는 것이 충분히 휨성이 있는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완전히 경화되지 않거나 혹은 B-단계로 이루어지나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열경화성 수지는 화합성 접착제와 함께 작업될 수 있는 완전히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이기 때문에, 수용가능한 공정일 것이다. 공정에 첨가된 열은 그렇지 않다면 공정에 너무 강성인 높은 모듈러스 열가소성 물체로된 처리를 허용할 것이다; 물체 및 노출 지속 기간에서 "보여진" 온도가 만일 있다면, 침투된 섬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처리를 위하여 물체를 연화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이론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는 예시적으로는 비스말레이미드, 알키드, 아크릴, 아미노 수지, 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에폭시, 비닐에스테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 5,330,820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이며, 에폭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열가소성 수지는 또한 매우 다양하다. 유용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는 폴리락톤,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비닐 중합체, 폴리아크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이온체(ionomer),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 폴리에테르이미드, 액체 결정 수지 및 탄성체 및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용한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 5,330,820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저모듈러스 열가소성(탄성체) 수지는 미국 특허 제 4,820,568, 칼럼 6 및 7, 특히 회보 "KRATON Thermoplastic Rubber", SC-68-81.에 기술된 Shell-Chemical Co.에 의해 상업적으로 제조되는 수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는 고밀도, 저밀도,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독 혹은 혼합물로서 미국 특허 제 4,820,458에 기술되어 있다. 탄성체의 넓은 범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ER 고무, EPDM 고무 및 폴리부틸렌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휨성 에폭시; 충진된 탄성체 경화고무(vulcanizate); 열가소성 탄성체; 및 개질된 나일론-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저모듈러스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띠내에서 필라맨트에 대한 매트릭스의 분율은중요하지 않으며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물질은 섬유 부피를 기준으로 약 10-90%, 바람직하게는 약 10-8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30%로 부터 형성된다.
매트릭스 수지가 사용되면, 섬유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예를 들면 캡슐화, 침투, 라미네이션, 압출 코팅, 용액 코팅, 용매 코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코팅된 섬유상 층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기술은 미국 특허 제 4,820,568 및 4,916,00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맨드릴(mandrel)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 이루어지는 최소 하나의 휨성 시이트를 감는 단계;
B. 상기 물질로된 층을 함께 고정시켜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고, 최소 부분적으로 강성인 제1 띠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띠를 맨드릴로 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최소 하나의 내폭파 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감는 장력은 전형적으로는 선형 인치당 약 0.1-50파운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인치당 약 2-50파운드,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형 인치당 약 2-20파운드이다. 상기 직물층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열 및/또는 압력 결합, 열 수축, 접착제, 풀 및 바느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단계는 섬유 물체를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고 맨드릴상에 고강도 섬유 물체과 수지 매트릭스의 층을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섬유 물체는 감는 단계전에, 도중에 혹은 이후에 수지 물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들이 행해지는 몇몇 방식을 하기에 상술하였다. "합체(consolidating)"란 단일층내로 매트릭스 물질과 섬유 망을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트릭스 물질의 유형 및 어떻게 섬유에 적용되는지에 따라, 합체는 건조, 냉각, 압력 혹은 그 조합, 임의로 접착제의 적용과 결합하여 일어날 수 있다. "합체"는 또한 띠의 면은 합체되나 모서리는 합체되지 않는 스팟 합체(spot consolidating)을 내포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형태에서, 상기 면은 강성으로 제조되나 모서리는 띠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띠를 합체시키거나 접히도록 구부러지게 하는 능력을 유지한다. "시이트"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단일 섬유 혹은 조방(roving)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을 위하여 내분사 용기내로 복수의 띠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맨드릴(mandrel)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된 제1 휨성 시이트를 감아 제1 띠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휨성 시이트의 고강도 섬유 물질을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띠의 외부에 간격 수단을 재치시키는 단계;
D.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상기 간격 수단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된 제2 휨성 시이트를 감아 제2 띠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2 휨성 시이트의 고강도 섬유 물질을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는 단계;
F. 상기 제2 띠의 외부에 제2 간격 수단을 재치시키는 단계;
G.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상기 간격 수단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로된 제3 휨성 시이트를 감아 제3 띠를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제3 휨성 시이트로된 고강도 섬유를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시키는 단계;
I. 원하는 수의 띠를 생성하도록 재치하고, 감고 접촉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J. 맨드릴상에 각 띠의 최소 일부를 합체(consolidate)하는 단계; 및
K. 상기 띠와 간격 수단을 맨드릴로 부터 제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동시에 단일 용기에 모든 띠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일 바람직한 견지에 있어서, 상기 휨성 시이트 물질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약 12데니어 이하의 약 30-2000 개별 필라멘트,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 데니어이하의 약 100 개별 필라멘트로된 사 다발이 가이드와 스프레더 바를 통하여 코팅직전에 조정된 콤(comb)내로 유도된다. 상기 조정된 콤은 동일평면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그리고 단향 유형으로 필라멘트를 정렬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필라멘트는 그중 하나가 습윤 매트릭스 수지로 피복된 릴리이스 페이퍼사이에 끼워졌다. 그후 상기 시스템은 필라멘트의 침투를 완료하도록 일련의 압력롤에 통과시켰다. 상부 릴리이스 종이는 빼내고 필라멘트의 침투된 망이 가열된 터널 오븐을 통하여 지나가면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권취되도록 권취릴(take-up reel)상에서 말아진다. 대체 방안으로, 습윤 매트릭스 수지로 피복된 단일 릴리이스 페이퍼는 필라멘트의 침투된 망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된 네트워크는 도 16에 도시되고 하기 실시예 9에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띠를 제조하기 위한 공급물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견지에 있어서, 2개의 이러한 침투된 망은 그런 다음 망의 하나를 바람직하게는 0。/90。배향내에 다른 망의 너비를 연속적으로 가로질러 배치할 수 있는 길이내로 절단시켜 연속적으로 교차되어 겹친다. 이는 고강도 섬유 물체로된 연속 휨성 시이트를 형성한다. 미국 특허 제 5,173,138을 참조하라. 그런 다음 임의로 하기 기술된 필름을 갖는, 이 휨성 시이트(섬유상 층)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띠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섬유상층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감기도록 충분히 휨성있으며; 그런 다음 원한다면, 랩의 방향수(sheer number) 혹은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실질적으로 강성(주름성 시험마다)로 제조될 수 있다. 띠의 후우프 방향내에 섬유의 중량%는 망의 수와 배향을 변화시킴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하기 실시예 참조).