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510A -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촬영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촬영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510A
KR19990063510A KR1019980058942A KR19980058942A KR19990063510A KR 19990063510 A KR19990063510 A KR 19990063510A KR 1019980058942 A KR1019980058942 A KR 1019980058942A KR 19980058942 A KR19980058942 A KR 19980058942A KR 19990063510 A KR19990063510 A KR 1999006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hotographing
data
stat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481B1 (ko
Inventor
세이지 다치바나
이사오 에비사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841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09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907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663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6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haracter Input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화상데이터에 해당 상품의 정보를 대응지운 상품관리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게 한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촬영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상품코드를 바코드 입력하여 촬영박스(2) 내에 놓여진 해당 상품을 촬영카메라(4)에 의해 촬영하여 그 상품화상데이터를 상기 상품코드와 대응지워 기억하고, 따라서 상품의 화상데이터에 해당 상품의 정보를 대응지운 상품관리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의 촬영보조장치는 조명장치에 의해 피사체를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이동수단에 의해 촬영장치의 피사체에 대한 촬영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피사체를 간단 또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촬영박스(2) 내에 피사체인 상품을 배치하여 이 상품을 촬영박스(2)의 외부에서 촬영카메라(4)로 촬영하는 촬영보조장치로 상품을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여 촬영카메라(4)와 피사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품의 촬영을 실시하도록 하며, 따라서 조명얼룩이 적고, 선명한 촬영화상을 간단 또는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촬영보조장치
본 발명은 상품화상을 촬영하고 기억하여 관리하기 위한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상품 등을 촬영하는 촬영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에서는 상품을 단독으로 촬영하여 광고에 개재함으로써 상품의 선전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사체인 상품의 촬영은 전문 카메라맨이 특수스튜디오에서 촬영하고 있는데, 촬영코스트가 높게되기 때문에 점원이 간단하게 상품을 촬영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고, 이 요망에 응하기 위해 종래에는 촬영보조장치가 검토되어 개발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장치본체 내에 상품을 배치하고, 이 상품의 옆쪽으로부터 조명장치에 의해 스포트라이트를 비추어 상품을 조명하며, 이 상태에서 장치본체의 외부에서 촬영카메라로 상품의 정면 또는 상면을 촬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상품의 옆쪽으로부터 스포트라이트를 비추고있기 때문에 상품의 측부에 빛이 강하게 비추어 조명얼룩이 발생하여 선명한 촬영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상품의 정면을 촬영할 때에는 촬영카메라를 삼각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는데, 상품의 상면을 촬영할 때에는 촬영자가 촬영카메라를 손에 들고 촬영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촬영작업이 귀찮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명얼룩이 적고, 선명한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품인 피사체의 적어도 2면을 간단 또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 상품 등의 촬영화상을 관리하는 상품관리시스템에서는 개개의 상품관리는 해당상품을 촬영한 상품화상에 대해서 상품코드, 상품명, 치수, 중량 등의 상품정보를 일람으로 한 상품관리데이터로서 작성하여 기억 보존하는 것으로 실시된다.
이와 같은 상품관리데이터는 관리하는 당사자에 의해 이용될 뿐만 아니라 광고, 팜플렛, 카탈로그 등에 실어서 이용하거나, 직접 거래처에 보여서 이용하거나 하기 때문에 상품의 화상은 해당 상품으로서의 매력이 최대한으로 인출되도록 능숙하게 촬영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 상품관리데이터는 우선 상품의 화상을 프로카메라맨에 의해 또는 상품촬영의 숙련자에 의해 촬영하고, 이 촬영한 화상데이터에 상품코드, 상품명, 치수, 중량 등의 각종 상품정보를 모두 수작업에 의해 입력하여 일람으로서 정리하는 것으로 작성되어 있다.
그러나 취급상품의 종류도, 숫자도 매우 많은 상품판매의 현장에 있어서, 이와 같은 상품관리데이터의 작성작업을 모두 인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것은 그 숙련자라고 해도 많은 수고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 특히 디스카운트스토어나 슈퍼마켓 등의 대형점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상품관리데이터의 작성작업도 파트타이머 등의 숙련자 이외의 인원에 의해 실시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더욱이 수고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개개 상품의 화상을 프로카메라맨이나 숙련자같이 능숙하게 촬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품의 화상데이터에 해당 상품의 정보를 대응지운 상품관리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조명얼룩이 적고 선명한 촬영화상의 촬영을 간단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입력수단에 의해 촬영대상상품의 상품분류데이터를 입력하고, 촬영장치에 의해 상품을 촬영하여 그 화상데이터를 픽업하면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대응지워져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픽업된 상품의 화상데이터가 상품별로 기억되어 관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종다양한 상품 각각의 상품분류데이터의 입력작업과 해당 상품의 촬영작업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상품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장치본체 내에 피사체를 배치하고, 이 피사체를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에서 촬영장치로 촬영하는 촬영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정면측 상부에 상기 촬영장치보다도 상기 피사체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피사체를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와 상기 피사체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영장치의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촬영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장치보다도 피사체측에 위치하는 조명장치에 의해 피사체를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조명얼룩이 적고, 선명한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동수단에 의해 촬영장치와 피사체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켜서 촬영장치의 피사체에 대한 촬영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피사체의 적어도 2면을 간단 또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촬영보조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시스템전체의 일부 파단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촬영보조장치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촬영보조장치의 일부를 접어 겹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촬영보조장치에 의한 촬영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도 1의 회전스테이지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회전스테이지를 나타내고 도 6a는 그 대좌의 평면도, 도 6b는 그 대좌의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촬영보조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7의 RAM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상품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촬영보조장치 전체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1a는 그 촬영보조장치의 단면도, 도 11b는 그 촬영보조장치의 회전스테이지를 180°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2a는 그 촬영보조장치로 상품의 정면을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b는 그 촬영보조장치로 상품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촬영보조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카메라대의 정면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카메라대의 측면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카메라대에 의한 촬영카메라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도 13의 조명장치의 제 2 힌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 파단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의 회전스테이지 상에 착탈되는 측정용대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8에서 나타내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1은 도 20의 모터구동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22는 도 20의 RAM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상기 제어장치의 RAM에 확보되는 포토분류코드데이터메모리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상기 제어장치의 RAM에 확보되는 학습데이터메모리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상기 제어장치의 RAM에 확보되는 상품파일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상기 제어장치의 RAM에 확보되는 화상버퍼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학습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8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검품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9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0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동반하는 자동측정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1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동반하는 셔터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2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동반하는 촬영완료대응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3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미촬영상품확인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4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다른상품 센터링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a는 그 외관사시도, 도 34b는 그 A화살 시각측 단면에 의한 센터링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또 다른상품 센터링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5a는 그 외관사시도, 도 35b는 그 센터링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상품고줴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6a는 그 측단면도, 도 36b는 그 상품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품 2: 촬영박스 2a: 촬영박스의 정면
3: 카메라후드 3a: 렌즈배치창 4: 촬영카메라
4a: 렌즈부 5: 삼각 6: 경사장치
7: 회전스테이지 7a: 승강기구 7b: 회전기구
8: 컨트롤케이스 9: 승강샤프트 9a: 래크톱니
10: 승강용모터 11, 15, 55, 68, 81 : 피니언
12: 회전케이스 13: 기어 14: 회전용모터
16: 압전소자 17: 대좌 18: 눈금
19: 백색조정마크 20: 정면용표시기 21: 상면용표시기
25: 조명장치 26: 조명박스 27: 형광관
28: 반사시트 29: 조도조절스위치 30, 32: 지지아암
31: 거울판 33: 배면판 34:미닫이
35: 제어장치 36: 표시장치 37: 접속코드
38: 키보드 39: 핸드스캐너 40: CPU
41: RAM 41-1: 상품파일 41-2: 표시용메모리
41-3: 화상버퍼 41-4: 작업메모리
41-5: 포토분류종별코드데이터메모리
41-6: 학습데이터메모리 41-7: 화상데이터메모리
42: 기억장치 43: 기억매체 44: 인쇄장치
50: 각도조절장치 51:장치본체 52: 지지축
53: 기어 54: 모터 56: 재치대
57: 카메라지지아암 58a: 정면판 58b: 상면판
60: 카메라이동기구 61: 스윙아암 62: 제 1 힌지기구
63: 카메라대 63a: 회전기구 63b: 경사기구
64: 컨트롤케이스 65: 회전판 65a: 가이드립
65b: 관통구멍 66: 원통기어 67: 선회용모터
69: 경사용모터 70: 구동베벨기어 71: 지지돌기부
72: 지지축 73: 지지각 74: 종동베벨기어
75: 제 2 힌지기구 76: 제 3 힌지기구 77: 제 4 힌지기구
78: 고정힌지 79: 자동힌지 80: 모터
82: 내측기어 83: 중간기어 85: 모터구동부
85a∼85d: 결합구멍 90: 측정용대좌 91a∼91d: 결합핀
92: 측정대 93: 측정창 94L, 94R: 측정판
95: 회전축 96: 회전기어 97L, 97R: 슬라이드기어
98: 엔코더 99: 모터구동부 100: 모터드라이브회로
101: A/D 변환부 102a ∼102d: 개폐기구
103a∼103c: 폭 푸시로드 104: 스테이지기판
105: 투명판 106: 상품누름스프링 107: 센터링기판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촬영보조장치(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촬영보조장치의 시스템전체를 나타낸 일부 파단한 구성도, 도 2는 그 촬영보조장치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그 촬영보조장치의 일부를 접어 겹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이 촬영보조장치에 의한 촬영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촬영보조장치는 피사체인 상품(1)(도 4 참조)을 촬영하는 것이고, 촬영박스(장치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촬영박스(2)는 내부에 상품(1)이 배치되는 것이며, 대략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촬영박스(2)의 정면(도 2 및 도 3에서는 좌측면)(2a)은 개방되어 있고, 이 정면(2a)에는 카메라후드(촬영후드)(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후드(3)는 선단이 타원형상을 이루고, 후단이 사각형상을 이루는 대략 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촬영카메라(촬영장치)(4)가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촬영카메라(4)는 피사체인 상품(1)의 화상을 CCD 등의 전하결합소자(수광소자)로 수광하여 전기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지털카메라이고, 삼각(5)에 지지되어 있다. 이 삼각(5)은 촬영카메라(4)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사기구(경사장치)(6)를 구비하고 있는 외에 촬영카메라(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후드(3)의 전단부에 있는 렌즈배치창(3a)은 그 상부측보다 하부측이 촬영박스(장치본체)(2)의 깊이방향으로 향해 깊게 노치(notch)된 타원의 개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촬영카메라(4)의 렌즈부(4a)가 정면촬영용의 앵글과 천장면촬영용의 앵글로 회전운동할 때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촬영박스(2) 내에 있어서의 안측바닥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인 상품(1)을 재치하는 회전스테이지(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스테이지(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기구(7a)와 회전기구(7b)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기구(7a)는 촬영박스(2) 내의 안측바닥부에 배치된 컨트롤케이스(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트롤케이스(8) 내의 대략 중심부분에는 승강샤프트(9)가 그 상단부를 컨트롤케이스(8)의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승강샤프트(9)의 외주면에는 래크톱니(9a)가 상하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 컨트롤케이스(8) 내에 있어서의 승강샤프트(9)의 근처에는 승강용모터(1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승강용모터(10)의 출력축에는 피니언(11)이 승강샤프트(9)의 래크톱니(9a)에 서로 맞물려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승강기구(7a)는 승강용모터(10)에 의해 피니언(11)이 회전하면 이 회전에 동반하여 승강샤프트(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있다.
