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931A - 자기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931A
KR19990062931A KR1019980053953A KR19980053953A KR19990062931A KR 19990062931 A KR19990062931 A KR 19990062931A KR 1019980053953 A KR1019980053953 A KR 1019980053953A KR 19980053953 A KR19980053953 A KR 19980053953A KR 19990062931 A KR19990062931 A KR 1999006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termediate layer
magnetic
carb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요시 쿠와지마
아키히코 세키
Original Assignee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6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성층의 두께가 0.05∼0.5㎛의 고밀도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 표면조도가 양호하고 또한 뛰어난 신뢰성과 전자변환특성을 겸비한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비자성지지체의 적어도 1면에 두께가 0.5∼2.5㎛인 비자성의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중간층의 위에, 강자성분말과 결합제를 주체로해서 함유하는 두께가 0.05∼0.5㎛인 자성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진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평균 1차입자직경이 25∼40㎚이고, 비표면적이 50∼80㎡/g이고, DBP흡유량이 40∼55cc/100g인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
본 발명은 자성층의 두께가 0.05∼0.5㎛의 고밀도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면조도가 양호하고 또한 뛰어난 신뢰성과 전자변환특성을 겸비한 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기록의 고밀도화가 발달되고, 특히 기록파장을 짧게한 시스템이 한창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데이터스토레이지시스템인 DDS-3포맷의 최단기록파장은 0.3㎛정도이다). 이와 같은 기록파장의 짧은 시스템에는, 종래의 자성층의 두께(1∼5㎛정도)의 매체로는, 기록재생시의 두께손실, 자기감자(自己減磁)에 의한 출력의 저하, 또 분해능의 저하등이 큰 문제로 되어간다. 특히 디지털기록에 있어서는, 시초의 신호에 새로운 신호를 겹쳐쓰기(over write)하는 기록방식을 민생용 시스템을 중심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더한층의 고밀도화에 따라, 기록파장을 짧게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RLL신호등 주파수비로 2:7등과 같은 복수의 영역에 있는 기록신호의 오버라이트를 행하고, 이들 복수의 기록파장을 가진 신호의 겹쳐쓰기를 양호하게 행하기 위하여, 겹쳐쓰기특성(over write특성) 및 분해능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부득이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포형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자성층의 자기특성(자속밀도, 보자력등) 및 표면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머물고 있으며, 이것만으로 상기한 요구특성을 만족시키는데는 이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분해능의 저하나 두께손실, 자기감자를 경감하여 출력을 높여, 오버라이트특성을 향상시키는 유효한 일방책으로서, 강자성금속분말등의 포화자화량이 높은 강자성분말을 사용하여, 자류자속밀도를 어느일정이상으로 유지하고, 자성층의 두께를 2㎛이하, 혹은 1㎛이하로 매우 얇게한 도포형자기기록매체가 문헌이나 일본국 특개소 57-198536호 공보, 동 특개소 62-154225호 공보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자성층을 비자성지지체위에 직접 형성했을 때, 자성층의 두께가 얇아지면 비자성지지체표면의 악영향을 받기 쉽게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성층의 두께를 1㎛이하로 하면, 비자성지지체의 거칠은 표면이 자성층표면에서 재현되어, 헤드터치가 악화하고 특히 단파장영역 출력이 저하한다.
한편, 통상 자성층에는, 강자성분말과 결합제외에, 자성층표면의 기계적강도를 높이는 보강재(예를 들면 강자성분말보다도 단단한 입자, α알루미나등), 드롭아웃이나 분진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한 도전재(예를 들면 카본블랙등), 신뢰성을 높이기위한 윤활제(예를 들면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등)등, 여러 가지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자성층의 두께를 1㎛이하로 하면 함유하고 있는 첨가재의 절대량이 적어지고, 1㎛를 초과하는 자성층의 두께의 매체에 비해 그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매체의 내구성등의 신뢰성이 나빠진다. 그러나, 그 효과가 나타날때까지 첨가재를 증량하면, 상대적으로 강자성분말의 함유량이 감소되어, 자성층의 자속밀도가 저하하여, 기록밀도나 전자변환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들을 해결하는 일방책으로서, 자성층과 비자성지지체와의 사이에, 특정한 기능을 가지게한 중간층(밑칠층, 언더코팅등도 동일함)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소 60-35323호공보, 동 특개소 60-164926호 공보에는, 카본블랙과 결합제, 필요에 따라서 윤활제를 주체로하는 중간층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에 의하면, 고밀도화에 따라 자성층속의 강자성분말의 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성층속의 결합제, 윤활제 및 도전성카본블랙등의 첨가재를 감소시키고, 대신에 이들의 기능을 가진 중간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성층과 비자성지지체의 접착성, 자성층표면의 도전성 및 매체의 고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에는 카본블랙의 특성에 규정이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불편을 일으키기 쉽다. 즉, 도전성카본블랙의 경우는, 비표면적이나 급유량의 특성 때문에 결합제속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 어렵고, 또 작성된 도료는 함유되는 카본블랙의 구조성(structure)이 가지고오는 높은 틱소트로피점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포면의 레벨링이나 평활화에 영향을 주고, 형성된 중간층표면이 거칠어지기쉬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틱소트로피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량의 유기용제등에 의해 희석해버리면, 도포시, 용제의 증발에 의해서 형성되는 빈구멍등에 의해서, 형성된 중간층 표면이 거칠어지기 쉽다.