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강도 필라멘트로된 하나 이상의 경화되지 않은 열경화성 수지-침투된 망은 뒤이어 수지의 경화(혹은 스팟 경화)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띠 혹은 띠들내로 맨드릴주위에서 감기 위하여 휨성 시이트내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필름은 띠의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외층으로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필름, 혹은 필름들은 이러한 경우가 존재함에 따라, 매트릭스 물질(라미네이션)로서, 매트릭스 물질과 함께 혹은 매트릭스 물질이후에 첨가될 수 있다. 필름이 매트릭스 물질로서 첨가될 때, 맨드릴상에 직물 혹은 직조(망)으로 동시에 권취되고 추후에 합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맨드릴은 임의로 구조의 일부가 될 수 있다. 필름 두께는 최소한 약 0.1mil이고 그 길이가 띠를 형성할 정도로 충분히 휨성있는한 원하는 만큼 클 수 있다. 바람직한 필름 두께는 0.1-50mil이고, 0.35-10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필름은 또한 여러 가지 이유로, 예를 들면, 마찰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방염성을 증가시키거나, 혹은 내화학성을 증가시키거나, 방사 저하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그리고/또는 매트릭스내로 물체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띠의 표면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필름, 수지 및 필라멘트의 선택에 따라 띠에 접착되거나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열 및/또는 압력은 바람직한 접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는 필름과 띠사이에 원하는 접착을 야기하도록 열 혹은 압력 민감성있는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수용가능한 접착제의 예는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탄성체,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폴리술파이드 및 전형적인 고 용융 접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매트릭스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필름, 열가소성 탄성체 필름, 교차결합된 열가소성 필름, 교차결합된 탄성체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플루오로카본 필름, 우레탄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및 다층 필름을 포함한다. 이들 필름의 단일중합체 혹은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필름은 배향되지 않거나 단축으로 배향되거나 쌍축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 필름은 안료 혹은 가소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결정질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및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압력은 본 적용처에서 띠를 열에 노출시 수용가능한 물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수축시키는 가소성 필름 랩으로 부터 제조된 삽입 물질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띠가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혹은 서로 망의 접착을 야기하기 위해서 그리고 임의로 필름의 최소 하나의 시이트에 노출되는 온도 및/또는 압력은 사용된 특정 시스템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필라멘트에 대하여 선택된 매트릭스 물질의 유형에 따라 온도 범위는 약 20-150℃, 바람직하게는 약 50-14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120℃이다. 압력은 약 10psi(69kPa)-약 10,000psi(69,000kPa)이다. 약1.0분 이하의 시간동안 약 100℃이하의 온도와 결합될 때,약 10psi(69kPa)와 약 500psi(3450kPa)사이의 압력이 인접한 필라멘트가 함께 끼워지도록 단순히 사용될 수 있다. 약 100-155℃의 온도 범위에서 약 1-5분의 시간동안 결합될 때, 약 100psi(690kPa)-약 10,000psi(69,000kPa)의 압력은 필라멘트에 변형과 수축을 함께(일반적으로 필름상 형태) 야기시킬 수 있다. 약 150-155℃의 온도 범위에서 1-5분의 시간동안, 약 100psi(690kPa)-약 10,000psi(69,000kPa)의 압력은 필름이 반투명 및 투명하게 되도록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에 대하여, 온도 범위의 상한선은 ECPE 필라멘트에서보다 약 10-20℃ 높을 것이다. 아라미드 필라멘트, 특히 Kevlar 필라멘트에 대하여, 온도는 약 149-205℃(약 300-400℉)일 것이다.
압력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맨드릴상에 띠에 적용될 수 있다. 가소성 필름 랩으로 감은 수축은 앞서 언급되었다. 오토클레이브 처리는 압력을 적용하는 또다른 방식으로, 이 경우에는 열의 적용과 동시에 일어난다. 각 띠의 외부는 수축 감김가능한 물체로 감긴 다음 감은 수축할 온도에 노출하고 따라서 띠에 압력을 적용한다. 상기 띠는 전체 띠를 합체할 후우프 방향으로 맨드릴상에 감겨 수축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띠는 띠의 후우프 방향에 수직인 맨드릴 감긴 띠주위에 재치된 물질을 갖는 면을 가로질러 감겨 수축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띠의 모서리는 합체되지 않으면서 면만 합체된다.
많은 띠는 탄성체 수지 스시템, 열경화성 수지 시스템 혹은 수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상층으로 형성되며, 이중 열가소성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와 결합되며 열경화성 수지는 띠를 합체하는 압력 단독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는 띠를 합체하는 바람직한 방식이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시스템을 이용한 연속 길이/가닥으로 형성된 많은 띠는 열로 처리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압력과 결합하여 띠를 합체한다.
가장 바람직한 견지에 의하면, 각 섬유상 층은 약 0.1-0.15kg/m2의 영역 밀도를 갖는다. 띠당 영역 밀도는 약 1-40kg/m2, 바람직하게는 약 2-20kg/m2,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10kg/m2이다. 가장 바람직한 견지에 의하면, SPECTRA SHIELD복합 부직포(nonwoven fabric)는 섬유상 물체를 형성하며, 이들 영역 밀도는 약 10-400, 바람직하게는 약 2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100의 범위를 갖는 띠당 다수의 섬유상층 수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견지의 3개의 띠 입방체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의 각 면은 내폭파성 물체로된 2개의 띠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입방체의 각면에 대하여 상술한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반복된다. SPECTRA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은 고강도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이외의 섬유가 이용되면, 바람직한 견지에 의해 제공되는 고강도 및 모듈러스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층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 1(비교예)
3개의 입방체 박스를 시험하기 위해 제조하였으며, 이중 둘은 SPECTRA SHIELD복합물 패널을 이용하였으며, 하나는 KEVLAR복합물 패널을 이용하였다. SPECTRA SHIELD 복합물로 부터 제조된 박스를 그 면이 각각 27인치2이고, 모서리당 2셋트의 힌지와 2개의 핀(총 24핀과 힌지)로 함께 닫아진 6개의 평평한 SPECTRA SHIELD복합 패널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측면에 31인치). 총 영역 밀도가 1.14lb/ft2인 패널이 하기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도 17에서 도시된 직물 형태 125는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프레임의 주위 로드 126주위에서 부분적으로 감겼다. 총 길이 27.25"를 갖는 점선(도 17)을 따라 감았다(굽었다). 3개의 직물층(형태)는 4개의 주위 로드 126의 각각에 감겼다. 이들 직물 형태 125는 SPECTRA 1000직물, Style 904(무지 직물, 인치당 34×34말단, 중량 6oz/yd2인 650데니어 SPECTRA 1000사)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직물은 Dow XU71943.00L 실험용 비닐 에스테르 수지(디알릴 프탈레이트-6중량%, 메틸 에틸 케톤-31중량%, 및 비닐 에스테르 수지-64중량%)의 충분한 양에 침투되어 SPECTRA 1000 80중량%와 수지 20중량%로된 침투된 직물을 제조한다. 수지의 경우에, Lupersol 256, Lucidol Division of Ato Chem Corporation[2,5-디메틸-2,5-비스(2-에틸헥사놀퍼옥시)헥산] 1.0중량%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프레임이 또한 사각형 복합물 패널을 감는데 사용되었다. 단향성 프리프렉 테이프의 2개의 롤 127 및 128은 프리프렉의 배치(laydown)가 0。/90。/0。/90。등이 되도록 프레임 주위에 대체적으로 감기 위해 프레임의 인접면에 위치되었다. 공정은 원하는 영역 밀도를 얻을 때까지 반복되었다. 각 프리프렉 테이프는 상술된 바와 같이 Dow Resin XU71943.00L내 1500데니어 SPECTRA 1000사의 선형 인치당 7.6말단을 포함하였다. 메틸 에틸 케톤은 복합물이 경화되기 전에 휘발되었다. 상기 프리프렉은 SPECTRA 1000 섬유 76중량%이고 수지 24중량%이었다.
감음이 완료된 다음, 알루미늄 프레임의 대각선 바 129가 제거되었고, 중심 영역(27×27인치)를 150톤의 힘에서 120℃에서 30분간 성형하였다. 그런 다음 주위 알루미늄 로드 126을 제거하고 주위 루프는 남겼다. 그런 다음 주위 루프를 3인치 간격으로 절단하였다.
입방체 박스 용기를 1인치 직경 냉각 압연된 강철 핀으로 조립하였다. 주위 루우프중 절반이 용기의 외부에 있고 주위 루프의 절반은 용기의 내부에 있도록 접었다. 모서리당 9개의 루우프가 있고, 이들은 교대된 내부와 외부를 갖는다. 핀은 모서리당 2개의 내부와 외부 루우프내에 재치되었다.