회전기구(7b)는 컨트롤케이스(8)의 위쪽으로 돌출한 승강샤프트(9)의 상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승강샤프트(9)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케이스(12)는 그 내부로 돌출한 승강샤프트(9)의 상단면에 고정된 기어(13)와 회전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용모터(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기구(7b)는 회전용모터(14)의 출력축에 설치된 피니언(15)이 기어(13)에 서로 맞물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용모터(14)에 의해 피니언(15)이 회전하여 기어(13)의 외주에 따라 회전운동함으로써 승강샤프트(9)를 중심으로 회전케이스(12)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케이스(12)상에는 상품(1)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압전소자(1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압전소자(16)를 통해서 대좌(17)가 부착되어 있다. 이 대좌(17)는 컨트롤케이스(8)의 외경보다도 큰 원판(17a)의 외주부에 원통상의 측벽(17b)이 설치되어 승강샤프트(9)가 가장 강하한 상태일 때에 측벽(17b)의 하단면이 촬영박스(2)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고 그 조금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대좌(17)는 나사 등의 작은 상품(1)에서 개먹이(dog food) 등의 큰 상품(1)까지 재치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동반하여 촬영박스(2)도 개먹이 등의 상품(1)이 수용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며, 압전소자(16)도 나사 등의 수g의 상품(1)에서 개먹이 등의 수㎏의 상품(1)까지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대좌(17)의 원판(17a)의 상면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좌표상에 상품(1)의 재치위치 및 상품(1)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눈금(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좌(17)의 측벽(17b)의 외주면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조정마크(19)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백색조정(화이트밸런스조정)마크(19)는 상품(1)을 촬영카메라(4)로 촬영할 때 촬영카메라(4)의 색도조절을 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조명장치(25) 이외의 외부광을 상품(1)에 조사했을 때에 사용하여 촬영카메라(4)의 색도를 조절한다. 또한 컨트롤케이스(8) 내에는 후술하는 제어장치(퍼스널컴퓨터)(35)로부터의 제어지령에 의거하여 승강용모터(10)를 구동하고, 또 회전케이스(12) 내에도 제어장치(35)로부터의 제어지령에 의거하여 회전용모터(14)를 구동하는 동시에 압전소자(16)에 의해 측정된 상품(1)의 중량데이터를 제어장치(35)에 출력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회전스테이지(7)의 근처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인 정면용표시기(20) 및 상면용표시기(21)가 설치되어 있다. 정면용표시기(20) 및 상면용표시기(21)는 촬영매수 및 상품(1)의 중량,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액정표시장치나 형광표시관등으로 이루어지며, 표시한 정보가 촬영카메라(4)로 촬영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정면용표시기(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박스(2) 내의 안측상부에 표시면(20a)을 촬영카메라(4)측으로 향해 배치되어 있다. 또 상면용표시기(21)는 촬영박스(2) 내의 안측하부에 표시면(21a)을 위쪽으로 향해 이 표시면(21a)이 후술하는 거울판(31)을 통해서 촬영카메라(4)측으로 반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촬영박스(2)의 상면(2b)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고, 이 상면(2b)에 있어서의 정면(2a)측의 상부에는 회전스테이지(7)상에 배치된 상품(1)을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는 조명장치(25)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조명장치(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박스(26)내에 복수의 형광관(27)이 평면적으로 배치되고, 각 형광관(27)으로부터의 빛 및 조명박스(26)의 내면에 설치된 반사시트(28)에서 반사된 빛을 상품의 대략 일면에 확산시켜서 회전스테이지(7)상에 재치된 상품(1)에 그 정면측 위쪽에서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명박스(26)의 외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등하는 형광관(27)을 선택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조절스위치(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조명박스(2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옆테두리부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오목부(26a)의 어느 것에 촬영박스(2) 후측의 측면(2e)의 상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아암(30)의 선단이 걸어 맞춤으로써 촬영박스(2)상에 소정각도 경사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영박스(2)의 상면(2b)에 있어서의 배면(2c)측의 상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스테이지(7)상에 배치된 상품(1)의 상면측의 화상을 카메라후드(3)측의 촬영카메라(4)를 향해서 반사하는 거울판(반사판)(31)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거울판(31)은 그 옆테두리부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오목부(31a)의 어느 것에 촬영박스(2) 후측의 측면(2e)의 상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아암(32)의 선단이 걸어맞춤으로써 촬영박스(2)상에 소정각도 경사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25) 및 거울판(31)은 지지아암(30, 32)에 의한 걸림오목부(26a, 31a)의 걸어 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회전운동하여 거울판(31)의 일부에 조명장치(25)의 일부가 겹친 상태에서 촬영박스(2)의 상면(2a)상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촬영박스(2)상에 접어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영박스(2)의 배면(2c)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배면(2c)을 막는 배면판(33)이 소정각도만 배면측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배면판(33)은 그 상부가 촬영박스(2)에 대해서 소정각도 열림으로써 외부광을 촬영박스(2) 내로 픽업하여 상품(1)의 배면측을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배면판(33)에는 상품(1)의 높이 및 가로폭을 나타내는 눈금(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 촬영박스(2)의 바로 앞측의 측면(2d)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34)가 좌우로 열고 닫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판(33)을 포함하는 촬영박스(2)의 내면, 카메라후드(3)의 내면 및 미닫이(34)의 내면은 모두 백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촬영박스(2)의 외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3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35)에는 그 상면에 배치된 CRT 등의 표시장치(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촬영카메라(4), 회전스테이지(7), 정면측표시기(20), 상면측표시기(21) 및 조명장치(25)가 접속코드(3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외에 키보드(38), 핸드스캐너(39) 및 인쇄장치(44)도 접속코드(3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이 촬영보조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40)는 RAM(41) 내에 로드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촬영보조장치의 시스템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이다. 기억장치(42)는 오퍼레이팅시스템이나 각종의 제어프로그램, 데이터파일 등이 미리 격납되어 있는 기억매체(43)나 그 구동계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이 기억매체(43)는 고정적으로 설치된 것 또는 착탈 자유롭게 장착 가능한 것이고,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RAM카드 등의 자기적· 광학적 기록매체, 반도체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기록매체(43) 내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CPU(40)의 제어에 의해 RAM(41)에 로드된다. 또한 CPU(40)는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다른 기기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매체(43)에 격납하거나 다른 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CPU(40)에는 그 입출력주변디바이스인 키보드(38), 핸드스캐너(39), 표시장치(36), 촬영카메라(4), 촬영박스(2)의 각종장치 및 인쇄장치(44)가 버스라인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CPU(40)는 입출력프로그램에 따라서 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키보드(38)는 상품데이터나 각종 명령을 입력하고, 핸드스캐너(39)는 바코드 등의 상품데이터를 입력하며, 이들 입력된 상품데이터는 표시장치(36)의 표시화면에 표시 출력되거나, RAM(41) 내의 상품파일(41-1)(도 8 참조)에 격납되거나 한다.
표시장치(36)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CRT표시장치인데, 컬러표시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나 플라즈마표시장치 등의 평면디스플레이 등이어도 좋다.
촬영박스(2)의 각종장치는 회전스테이지(7), 정면용표시기(20), 상면용표시기(21) 및 조명장치(25) 등이다.
인쇄장치(44)는 컬러프린터이고, 열전사나 잉크젯 등의 논임펙트타입 또는 도트임펙트 등의 것이다.
도 8은 RAM(41)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RAM(41)에는 각종의 메모리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상품파일(41-1)은 각종의 상품데이터를 순차 기억하는 메모리이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상품(1)에 대해서 JAN코드, 정면화상, 측면화상, 상면화상, 중량, 치수, 그 외 설정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표시용메모리(41-2)는 촬영카메라(4)로 촬영한 상품(1)의 화상을 화상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화상버퍼(41-3)는 표시용메모리(41-2)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일시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작업메모리(41-4)는 화상 이외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표이다.
다음으로 이 촬영보조장치에 의해 상품(1)을 촬영할 때의 동작을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 흐름이 개시하기 전에는 미리 조명장치(25)를 촬영박스(2)상에 지지아암(30)에 의해 소정각도 기울여서 지지하는 동시에 거울판(31)을 촬영박스(2)상에 지지아암(32)에 의해 소정각도 기울여서 지지하여 둔다. 또 이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CPU(40)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기억매체(42)에 기억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RAM(41) 내에 로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우선 상품(1)의 상품코드를 핸드스캐너(39)로 판독하고(스텝 S1), 판독한 상품코드를 RAM(41)의 상품파일(41-1)에 JAN코드로서 기억한다(스텝 S2). 그리고 상품코드가 판독된 상품(1)을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상에 재치하여 촬영카메라(4)에 의한 상품(1)의 촬영방향을 지정한다(스텝 S3). 이 때의 상품(1)의 촬영방향에는 상품(1)의 정면, 측면, 상면의 3방향의 촬영이 있고, 여기에서는 그 어느 것인가를 지정한다.