일본국 특공평 7-24101호 공보에는, DBP흡유량이 50∼100㎖/100g이고, 입자직경이 0.013∼0.040㎛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중간층을 형성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간층의 분산성을 높이고, 중간층의 표면평활성을 양호하게 하고, 이 중간층위에 형성하는 자성층의 표면평활성도 양호하게 함으로써, 전자변환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공평 7-24101호는 카본블랙의 비표면적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그 실시예에는 비표면적이 100㎡/g이상의 카본블랙이 사용되고 있으며, 거기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본 발명의 비표면적(50∼80㎡/g)을 가진 카본블랙과는 다른 카본블랙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후술의 비교예(비교예 2등)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본국 특공평 7-24101호 공보에서 규정된 입자직경 및 DBP흡유량의 카본블랙을 사용해도, 중간층도료의 조합(調合)시에 증점(增粘)이나 응집체 등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도포할때에 있어서도 도포줄이 발생하고, 또는 도포직전의 중간층도료가 틱소트로피성을 발현시켜, 정체시에 있어서의 증점등에 의해 도포가 어려운등, 여러조건에 의해 상기 표면평활성을 만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한 내용이였다.
또 상기 특공평 7-24101호 공보에는, 중간층속에 있어서의 안료와 결합제의 중량비는 100:85(=약 1.2:1)이고, 안료충전률이 낮고, 수지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통상, 도포후의 매체는, 카렌더장치 등에 의해 매체표면에 힘을 가해서 눌러찌부러뜨림(압궤)으로써 가공처리하여 표면평활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때, 압궤되는 도막에는, 중간층 등에 의한 단단한 지지가 필요하다. 지지에 탄성이 있으면 가해진 힘이 분산하고, 또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힘이 없어지면 시초의 상태로 복귀해버려, 가공처리가 불충분해진다. 자성층의 두께가 종래의 두께(1∼5㎛정도)에서는 이 현상은 거의 발생하는 일은 없고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특공평 7-24101호 공보에서는, 실시예의 자성층의 두께가 3㎛이기 때문에, 그러한 현상은 전혀 문제가 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자성층의 두께가 0.5㎛이하의 얇은 자성층에서는, 종래의 것에 비해, 지지의 탄성이 이와 같은 문제의 보다큰 요인이 된다. 도포형중층매체의 경우, 얇은 자성층의 지지로서 중간층이 있으나, 상기 특공평 7-2410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안료충전률이 낮고 수지함유율이 높은 중간층에서는, 중간층이 보다 더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두께가 0.05∼0.5㎛인 자성층에서는, 가공처리후의 자성층의 표면평활성이 불충분하다.
일본국 특개평 5-210838호 공보에는, 비자성지지체의 제한과 동시에, 중간층속에 카본블랙을 함유시킴으로써, 캘린더롤 오염 및 지지체이면의 전사를 방지하도록 중간층의 경도를 조정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비자성지지체 및 중간층의 병용에 의해, 자성층의 두께 1㎛이하의 매체에 있어서 캘린더가공시의 불편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고밀도 고용량화에 따라, 비자성체의 두께도 해마다 얇아져오고 있기 때문에, 매체의 강성(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하여, 재질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PEN(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또는 PA(폴리아미드)등으로 바꾸어서 매체의 강성을 가능한 한 높게하고 있다. 그때, 지지체의 형성방법은 재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기 특개평 5-210838호 공보의 숫법으로도 불충분하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의 경우 제법이 한정되어 있고,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공보의 숫법을 살리는데에는 이르지못하고 있으며, 또 매우 곤란하다.
일본국 5-189751호 공보에는, 자성층의 두께 1.0㎛이하라고하는 매체에 의해 도전성을 얻기위하여 중간층에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으나, 도전성폴리머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분산성이나 표면조도의 악화를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성층의 두께가 0.05∼0.5㎛의 고밀도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 표면조도가 양호하고 또한 뛰어난 신뢰성과 전자변환특성을 겸비한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일이다.
종래, 비교적 비표면적이 크고, DBP흡유량도 크고, 1차입자직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비교적 소량 사용함으로써, 중간층의 도전성과 접착성이 향상되어 왔다. 그러나 도전성이 있기때문의 스트럭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량으로도 그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한 필요량을 넣은 시점에서, 종래의 중간층도료는 높은 틱소트로피점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해, 중간층형성시에 표면성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발상과는 다르며, 스트럭쳐가 적은 카본블랙의 1차 입자직경을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중간층에 함유시킴으로써, 이들 문제를 해결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중간층의 막두께는, 0.5∼2.5㎛가 바람직하고, 0.8∼2.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5㎛가 더욱 바람직하다. 0.5㎛미만이면, 비자성지지체의 필러의 영향으로 중간층의 표면성이 악화된다. 한편, 2.5㎛를 초과하면 도막을 형성할 때,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표면평활성도 나빠지기 쉽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중간층은,
평균1차입자직경: 25∼40㎚
비표면적: 50∼80㎡/g
DBP흡유량: 40∼55cc/100g
인 카본블랙을 함유한다.
여기서, 평균1차입자직경의 측정은,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직접 관찰에 의해 행한다.