KELVAR 복합물로 부터 제조된 박스는 KELVAR 29직물(1500 데니어사의, Style 423-2X2 바스켓 직물, 14oz/yd2)이 이용되고, 직물의 단지 한층만이 각 주위 로드주위에 감긴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패널 총 주위 면적은 SPECTRA SHIELD 패널과 동일하였으며, 즉 1.14lb/ft2이었다.
SPEFCTRA SHIELD 복합 패널로 부터 제조된 제1 2개의 박스는 개별 기하학적 중심에 재치된 각각의 8 및 16온스 폭발성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상기 박스는 8온스 폭발물로 부터 폭파에 견디는 것이 발견되었으나; 박스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서 고려할만한 신속한 배출이 일어났다. 16온스 장입물은 용기를 부풀려 날렸으며, 강철 힌지 핀은 위험한 발사물이 된다.
KELVAR 복합물 패널로 부터 제조된 제3 박스는 그 기하학적 중심에 재치된 8온스 폭발성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폭발은 용기의 질량 파열을 일으켰으며, 강철 힌지 핀은 위험한 발사물이 된다.
실시예 2
AlliedSignal Inc사로 부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SPECTRA SHIELDPCR 복합물 롤을 각각 약 330인치 길이가 되도록, 4개의 15인치 너비 스트립으로 절단하였다. SPECTRA SHIELDPCR 복합물은 상표 KRATOND1107하에 Shell Co.로 부터 이용가능한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된 수지 매트릭스 20중량% 내에서 SPECTRA1000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섬유 80중량%(AlliedSignal Inc로 부터 시판되는 명목상 강인도 약 35g/d, 인장 모듈러스 약 1150g/d, 및 파괴신도 약 3.4%)를 포함하였다. SPECTRA 섬유는 0。/90。 구조에서 복합물내에 배열되었다. 각 스트립은 측면 길이가 15인치인 사각형 단면 맨드릴주위에 연속층내에 감겨 SPECTRA SHIELD의 22랩을 갖는 띠를 형성한다(도 14B 참조). 각 연속 스트립의 감김은 앞선 스트립이 종결된 지점에서 연속 랩내에서 틈을 최소화하도록 동일한 섬유 구조와 충분한 인장(선형 인치당 약 1lb)하에 개시되었다. 톨루엔 95g당 KRATON D1107 5g으로 이루어진 접착 용액은 연속 랩사이에 접착 물체를 제공하도록 감기는 동안 스트립의 외부에 도포되었다. 통상의 압연 핀은 연속 랩내에 틈을 최소화하도록 띠 형성동안 연속 랩을 합체하는데 사용되었다.
제1띠가 완료된 다음, 각각 0.125인치 두께를 갖으며 TEFLON-피복된 유리 섬유로 감긴 4개의 15인치×20인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는 띠의 면당 하나의 플레이트가 맨드릴의 15인치 면 길이에 상응하는 15인치 면을 갖는 띠의 외부에 첨부되었다. 마스킹 테이프는 이들을 제자리에 지지하도록 제2 띠를 감는 동안 테이프없는 중심 영역을 남기면서, 4개의 알루미늄 플레이트 주위에 랩되었다. 제2띠는 제1띠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SPECTRA SHIELD PCR 복합물 스트립을 감으면서 형성되었다. 4개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제2 셋트가 제1 및 제2 띠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3 띠에 제조되어 제2띠의 면에 고정시켰다. 상기 3개의 띠를 맨드릴로 부터 제거하였으며 톨루엔을 띠로 부터 증발시켰다. 각 띠에서, 섬유 50중량%가 연속적으로 띠의 후우프 방향에서 배향되었다.
제3 띠는 폭발성 장입물에 대해 측정하기 위해 Box 1을 생성하도록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포개었다. 박스의 각면을 덮는 2개의 띠로된 면이 있고 각 띠 면은 22랩을 포함하기 때문에 박스의 각면은 0。/90。 SPECTRA SHIELD PCR의 44랩에 해당한다. BOX 1의 영역 밀도는 0.13×44=5.72kg/m2혹은 1.17lb/ft2이다. Box 1의 중량은 5.8kg(12.6lb)이었다.
Box 2는 하기 변형에 의해 Box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제1 띠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SPECTRA SHIELD 복합물의 제1 2개의 스트립은 24인치 너비였다. 띠를 제거하고 톨루엔을 증발시킨 다음, 제1띠는 제조하려는 8개의 플랩을 4.5인치 너비가 되도록(15인치 너비 띠의 각 면 상에 4개, 면당 2개), 각 코너에서 각면으로 부터 4.5인치 길이로 절단하였다. 플랩은 띠 너비 라인을 따라 스트립의 절단부를 접음으로써 제조되었다. 각 플랩의 평면은 부착된 띠의 내부 평면에 수직이었다. 도 3B를 참조하라. 이들 플랩은 제2 및 제3 띠에 의해 제자리에 지지되었다. Box 2의 중량은 6.08kg(13.4lb)이었다. 면의 영역 밀도는 Box 1에서와 동일하였으며, 중량에 있어서 증가는 플랩으로 인한 것이다.
Box 3과 4를 Box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으며, 중량 및 영역 밀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였다.
Box 1은 그 기하학적 중심에서 16온스 폭발성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폭발동안, 모든 3개의 띠의 모서리는 15인치2피이스의 수를 얻도록 완전하게 혹은 거의 완전하게 파괴되어, 여전히 흠이 없고 거의 손상을 보이지 않는다.
Box 2는 Box 1의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8온스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고속 비디오는 2개의 대향 모서리(파괴된 띠 3은 2개의 동일한 절반으로 구성된다)에서 띠 3의 뒤틀림 및 파괴에 의해 초기 장입물 봉쇄를 보였다. 확장된 가스 배출이 발생한다. 띠 1과 2는 본질적으로 흠없이 잔류하였다.
Box 3은 Box 1의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2온스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고속비디오는 폭발 및 측면의 팽출(bulging)동안 소량의 가스 배출을 보였다. 그러나 박스는 흠없이 잔류하였다. 모든 3개의 띠는 손상되지 않았다.
Box 4는 4온스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고속 비디오는 Box 3에 비하여 보다 확대된 배출 및 뒤틀림을 보였다. 모든 3개의 띠는 현저한 파괴없이 흠없이 잔류하였다.
실시예 3
박스는 다음과 같이 변화하면서, 상기 실시예 2의 Box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맨드릴은 모서리가 둥글고 반경이 5/8인치이도록 변형되었다. 띠의 영역 밀도는 Box 2의 1/2이었다. 띠 1, 내부 띠상에 플랩 너비는 6인치까지 증가되었다. 띠는 변형을 제어하고 폭발로 부터 가스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도록 보강되었다. 이 보강은 15인치 너비 S-2 유리천(Style 6781, 영역 밀도 0.309kg/m2, Clark Schwebel사에 의해 제조됨)으로된 2개의 완전 랩내로 맨드릴을 한번 감아 이루어졌다. 상기 유리천은 실온 경화제로서, Milliken Chemical Co.로 부터 이용가능한 8pph Millamine, 시클로지방족 디아민을 사용함으로써, EPON 828 에폭시 수지로 침투되었다. 상기 유리/수지 비는 48/52중량이었다. 그런 다음 띠 1에 대한 SPECTRA SHIELD 복합물 스트립이 유리 직물의 상부에서 권취되었으며, 띠 1의 일체부가 되었다.