즉 상품(1)의 정면을 촬영할 때에는 촬영카메라(4)를 상품(1)으로 향한 상태에서 회전스테이지(7)를 회전기구(7b)에 의해 회전시켜서 상품(1)의 정면을 촬영카메라(4)에 향하는 동시에 회전스테이지(7)를 승강기구(7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품(1)을 촬영카메라(4)의 촬영영역 내의 소정높이위치에 설정한다. 또 상품(1)의 측면을 촬영할 때에는 상품(1)의 정면을 촬영하는 상태에서 회전스테이지(7)를 회전기구(7b)에 의해 회전시켜서 상품(1)의 측면을 촬영카메라(4)에 향한다. 또 상품(1)의 상면을 촬영할 때에는 촬영카메라(4)를 삼각(5)의 경사장치(6)에 의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기울여서 거울판(31)으로 향하고, 이 상태에서 회전스테이지(7)를 회전기구(7b)에 의해 회전시켜서 상품(1)의 정면 또는 측면의 어느 것인가를 촬영카메라(4)측으로 향한다. 또한 회전스테이지(7)에 상품(1)이 재치되면 압전소자(16)에 의해 상품(1)의 중량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품(1)의 촬영방향이 지정되면 촬영카메라(4)가 상품(1)을 지정된 촬영방향, 예를 들면 상품(1)의 정면촬영이 지정되면 상품(1)의 정면을 촬영하고 촬영한 상품(1)의 화상을 픽업하고(스텝 S4), 픽업한 상품(1)의 화상을 상품코드에 대응지워 RAM(41)의 상품파일(41-1)에 상품(1)의 정면화상으로서 기억한다(스텝 S5). 촬영한 화상이 기억되면 상품(1)의 촬영이 종료했는가가 판단된다(스텝 S6). 이 때 상품(1)의 다른 화상, 예를 들면 상품(1)의 측면 또는 상면의 화상을 촬영하고 싶은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가 전회 촬영한 촬영방향과 다른 방향을 지정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품(1)의 희망하는 복수의 방향, 예를 들면 상품(1)의 정면, 측면, 상면의 촬영을 종료하면 회전스테이지(7)의 압전소자(16)로 측정된 상품(1)의 중량데이터를 픽업하여 상품코드와 대응지워 RAM(41)의 상품파일(41-1)에 상품(1)의 중량데이터를 기억하고(스텝 S5) 이 흐름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촬영카메라(4)보다도 상품(1)측에 위치하는 조명장치(25)에 의해 상품(1)을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기 때문에 상품(1)을 촬영할 때 조명얼룩이 적고 선명한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장치(25)가 복수의 형광관(27)을 평면적으로 배열하여 빛을 면상으로 확산함으로써 상품(1)을 조명하기 때문에 상품(1)을 대략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흐림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일층 선명한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촬영카메라(4)와 촬영박스(2)의 사이에 외부광을 차단하는 카메라후드(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시에 촬영카메라(4)가 외부광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양호하게 상품(1)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박스(2)의 배면(2c)에 배면판(33)이 소정각도만 회전운동하여 열리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1)의 배면측이 어두울 때에 배면판(33)의 상부를 소정각도 열음으로써 외부광을 촬영박스(2) 내로 픽업하여 상품(1)의 배면측을 조명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도 선명한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상품(1)의 위쪽에 위치하는 장소의 촬영박스(2)에 상품(1)의 상면화상을 촬영카메라(4)측으로 향해서 반사하는 거울판(31)이 설치되고, 또한 촬영카메라(4)가 삼각(5)에 경사장치(6)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사장치(6)에 의해 촬영카메라(4)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촬영카메라(4)를 상품(1)의 정면 또는 거울판(31)으로 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품(1)의 정면과 상면을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스테이지(7)가 상품(1)을 재치하여 회전하는 회전기구(7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기구(7b)에 의해 회전스테이지(7)를 회전시킴으로써 상품(1)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품(1)의 측면도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회전스테이지(7)는 승강기구(7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승강기구(7a)에 의해 상품(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상품(1)의 크기가 커도 또 작아도 상품(1)을 촬영카메라(4)에 의한 촬영영역 내의 소정높이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또 회전스테이지(7)에는 무게를 측정하는 압전소자(16)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스테이지(7)에 상품(1)을 재치하는 것만으로 상품(1)의 중량을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 회전스테이지(7)의 대좌(17)에는 상품(1)의 평면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눈금(18)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배면판(33)에는 상품(1)의 높이 및 가로폭을 나타내기 위한 눈금(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스테이지(7)에 상품(1)을 재치함으로써 그 상품(1)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또한 회전스테이지(7)의 측면에는 백색조정마크(1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명장치(25)에 의해 상품(1)을 조명하는 외에 외부에서 스포트라이트로 상품(1)을 조명했을 때에 백색조정마크(19)에 맞추어서 촬영카메라(4)의 색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상품(1)에 적합한 색의 컬러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촬영카메라(4)로 촬영된 상품(1)의 화상을 미리 입력된 상품코드와 대응지워 RAM(41)에 기억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억한 화상을 상품코드에 대응하여 표시장치(36)에 표시하거나 인쇄장치(44)로 인쇄할 수 있는 외에 기억한 화상을 용도에 따라서 간단 또는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 촬영박스(2) 내에는 촬영매수 및 상품(1)의 중량,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면용표시기(20) 및 상면용표시기(21)가 이들에 표시된 정보를 촬영카메라(4)로 촬영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1)의 촬영과 동시에 표시기(20, 21)에 표시된 정보도 촬영할 수 있다.
또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촬영박스(2)의 정면(2a)에서 카메라후드(3)를 떼어내고 거울판(31)의 지지아암(32) 및 조명장치(25)의 지지아암(30)을 옆으로 넘어뜨린 후, 촬영박스(2)의 상면(2b)상에 거울판(31) 및 조명장치(25)를 넘어뜨려 거울판(31)의 일부에 조명장치(25)의 일부를 겹침으로써 이들을 촬영박스(2)에 콤팩트하게 접어 겹칠 수 있고, 이 때문에 수납이 편리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촬영카메라(4)를 삼각(5)에 지지시켰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제 1 변형예 또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제 2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제 1 변형예는 조명장치(25)의 조명케이스(26)의 중앙부분에 관통구멍(26a)을 설치하고, 이 조명케이스(26)의 외면에 카메라후드(3)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며, 이 카메라후드(3)의 선단부에 각도조절장치(50)를 통해서 촬영카메라(4)를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각도조절장치(50)는 장치본체(51) 내에 지지축(52)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지지축(52)에 촬영카메라(4) 및 기어(53)가 일체적으로 부착되며, 장치본체(51) 내에 설치된 모터(54)의 출력축에 피니언(55)이 부착되고, 이 피니언(55)이 지지축(52)의 기어(53)에 서로맞물려 모터(54)의 회전에 동반하여 피니언(55)을 통해 기어(53)가 회전함으로써 촬영카메라(4)가 지지축(5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의 대좌(17)상에 상품(1)을 재치하는 재치대(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재치대(56)는 상품(1)을 약 45°기울인 상태로 재치하는 것이고, 대략 90°의 각도로 열린 대략 V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변형예의 촬영보조장치에서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1)의 정면을 촬영카메라(4)로 향한 상태에서 이 상품(1)을 회전스테이지(7)의 재치대(56)에 재치함으로써 촬영카메라(4)로 상품(1)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회전스테이지(7)를 180°회전시키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1)의 상면이 촬영카메라(4)로 향하기 때문에 상품(1)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촬영카메라(4)를 거의 이동시키는 일없이 회전스테이지(7)만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품(1)의 정면 및 상면을 간단 또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상품(1)의 정면과 상면에서 상품(1)의 촬영높이가 다른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회전스테이지(7)의 승강기구(7a)에 의해 재치대(56)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품(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게다가 상품(1)에 대한 촬영카메라(4)의 기울기를 각도조절장치(50)에 의해 미세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앵글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제 2 변형예는 촬영박스(2) 측면(2e)의 외면에 카메라지지아암(이동장치)(57)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카메라지지아암(57)의 선단에 촬영카메라(4)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카메라지지아암(57)을 대략 수평으로 넘어뜨려 촬영카메라(4)를 상품(1)의 정면앞쪽으로 배치함으로써 상품(1)의 정면을 촬영하고, 또 카메라지지아암(57)을 기립시켜서 촬영카메라(4)를 상품(1)의 위쪽으로 배치함으로서 상품(1)의 상면을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촬영박스(2)의 정면 및 상면에는 각각 정면판(58a) 및 상면판(58b)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품(1)의 정면을 촬영할 때에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박스(2)의 상면에 상면판(58b)을 지지아암(32)으로 지지하고, 정면에서 정면판(58a)을 떼어내어 카메라후드(3)를 부착하며, 또 상면을 촬영할 때에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박스(2)의 정면에 정면판(58a)을 부착하고, 상면에서 상면판(58b)을 떼어내어 카메라후드(3)를 부착하여 조명장치(25)측의 하부를 개방하면 좋다.
이와 같은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카메라지지아암(57)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촬영카메라(4)를 간단하게 상품(1)의 정면측과 상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품(1)의 정면과 상면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촬영보조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10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촬영보조장치의 촬영박스(2)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카메라(4)를 지지하는 카메라이동기구(촬영용이동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이동기구(60)는 촬영박스(2)의 정면(2a)측의 측면(2d)의 하부에 스윙아암(61)이 후술하는 제 1 힌지기구(6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스윙아암(61)의 선단부상에 카메라대(63)가 설치되며, 이 카메라대(63)상에 촬영카메라(4)가 부착되고, 이 촬영카메라(4)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촬영박스(2)의 정면(2a)에 부착된 카메라후드(3)의 선단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카메라후드(3)는 플렉시블하고 신축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대(63)는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아암(61)의 선단부상에 설치된 원통상의 컨트롤케이스(64)를 구비하고, 이 컨트롤케이스(64)에 회전기구(63a) 및 경사기구(63b)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기구(63a)는 컨트롤케이스(64)의 상단부에 회전판(65)이 가이드립(65a)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부착되고, 이 회전판(65)의 하면에 원통기어(66)가 일체로 설치되며, 컨트롤케이스(64) 내에 설치된 선회용모터(67)의 출력축에 피니언(68)이 부착되고, 이 피니언(68)이 원통기어(66)에 서로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회전판(65)이 360°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사기구(63b)는 컨트롤케이스(64) 내의 대략 중앙부에 경사용모터(69)가 설치되고, 이 경사용모터(69)의 출력축이 회전판(65)의 회전중심에 설치된 관통구멍(65b)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하며, 그 상단부에 구동베벨기어(70)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판(65)상에 한쌍의 지지돌기부(71)가 구동베벨기어(70)를 끼워 대향하여 설치되고, 이들 한쌍의 지지돌기부(71)에 지지축(72)이 설치되며, 이 지지축(72)에 촬영카메라(4)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각(73)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한쪽의 지지각(73)에 부채형의 종동베벨기어(74)가 설치되며, 이 종동베벨기어(74)에 구동베벨기어(7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촬영카메라(4)가 상하방향으로 기울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용모터(67) 및 경사용모터(69)는 각각 엔코더 등의 위치센서를 구비하고, 각 위치센서에 의해 촬영카메라(4)의 회전위치 및 경사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촬영박스(2)의 정면(2a)측의 상부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25)가 제 2 힌지기구(조명용구동기구)(75)를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촬영박스(2)의 배면(2c)측의 상부에는 거울판(31)이 제 3 힌지기구(76)를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촬영박스(2)의 배면(2c)측의 상부에는 배면판(33)이 제 4 힌지기구(77)를 통해서 뒤쪽으로 향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제 4 힌지기구(62, 75∼77)는 모두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조명장치(25)의 제 2 힌지기구(75)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힌지기구(75)는 촬영박스(2)상에 고정된 원통상의 고정힌지(78)와 이 고정힌지(78)에 그 원통축을 중심으로 회전자유롭게 부착된 원통상의 가동힌지(79)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힌지(78) 내에는 모터(8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터(80)의 출력축은 가동힌지(79)내에 그 원통축에 따라서 돌출하고 있으며, 이 돌출한 선단부에는 피니언(81)이 부착되어 있다. 또 가동힌지(79)의 외주면에는 조명장치(25)의 조명케이스(26)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링상의 내측기어(82)가 피니언(81)에 대략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측기어(82)와 피니언(81)의 사이에는 중간기어(83)가 고정힌지(78)에 대해서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중간기어(83)는 2개의 기어부로 이루어지고, 한쪽이 피니언(81)에 서로 맞물리고, 다른쪽이 내부기어(82)에 서로 맞물려있다.