또, 비표면적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행한다. 먼저, 카본블랙분말을 250℃전후에서 30∼60분 가열하면서 탈기해서, 이 분말에 흡착되어 있는 것을 제거하고, 그후, 측정장치에 도입해서, 질소에 의해 액체질소온도(-195℃)에서 흡착측정을 행한다(일반적으로 B.E.T법이라 호칭되고 있는 비표면적의 측정방법. 자세히는 J. Ame, Chem. Soc. 60309(1938)를 참조).
또, DBP(디부틸프탈레이트)흡착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행한다. 150±1℃에서 1시간 건조시킨 시료 20.00g(A)를 absorptio meter(Brabender회사제, 스프링장력 2.68㎏/㎝)의 혼합실에 투입하고, 미리 리밋스위치를 소정의 위치(리밋스위치의 설정은 최대토크의 약 70%의 위치로함)에 설정해서 혼합실의 회전날개를 회전한다(125rpm). 동시에, 자동뷰렛으로부터 DBP(비중 1.045∼1.050)를 4㎖/분의 비율로 첨가하기 시작한다. 종점가까이 되면 토크가 급속으로 증가해서 리밋스위치가 끊어진다. 그때까지 첨가한 DBP량(B㎖)으로부터 DBP흡유량(D㎖/100g)을 다음식에 의해 구한다.
D=B/A×100
일반적으로, 평균1차입자직경은 작은쪽이 표면평활성이 좋고, 비표면적은 작은쪽이 분산성이 좋고, DBP흡유량은, 큰쪽이 도전성이 좋다. 그러나, 카본블랙의 평균1차 입자직경 및 비표면적, DBP흡유량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도포성 및 물리특성, 전자변환특성 등의 요구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중간층을 가진 자기기록매체는 종래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카본블랙의 특성을 상기의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상기에 설명한 중간층의 요구특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일이 가능해진다.
자기기록매체가 테이프의 경우, 중간층의 재료의 종류, 양, 또 백코팅의 재료의 종류, 양에 의해, 커핑량이 다르다. 테이프의 겉보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테이프를 네거티브의 커핑(자성면쪽이 볼록(凸)하게 되는 상태) 또는 포지티브의 커핑(자성면의 반대쪽이 볼록하게 되는 상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히 헤드에의 테이프당접의 점에서, 네거티브의 커핑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도막은, 그 자체가 수축하기 쉽고, 커핑이 포지티브의 커핑으로 되기 쉬운 경향이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카본블랙을 사용함으로써, 중간층의 수축이 억제되고, 자성면쪽 전체의 수축량 삭감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본블랙의 평균 1차 입자직경은, 25∼40㎚가 바람직하다. 25㎚보다 작으면 비표면적이 커지기쉬운 경향이 많아, 도료화 및 도포시에 틱소트로피점탄성을 발현하기 쉽고, 또 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형성된 중간층의 표면평활성을 나쁘게하기 쉬운 경향이 많다. 한편, 40㎚보다 커지면, 입자자체의 크기 때문에 형성된 중간층의 표면평활성을 나쁘게하기 쉬운 경향이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본블랙의 비표면적은 50∼80㎡/g이 바람직하다. 50㎡/g보다 작으면 1차입자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많아지고, 또 도막의 빈틈이 적어져서, 윤활제의 유지량이 적어진다. 한편, 80㎡/g보다 크면 분산에 필요한 수지량이 증가하여, 안료충전률이 저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본블랙의 DBP흡유량은 40∼55cc/100g이 바람직하다. 40cc/100g보다 작으면 일반적으로 1차 입자직경이 커지기쉬운 경향이 많다. 한편, 55cc/100g보다 크면, 응집이 강하게 되어, 도료의 틱소트로피성이 발현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포시에 줄이나 얼룩이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카본블랙로서 구체적으로는, Raven 760B, Raven 1060B(이상 콜롬비안카본회사제), REGAL 250(캐봇회사제)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본블랙의 함유율은, 도료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이며, 중간층 중량에 대해서 15∼75wt%가 바람직하다. 15wt%보다도 적으면 도전성이 적고, 매체가 대전하는 경향에 있다. 75wt%보다도 많으면 결합제량이 부족해져서, 도막의 가루떨어짐등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에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중간층은, 중간층의 안료충전률을 올리는 방책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비자성의 무기안료를 함유시키는 일이 가능하다. 이것은 필요에 따라서 함유량, 형상, 사이즈, 재질, 표면처리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α산화철(모스(moh's)경도6), 산화티탄(모스경도 5.5), 탄산칼슘(모스경도3), 산화규소(모스경도7), α알루미나(모스경도9), 산화크롬(모스경도9), 탄화규소(모스경도9.5), 공업용다이아몬드(모스경도10), 질화알루미늄(모스경도9), 질화붕소(모스경도9.5)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무기안료중, 모스경도가 7이하의 것을 「무기분말」로 하고, 7보다 큰 것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마제」로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간층에 있어서, 카본블랙과 카본블랙이외의 무기미세분말과의 중량비를 18/82∼10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82∼95/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미세분말이 전혀없으면, 분산성이나 표면조도가 임계상한이기 때문에, 그들에게 만진을 가지게하기 위하여 무기미세분말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함유한 무기미세분말의 중량비가 82보다 크면, 매체의 도전성이 나빠지고, 대전하는 경향에 있다.