추가 보강제를 제공하기 위해, Scotch Ply Type 1002로서 3M Corporation사로 부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유리/에폭시 복합물의 패널을 유리 직물 띠(띠 1)의 4개의 내부면 각각에 부착시켰다. 각 패널을 약 13.5×14.5인치이고, 중량이 340g이고 두께는 56mil이었다. 상기 패널에는 Courtaulds Aerospace Company사로 부터 제조된 폴리술파이드 접착제 PROSEAL 890-B1/2 총 200g을 부착하였다. 8플랩의 내부표면은 또한 3M Corporation사로 부터 이용가능한 Scotch 410 Flat Stock 선형 내부 이중 코팅된 종이 테이프를 사용하여 유리/에폭시 패널의 각 3.75×13.75인치 피이스에 부착시키면서 보강시켰다. 이들 8피이스로된 패널의 총중량은 707g이었다. 조립된 박스의 중량은 SPECTRA SHIELD 복합물 3.04kg(6.7lb) 및 섬유 유리 복합물 3.13kg(6.9lb) 및 접착제로 이루어진 6.17kg(13.6lb)이었다.
이 박스는 실시예 2에서의 박스의 시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TRENCHRITE 5의 6온스 장입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용기는 소량의 뒤틀림을 갖는 장입물을 포함하였으나, 신속한 배출은 없었으며 본질적으로 구조의 영구적 손상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4
박스는 다음과 같이 변형시키면서 실시예 2의 Box 2에서와 같이 제조되었다. 띠 1에서, 복합 스트립 길이의 최초 절반은 21인치 너비인 반면, 제2 절반은 15인치 너비이었다. 이는 제조하려는 띠의 1면당 4개이고, 각각 3인치씩 15인치이며, 영역 밀도가 4.75kg/m2인 8개의 플랩을 갖는다. 띠 1은 70 SPECTRA SHIELD 복합 랩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영역 밀도는 9.5kg/m2이었다. 0.125인치 너비 알루미늄 플레이트는 띠 1주위에 배치되었다. 띠 2는 공간자(spacer)주위에 17인치 너비로 스트립을 감으면서 형성되었다. 0.125인치 너비의 제2 공간자가 띠 2주위에 배치되었으며 띠 3은 18인치 너비인 스트립을 감으면서 형성되었다. 3개의 띠는 맨드릴과 스페이서로 부터 제거되었다. 각 띠에서, 약 50중량%의 섬유는 연속적으로 후우프 방향으로 배향되었다.
Scotch Ply Type 1002로서 3M Corporation으로 부터 상업적으로 시판되며, 영역 밀도가 2.7kg/m2인 4개의 14인치 사각형 유리섬유 플레이트는 Courtaulds Aerospace Company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술파이드 접착제 PROSEAL890-B1/2, 총 약 128g(32g/면)을 사용하여 띠 1의 내부면에 접착되었다.
제3 띠는 띠3의 내부에 내포된 띠2의 내부에 포개진 띠 1로 포개지는 면당 2개의 띠면을 갖는다. 띠 1의 플랩은 띠 2 및 3에 의해 제자리에 지지되었다. 완성된 용기는 대략 18인치의 면길이를 갖으며 중량은 24.06kg(53lb)이었다.
M67 절단 수동 수류탄을 전기적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변형시켰다. M67 수류탄은 14온스였으며 화합물 B 폭발물의 6.5온스를 편입하였다. 표준 수동 수류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한, 참조문헌은Guide Book for Marines, 15th Revised Edition, Quantico, Virgina, p.352, 09/01/86이었다. 상기 수류탄은 용기의 기하학적 중심에 재치되고 폭발되었다. 용기는 개별 띠의 형상 및 강도를 유지하였다. 용기는 분해하여 조사되었다. 띠 1의 4개의 내부 유리섬유 패널내에 구멍수는 1200이상의 강철 발사물이 수류탄을 폭발시켜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기의 외부면의 시험은 21 관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험 결과 기본 봉쇄 개념은 사라지고 발사물 및 폭파의 결합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음을 증명된다.
실시예 5
27인치 길이이고 양끝이 개방된 일련의 4개의 동일관을 SPECTRA SHIELD PCR 복합물을 실시예 3에서 기술된 둥근 모서리를 갖는 맨드릴 주위에서 감음으로써 제조하였다. 이들 관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이었으며, 면 길이는 15인치였다. 이 스트립은 27인치 너비였고 랩의 적절한 수는 벽 영역 밀도가 2.86kg/m2(0.585lb/ft2)인 관을 생성하도록 제조되었다. 각 관의 영역 밀도는 실시예 2의 박스 1-4에 대한 개별 띠의 영역 밀도와 동일하였다. 이 구조에서, 섬유 약 50중량%가 후우프 혹은 띠 방향으로, 즉 관을 에워싸면서 연속적으로 신장되었다. 모든 다른 견지에 있어서, 관의 구조는 실시예 2내에 Box 1에 대한 제1 띠를 감는 것과 동일하였다.
이들 관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장입물은 4개의 관, A,B,C 및 D의 각각의 기하하적 중심에서 발생하였으며, 전기적으로 폭발되었다. 장전물의 중량은 결과를 나타낸 하기표 1에 보고된 바와 같이 다양하였다. 관 고안을 위한 C50의 측정값을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연속 단향 테이프의 2층이 0。가 후우프 혹은 띠 방향으로 연속 섬유 길이를 나타내는 0。/0。/90。/0。 섬유 구조를 갖는 복합 스트립을 제조하도록 통상의 0。/90。SPECTRA SHIELD PCR 복합 스트립의 일 측면에 고정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일련의 4개의 동일관을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연속 단향 테이프는 실시예2에 상술된 바와 같이, 통상의 SPECTRA SHIELD PCR을 제조하도록 교차-겹쳐진 테이프와 동일하였다. 이 구조에서, 섬유의 약75중량%는 후우프 혹은 띠 방향, 즉 관을 에워싸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길이 섬유이다. 모든 다른 파라미터는 실시예 5와 동일하였다.
이들 관을 실시예 5와 동일한 형태로 시험하였다. 데이터는 하기표 1에 나타내었으며, C50의 측정값을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3개의 일련의 4개의 동일관은 이들 관이 직경이 16.375인치인 둥근 맨드릴에 대하여 복합 스트립을 감음으로 인하여 단면 영역이 원형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들 관의 단면 영역은 실시예 5 및 6에서의 관과 동일하였다. 약 50중량%의 섬유는 후우프 혹은 띠 방향으로, 즉 관을 에워싸면서 연속하는 길이 섬유이다.
이들 관을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시험하였다. 데이터는 하기표 1에 나타내었으며, C50의 측정값은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4개의 보다 일련의 4개의 동일관 각각을 시험용으로 제조하였다. 일련의 모두에서 관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고, 면 길이가 7.5인치이고 양끝이 개방되었다.
제1 및제2 일련에 있어서, 관은 각각 총 관 길이가 15 및 22.5인치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특정 너비(15 혹은 22.5인치)의 SPECTRA SHIELD PCR 복합 스트립을 실시예 3에 기술된 둥근 모서리를 갖는 맨드릴 주위에 감았다. 랩의 적절한 수는 벽 영역 밀도가 2.86kg/m2인 관을 생성하도록 제조되었다. 모든 다른 견지에 의하면, 관의 구조는 실시예 2에서의 Box 1에 대한 띠의 감김과 동일하였으며, 즉 KRATON 접착 용액이 이용되었고 연속하는 랩이 합체되었다.