따라서 이 힌지기구(75)는 모터(80)의 회전이 피니언(81)을 통해서 중간기어(83)에 전달되고, 이 중간기어(83)의 회전이 내부기어(82)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가동힌지(79)가 고정힌지(78)에 대해서 회전하고, 조명장치(25)가 촬영박스(2)에 대해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80)는 선회용모터(67) 및 경사용모터(69)와 똑같이 엔코더 등의 위치센서를 구비하고, 이 위치센서에 의해 조명장치(25)의 경사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촬영박스(2) 내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회전스테이지(7), 정면측표시기(20) 및 상면측표시기(2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부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어장치(35), CRT 등의 표시장치(36), 키보드(38) 및 핸드스캐너(3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장치(35)에는 표시장치(36), 키보드(38) 및 핸드스캐너(39)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외에 촬영카메라(4), 회전스테이지(7), 정면측표시기(20), 상면측표시기(21), 조명장치(25), 카메라대(64) 및 제 1∼제 4 힌지기구(62, 75∼77)가 각각 접속코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촬영보조장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상품(1)을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는 조명장치(25)의 조명각도를 조명용구동기구인 제 2 힌지기구(75)에 의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1)을 촬영할 때 양호하게 조명할 수 있으며, 제 1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조명얼룩이 적고 선명한 촬영화상을 얻을 수 있고, 또 회전스테이지(7)에 의해 상품(1)을 회전시키며 또한 카메라이동기구(60)에 의해 촬영카메라(4)를 상품(1)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품(1)의 정면, 측면 및 상면의 3면을 간단 또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게다가 상품(1)을 촬영카메라(4)로 촬영할 때에 미리 설정된 모터제어용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치전반의 동작을 CPU(40) 및 모터구동부(85)에서 제어하기 때문에 상품(1)을 자동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촬영의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더라도 간단하게 상품(1)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 장치전반을 수동으로 제어하고, 그 동작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모터제어용데이터의 정면촬영데이터, 측면촬영데이터, 상면촬영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제어용데이터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제 4 힌지기구(62, 75∼77)가 모터의 회전을 기어기구에 의해 전달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캠기구를 이용해도 좋고, 또 모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링크기구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명장치(25)가 복수의 형광관(27)을 평면적으로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일렉트로루미네선스소자 등의 평면발광패널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스테이지(7)에 압전소자(16)를 설치하고, 이 압전소자(16)로 상품(1)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했는데, 반드시 압전소자(16)일 필요는 없고 디지털식의 저울 등이어도 좋고, 요점은 상품(1)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저울을 이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8∼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촬영보조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17에 나타낸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촬영카메라(4)를 지지하는 카메라이동기구(촬영용이동기구)(60)는 설치하지 않고 촬영카메라(4)가 삼각(5)에 의해 그 렌즈부(4a)를 상기 카메라후드(3)의 렌즈배치창(3a)에 맞추어 배치되며, 해당 삼각(5)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된 카메라의 경사기구(63)(제 2 실시형태의 기구와 똑같음)에 의해 상기 정면촬영용의 앵글과 천장면촬영용의 앵글로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치수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용대좌(90)가 이용되기 때문에 회전스테이지(7)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측정용대좌(90)(도 5 참조)의 결합핀(91a∼91d)이 끼워 넣어지는 결합구멍(85a∼85d)(85b, 85c는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는 회전스테이지(7)상에 착탈되는 측정용대좌(9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측정용대좌(90)는 상품(1)의 촬영에 동반하여 자동측정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스테이지(7)상에 재치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 측정용대좌(90)상면의 측정대(92)에는 띠상으로 노치된 측정창(93)이 형성되며, 이 측정창(93)에는 L자판상의 측정판(94L, 94R) 각각의 상단부분이 대좌(90)의 내부로부터 끼워 통하게되어 해당 측정창(9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판(94L, 94R)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측정용모터의 회전축(95)으로부터의 회전이 회전기어(96)에서 슬라이드기어(97L, 97R)에 전달되어 화살표(h1, h2)로 나타내는 서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거나 화살표(i1, i2)로 나타내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측정용모터의 회전축(95)에는 엔코더가 부착되고, 화살표(j)로 나타내는 회전량이 계측되며, 이 회전량은 상기 측정판(94L, 94R)의 슬라이드에 동반하는 이동거리의 계측데이터로서 촬영측데이터· 제어버스(37)를 통해 제어장치(35)에 보내진다.
즉 상기 측정용대좌(90)에 있어서, 측정대(92)에 있어서의 측정창(93)의 길이는 미리 알고 있으며 이 측정창(93)의 양단에 위치시킨 측정판(94L, 94R)을 슬라이드시켜 상품(1)을 끼워서 멈출 때까지의 이동거리를 상기 엔코더(98)에 의해 계측하는 것으로 상품(1)의 폭(W)이 산출된다. 그리고 상품(1)의 높이(H), 깊이(D)는 촬영카메라(4)에 의해 촬영된 상품(1)의 정면화상 및 측면화상의 에지(edge)검출에 의한 상기 측정된 폭(W)에 대한 높이(H) 및 깊이(D)의 비율에 의거 산출된다.
또한 상기 측정용대좌(91)의 측정판(94L, 94R)에 의해 상품(1)을 끼워서 측정을 실시했을 때에는 해당 상품(1)은 필연적으로 측정대(92)의 중앙, 즉 회전스테이지(7)상의 중앙에 배치된 것으로 된다.
도 20은 제 3 실시형태의 촬영보조장치(이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데이터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로 부른다)의 CPU(40)를 중심으로 하는 회로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 1 실시형태의 개략회로구성과 비교해서 RAM(41)의 내용이 다르다.
또 제 3 실시형태는 도 22를 참조하여 모터구동부(99)의 회로구성을 설명한다.
이 모터구동부(99)는 모터드라이브회로(100)와 A/D변환부(101)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드라이브회로(100)는 CPU(40)로부터의 구동제어지령에 의거하여 각종의 모터(M1∼Mn)를 선택하여 제어 구동한다. A/D변환부(101)는 모터드라이브회로(100)에 의해 구동된 모터(M1∼Mn)의 회전에 따라서 각각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각 위치센서(E1∼En)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CPU(40)에 출력한다. 이 경우 각종의 모터(M1∼Mn)는 회전스테이지(7), 카메라의 경사기구(64) 및 제 1∼제 3 힌지기구(75∼77)의 각 모터이다. 또 위치센서(E1∼En)는 각 모터(M1∼Mn)에 설치된 엔코더 등의 위치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기억장치(42)에는 본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전체의 처리를 담당하는 시스템프로그램데이터가 미리 기억되는 동시에 도 27에 나타내는 학습처리, 도 28에 나타내는 검품처리, 도 29∼도 32에 나타내는 촬영· 측정처리, 도 33에 나타내는 미촬영상품확인처리 등, 각종 동작모드의 처리를 담당하는 서브프로그램데이터인 제어프로그램데이터도 미리 기억되고, 그들의 프로그램데이터는 RAM(41)에 전개된다.
그리고 도 22는 RAM(41)의 데이터메모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RAM(41)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상품파일(41-1), 표시용메모리(41-2), 화상버퍼(41-3), 작업메모리(41-4)의 각종 메모리영역이 할당되어 있는 외에 포토분류종별코드데이터메모리(41-5), 학습데이터메모리(41-6), 화상데이터메모리(41-7) 등의 메모리영역도 할당되어 있다.
도 23은 상기 제어장치(35)의 RAM(41)에 확보되는 포토분류코드데이터메모리(41-5)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포토분류코드데이터메모리(41-5)에는 촬영대상상품의 용기/내용물이 보이는 범위에 관하고, 소재, 색조1, 색조 2, 흐림, 내용물색1, 내용물색2 각각에 있어서의 다수의 분류가 분류코드 0, 1, …, X에 대응지워져 미리 기억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어느 상품의 용기소재가 [유리], 용기의 색조가 [투명], 내용물의 색이 [노란색]과 [흰색]인 경우의 포토분류종별코드는 “10XX30”으로 된다.
도 24는 상기 제어장치(35)의 RAM(41)에 확보되는 학습데이터메모리(41-6)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는 학습처리(도 27 참조)에 동반하는 프로카메라맨 또는 상품촬영의 숙련자에 의해 상품의 촬영을 실시했을 때에 얻어진 데이터가 기억된다. 즉 정면촬영시, 천장면촬영시, 측면촬영시 등 대상상품의 각 면 촬영시 각각에 있어서의 각 힌지기구(이하 회전운동기구로 칭한다)(63, 76, 77, 78)나 다른 구동기구에 구비된 모터, 예를 들면 조명회전운동용모터(M1), 카메라앵글회전운동용모터(M2), 촬영카메라(4)의 포커스조정용모터(M3), 아이리스조정용모터(M4), 줌조정용모터(M5), 회전스테이지(7)의 스테이지회전용모터(M6), 회전스테이지의 승강용모터(M7) 등 이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포함되는 모든 회전기구에 있어서 검출된 회전위치데이터(X, Y, …, P)가 대상상품의 크기(W, H, D),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지워져 기억된다.
도 25는 상기 제어장치(35)의 RAM(41)에 확보되는 상품파일(41-1)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파일(41-1)에는 검품처리(도 28 참조)에 있어서 입력된 촬영대상상품의 상품코드, 품명, 단가에 대응하여 촬영·측정처리(도 29∼도 32 참조)에 있어서 입력되는 크기(W, H, D), 중량, 포토분류종별코드, 각 촬영면마다의 촬영화상의 메모리어드레스(No), 촬영완료인가 미촬영인가를 나타내는 촬영완료플래그가 기억된다.
도 26은 상기 제어장치(35)의 RAM(41)에 확보되는 화상데이터메모리(41-7)의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화상데이터메모리(41-7)에는 촬영처리(도 29∼도 32)에 있어서 촬영된 모든 상품 각각의 각 면마다의 촬영화상데이터가 개개의 메모리어드레스(No)에 대응지워져 기억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의한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학습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학습처리에서는 프로카메라맨 또는 상품촬영의 숙련자에 의해 미리 다종다양한 상품화상의 촬영을 실시하고, 각 상품화상의 촬영마다, 각 촬영면마다의 최적의 화상입력상태에서의 이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포함되는 모든 경사부, 구동기구에 있어서 검출된 틸트, 구동위치데이터를 기억하고, 학습데이터메모리(41-6)를 생성한다.
어느 상품을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상에 있어서 촬영카메라(4)를 촬상상태로 하고,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학습처리실행의 지시에 의해 도 27에 있어서의 학습처리가 기동되면 촬영카메라(4)에 의해 촬상되어 제어장치(35)에 입력되고, 표시장치(36)에 모니터 표시되어 있는 상품화상데이터의 세로 및 가로방향의 화소수가 화상에지의 검출에 의해 구해지며, 이 촬상화상의 세로 및 가로의 화소수가 각각 촬상화상의 전체의 세로 및 가로의 화상수의 80%∼90%의 범위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스텝 SA 1).
여기서 촬상화상의 전체의 세로/가로 화소수에 대한 상품화상의 세로/가로화소수의 차지하는 비율이 80% 미만과 작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90%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촬영카메라(4) 내의 줌조정용모터가 제어장치(3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되어 촬상화상이 줌업 또는 줌다운되어 80%∼90%범위 내로 조정된다(스텝 SA1→SA2).