형상에 대해서는 입자형상, 바늘형상, 방추형상, 판형상 등에 특별히 규정없이 선택할 수 있으나, 입자형상 또는 침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미세분말로서는, 입자형상이면 평균입자직경 0.01∼0.05㎛가 바람직하고, 0.02∼0.04㎛가 보다 바람직하다. 침형상이면, 평균장축길이가 0.05∼0.30㎛가 바람직하고, 0.10∼0.20㎛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미세분말이 입자형상의 경우 평균입자직경이 0.01㎛보다 작거나, 또는 무기미세분말이 침형상의 경우 평균장축길이가 0.05㎛보다 작으면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수지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분산하기 어렵게 되는 경향에 있다. 또 무기미세분말이 입자형상의 경우 평균입자직경이 0.05㎛보다 크거나, 또는 무기미세분말이 침형상의 경우 평균장축길이가 0.30㎛보다크면, 중간층의 표면평활성이 악화경향에 있다. 또, 입자형상은 종횡비가 1.5이하가 바람직하고, 침형상은 종횡비가 2.4∼10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미세분말의 모스강도는 7이하가 바람직하고, 3이상 7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무기미세분말은, 입자직경분포가 정돈되어 있는 합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로서, α산화철 또는 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α산화철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미세분말의 표면처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산, 염기흡착량을 조정하거나, 2차입자를 풀기쉽게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처리를 불문하고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중간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무기안료중 모스경도가 7보다 큰 것을 연마제로서 병용할 수 있다. 연마제로서의 모스경도는 7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9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크기는, 평균입자직경 0.05∼0.5㎛가 바람직하고, 0.1∼0.3㎛가 보다 바람직하다. 0.05㎛보다 작으면 표면에 나타나기 어렵고 첨가의 효과가 적어지며, 0.5㎛보다 크면 표면성이 거칠어지는 경향에 있다. 또,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함유량은 중간층속의 3∼20wt%가 바람직하다.
또, 연마제는, 입도분포가 일치된 합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산성이나 선택이 용이한 점에서, α알루미나 및 산화크롬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α알루미나가 바람직하다.
α알루미나의 형상에 대해서는, 소위 둥근형, 각형, 주사위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처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산, 염기흡착량을 조정하거나, 2차입자를 풀기쉽게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무기, 유기를 불문하고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합제로서는, 숙가소성수지, 열경화성 내지 반응형 수지, 전자선감응형 변성수지등이 사용되며, 그 조합은 매체의 특성, 공정조건에 맞추어서 적당히 선택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으로는, 이하에 표시한 바와 같은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수지의 조합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의 예로서는,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자세히는, 염화비닐함유량 60∼95wt%, 특히 60∼90wt%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평균중합도는 100∼50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염화비닐계 수지와 병용하는 폴리우레탄수지는, 내마모성 및 지지체에의 접착성이 양호한 점에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들 수지에 부가해서, 공지의 각종 수지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수지의 공지의 숫법에 의해, (메타)아크릴계 2중결합을 도입해서 전자선감응변성을 행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그 전자선작용기 함유량은, 제조시의 안정성, 전자선경화성등 때문에 수산기 성분속 1∼40몰%, 바람직하게는 10∼30몰%이고, 특히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경우 1분자당 1∼20개, 바람직하게는 2∼10개의 작용기가 되도록 모노머를 반응시키면 분산성, 경화성 다같이 뛰어난 전자선경화성수지를 얻을 수 있다.
중간층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무기미세분말의 총중량을 P로하고, 결합제의 중량을 B로했을 때, P와 B와의 관계는, P/B≥3.5가 바람직하고, 8≥P/B≥4가 보다 바람직하고, 6.5≥P/B≥4.5가 더욱 바람직하다. P/B가 3.5보다 작으면, 결합제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간층이 탄성을 가지게되어 캘린더에 의한 가공처리를 행한 후의 표면조도가 불충분해진다. 한편, P/B가 8보다 크면, 중간층에 인접해 있는 다른층이나 비자성지지체와의 사이의 접착성이 뒤떨어지고, 또 결합제량이 안료분산에 필요한 양에 부족하여 분산불량을 일으키기 쉽고, 표면조도가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중간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윤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는, 포화, 불포화에 상관없으며, 지방산 또는 에스테르, 당(糖)류등 공지의 것을 단체로, 또는 2종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나, 융점이 다른 지방산이나 에스테르를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자기기록매체가 사용되는, 모든 온도환경에 따른 윤활제를, 매체표면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산으로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라우르산, 에루크산 등의 포화직사슬이나, 이소세틸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의 포화이고 옆사슬이있는 것,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지방산등,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로서는 부틸스테아레이트, 부틸팔미테이트 등의 직사슬의 포화지방산에스테르,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 등의 옆사슬이 있는 포화지방산에스테르, 이소스테아릴올레이트 등의 불포화지방산에스테르, 올레일스테아레이트 등의 불포화알콜의 지방산에스테르, 올레일올레이트 등의 불포화지방산과 불포화알콜의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등의 2가 알콜의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올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올레이트 등의 2가 알콜과 불포화지방산의 에스테르, 또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등의 당류와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과의 에스테르 등이 있다.
중간층의 윤활제의 함유량은, 목적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면 되나, 무기미세분말과 카본블랙을 첨가한 합계 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가 바람직하다.