제3 및 제4 일련에 있어서, 관은 각각 15인치 및 22.5인치의 총관 길이를 가졌으며, 다음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특정 너비(15 혹은 22.5인치)의 SPECTRA SHIELD PCR 복합 스트립은 실시예 3에 기술된 둥근 모서리를 갖는 맨드릴 주위에 감겼다. 적절한 수의 랩은 벽 영역 밀도가 2.86kg/m2을 갖는 관을 생성하도록 제조되었다. 연속 랩이 통상의 압연핀을 사용하여 합체되더라도 어떠한 접착제도 사용하지 않았다. 감겨진 띠/관은 저압하에 유압 프레스의 가압판(platen)사이에 재치되고 120℃에서 15분간 성형되었다. 맨드릴의 모서리가 둥글기 때문에, SPECTRA SHIELD 층은 모서리를 따라 완전히 합체되지 않았다.
이들 관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장전물은 관의 기하학적 중심에 재치되었으며, 전기적으로 폭발되었다. 측정된 초기 폭발 장전물은 1.5온스이었으며, 4개의 모든 다른 관 형태는 견뎌냈다. 그러나 2온스의 폭발 장입물을 갖는 경우, 4개의 모든 다른 관형태는 파열되었다. 따라서 4개의 다른 관 구성을 위해 계산된 C50은 1.75온스였다. 데이터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6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관이 제조되었다. 추가로 단향 SPECTRA 프리프렉(실시예 6내 0。/90。 SPECTRA SHIELD PCR에 첨가된 단향 프리프렉과 동일)의 5개의 1인치 너비띠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상에 4인치 간격으로 후우프 방향에 권취되었다. 접착 또는 열중 하나 및 압력이 단향 띠를 합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압력이 바람직하다. 약 120℃의 온도 및 약 30분간 약 5psi의 압력이 적합하다. 이들 띠의 영역 밀도는 관의 영역 밀도의 50%였다. 이들이 관 영역의 20%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 띠는 관의 중량에 10%를 추가할 것이다. 이들 관이 실시예 5 및 6의 관과 비교가능한 방식으로 측정될 때, 이들 띠는 인열 길이를 4인치로 제한할 것이고 이러한 인열을 통하여 가스 손실의 비를 제어할 것임이 기대된다.
토의
상기 실시예는 입방체 용기가 현저한 내폭파를 제공하는 3개의 상호 지지하는 4면 띠로 부터 제조됨을 증명하였다. 면 길이가 15인치인 실시예 2의 Box 2는 면 길이가 31인치이고 거의 동일한 영역 밀도를 갖는(SPECTRA SHIELD 복합 패널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제어 입방체 용기로서 큰 폭발 장입물을 함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사한 성능이 상기 제어시보다 현저하게 경량이고 작은, 즉 제어의 1/4중량 및 체적의 1/8을 포함하는 박스를 사용하여 얻어졌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의해 고안된 박스는 개폐되기 훨씬 쉬우며 폭발 사건도중 긴 로드 침투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강철 힌지 핀을 갖지 않는다. SPCETRA SHIELD 복합 패널을 이용한 비교 실시예의 박스는 KEVLAR 복합 패널을 이용한 박스보다 우수한 것에 관심이 있다.
폭발성 시험후에, 고속 높은 포토그래피 결과의 평가와 결합하여 실시예 2의 박스 조사는 용기 실패가 "충격 유지"(용기 벽에 대하여 충격파의 펄스에 의해 야기된 파열)에 의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충격 유지는 관의 면중심에서 용기의 파열을 야기하였다. 이들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실패는 박스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었다. 폭발 사건도중, 이들 박스의 띠는 뒤틀어지고 가스가 배출되었다. 플랩된 박스의 플랩은 제어를 도우나 제거되지는 않으면서 고온 가스를 배출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탈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내부띠는 강성 에폭시 내부 겉감을 편입함으로써 실시예 3에서 보다 강성화되었다. 이들 용기는 최소한 일그러지고 신속한 배출은 없었으며 본질적으로 구조에 영구 손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폭발물 6온스를 용이하게 포함하였다.
실시예 5-7 및 표 1-2를 참조하면, 사각형 단면관의 실패는 모서리의 길이를 따라 섬유를 파단시키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들 인열은 관의 길이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본질적으로 관의 후우프 방향에 수직이다. 관의 후우프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섬유(실시예 5 대 실시예 6)의 파편 증가란 관의 탄도(ballistic) 성능이 증가되는 것이다. 50%의 섬유 분획 증가는 C50값에 있어 50% 증가를 낳는다.
표 1 및 2에 나타난 결과는 또한 사각형 단면관이 원형 단면관보다 내폭파성있는 것이 명백하게 보여진다. 보다 가까이있는 원형 단면 형태로 일그러진 사각형 단면관은 이들이 단면 영역에서 증가를 낳기 때문에, 따라서 30% 만큼의 관의 내부 체적을 증가시킨다. 이들은 섬유가 적용되는 응력 속도는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며, 이 반응은 높은 인장력의 적용 속도를 감소시키고 그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표 3 및 사각형 단면 관에 관하여 나타낸 데이터를 참조하면, 보다 작은 손상이 짧은 총 관 길이에서 형성되며 SPECTRA SHIELD 섬유상 층은 접착제 용액보다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합체되었음을 볼 수 있다.
모든 관에 있어서, 인열 방향은 관의 길이에 평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9에서 인열 길이는 보강하는 단향 스트립(미니-띠)의 띠를 갖는 후우프 방향내에서 띠를 감으면서 한정되었다.
관용 분사 데이터
실시예 장입물(oz) 결과*
5555 ABCD 8466 하나 실패,모서리상에 6"인열실패 없음하나 실패, 모서리상에 3"인열실패 없음
6666 ABCD 9131110 실패 없음2개 실패, 모서리에 11"인열 및 모서리에 12"인열2개 실패, 모서리에 6"인열 및 모서리에 4"인열하나 실패, 모서리에 6"인열
7777 ABCD 12842 6게 실패, 22".20",8",8",22" 및 5" 인열6개 실패, 1", 3.5",1.5",15",3",13"하나 실패, 2.5"인열실패 없음
*모든 인열은 관의 길이에 평행하게 배향되었다.