즉 회전스테이지(7)상에 놓여진 상품이 [나사] 등과 같이 작은 경우 또는 [개먹이] 등과 같이 큰 경우의 어느 것이어도 촬상화상의 전체에 차지하는 상품화상의 비율이 최적의 비율(80%∼90%)로 일정하게 조정되는 것으로, 이렇게해서 촬상화상의 전체에 차지하는 상품화상의 비율이 최적의 비율로 설정되면 촬영카메라(4)에 있어서의 포커스, 아이리스, 촬영앵글 및 회전스테이지(7)의 회전운동, 승강위치, 조명장치(25)의 회전운동위치, 배면판(33)의 회전운동위치 각각의 조정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는 메시지데이터가 표시장치(36)에 표시된다(스텝 SA1→SA3).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36)에 촬상 표시되는 상품화상을 보면서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키입력조작에 의해 조명장치의 회전운동기구(75)의 조명회전운동용모터(M1), 촬영카메라(4) 경사기구(이하 회전운동기구라 칭한다)(63)의 카메라앵글회전운동용모터(M2), 촬영카메라(4)의 포커스조정용모터(M3), 아이리스조정용모터(M4), 회전스테이지(7)의 스테이지회전용모터(M6), 회전스테이지(7)의 승강용모터(M7) 등 이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포함되는 각 회전, 구동기구에 지령신호를 보내고, 최적의 촬상상태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으로(스텝 SA3→SA4→SA3), 여기서 일단 셔터키를 조작하여 촬상화상이 확정표시된 상태에서 최적의 촬상화상상태인 것이 확인되며,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실행키가 조작되면(스텝 SA5→SA6) 상기 각 회전, 구동기구의 제어계에 있어서 검출되어 입력되는 각 모터(M1, M2, …)의 회전위치데이터(X, Y, …)가 각각 RAM(41) 내의 학습데이터메모리(41-6)(도 24 참조)에 기억된다(스텝 SA6→SA7).
이 때 회전스테이지(7)의 회전운동위치가 초기위치로 또한 촬영카메라(4)의 앵글위치가 정면촬영위치인 경우에는 정면촬영용의 각 모터위치데이터로서 또 촬영카메라(4)의 앵글위치가 천장면촬영위치인 경우에는 천장면촬영용의 각 모터위치데이터로서, 또 회전스테이지(7)의 회전운동위치가 초기위치로부터 90°의 회전위치인 경우에는 측면촬영용의 각 모터위치데이터로서, 또 회전스테이지(7)의 회전운동위치가 초기위치로부터 180°의 회전위치인 경우에는 배면촬영용의 각 모터위치데이터로서 각각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배치된다(스텝 SA7).
그리고 상기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회전위치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서 보존한 상품의 상품크기(W, H, D)를 입력장치(38)에 의해 입력하면 입력된 상품크기데이터는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입력 보존된 각 회전운동기구의 회전위치데이터에 대응지워져 기억된다(스텝 SA8).
또 표시장치(36)에 대해 RAM(41) 내의 포토분류코드데이터메모리(41-5)(도 23 참조)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되는 포토분류코드데이터에 따라서 이번 학습한 상품의 용기, 내용물의 종별인 포토분류종별코드를 6자리 입력하면 입력된 포토분류종별코드데이터가, 또한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입력 보존된 각 회전운동기구의 회전위치데이터에 대응지워져 기억된다(스텝 SA9).
이 후 동일상품의 각 면 및 다른 다종다양한 상품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학습처리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RAM(41) 내의 학습데이터메모리(41-6c)에는 각 상품마다, 각 촬영면마다의 각각 최적의 촬영상태를 재현하기 위한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회전, 구동위치데이터가 각 상품의 상품크기 및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지워져 기억되어 축적된다.
도 28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검품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검품처리에서는 상품관리의 대상이 되는 전종류 상품의 상품코드를 품명, 단가를 대응지워 순차 바코드 입력하고, RAM(41) 내의 상품파일(41-1)에서(도 25 참조) 화상촬영의 대상이 되는 각 상품의 인덱스를 생성한다.
상품관리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핸드스캐너(39)에 의해 판독 입력하면 입력된 바코드데이터가 RAM(41) 내의 상품파일(41-1)의 관리데이터로서 이미 존재하는가 아닌가 판단된다(스텝 A1, A2).
여기서 상기 입력된 상품의 바코드데이터는 새롭게 입력된 것으로 상품파일(41-1)의 관리데이터로서 기존하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상품파일(41-1)에 대해서 입력된 바코드데이터가 상품코드로서 기억되는 동시에 이 상품코드와 함께 입력장치(38)에 의해 입력된 품명, 단가의 각 상품데이터가 대응지워져 기억된다(스텝 A2→A3).
그리고 순차 새로운 상품의 바코드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에서는 스텝 A1∼A4의 처리가 반복되고, 각 상품마다에 그 상품코드, 품명, 단가의 각 데이터가 대응지워져 상품파일(41-1)에 기억된다.
한편 상기 스텝 A1에 있어서 핸드스캐너(39)에 의해 바코드 입력된 상품코드가 상품파일(41-1)에 있어서 이미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져 기억되어 있는 상품화상의 메모리어드레스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상품의 화상데이터가 화상데이터메모리(41-7)(도 26 참조)로부터 판독되어 표시장치(36)에 표시된다(스텝 A2→A5).
여기서 상기 스텝 A1에 있어서의 바코드입력의 대상상품과 상품파일(41-1) 내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동일상품코드에 대응지워진 상품의 화상이, 예를 들면 그 용기가 변경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다르고, 재촬영의 필요 있음으로 하여 입력장치(38)에 있어서 재촬영의 지정이 실시되면 해당 상품파일(41-1) 내에서 대응지워진 촬영완료플래그가 [완료]→[미(未)]로 설정된다(스텝 A6→A7).
또 예를 들면 잘못된 검품 등에 의해 입력장치(38)에 의해 촬영이 불필요하다는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음의 검품대상이 되는 상품의 바코드입력처리로 이행된다(스텝 A8→A4→A1).
그리고 상기 스텝 A1∼A8에 있어서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가 각 상품마다의 바코드입력마다에 반복 실행되고, 모든 상품에 대한 검품작업이 종료하면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확정]키의 조작에 동반하여 상기 일련의 검품처리가 종료되어 모든 상품 각각의 상품코드, 품명, 단가로 이루어지는 상품파일(41-1)상에서의 상품인덱스가 작성된다.
도 29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동반하는 자동측정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동반하는 셔터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동반하는 촬영완료대응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8에 있어서의 검품처리가 종료한 후에 촬영대상이 되는 상품의 바코드를 핸드스캐너(39)에 의해 판독한 후에 해당 상품을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상에 올려놓으면 이 회전스테이지(7)의 이면측에 부착된 계량용의 압전소자(16)에서 상품의 중량이 계측되어 제어장치(35)로 전송되고, RAM(41) 내의 상품파일(41-1)에 대해 상기 바코드입력된 상품코드와 대응지워져 기억된다(스텝 B1, B2, B3).
이와 함께 상기 계측된 상품의 중량데이터는 촬영박스(2) 내의 표시기(20, 21)에 표시된다(스텝 B4).
여기서 상품파일(41-1) 내의 해당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진 촬영완료플래그가 [완료]인가 [미]인가에 따라서 이미 촬영완료의 상품인가 아닌가 판단되는 것으로 상기 촬영완료플래그가 [미]인 것으로 촬영완료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측정을 실시하는가 아닌가의 지정을 촉구하는 메시지데이터가 표시장치(36)에 표시된다(스텝 B5→B6).
이 때 자동측정의 지정을 실시하지 않고 대상상품의 크기(W, H, D)를 입력장치(38)를 조작하여 매뉴얼로 입력하면 입력된 상품크기데이터가 상품파일(41-1)의 해당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져 등록되는 동시에 촬영박스(2) 내의 표시기(20, 21)에 표시된다(스텝 B6→B7, B8).
한편 상기 스텝 B6에 있어서 대상상품에 대한 자동측정의 지정이 실시되면 도 30에 있어서의 자동측정처리로 이행된다(스텝 B6→BC).
이 자동측정의 지정을 실시하는 경우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상에는 측정용대좌(90)(도 19 참조)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스텝 B1에 있어서 바코드입력된 촬영대상상품은 이 측정용대좌(90)의 측정대(92)상에 올려놓아진다.
즉 이 자동측정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도시하지 않는 측정용모터가 구동되어 측정판(94L, 94R)이 각각 측정창(93)의 양단위치에서 화살표(h1, h2)로 나타내는 서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품(1)(피사체)이 그 좌우양단에서 끼워지는 동시에 측정대(92)의 중앙에 배치(센터링)된다(스텝 C1).
그러면 엔코더(98)로부터 제어장치(35)로 전송되는 상기 측정판(94L, 94R)의 슬라이드에 동반하는 이동거리의 계측데이터에 의거하여 상품(1)의 폭(W)이 산출되고(스텝 C2), 이 후 상기 측정판(94L, 94R)이 화살표(i1, i2)로 나타내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시 측정창(93)의 양단위치로 재설정된다(스텝 C3).
여기서 상기 측정대(92)의 중앙에 설정된 상품(1)(피사체)이 촬영카메라(4)에 의해 일단 촬영되고, 그 상품화상데이터가 제어장치(35)에 입력되며, RAM(41) 내의 화상버퍼(41-3)에 기입되는 동시에 표시장치(36)에 모니터 표시된다(스텝 C4, C5).
그러면 상기 RAM(41) 내의 화상버퍼(41-3)에 기입된 상품(1)(피사체)의 화상데이터에 대해 XY좌표가 할당되고, 상품화상의 폭방향의 에지에 대응하는 X좌표(Xstart∼Xend)가 검출된다(스텝 C6, C7).
그리고 상기 스텝 C2에서 얻어진 상품(1)의 폭(W)이 상기 스텝 C7에서 얻어진 상품화상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X좌표수에 의해 제산되어 단위좌표당의 치수가 산출된다(스텝 C8).
그러면 또한 상품화상의 높이방향의 에지에 대응하는 Y좌표(Ystart∼Yend)가 검출되는 동시에 해당 높이 방향의 에지검출위치가 표시장치(36)에 포인터 표시된다(스텝 C9, C10).
여기서 표시장치(36)에 포인터 표시된 상품화상의 높이방향의 에지검출위치가 해당 모니터 표시되어 있는 상품화상의 높이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인터위치가 키조작에 의해 적절히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이 높이방향의 에지검출위치가 수정된다(스텝 C11).
그러면 상기 스텝 C8에 있어서 산출된 단위좌표당의 치수가 상기 스텝 C9∼C11에 있어서 검출, 수정 표시된 높이방향의 에지포인터간에 상당하는 Y좌표수로 승산되어 상품(1)의 높이(H)가 산출된다(스텝 C12, C13).