중간층의 표면거칠기(여기서 표면조도를 중심선평균거칠기 (JIS-B-0601)Ra로 표시하였다.)는, 양호할 필요가 있다. 중간층을 형성한 직후(가공처리없음)에서의 Ra는 15㎚가 바람직하고, 11㎚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캘린더등에 의해 가공한 후의 Ra는 6㎚이하가 바람직하고, 5㎚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5㎚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중간층과 자성층을 습윤상태에서 동시 또는 축차(逐次)도포를 행하는 도포방법에 있어서는, 중간층만 도포해서 이 범위가 되는 것을 확인하면 된다.
중간층의 도포는, 그라비아롤, 리버스롤 등의 롤코터나, 압출형 등의 압출노즐코터등, 특별히 제한은 없다. 자성층의 도포는, 압출형 등의 압출노즐코터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습윤상태에서 동시 또는 축차도포를 할 때는 필수가 된다. 중간층 및 자성층의 도포방법은, 중간층을 도포건조후, 필요하면 가공후, 자성층을 겹쳐서 도포시키는 방법(순서를 따라서 도포 또는 웨트온드라이), 또는 중간층을 도포후, 아직 습윤상태중에 겹쳐서 자성층을 도포하는 방법(습윤축차도포), 또 중간층과 자성층을 동시에 겹쳐서 도포하는 방법(습윤동시도포)등이 있으나,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방법을 행할 수 있으며, 중간층도료아 자성도료의 결합제의 상성(相性)이나 사용하고 있는 용제의 종류와 양, 또 도료점도 등의 조정의 필요가 없고, 표면조도를 할 수 있는 축차도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윤축차도포 및 습윤동시도포를 이하에서는 웨트온웨트라 표현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자성층의 막두께는, 0.05∼0.5㎛이다. 이 자성층의 막두께가 0.05㎛미만이면 도막두께가 변동하기 쉽고, 자성층의 막두께가 0.5㎛를 초과하면, 단파장기록때, 자기감자나 오버라이트악화로 되기 쉽고, 동시에 전자변환특성도 나빠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강자성분말로서는, 금속합금미세분말 또는 6방정형 판형상미세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합금미세분말로서는, Hc가 1500∼3000 Oe, σs가 120∼160emu/g, 평균장축직경이 0.05∼0.2㎛, 평균단축직경이 10∼20㎚, 종횡비가 1.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작한 매체의 Hc는 1500∼3000 Oe가 바람직하다. 첨가원소로서는 목적에 따라서 Ni, Zn, Co, Al, Si, Y 기타 희토류등을 첨가해도 된다.
6방정형 판형상미세분말로서는, Hc가 1000∼2000 Oe, σs가 50∼70emu/g, 평균판입자직경이 30∼80㎚, 판비가 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작한 매체의 Hc는 1200∼2200 Oe가 바람직하다. 첨가원소로서는, 목적에 따라서 Ni, Co, Ti, Zn, Sn 기타 희토류등을 첨가해도 된다.
그밖에, 재료에 대해서는 공지의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목적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평가에 있어서 이하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각 실시예의 평가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1) 표면조도Ra:
측정방법으로서 JIS-B-0601법에 준해서 측정했다. 측정기는, Taylor-Hobson Talystep를 사용했다. 자성층의 표면조도Ra는 작은 값일수록 바람직하고, 6.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5㎚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 표면성:
표면성은 육안으로봐서, 표면에 줄이나 얼룩이 없는 것을 ○로하고, 얼룩은 없으나 줄이 1∼2개 있는 것을 △로하고, 표면에 줄이 3개이상 있는 것을 줄이라고 표시하고, 표면에 부분적으로 얼룩이 있는 것에 대해서 얼룩이라고 표시했다. 표면에 줄이나 얼룩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전자변환특성:
각각의 측정덱을 필요에 따라서 개조하고, 단일파형을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1∼16, 비교예 1∼15
측정덱: Panasonic제 AJ-D750
레퍼런스테이프: Panasonic제 AJ-P63MP
(측정주파수는 21㎒, 기록파장은 0.5㎛이다)
실시예 17, 18, 비교예 16, 17
측정덱: HP제 C1537
레퍼런스테이프: SONY제 RSD-7095
(측정주파수는 13.5㎒, 기록파장은 0.44㎛이다)
실시예 19, 비교예 18
측정덱: SONY제 EV-S900
레퍼런스테이프: Fuji제 Super-DC
(측정주파수는 7㎒, 기록파장은 0.5㎛이다)
여기서, 출력이란, 측정주파수 및 기록주파수의 단일파형을 기록하고, 그 재생출력을 레퍼런스테이프와 비교하여 dB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각각의 레퍼런스테이프에 비해 포지티브의 값이 바람직하다. 또, C/N란, 측정주파수주변의 노이즈가 캐리어신호와의 비교를 dB로 표시한 것이다. 각각의 Ref테이프에 비해 포지티브의 값이 바람직하다.