다른 관의 내폭파 비교
실시예 단면 형태 후우프 방향 연속 섬유 분획 C50(oz)
5 사각형 0.50 6.0
6 사각형 0.75 9.5
7 원형 0.50 3.0
2온스 장입물에 대한 실시예8 관 폭파 시험
일련 번호 관 길이(인치) 결과*
1(접착)2(접착)3(압압)4(압압) 1522.51522.5 하나 실패, 모서리에 4"인열2개 실패, 모서리에 3.5"인열 및 모서리에 1.75" 인열하나 실패, 모서리에 2.5"인열하나 실패, 모서리에 3.75" 인열
*모든 인열은 관의 길이에 평행하게 배향되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기 형태는 가스-탈출 속도를 제한하도록 기대되는 인열의 길이를 한정함으로써, 따라서 급격한 실패를 보다 억제하는 원리에 의하여 제조된 관 및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로 부터,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그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본질 특성을 쉽게 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변화 및 변경하면서 다양한 사용처 및 조건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7)

  1. 최소 3개의 띠로된 물체로 이루어지고, 제1 내부띠는 제2띠내에 포개지고 이는 제3띠내에 포개지며, 상기 띠는 실질적으로 체적을 에워싸고 띠중 최소 2개의 두께의 총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용기벽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띠는 세로축을 갖는 관이며,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세로축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띠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다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중 최소 하나는 일련의 복수개의 실질적으로 사각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수는 띠의 단면의 다각형면수보다 최소 하나이상 더크며, 상기 띠는 상기 표면이 또다른 띠내에 포개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띠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리즘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띠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입방체 프리즘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띠는 실질적으로 단면이 육각형이고 제3띠내에 제4띠가 포개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띠내에 강성 지지 구조가 포개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지지 구조는 저밀도, 경량 중합체 혹은 금속성 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지지 구조는 유리 혹은 탄소 섬유로 감김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띠는 상기 강성 지지 구조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 물체는 최소 하나의 섬유상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유상 층은 섬유의 최소 하나의 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유중 최소 약10중량%는 둘러싼 체적을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200g/d를 갖는 고강도 섬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중 최소 약 50중량%는 둘러싼 체적을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이고, 상기 띠는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중 최소 약 75중량%는 둘러싼 부피를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 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는 최소 약200g/d를 갖는 고강도 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확장된 사슬 폴리올레핀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액체 공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최소 2개의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확장된 사슬 폴리올레핀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액체 공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최소 2개의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망은 수지 매트릭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휨성 에폭시; 충진된 탄성체 경화고무(vulcanizate); 열가소성 탄성체; 및 개질된 나일론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저모듈러스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 200g/d를 갖는 고강도 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띠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다각형이며 폭발도중 둘러싼 체적을 증가시키도록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최소 약 50중량%는 둘러싼 체적을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이며 각 띠는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최소 75중량%는 둘러싼 체적을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접근 개방부를 갖으며, 그 개방을 위하여 힌지(hinge)가 없고, 채널이 없는 폐쇄물을 갖으며, 상기 폐쇄물은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분 덮도록 용기를 에워싸는 최소 하나의 띠로된 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폭파 용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띠는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노출하도록 제1 방향내에서 상기 용기상에 미끄러지고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덮도록 제2 방향으로 미끄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물은 나아가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덮도록 다른 띠에 인접한 용기를 에워싸는 제2띠로된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띠는 또한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노출하도록 제1 방향내에서 상기 용기상에 미끄러지고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덮도록 제2 방향내로 미끄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띠는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분 노출하도록 제1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중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물은 나아가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노출하도록 다른 띠에 인접한 용기를 에워싸는 제2띠로된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띠는 또한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노출하도록 제2 방향내에서 상기 용기상에 미끄러지고 상기 접근 개방부를 최소 일부 덮도록 제1 방향내로 미끄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접근 개방부를 위하여 문을 포함하고, 상기 문이 상기 접근 개방부에 대하여 밀폐될 때 띠가 최소 일부분 문을 덮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띠 물체는 최소 하나의 섬유상 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상 층은 섬유로된 최소 하나의 망을 용기를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중 최소 약10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 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 200g/d인 고강도 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중 최소 약50중량%는 용기를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이며, 상기 띠는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중 최소 약 75중량%는 용기를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강인도가 최소 약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200g/d인 고강도 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확장된 사슬 폴리올레핀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액체 공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최소 2개의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로된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확장된 사슬 폴리올레핀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액체 공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최소 2개의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로된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망은 수지 매트릭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휨성 애폭시; 충진된 탄성체 경화 고무; 열가소성 탄성체; 및 개질된 나일론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저모듈러스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2.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장착되고 서로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최소 2개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 각각은 용기를 회전시켜 접근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용기를 회전시켜 폐쇄하게 하도록 잘못-정렬될 수 있는 접근 개방부를 갖으며,
    상기 관중 최소 하나는 내폭파성 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폭파성 용기
  53. 제52항에 있어서, 나아가 외부관을 에워싸고 고강도 섬유중 최소 하나의 망을 포함하는 최소 하나의 띠로된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중 최소 약10중량%는 외부관을 최소 한번 에워싸는 연속하는 길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의 망은 수지 매트릭스내에 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내폭파 물체는 수지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섬유의 최소 하나의 망을 포함하는 최소 하나의 섬유상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유중 최소 약10중량%는 강인도가 최소 약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 200g/d인 고강도 섬유의 연속하는 길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6. 부착되어 용기를 보강하는 복합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은 용기를 후우프 방향으로 최소 한 번 에워싸는 단향 고강도 섬유로된 테이프 혹은 배향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폭파 용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강인도가 최소 약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 200g/d인 단향 고강도 섬유의 테이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탄성체,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체, 교차결합된 탄성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플루오로카본, 우레탄, 애폭시,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그 혼합물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배향된 필름의 테이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9. 제56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립은 실질적으로 후우프 방향으로 평행하게 용기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용기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약 2-6인치(약5.1-약15.3cm)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용기 표면적의 약 20%이하를 덮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그 말단에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2. 동심으로 장착되고 서로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최소 2개의 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 각각은 용기를 회전시켜 접근하게 하도록 정렬될 수 있으며, 용기를 회전시켜 폐쇄하도록 잘못-정렬될 수 있는 접근 개방부를 갖으며, 이들 구중 최소 하나는 내폭파 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폭파 용기
  63. 제62항에 있어서, 나아가 외부구를 에워싸고 고강도 섬유중 최소 하나의 망을 포함하는 최소 하나의 띠로된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중 최소 약50중량%는 외부구를 최소 한번 에워싸는 섬유의 연속하는 길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의 망은 수지 매트릭스내에 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5.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내폭파 물체는 수지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섬유의 최소 하나의 망을 포함하는 최소 하나의 섬유상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유중 최소 약50중량%는 강인도가 최소 약10g/d이고 인장 모듈러스가 최소 약 200g/d인 고강도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6. 최소 2개의 개방 박스와 최소 하나의 강성 띠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중 하나는 다른 박스내로 면하는 개방면을 갖는 다른 박스내에 포개지며, 상기 띠는 상기 포개진 박스를 에워싸며,