그러면 상기 스텝 C2에서 얻어진 상품(1)의 푹(W)의 치수데이터 및 스텝 C13에서 얻어진 상품(1)의 높이(H)의 치수데이터가 각각 상품파일(41-1) 내의 해당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져 등록된다(스텝 C14).
그리고 상기 자동측정처리에 동반하는 상품파일(41-1)에 등록된 상품(1)의 치수데이터는 촬영박스(2) 내의 표시기(20, 21)에 표시된다(스텝 BC→B8).
이렇게해서 바코드 입력된 상품파일(41-1)에서의 상품코드에 대응시켜서 상품(1)의 중량계측, 등록, 표시, 치수계측, 등록, 표시가 실시되면 표시장치(36)에 대해 RAM(41) 내의 포토분류코드데이터메모리(41-5)(도 23 참조)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되는 포토분류코드데이터에 따라서 상품(1)의 용기, 내용물의 종별인 포토분류종별코드가 6자리 입력되어 상품파일(41-1)에 등록된다(스텝 B9).
이 촬영대상상품(1)에 대한 포토분류종별코드의 입력, 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등록된 포토분류종별코드와 일치 또는 가장 가까운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억되어 있는 포토분류종별코드가 검색되고, 해당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지워진 정면촬영시의 각 모터(M1, M2, …)에 대한 회전위치제어데이터가 판독된다(스텝 B10→B11).
그러면 RAM(41) 내의 작업메모리(41-4)에 확보된 매수카운터메모리(n)에 “1”이 설정되고, 촬영박스(2) 내의 표시부(20, 21)에 대해서 촬영매수“1”로서 표시된다(스텝 B12, B13).
그리고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로부터 촬영대상상품(1)의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따라서 판독된 정면촬영시의 각 모터(M1, M2, …)에 대한 회전위치제어데이터(X1, Y1, …)에 따라서 조명장치의 회전운동기구(75)의 조명회전운동용모터(M1), 촬영카메라(4)의 회전운동기구(5)의 카메라앵글회전운동용모터(M2), 촬영카메라(4)의 포커스조정용모터(M3), 아이리스조정용모터(M4), 회전스테이지(7)의 스테이지회전용모터(M6), 회전스테이지(7)의 승강용모터(M7) 등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모터가 구동제어되고, 해당 상품(1)의 정면촬영에 최적의 촬영상태로 설정되면 도 31에 있어서의 셔터처리로 이행된다(스텝 B14, B15→BD).
즉 이 셔터처리에서는 우선 상기 동일 포토분류종별코드의 학습데이터에 따라서 촬영장치의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가 제어된 상태에서 촬영카메라(4)에 의해 촬상되어 제어장치(35)로 전송되어 표시장치(36)에 모니터 표시되어 있는 상품(1)의 정면화상이 최적의 모니터 상태인가 아닌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판단된다(스텝 D1).
여기서 상품(1)의 정면화상의 모니터상태가 최적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조명장치(25), 촬영카메라(4), 회전스테이지(7) 등의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 중에서 임의의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모터를 미세조정에 의해 구동하고, 상품(1)의 정면모니터화상의 촬상상태를 변경하면 이번의 촬영대상상품(1)에 관해 최초의 촬상상태의 미세조정작업인가 아닌가 판단되고, 최초의 미세조정작업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RAM(41) 내의 학습데이터메모리(41-6) 내의 빈영역에 신규 학습데이터의 등록영역이 확보된다(스텝 D1→D2, D3→D4).
그리고 이 학습데이터메모리(41-6) 내의 빈영역에 새롭게 확보된 신규학습데이터의 등록영역에 대해서 상기 미세조정 후의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회전, 구동위치데이터가 기억되는 것으로(스텝 D5), 이 후 동일상품(1)에 대한 다른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미세조정작업이 계속해서 실시된 경우에는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대한 신규의 학습데이터등록영역의 확보처리는 실시되지 않고, 해당 상품(1)에 대한 최초의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미세조정작업에 동반하여 확보된 학습데이터등록영역에 순차 각 대응하는 회전운동, 구동기구 미세조정 후의 각 회전, 구동위치데이터가 순차 기억 등록된다(스텝 D2→D3→D5).
이에 따라 실제의 촬영처리의 단계에서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존하는 학습데이터와는 다른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최적의 모터위치제어데이터가 얻어진 경우에는 그 일련의 모터위치제어데이터(M1, M2, …)가 새로운 1개의 학습데이터로서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추가 등록된다(스텝 D1∼D5).
그리고, 상기 촬영대상상품(1)의 정면화상의 모니터상태가 최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셔터키가 조작되면 촬영카메라(4)에 있어서의 셔터동작시에 대응하는 상품(1)의 정면의 촬영화상데이터가 화상버퍼(41-3)에 입력되고, 표시장치(36)에 대해서 고정 표시된다(스텝 D1→D6).
그러면 상기 스텝 B6에 있어서의 자동측정지정에 의한 상품크기의 자동측정처리(스텝 BC)를 실시했는가 아닌가, 즉 측정용대좌(91)를 사용하고 있는가 아닌가 판단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자동측정처리에 의한 상품크기의 자동측정처리를 실시했다고 판단되면 촬영카메라(4)에 의해 촬상되어 표시장치(36)에 입력되어 있는 상품(1)의 정면촬영화상데이터 중에서 측정용대좌(91)에 상당하는 부분의 화상데이터가 배경부분의 화상데이터에 치환되어 화상 보정된다(스텝 D7→D8).
그리고 이번의 상품(1) 촬영대상면이 천장면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화상의 화상반전처리가 실시되고, 천장면촬영에 동반하는 거울판(거울)(31)의 반사에 의한 반전촬영화상이 또한 반전 보정되어 올바른 천장면촬영화상으로 되돌아간다.(스텝 D9→D10).
이렇게해서 우선 상품(1)의 정면의 촬영에 동반하는 셔터처리가 종료하면 화상버퍼(41-3)에 일시 기억된 촬영의 화상데이터가 RAM(41) 내의 화상데이터메모리(41-7)에 기억되는 동시에 그 화상데이터메모리(41-7)의 메모리어드레스(No)가 상품파일(41-1) 내의 상기 바코드 입력된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져 기억된다(스텝 BD→B16).
그러면 촬영대상상품(1)에 있어서의 촬영의 필요한 각 면 모든 화상의 입력을 실시했는가 아닌가를 표시기(20, 21)에 표시되어 있는 촬영매수에 따라서 판단하고, 또한 상품(1)의 천장면, 측면, 배면 등의 화상의 입력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N]키가 조작되면 다음의 촬영면 즉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지워진 천장면촬영시의 각 모터(M1, M2, …)에 대한 회전, 구동위치제어데이터가 판독된다(스텝 B17→B18).
그러면 RAM(41) 내의 작업메모리(41-4)에 확보된 매수카운터메모리(n)의 카운터매수가 (+1)되어 “2”로 카운트업되어 촬영박스(2) 내의 표시기(20, 21)에 대해서 촬영매수“2”로서 표시된다(스텝 B19→B13).
그리고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로부터 촬영대상상품(1)의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따라서 판독된 천장면촬영시의 각 모터(M1, M2, …)에 대한 회전, 구동위치제어데이터(X2, Y2, …)에 따라서 조명장치의 회전운동기구의 조명회전운동용모터(M1), 촬영카메라(4)의 회전운동기구의 카메라앵글회전운동용모터(M2), 촬영카메라(4)의 포커스조정용모터(M3), 아이리스조정용모터(M4), 회전스테이지(7)의 스테이지회전용모터(M6), 회전스테이지(7)의 승강용모터(M7) 등 각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모터가 회전, 구동제어되고, 해당 상품(1)의 정면촬영에 최적의 촬영상태로 설정되면 다시 도 31에 있어서의 셔터처리로 이행된다(스텝 B14, B15→BD).
그리고 도 31에 있어서의 스텝 D1∼D10의 처리를 거쳐서 상품(1)의 천장면의 촬영에 동반하는 셔터처리가 종료하면 해당 천장면촬영의 화상데이터가 RAM(41) 내의 화상데이터메모리(41-7)에 기억되는 동시에 그 화상데이터메모리(41-7)의 매모리어드레스(No)가 상품파일(41-1) 내의 상기 바코드 입력된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져 기억된다(스텝 BD→B16).
이 후 또한 스텝 B17∼B19→B13∼B16에 있어서의 상품(1)의 각 촬영면마다의 촬영매수의 카운트업표시처리, 학습데이터에 의거하여 최적모터회전, 구동위치제어처리, 셔터처리에 의한 대응촬영면의 화상입력기억처리가 순차 반복되는 것으로 스텝 B17에 있어서, 촬영대상상품(1)에 있어서의 촬영의 필요한 각 면 모든 화상의 입력을 실시했다는 판단에 의해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Y]키가 조작되면 이 촬영모드의 처리를 종료하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는 메시지데이터가 표시장치(36)에 표시된다(스텝 B17→B20).
여기서 다음의 상품(1) 화상의 촬영이 필요하고, 촬영모드의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N]키가 조작되면 1개의 상품(1)의 미리 정해진 화상의 입력이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데이터가 표시장치(36)에 표시되고, 상품파일(41-1)에 있어서의 해당하는 상품코드에 대응지워진 촬영완료플래그가 [완료]로 설정된다(스텝 B20→B21, B22).
그러면 다시 스텝 B1로부터의 다음인 촬영대상상품(1)의 바코드 입력처리로부터의 촬영처리로 되돌아가고, 상기와 똑같이 해당 상품(1)에 대한 계량, 측정, 각 촬영면마다의 최적화상의 입력처리에 의한 상품파일(41-1)에서의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처리가 반복된다(스텝 B1∼B22).
한편 상기 스텝 B1에 있어서 다음에 촬영하려고 하여 바코드 입력한 상품(1)의 상품코드에 대응하는 상품파일(41-1) 내의 촬영완료플래그가 이미 [완료]로 설정되어 있고,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고 있는 상품(J)이라고 판단되면 도 32에 있어서의 촬영완료대응처리로 이행되며, 우선 해당 상품(1)이 이미 촬영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데이터가 표시장치(36)에 표시된다(스텝 B5→B23).
그리고 RAM(41) 내의 작업메모리(41-4) 등에 기억되어 있는 불필요한 데이터가 크리어되고, 다음인 촬영대상상품(1)의 촬영준비가 이루어진 후 다시 스텝 B1의 다음인 촬영대상상품(1)의 바코드입력처리로부터의 촬영처리로 되돌아가며, 상기와 똑같이 해당 상품(1)에 대한 계량, 측정, 각 촬영면마다의 최적화상의 입력처리에 의한 상품파일(41-1)에서의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처리가 반복된다(스텝 B24→B1∼B22).
이 후 모든 촬영대상상품(1, …)에 관한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것으로 스텝 B20에 있어서 촬영모드의 처리를 종료하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는 메시지데이터가 표시장치(36)에 표시된 때에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Y]키가 조작되면 상기 일련의 촬영처리가 종료된다(스텝 B20→END).