(4) 스틸:
실제기계를 상온상습, 또는 0℃의 환경에 넣고, 이부개조를 실시하여, 미리 신호를 기록하고, 그 재생시에 스틸시켜, 신호강도가 스틸초기의 80%가 되는 시간을 계측했다. 이 시간은 긴쪽이 바람직하고, 10시간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 커핑
커핑이란, 테이프샘플을 자성면 또는 백코팅(BC)면에서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을 위로해서, 수평면에 점(靜置)시켜, 그 볼록한 높이를 측정한 것이다. 그때, 백코팅면이 볼록한때를 포지티브의 값으로하고, 자성면이 볼록한때를 네거티브의 값으로 했다. 커핑이 네거티브의 값, 즉 자성면이 볼록한때가, 바람직하고, -0.1㎜∼-1.0㎜가보다 바람직하고, -0.2㎜∼0.8㎜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6) 표면전기저항:
자성면의 표면전기저항을 Ω로 표시하고, 이 단위는 Ω/sq이다. 자성면에 있어서는, 이 값이 지나치게 낮으면 전자변환특성에 악영향이 있다. 또 이 값이 지나치게 높으면 티끌이나 먼지를 주행중에 모여들게 하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자성면의 표면전기저항은 5×105∼1×1010Ω/sq가 바람직하고, 5×105∼5×109Ω/sq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7) 종합평가:
요구치를 넘어서 좋은 경우에 종합평가를 ○로 하고, 요구치를 충족하고 있는 경우에 종합평가를 △로 하고, 요구치를 충족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종합평가를 ×로했다.
실시예 1
하기의 처방에 따라서, 중간층도료, 자성도료, 및 백코팅도료를 작성했다.
1. 중간층도료(a-1)
카본블랙 10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30㎚, BET비표면적 63㎡/g,
DBP흡유량 48cc/100g, pH7.4
[콜롬비안카본제 Raven 760B]
α알루미나(모스경도 9) 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200㎚, BET비표면적 9.5㎡/g
[스미토모카가쿠공업(주)제 HIT-50]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RE-610]
전자선경화성염화비닐계수지[NV30%] 47중량부
염화비닐-에폭시함유모노머공중합체
평균중합도 310
에폭시함유량 3중량%
S함유량 0.6중량%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60℃
전자선경화성폴리우레탄수지[NV35%] 40중량부
인화합물-히드록시함유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GPC Mn 26000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20℃
메틸에틸케톤 155중량부
톨루엔 9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60중량부
(계 50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중간층도료(a-1)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2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73중량부
톨루엔 44중량부
시클로헥사논 30중량부
(계 650중량부)
도포방법으로서는 실시예 12,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대해서는 웨트온웨트에 의해 도포하고, 이들 이외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는 웨트온드라이에 의해 도포했다.
2. 자성도료(A)
메탈자성분말 100중량부
BET50㎡/g, Hc2360 Oe,
σs143emu/g, SFD0.49
Co/Fe=30at%
장축 0.10㎛, 단축 16㎚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카본블랙 0.2중량부
평균입자직경 84㎚, BET28㎡/g,
DBP흡유량84㎖/100g, pH7.0
[미쯔비시화학(주)제 #10B]
α알루미나 3중량부
평균입자직경 130㎚, BET21㎡/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80]
염화비닐계수지 8중량부
[닛뽄제온(주)제 MR-110]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NV30%] 16중량부
[토요보(주)제 UR-8300]
메틸에틸케톤 70중량부
톨루엔 7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70중량부
(계 34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자성도료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95중량부
톨루엔 95중량부
시클로헥사논 268중량부
(계 800중량부)
도포직전, 자성도료(A)에, 가교제로서 닛뽄폴리우레탄공업(주)제 콜로네이트L(고형분 75%)를,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33중량%첨가했다.
3. 백코팅도료
카본블랙 100중량부
분산제 2중량부
연마제[α산화철] 5중량부
니트로셀룰로스[NV70%] 85중량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NV30%] 8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210중량부
톨루엔 24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73중량부
(계 80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백코팅도료를 작성했다.
니트로셀루로스[NV70%] 20중량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NV40%] 27중량부
메틸에틸케톤 420중량부
톨루엔 42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113중량부
(계 1800중량부)
(각 실시예에 이 백코팅도료를 도포했다. 모든 실시예의 최종제품에 있어서의 표면조도 Ra는 13.0㎚였다.)
도포직전, 백코팅도료에, 가교제로서 닛뽄우레탄공업(주)제콜로네이트L(고형분 75%)을,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27중량% 첨가했다.
두께 6.5㎛의 듀얼타입 PET필름(자성면쪽 Ra5.0㎚, 이면 Ra10㎚, 영률MD/TD=600/650)위에 도포속도 150m/분으로 중간층도료(a-1)를 압출식다이노즐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후, 캘린더에 의해서 가공하고, N2가스분위기속에서 전자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중간층위에 자성도료(A)를 압출다이노즐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로안에서 7000G의 영구자석에 의해서 배향처리하고, 건조하여 자성층을 형성하고, 원단을 캘린더에 의해서 가공처리했다. 또, 이면에 백코팅도료를 도포, 건조시켜 감았다. 이렇게해서, 자성층의 두께 0.20㎛ 및 중간층두께 1.0㎛, 백코팅층 0.5㎛를 필름에 형성했다. 이 롤을 24시간이상 방치후 60℃환경에서 24시간 이상 방치하고, 방냉후 6.35㎜폭으로 슬릿하여,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전자선조사조건: 전자커튼타입전자선가속장치
가속전압 200KeV
전극전류 40㎃
흡수선량 4Mrad
가공조건: Steel elastic roll의 4nip calender 온도 90℃, 선압 350㎏/㎝, 속도 150m/분
실시예 2∼8
중간층도료(b-1)
무기미세분말[α산화물] 75중량부
평균장축길이 0.15㎛, 평균단축길이 30㎚
비표면적 52㎡/g, pH 5.9
[토다공업(주)제 DPN-250BW]
카본블랙 2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30㎚, BET비표면적 63㎡/g,
DBP흡유량 48cc/100g, pH 7.4
[콜롬비안카본제 Raven760B]
α알루미나(모스경도9) 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200㎚, BET미표면적 9.5㎡/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50]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전자선경화성염화비닐계수지[NV30%] 30중량부
염화비닐-에폭시함유모노머공중합체
평균중합도 310
에폭시함유량 3중량%
S함유량 0.6중량%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60℃
전자선경화성폴리우레탄수지[NV35%] 26중량부
인화합물-히드록시함유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GPC Mn26000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20℃
메틸에틸케톤 74중량부
톨루엔 74중량부
시클로헥사논 48중량부
(계 36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중간층도료(b-1)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6중량부
톨루엔 16중량부
시클로헥사논 6중량부
(계 400중량부)
이 중간층도료(b-1)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작성했다. 그때, 중간층의 두께와 베이스필름을 이하와 같이 변경했다.