    최소 하나의 박스와 띠는 내폭파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폭파 용기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내폭파 물체는 최소 하나의 섬유상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유상 층은 수지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고강도 섬유의 최소 하나의 망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중 최소 약50중량%는 포개진 박스를 에워싸는 섬유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확장된 사슬 폴리올레핀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액체 공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최소 2개의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로된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2.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휨성 애폭시; 충진된 탄성체 경화 고무; 열가소성 탄성체; 및 개질된 나일론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저모듈러스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3. 최소 하나의 강성, 실질적으로 솔기없는 띠로된 내폭파 물체를 포함하고, 상기 띠는 2개의 개방면을 갖으며, 상기 물체는 수지 매트릭스내 고강도 섬유의 망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의 최소 약10중량%가 띠의 방향으로 연속하는 길이를 포함하는 폭파 통제 용기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최소 약50중량%는 띠의 방향으로 연속하는 길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띠는 각 면상에 립(lip)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6. 제75항에 있어서, 복수의 강성 띠는 서로에 대하여 인접한 개별 개방면에 평행하게 배열됨을 포함하는 용기
  77. 제73항에 있어서, 복수의 강성띠는 서로에 대하여 인접한 개별 개방면에 평행하게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8. A. 연속층사이에 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인장하에 복수의 층내 맨드릴(mandrel)주위에 고강도 섬유 물질 이루어진 최소 하나의 휨성 시이트를 감는 단계;
    B. 상기 물질로된 층을 함께 고정시켜 실질적으로 솔기가 없는 제1 띠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띠를 맨드릴로 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최소 하나의 내폭파 띠 제조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고강도 섬유 물질과 수지 매트릭스를 접촉시키고 맨드릴상에 고강도 섬유 물질과 수지 매트릭스로된 층을 합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 물체는 감는 단계전에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 물체는 감는 단계중에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 물체는 감는 단계 이후에 수지 매트릭스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78항에 있어서, 나아가 감는 단계전에 상기 시이트의 최소 일면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띠보다 넓으며, 상기 방법은 나아가 띠에 대하여 립을 형성하도록 접힐 수 있는 최소 하나의 영역을 생성하도록 감긴 시이트를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인장은 최소 약0.1lb/선형 인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인장은 최소 약0.5lb/선형 인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인장은 최소 약1.0lb/선형 인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2216A 1995-09-25 1996-09-25 내폭파 및 폭파통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637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53589 1995-09-25
US08/533,589 US6991124B1 (en) 1995-09-25 1995-09-25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749A true KR19990063749A (ko) 1999-07-26

Family

ID=2412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16A KR19990063749A (ko) 1995-09-25 1996-09-25 내폭파 및 폭파통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991124B1 (ko)
EP (1) EP0852695B1 (ko)
JP (2) JPH11512687A (ko)
KR (1) KR19990063749A (ko)
CA (1) CA2232030C (ko)
DE (1) DE69624931T2 (ko)
ES (1) ES2186806T3 (ko)
IL (1) IL123604A (ko)
WO (1) WO19970121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02B1 (ko) * 2010-12-14 2013-04-04 박종영 폭발물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708B1 (en) 1995-09-25 2002-01-29 Alliedsignal Inc.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assemblies
US7185778B1 (en) 1995-09-25 2007-03-06 Allied-Signal Inc. Barrier unit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991124B1 (en) * 1995-09-25 2006-01-31 Alliedsignal Inc.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CA2266312C (en) * 1996-09-20 2006-10-17 Alliedsignal Inc.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container assemblies
US6237793B1 (en) 1998-09-25 2001-05-29 Century Aero Products International, Inc. Explosion resistant aircraft cargo container
SE516656C2 (sv) * 1999-11-12 2002-02-12 Envirotainer Engineering Aktie Container lämplig för flygfrakt och känsligt gods
WO2002006137A1 (en) * 2000-07-13 2002-01-24 Tommy Bengtsson Container
US8511497B2 (en) * 2001-01-25 2013-08-20 Robert Foster, Sr. Collapsing garbage can
US20060065656A1 (en) * 2004-09-15 2006-03-30 Weerth D Erich Lightweight blast resistant container
US20060093804A1 (en) * 2004-11-01 2006-05-04 Weerth D E Blast resistant liner for use in limited access enclosures
EP1885628A4 (en) * 2004-12-14 2011-07-13 Ascus Technologies Ltd COMPOSITE WALL STRUCTURE, TANK TRAILER INCORPORATING THIS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620477C (en) * 2005-09-01 2012-05-08 Vulcan Lead, Inc. Shielded device containment vessel
US8618004B2 (en) 2006-03-16 2013-12-31 Masanori Kubota Multifunctional composites
US7748307B2 (en) * 2006-08-04 2010-07-06 Gerald Hallissy Shielding for structural support elements
US8006622B2 (en) * 2006-11-07 2011-08-30 Orica Explosives Technology Pty Ltd Protector for detonator, and method of use
PT2125367E (pt) 2007-01-16 2013-03-13 Berry Plastics Corp Película reforçada para protecção resistente a ondas de choque e seus métodos
WO2009029301A2 (en) * 2007-05-08 2009-03-05 Whitford Peter D Portable perimeter defense system
US8382033B2 (en) * 2007-05-21 2013-02-26 Gary Thomas Reece Ballistic resistant and explosive containment systems for aircraft
US7963098B2 (en) * 2007-06-12 2011-06-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osite duct assembly
DE102007040027A1 (de) * 2007-08-24 2009-02-26 Schäfer, Dirk,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großflächiger Teile und von Formkörpern sowie danach hergestellte Formkörper
US7926407B1 (en) * 2007-11-16 2011-04-19 Gerald Hallissy Armor shielding
US8124548B2 (en) 2007-12-21 2012-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weight and high durability soft body armor composite using silicone-based topical treatments
US9738420B2 (en) * 2008-05-14 2017-08-22 Drayton Granville MILLER “Green” temperature-controlled mailer
US7685923B1 (en) 2008-08-27 2010-03-30 Sandia Corporation Fragment capture device
DE102008054293B4 (de) * 2008-11-03 2010-09-23 Mt Aerospace Ag Druckbehälter für den Hochtemperatureinsatz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20100178887A1 (en) * 2009-01-13 2010-07-15 Millam Michael J Blast shield for use i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8210346B2 (en) * 2009-03-23 2012-07-03 Raytheon Company Light weight and collapsible weapons container
US20120164902A1 (en) 2009-04-23 2012-06-28 Dietrich Wienke Compressed sheet
CN106081109B (zh) * 2009-09-09 2020-09-08 威罗门飞行公司 用于远程工作的无人驾驶航空飞行器的发射器的系统
US8263205B2 (en) * 2009-09-17 2012-09-11 Hexcel Corporation Method of molding complex composite parts using pre-plied multi-directional continuous fiber laminate
US20110315752A1 (en) * 2010-02-03 2011-12-29 Loan Kieu Thi Huynh Expandable star pinata
US20120111869A1 (en) * 2010-11-08 2012-05-10 Americase, Inc. Flame resistant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460967C2 (ru) * 2010-11-29 2012-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ышленные вакуумные системы"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зрывоопасных изделий
SG195201A1 (en) * 2011-05-27 2013-12-30 Hutchinson Sa Self-sealing liquid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9126745B2 (en) 2011-09-16 2015-09-08 Titanliner, Inc. Portable containment system for hazardous or other materials
US8998013B2 (en) * 2011-09-16 2015-04-07 Titanliner, Inc. Portable containment systems for hazardous or other materials
SE536613C2 (sv) * 2011-09-16 2014-04-01 Dynasafe Internat Ab Kammare för hantering av detonationsfarliga objekt
US20130092706A1 (en) * 2011-10-14 2013-04-18 Grayling Industries, Inc Pressurized liner
US9790406B2 (en) 2011-10-17 2017-10-17 Berry Plastics Corporation Impact-resistant film
NL2008070C2 (en) * 2012-01-02 2013-07-03 Quintech Engineering Innovations B V Air cargo container and flexible door for use in such a container.
JP5781450B2 (ja) * 2012-02-06 2015-09-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爆破処理方法
WO2013142096A1 (en) * 2012-03-21 2013-09-26 Leading Lite Composites, Llc Light-weight composite cargo container and method of use
RU2499981C1 (ru) * 2012-10-01 2013-1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еци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Влагозащитный контейнер из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D733426S1 (en) 2012-11-13 2015-07-07 Daimler Ag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ainer
US9260233B2 (en) * 2013-02-08 2016-02-16 Colormatrix Holdings, Inc. Formulations
WO2014193849A1 (en) * 2013-05-28 2014-12-04 Axton Ryan Christopher Carbon fiber equestrian tack trunk
CN106414066B (zh) 2014-06-04 2019-07-30 布莱特利特结构公司 增强复合结构
US9915582B2 (en) 2014-10-03 2018-03-13 Offshore Energy Services, Inc. Modular pressure testing unit
EP3215803B1 (en) * 2014-11-06 2019-01-09 One 4 Pack Limited Protective enclosure for ammunition
CN107614766B (zh) 2015-04-03 2021-04-27 明亮简化结构有限责任公司 用于可控制地切割纤维的装置及相关方法
US9902126B2 (en) * 2015-04-21 2018-02-27 Rohr, Inc. Composite preforms with supplemental load bearing plies
US11629936B2 (en) * 2015-08-11 2023-04-18 American Innovations, Inc. Blast resistant barrier and container
US20170176158A1 (en) * 2015-12-18 2017-06-22 Fernanda Di Biase Container for containing explosive device and blast containing panel therefor
US9797133B2 (en) 2016-03-02 2017-10-24 University Of Dammam Reinforced brick masonry column with polyester thread reinforcement strips
US20180086548A1 (en) * 2016-09-26 2018-03-29 Stephan D. Heath Rounded exterior diameter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freight with the container made of reinforced thermoplastic fiber, articles,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the article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11067368B1 (en) 2017-01-05 2021-07-20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mposite enclosure for explosive reactive arm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208390B2 (ja) * 2018-11-19 2023-01-18 ブライト ライト ストラクチャーズ エルエルシー 熱放出性の低い高強度の複合材
WO2020246351A1 (ja) * 2019-06-04 2020-12-10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US11105601B2 (en) * 2019-06-13 2021-08-3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Homeland Security Explosive threat mitigation unit
US10843868B1 (en) 2019-08-28 2020-11-24 Titanliner, Inc. Containment system for hazardous or other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009A (en) * 1901-01-11 1901-05-14 Thompson & Norris Company Knockdown paper box.