도 33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미촬영상품확인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상기 도 29∼도 32에 있어서의 촬영처리에 의거하는 각 상품(1, …) 각각의 상품파일(41-1)에서의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처리가 종료한 후에 미촬영의 상품(1)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장치(38)에 있어서의 미촬영확인을 위한 기능키를 조작하면 상기 상품파일(41-1)에 있어서 촬영완료플래그가 [미]로 설정되어 있는 곳의 상품코드, 품명이 검색되고, 표시장치(36)에 소개 표시되는 동시에 인쇄장치(44)에 의해 프린트 아웃되어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진다(스텝 E1, E2).
이에 따라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을 요하는 모든 촬영대상상품(1, …)을 빠짐없이 촬영처리에 있어서 계량, 측정, 화상입력의 처리를 실행, 상품관리데이터로서 생성하여 상품파일(41-1)에서 관리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따르면 제어장치(퍼스널컴퓨터)(35)에 접속된 핸드스캐너(39)에 의해 상품(1)의 상품코드를 바코드 입력하고, 해당 제어장치(3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조명각도, 상품배치, 촬영포커스, 촬영아이리스, 촬영줌, 촬영앵글, 셔터 등의 각 촬영조건이 제어되는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에 놓여진 해당 상품(1)을 촬영카메라(4)에 의해 촬영하여 그 상품화상데이터를 제어장치(35)에 입력하면 RAM(41) 내의 화상데이터메모리(41-7)에 해당 상품(1)의 촬영화상데이터가 기억되는 동시에 상품파일(41-1)에 대해서 상기 바코드 입력된 상품코드와 대응지워져 상기 상품(1)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한 화상데이터메모리(41-7)의 메모리어드레스가 기억되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상품(1, …) 각각의 상품코드의 바코드 입력작업과 해당 상품(1)의 촬영작업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매우 간단하게 상품코드에 상품화상데이터를 대응지운 상품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구성의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따르면 제어장치(35)의 입력장치(38)에 있어서, 다종다양한 상품(1, …) 각각의 용기나 내용물의 특징을 코드화한 포토분류종별코드를 입력하는 것에 동반, 그 개개의 상품(1, …)을 각각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상에 놓고, 제어장치(3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조명장치(25)의 조명각도, 회전스테이지(7)에 있어서의 상품배치위치, 촬영카메라(4)에 있어서의 포커스, 아이리스, 줌, 앵글 등의 각 촬영조건을 최적으로 제어하면 상기 각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제어위치데이터가 검출되어 상기 입력된 포토분류종별코드와 대응지워져 RAM(41) 내의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제의 상품관리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대상상품(1)의 상품코드를 핸드스캐너(39)에 의해 바코드 입력하여 해당 상품(1)을 촬영박스(2) 내의 회전스테이지(7)상에 올려놓아 그 포토분류종별코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억되어 있는 각 촬영조건마다의 제어위치데이터에 따라 조명장치(25)의 조명각도, 회전스테이지(7)에 있어서의 상품배치위치, 촬영카메라(4)에 있어서의 포커스, 아이리스, 줌, 앵글 등의 각 촬영조건이 최적으로 제어되어 상품(1)이 촬영되고, 이 촬영화상데이터가 상기 바코드 입력된 상품코드와 대응지워져 상품파일(41-1)에 기억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상품(1, …) 각각의 상품코드의 바코드 입력작업과 해당 상품(1)의 촬영작업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누구라도 능숙하게 빨리 상품(1)의 화상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어 매우 간단하게 상품코드에 상품화상데이터를 대응지운 상품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구성의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따르면 상기 상품(1, …) 각각의 촬영에 의한 상품관리데이터생성 전에 모든 상품(1, …) 각각의 상품코드를 핸드스캐너(39)에 의해 순차 바코드 입력하여 상품파일(41-1)에 있어서 상품관리데이터의 생성대상이 되는 상품인덱스를 미리 작성하고, 이 후의 상품촬영에 의한 상품코드에 대응지운 상품파일(41-1)에서의 촬영화상데이터의 등록 때에는 촬영완료플래그를 [미]에서 [완료]로 설정하는 것으로 미촬영의 상품(1)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바코드 입력한 상품 모두의 상품관리데이터를 빠짐없이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구성의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따르면 촬영카메라(4)를 천장면촬영용의 앵글로 설정하여 촬영박스(2)의 천장에 부착한 거울판(31)에 반사시켜서 회전스테이지(7)상에 놓여진 상품(1)의 천장면의 화상데이터를 촬영했을 때에는 이 천장면촬영의 화상데이터는 상하반전되어 입력되어 화상버퍼(41-3)에 기억되기 때문에 거울판(31)의 반사에 의한 천장면촬영을 실시해도 촬영화상이 역전된 그대로 기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구성의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따르면 상기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억된 상품(1)의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하는 각 촬영조건의 제어위치데이터에 따라서 해당 상품(1)의 촬영조건을 최적으로 제어설정할 때에 개개의 촬영조건에 관한 제어위치데이터를 미세조정한 때에는 이 미세조정 후의 새로운 제어위치데이터가 신규의 촬영조건으로서 학습데이터메모리(41-6)의 빈영역에 등록되기 때문에 실제의 촬영처리의 단계라도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기존하는 학습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학습데이터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구성의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따르면 회전스테이지(7)의 이면측에 부착한 계량용의 압전소자(16)에 의해 상품의 중량이 계측되어 제어장치(35)에 보내지는 동시에 상기 회전스테이지(7)상에 일체 결합한 측정용대좌(90)에 의해 상품(1)의 촬영위치의 센터링에 동반하여 폭치수(W)가 계측되고, 이 계측폭치수(W)와 상품(1)의 촬영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가로세로방향의 좌표비에 의거하여 높이치수(H)가 산출되어 제어장치(35)로 보내지며, 상기 상품파일(41-1)에 대해서 바코드 입력된 상품코드와 해당 상품(1)의 촬영화상데이터에 대응지워져 기억되기 때문에 상품중량이나 상품크기를 매뉴얼 입력하는 일없이 상품촬영에 의한 화상의 입력과 함께 상품관리데이터로서 등록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품(1)을 회전스테이지(7)상에서 센터링하는 수단으로서 측정용대좌(90)를 사용한 자동측정처리에 의해 함께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하의 도 34 또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센터링구성을 이용하여 회전스테이지(7)상에서의 촬영위치의 센터링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4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상품센터링기구(제 2 상품센터링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a는 그 외관사시도, 도 34b는 그 A 화살시각측단면에 의한 센터링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이 제 2 상품센터링기구는 회전스테이지(7)상에 일체화되는 센터링기판(107)의 중앙부에 각각 화살표(k1∼k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넘어져 개방상태로 되고, 안쪽으로의 폐색시에 사발형을 구성하는 개폐기구(102a∼102d)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품(1)을 화살표(m)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센터링기판(107)상에 올려놓고, 사발형의 개폐기구(102a∼102d)를 닫아 4방향에서 균등하게 끼우는 것으로 상품(1)의 센터링이 실시되는 것이다.
도 35는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또 다른 상품센터링기구(제 3 상품센터링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5a는 그 외관평면도, 도 35b는 그 센터링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이 제 3 상품센터링기구는 회전스테이지(7)의 외주테두리에 근접하는 박스본체(2)의 바닥면상의 3개소에 각각 화살표(n1∼n3)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스테이지(7)상의 중심으로 향해 회전운동하는 3개의 폭 푸시로드(103a∼103c)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품(1)을 회전스테이지(7)상의 적당한 위치에 올려놓아 각 폭 푸시로드(103a∼103c)를 함께 회전스테이지(7)상의 중심으로 향해 회전운동시켜 3방향에서 균등하게 끼우는 것으로 상품(1)의 센터링이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스테이지(7)상에 있어서 상품(1)을 그 폭방향과 깊이방향의 4방향에서 4장의 상품누름판에 의해 동시에 끼우는 엔코더부착의 자동측정센터링기구를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 상품촬영시에는 촬영카메라측의 촬영방향에 있는 상품누름판이 수평으로 넘어져 촬영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스테이지(7)상에 배치한 상품(1)의 정면의 촬영과 천장면의 촬영을 동일의 촬영처리의 반복에 의해 순차 2회로 나누어 촬영하여 그 정면촬영화상과 천장면화상을 각각의 화상데이터로서 입력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하의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촬영상품고줴구를 이용하여 천장면화상과 정면화상을 동시에 촬영하여 입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6은 상기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촬영상품고줴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6a는 그 측단면도, 도 36b는 그 상품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즉 이 촬영상품고줴구는 회전스테이지(7)상에 일체화하여 배치하는 L자판상의 스테이지기판(104)과, 이 스테이지기판(104)의 L자부인 배면판에 평행으로 상품(1)의 크기보다 충분한 간격을 설정하여 세워 설치되는 투명판(105)과, 상기 배면판의 좌우 2개소에 투명판(105)의 방향으로 향해 설치된 상품누름스프링(106)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동일의 촬영대상상품(1)을 2개 준비하고, 한쪽에서 그 정면을 투명판(105)에 정대칭시켜서 상품누름스프링(106)에 의해 누르는 것으로 촬영카메라(4)의 집점거리는 투명판(105)의 위치에서 조정되고, 상품(1)의 천장면화상과 정면화상을 동시에 촬영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측정용대좌(90)의 측정대(92)에 올려놓은 상품(1)을 측정판(94L, 94R)에 의해 좌우에서 직접 끼우는 것으로 엔코더(98)에 의해 그 거리를 계측하여 폭치수(W)를 자동측정하고, 이 폭치수(W)에 의거 상품촬영화상의 가로세로비에서 높이치수(H)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측정용대좌(90)로 그 이간거리가 이미 아는 것으로 되는 측정판(94L, 94R) 각각의 선단에 상품(1)의 촬영화상과 함께 촬영되는 기준마크를 부착하고, 이 촬영된 기준마크간의 거리에 의거 상품화상의 가로세로비에서 폭치수(W) 및 높이치수(H)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측정용대좌(90)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박스(2)의 배면판에 상품(1)의 촬영화상과 함께 촬영되는 고정이간거리의 기준마크를 기입하여 설치하고, 이 촬영된 기준마크간의 이간거리에 의거하여 상품화상의 가로세로비에서 폭치수(W) 및 높이치수(H)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35)에 있어서의 RAM(41)의 학습데이터메모리(41-6)에 있어서, 촬영박스(2)측의 최적 촬영조건에 대응하는 각 제어위치데이터와 함께 촬영카메라(4)에 있어서의 최적 촬영조건에 대응하는 포커스, 아이리스, 줌의 각 제어위치데이터도 각종상품마다의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대응지워서 일괄하여 기억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촬영카메라(4)에 있어서의 각 제어위치데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카메라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내부에 기억시켜 상품촬영시에 입력되는 포토분류종별코드에 따라서 제어장치(35)에서 대응하는 제어위치데이터가 지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대상상품(1)의 특징을 나타내는 포토분류종별코드는 RAM(41) 내의 포토분류코드데이터메모리(41-5)에 기억되어 있는 표데이터에 따라 키입력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상품(1)의 촬영화상에 대한 컬러해석처리 등에 의해 자동으로 포토분류종별코드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한 수법, 즉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촬영조작의 처리, 도 27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학습처리, 도 28의 처리에 나타내는 검품처리, 도 29∼도 32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계량 · 측정· 촬영처리, 도 3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미촬영상품촬영처리 등의 각 수법은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카드(ROM카드, RAM카드 등), 자기디스크(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디스크(CD-ROM, DVD 등), 반도체메모리 등의 기억매체(외부기록매체)(43)에 격납하여 배포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는 이 기억매체(43)에 기록된 프로그램이나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프로그램을 기억장치(42)에 있어서 입력하고, 이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상품관리데이터의 작성기능을 실현하고, 상술한 수법에 의한 똑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Claims (21)

  1. 상품분류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품을 촬영하여 해당 상품의 화상데이터를 픽업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품의 화상데이터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품분류데이터로서 입력하는 바코드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품의 촬영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촬영상태변화기구를 갖고,
    이 촬영상태변화기구에 의해 상품의 촬영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변화시켰을 때의 해당 상품의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를 해당 상품의 특징데이터에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학습데이터기억수단과,
    촬영대상상품의 특징데이터를 입력하는 상품특징입력수단과,
    이 상품특징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촬영대상상품의 특징데이터에 대응지워져 상기 학습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에 따라 상기 촬영상태변화기구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에 있어서의 상품의 촬영상태를 변화시키는 촬영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품의 촬영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촬영상태변화기구를 갖고,
    이 촬영상태변화기구에 의해 상품의 촬영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변화시켰을 때의 해당 상품의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를 해당 상품의 특징데이터에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학습데이터기억수단과,
    촬영대상상품의 특징데이터를 입력하는 상품특징입력수단과,