필름두께 재질(영률MD/TD) 중간층두께
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실시예 7실시예 8 6.5㎛6.56.56.56.56.54.5 PET (600/650)㎏/㎟PET (600/650)PET (600/650)PET (600/650)PET (600/650)PEN (700/700)PA(1100/1300) 0.6㎛1.01.41.82.11.41.4
실시예 9
카본블랙도료
카본블랙 2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30㎚, BET비표면적 63㎡/g
DBP흡유량 48cc/100g, pH7.4
[콜롬비안카본제, Raven 760B]
분산제(인산에스테르) 1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전자선경화성염화비닐계수지[NV30%] 10중량부
염화비닐-에폭시함유모노머공중합체
평균중합도 310
에폭시함유량 3중량%
S함유량 0.6중량%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60℃
전자선경화성폴리우레탄수지[NV35%] 9중량부
인화합-히드록시함유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GPC Mn26000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20℃
메틸에틸케톤 32중량부
톨루엔 32중량부
시클로헥사논 21중량부
(계 13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라인더밀에 의해서 분산해서 카본블랙도료를 작성했다.
중간층도로(b-2)
무기미세분말[α산화철] 75중량부
평균장축길이 0.15㎛, 평균단축길이 30㎚,
비표면적 53㎡/g, pH5.9
[토다공업(주)제 DPN-250BW]
α알루미나(모스경도9) 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200㎚, BET비표면적 9.5㎡/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50]
분산제(인산에스테르) 2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전자선경화성염화비닐계수지[NV30%) 20중량부
염화비닐-에폭시함유모노머공중합체
평균중합도 310
에폭시함유량 3중량%
S함유량 0.6중량%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60℃
전자선경화성폴리우레탄수지[NV35%] 17중량부
인화합물-히드록시함유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GPC Mn26000
아크릴함유량 6개/1분자
Tg -20℃
메틸에틸케톤 5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31중량부
(계 25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이더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앞서의 카본블랙도료를 혼합하고, 또 분산했다.
카본블랙도료 130
(계 380)
그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중간층도료(b-2)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8중량부
톨루엔 8중량부
시클로헥사논 2중량부
(계 400중량부)
이 중간층도료(b-2)를 사용해서,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작성했다.
실시예 10, 11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에 있어서, 무기미세분말과 카본블랙의 중량비율을 이하와 같이 변경한 중간층도료를 사용해서,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무기미세분말/카본블랙
실시예 10실시예 11 60/4080/20 중간층도료(b-3)중간층도료(b-4)
실시예 12
자성도료(B)
메탈자성분말 100중량부
BET비표면적 50㎡/g, Hc2360 Oe,
αs143emu/g, SFD0.49,
Co/Fe=30at%
장축0.10㎛, 단축16㎚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카본블랙 0.2중량부
평균입자직경 84㎚, BET비표면적 28㎡/g,
DBP흡유량 84㎖/100g, pH7.0
[미쯔비시화학(주)제 #10B]
α알루미나 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130㎚, BET비표면적 21㎡/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80]
염화비닐계수지 8중량부
[닛뽄제온(주)제 MR-110]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NV30%] 16중량부
[토요보(주)제 UR-8300]
메틸에틸케톤 70중량부
톨루엔 7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70중량부
(계 342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자성도료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88중량부
톨루엔 188중량부
시클로엑사논 82중량부
(계 802중량부)
도포직전, 자성도료(B)에, 가교제로서 닛뽄우레탄공업(주)제 콜로네이트L(고형분 75%)을,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33중량%첨가했다.