US2475441A (en) 1948-05-26 1949-07-05 John C Abbott Self-locking coin box
US2946473A (en) 1957-01-14 1960-07-26 Kemper N Moseley Tobacco hogshead
US3093259A (en) 1960-03-03 1963-06-11 Liquefreeze Company Inc Insulating container
US3067925A (en) 1960-07-01 1962-12-11 Edward D Gillam Packages
US3445052A (en) 1966-08-22 1969-05-20 Phillips Petroleum Co Hinged laminate
US3786956A (en) 1970-06-03 1974-01-22 P Tabor Container for explosive charge
US3611512A (en) 1970-06-08 1971-10-12 Donald H Sholl Latch and device containing same
US3822807A (en) 1972-03-13 1974-07-09 Secr Defence Closeabl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suppressing fire and/or explosions
US3969812A (en) 1974-04-19 1976-07-20 Martin Marietta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verwrapped pressure vessel
US4046277A (en) 1975-09-24 1977-09-0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Flexible bottom containers
US4027601A (en) 1976-04-19 1977-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tainer for explosive device
US4216803A (en) * 1976-06-15 1980-08-12 Martin Marietta Corporation Self-sealing fuel lines
US4055247A (en) 1976-10-22 1977-10-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Explosion containment device
US4266670A (en) 1979-07-20 1981-05-12 First National Packaging Co., Inc. Collapsible reinforced container
US4290468A (en) * 1979-11-15 1981-09-22 Technical Materials, Inc. Portable collapsible container
US4432285A (en) 1982-09-13 1984-02-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Bomb blast attenuator
US4639387A (en) 1983-04-25 1987-01-27 Budd Company Fibrous armor material
US4623574A (en) * 1985-01-14 1986-11-18 Allied Corporation Ballistic-resistant composite article
US5054635A (en) 1986-10-31 1991-10-08 Alcoa/Tre, Inc. Rapid assembly and load distribution system for nestable container sections
US4746029A (en) 1987-04-09 1988-05-24 Bear Creek Industries, Inc. Self-closing cooler curtain
IT1215548B (it) 1987-06-04 1990-02-14 Assograph Di Prof Ssa Galber M Struttura di involucro componibileper imballaggio, prvvisto di un sistema di chiusura di tipo autosigillante.
US4916000A (en) 1987-07-13 1990-04-10 Allied-Signal Inc. Ballistic-resistant composite article
IL83209A (en) 1987-07-16 1991-01-31 Koor Metals Ltd Blast-resistant container
US5170690A (en) 1988-06-03 1992-12-15 Foster-Miller, Inc. Survivability enhancement
US5333532A (en) 1988-06-03 1994-08-02 Foster-Miller, Inc. Survivability enhancement
US5011009A (en) * 1988-08-12 1991-04-30 Davidoff Of Geneva, Inc. Cigar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tainer
US4997091A (en) 1989-08-17 1991-03-05 Mccrea James S Package containing biodegradable dunnage material
US5033161A (en) 1990-01-08 1991-07-23 Chavez Joseph G Door hinge with knuckle cylinder having a major beveled portion
US5225622A (en) 1990-06-19 1993-07-06 Guy L. Gettle Acoustic/shock wave attenuating assembly
GB2251925A (en) * 1991-01-11 1992-07-22 Dowty Armourshield Ltd Protective cover
US5133258A (en) 1991-02-28 1992-07-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Nonpropagating holder and package for explosive devices
DE4129384A1 (de) 1991-09-04 1993-03-11 Deutsche Aerospace Transportbehaelter
US5267665A (en) 1991-09-20 1993-12-07 Sri International Hardened luggage container
GB2262885A (en) 1991-12-12 1993-07-07 British Aerospace Blast absorbing structure
GB2262798A (en) 1991-12-24 1993-06-30 British Aerospace An aircraft cargo container
US5413410A (en) 1991-12-26 1995-05-09 Jaycor Telescoping hardened aircraft unit load device
US5312182A (en) 1991-12-26 1994-05-17 Jaycor Hardened aircraft unit load device
US5599082A (en) * 1991-12-26 1997-02-04 Jaycor Hardened aircraft unit load device
US5195701A (en) 1992-02-04 1993-03-23 Willan W Craig Air cargo container with bomb damage mitigation features
IL105788A (en) * 1992-06-01 1996-10-16 Allied Signal Inc Tailor-made composite structures with improved penetration resistance
IL105800A (en) 1992-07-09 1996-05-14 Allied Signal Inc Objects and vehicles are resistant to penetration and explosion
WO1994023263A1 (en) * 1993-04-01 1994-10-13 Alliedsignal Inc. Constructions having improved penetration resistance
US6341708B1 (en) * 1995-09-25 2002-01-29 Alliedsignal Inc.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assemblies
US7185778B1 (en) * 1995-09-25 2007-03-06 Allied-Signal Inc. Barrier unit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991124B1 (en) * 1995-09-25 2006-01-31 Alliedsignal Inc.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02B1 (ko) * 2010-12-14 2013-04-04 박종영 폭발물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12195A1 (en) 1997-04-03
CA2232030A1 (en) 1997-04-03
JPH11512687A (ja) 1999-11-02
ES2186806T3 (es) 2003-05-16
EP0852695B1 (en) 2002-11-20
DE69624931D1 (de) 2003-01-02
JP2007197093A (ja) 2007-08-09
IL123604A (en) 2002-02-10
DE69624931T2 (de) 2003-07-31
US20080223857A1 (en) 2008-09-18
US6991124B1 (en) 2006-01-31
CA2232030C (en) 2007-06-05
EP0852695A1 (en) 1998-07-15
IL123604A0 (en) 199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749A (ko) 내폭파 및 폭파통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7571828B2 (en) Barrier unit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341708B1 (en) Blast resistant and blast directing assemblies
JP4502409B2 (ja) 耐爆風及び爆風方向制御コンテナアセンブリ
EP0572965B1 (en) Ballistic resistant composite armour
JPH06510972A (ja) 爆発から保護する補強壁付き旅行荷物コンテナ
MX2008012311A (es) Panel contra balas moldeado con desempeño estructural mejorado.
US6092272A (en) Modified container using inner bag
CA2599028A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an explosion
US20070029321A1 (en) Technology for blast containers
EP0938640B1 (en) Barrier unit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