    이 상품특징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촬영대상상품의 특징데이터에 대응지워져 상기 학습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에 따라 상기 촬영상태변화기구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에 있어서의 상품의 촬영상태를 변화시키는 촬영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학습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에 있어서의 상품의 촬영상태가 변화된 후에, 또한 상기 촬영상태변화기구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에 있어서의 상품의 촬영상태가 변화된 때에는 또한 변화된 촬영상태의 해당 변화데이터를 상기 학습데이터기억수단에 새롭게 기억하는 학습데이터추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촬영상태란 적어도 상품의 위치상태, 상품의 조명상태, 상품에 대한 포커스, 아이리스, 줌의 상태이고,
    상기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란 상기 상품의 위치 및 조명의 각 설정데이터, 포커스, 아이리스, 줌의 각 설정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촬영상태란 적어도 상품의 위치상태, 상품의 조명상태, 상품에 대한 포커스, 아이리스, 줌의 상태이고,
    상기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란 상기 상품의 위치 및 조명의 각 설정데이터, 포커스, 아이리스, 줌의 각 설정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품의 복수면의 화상을 촬영할 때에 그 한면의 화상을 거울면반사에 의해 촬영하는 거울면촬영수단과,
    이 거울면촬영수단에 의해 거울면반사에 의한 상품의 한면의 화상이 촬영된 때에는 그 화상데이터를 화상반전하여 보정하는 화상보정수단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상품의 치수를 계측하는 치수계측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품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치수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품치수데이터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상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품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중량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품중량데이터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상품의 중량 및 치수를 계측하는 상품계측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품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상품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품의 중량데이터 및 치수데이터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12. 상품분류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이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복수의 상품 각각의 상품분류데이터를 순차 기억하는 상품데이터기억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상품분류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시에 해당 상품을 촬영하여 해당 상품의 화상데이터를 픽업하는 촬영수단과,
    이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품의 화상데이터를 그 촬영에 동반하여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상품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동일의 상품분류데이터에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상품화상기억수단과,
    이 상품화상기억수단에 의해 상기 상품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품분류데이터에 대응지워져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품의 화상데이터가 기억됐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상품화상기억완료/미기억판단수단과,
    이 상품화상기억완료/미기억판단수단에 의해 상품의 화상데이터가 대응지워져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상품분류데이터를 통지하는 미기억상품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
  13. 컴퓨터를,
    상품분류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품을 촬영하여 해당 상품의 화상데이터를 픽업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품분류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픽업된 상품의 화상데이터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상품별데이터기억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품의 촬영에 대하여 그 촬영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촬영상태변화수단을 갖고,
    상기 컴퓨터를, 또한,
    상기 촬영상태변화수단에 의해 상품의 촬영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변화시켰을 때의 해당 상품의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를 해당 상품의 특징데이터에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학습데이터기억수단과,
    촬영대상상품의 특징데이터를 입력하는 상품특징입력수단과,
    이 상품특징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촬영대상상품의 특징데이터에 대응지워져 상기 학습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상태의 변화데이터에 따라 상기 촬영상태변화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에 있어서의 상품촬영 때의 촬영상태를 변화시키는 촬영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화상데이터처리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장치본체 내에 피사체를 배치하여 이 피사체를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에서 촬영장치로 촬영하는 촬영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정면측상부에 상기 촬영장치보다도 상기 피사체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를 정면측 위쪽에서 조명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와 상기 피사체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영장치의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촬영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위쪽에 위치하는 장소의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피사체의 상면 화상을 상기 촬영장치측으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촬영장치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정면 또는 상기 반사판으로 향해 기울이는 경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촬영장치를 지지하여 상기 피사체를 승강시키는 이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경사장치 또는 상기 이동장치 외에 상기 피사체를 재치하여 회전하는 회전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빛을 면상으로 확산하여 상기 피사체에 조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와 상기 장치본체의 사이에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촬영후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 내에는 촬영매수 및 상기 피사체의 중량,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이것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촬영장치로 촬영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보조장치.
KR1019980058942A 1997-12-25 1998-12-26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화상데이터처리시스템및촬영보조장치 KR100302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841397A JP3500940B2 (ja) 1997-12-25 1997-12-25 商品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97-358413 1997-12-25
JP97-369070 1997-12-29
JP36907097A JP3536636B2 (ja) 1997-12-29 1997-12-29 撮影補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510A true KR19990063510A (ko) 1999-07-26
KR100302481B1 KR100302481B1 (ko) 2001-11-22

Family

ID=2658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942A KR100302481B1 (ko) 1997-12-25 1998-12-26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화상데이터처리시스템및촬영보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14713B1 (ko)
KR (1) KR100302481B1 (ko)
CN (1) CN1167003C (ko)
MY (1) MY122303A (ko)
SG (1) SG81951A1 (ko)
TW (1) TW392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894A (ja) * 2000-03-31 2001-10-12 Olympus Optical Co Ltd 3次元画像データの掲載方法
US7113217B2 (en) 2001-07-13 2006-09-26 Xenogen Corporation Multi-view imaging apparatus
TWI268095B (en) * 2005-06-02 2006-12-01 Benq Corp Scanner
US20100120006A1 (en) * 2006-09-15 2010-05-13 The Trustees Of Tufts College Dynamic Minimally Invasive Training and Testing Environments
CN101202840B (zh) * 2006-12-12 2011-06-15 万里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摄取装置于光箱内作非线性移动及倾斜角的控制机构
WO2009097193A1 (en) * 2008-01-28 2009-08-06 Innovative Imaging, Inc. Table gauge
US10024623B2 (en) * 2010-09-19 2018-07-17 Dan Elkins Remote controlled animal dart gun
KR101736464B1 (ko) * 2012-04-16 2017-05-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회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장치
KR20150076627A (ko) *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운전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3984967B (zh) * 2014-05-08 2016-12-07 杭州同尊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商品标签检测的自动检测系统及自动检测方法
CN111443093B (zh) * 2020-04-23 2023-10-13 北京大恒图像视觉有限公司 一种透明容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3805404B (zh) * 2021-11-17 2022-02-18 滨州学院 一种用于线扫描光电成像的均匀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2364A (en) * 1971-12-20 1974-01-01 J Watt Method for detecting and recording abnormal human eye responses
US4809308A (en) * 1986-02-20 1989-02-28 Ir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omated circuit board solder quality inspections
US4729536A (en) * 1986-11-04 1988-03-08 Harry Scala Anagraphic stand
US5152401A (en) * 1989-10-13 1992-10-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gricultural commodity condition measurement
US5058178A (en) * 1989-12-21 1991-10-15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specular, three-dimensional features
FR2680414B1 (fr) * 1991-08-14 1995-05-24 Sofie Ensemble d'observation et de mesures interferometriques simultanees par laser, en particulier sur des structures a couches minces.
JPH05334409A (ja) * 1992-06-02 1993-12-17 Hitachi Ltd 商品管理システムの商品画像入力方法
MY109809A (en) * 1992-11-18 1997-07-31 British Tech Group Ltd Detection of multiple articles
US5488479A (en) * 1992-12-17 1996-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Machine vision system for inspection of agricultural commodities
JPH07152961A (ja) * 1993-11-29 1995-06-16 Nitsuko Corp Pos装置
JP3213669B2 (ja) * 1994-05-30 2001-10-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JPH08123874A (ja) * 1994-10-21 1996-05-17 Omron Corp 商品管理システム
US5770848A (en) * 1994-11-28 1998-06-23 Hitachi,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commodity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a barcode attached to a conveyed commodity by scanner
JP3223064B2 (ja) 1995-02-21 2001-10-2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JPH08293007A (ja) * 1995-04-21 1996-11-05 Hideo Matsuno 物品自動識別装置
JPH09114913A (ja) * 1995-10-17 1997-05-02 Casio Comput Co Ltd 読取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KR970029152A (ko) * 1995-11-20 1997-06-26 김광호 3차원 카탈로그 쇼핑시스템 및 쇼핑방법
JPH09204478A (ja) 1996-01-25 1997-08-05 Topcon Corp 商品情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003C (zh) 2004-09-15
SG81951A1 (en) 2001-07-24
CN1241747A (zh) 2000-01-19
TW392119B (en) 2000-06-01
US6414713B1 (en) 2002-07-02
MY122303A (en) 2006-04-29
KR100302481B1 (ko)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481B1 (ko) 상품화상데이터처리장치,화상데이터처리시스템및촬영보조장치
EP0227065B1 (en) Electronic imaging copier
US8457480B1 (en) Photography station
JPS62145234A (ja) 電子撮像複写機
KR20020096948A (ko) 거리 측정 방법 및 거리 측정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입력 장치
JP2005073706A (ja) X線画像撮影装置
JP3500940B2 (ja) 商品画像データ処理装置
TW200833095A (en) Portable image capture and camera device
JP5491354B2 (ja) スキャナ装置および該スキャナ装置における撮影対象の置き場所検出方法
TW472491B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or
JP3536636B2 (ja) 撮影補助装置
JP2005303524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用カメラ装置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924761B2 (ja) 画像入力装置
US8823801B2 (en) Digital X-ray capture device
JP2004096780A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4032818A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WO2024047884A1 (ja) 電子拡大鏡
CN209894713U (zh) 一种样品拍照录入系统装置
AU772730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determination of a linear dimension of an object from an image of the object
CN209638690U (zh) 3d扫描装置
JP4240219B2 (ja) 画像投映装置及び画像投映方法
JP4269577B2 (ja) 写真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紙ユニット
JP3598165B2 (ja) フイルムスキャナ
JP424353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404878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