이 자성도료(B)와 실시예 7의 중간층도료(b-1)를 사용하고, 실시예 4의 베이스필름을 사용해서, 도포속도 150m/분으로 중간층을 압출식다이노즐코터에 의해 건조후의 두께가, 1.4㎛가 되도록 도포후, 습윤상태에 있을때에 자성도료를 압출식다이노즐코터에 의해 건조후의 두께가 0.20㎛가 되도록 도포하고, 배향, 건조후 캘린더가공하고, 전자선조사를 행한 후 백코팅도료를 건조후의 두께가 0.5㎛가 되도록 도포하고, 감았다. 이하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실시예 13
중간도료(C)
무기미세분말[α산화철] 75중량부
평균장축길이 0.15㎛, 평균단축길이 30㎚,
비표면적 52㎡/g, pH5.9
[토다공업(주)제 DPN-250BW]
카본블랙 2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30㎚, BET비표면적 63㎡/g,
DBP흡유량 48cc/100g, pH7.4
[콜롬비안카본제 Raven 760B]
α알루미나(모스경도9) 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200㎚, BET비표면적 9.5㎡/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50]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염화비닐계수지 9중량부
[닛뽄제온(주)제 MR-110]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NV30%] 30중량부
[토요보(주)제 UR-8300]
메틸에틸케톤 81중량부
톨루엔 81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1중량부
(계 360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중간층도료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6중량부
톨루엔 16중량부
시클로헥사논 6중량부
(계 400중량부)
도포직전, 중간층도료에, 가교제로서 닛뽄폴리우레탄공업(주)제 폴로네이트L(고형분75%)를,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27중량% 첨가했다.
이 중간층도료(c)와 실시예 12의 자성도료(B)를 사용하고, 전자선조사를 생략해서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에 있어서, 수지량을 이하의 양으로 변경한 중간층도료(b-5)를 사용해서,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전자선경화성염화비닐계수지 [NV30%] 27중량부
전자선경화성폴리우레탄수지 [NV35%] 23중량부
실시예 15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에 있어서, 카본블랙을 이하의 것으로 변경한 중간층도료(b-6)를 사용해서,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평균입자직경 30㎚, BET비표면적 66㎡/g
DBP흡유량 50cc/100g, pH2.4
[콜롬비안카본제 Raven 1060B]
비교예 1
실시예 1의 중간층도료(a-1)의 수지량을 이하의 양으로 변경한 중간층도료(a-2)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전자선경화성염화비닐계수지[NV30%] 67중량부
전자선경화성폴리우레탄수지[NV35%] 57중량부
비교예 2
실시예 1의 중간층도료(a-1)의 카본블랙의 종류를 이하의 것으로 변경한 중간층도료(a-3)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평균입자직경 1㎚, BET비표면적 122㎡/g
DBP 흡유량 66cc/100g, pH2.5
[콜롬비안카본제 Raven 1255B]
비교예 3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에 있어서, 무기미세분말을 100중량부, 카본블랙을 0중량부로한 중간층도료(b-7)를 사용해서,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비교예 4∼5
중간층두께를 이하와 같이하고,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중간층두께
비교예 4비교예 5 0.4㎛2.8
비교예 6∼13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에 있어서, 카본블랙의 종류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중간층도료를 사용하고,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비교예 6 중간층도료(b-8):
평균입자직경 24㎚, BET비표면적 124㎡/g
DBP 흡유량 46cc/100g, pH8.0
[미쯔비시화학(주)제 #45B]
비교예 7 중간층도료(b-9):
평균입자직경 21㎚, BET비표면적 122㎡/g
DBP 흡유량 66cc/100g, pH2.5
[콜롬비안카본제 Raven 1255B]
비교예 8 중간층도료(b-10):
평균입자직경 40㎚, BET비표면적 60㎡/g
DBP 흡유량 62cc/100g, pH8.0
[미쯔비시화학(주)제 CF9B]
비교예 9 중간층도료(b-11):
평균입자직경 16㎚, BET비표면적 250㎡/g
DBP 흡유량 76cc/100g, pH8.0
[미쯔비시화학(주)제 #950B]
비교예 10 중간층도료(b-12):
평균입자직경 41㎚, BET비표면적 42㎡/g
DBP 흡유량 121cc/100g, pH7.5
[캐봇제 Black Pearls 280]
비교예 11 중간층도료(b-13):
평균입자직경 28㎚, BET비표면적 93㎡/g
DBP 흡유량 74cc/100g, pH8.0
[미쯔비시화학(주)제 #33B]
비교예 12 중간층도료(b-14):
평균입자직경 20㎚, BET비표면적 200㎡/g
DBP 흡유량 115cc/100g, pH7.0
[콜롬비안카본제 Conductex SC]
비교예 13 중간층도료(b-15):
평균입자직경 80㎚, BET비표면적 24㎡/g
DBP 흡유량 28cc/100g
[아사히카본(주)제 아사히서멀]
비교예 14
비교예 9의 중간층도료를 사용하고, 그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실시예 16
자성도료(C)
메탈자성분말 100중량부
BET비표면적 48㎡/g, Hc2370 Oe,
σs155emu/g, SFD0.44,
Co/Fe=30at%
장축 0.10㎛, 단축 16㎚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카본블랙 0.2중량부
평균입자직경 84㎚, BET비표면적 28㎡/g,
DBP흡유량 84㎖/100g, pH7.0
[미쯔비시화학(주)제 #10B]
α알루미나 5중량부
평균입자직경 130㎚, BET비표면적 21㎡/g
[스미토모화학공업(주) HIT-80]
염화비닐계수지 8중량부
[닛뽄제온(주)제 MR-110]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 [NV30%] 16중량부
[토요보(주)제 UR-8300]
메틸에틸케톤 70중량부
톨루엔 7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70중량부
(계 342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자성도료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88중량부
톨루엔 188중량부
시클로헥사논 82중량부
(계 802중량부)
도포직전, 자성도료에, 가교제로서 닛뽄폴리우레탄공업(주)제 콜로네이트L(고형분 75%)을,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33% 중량%첨가했다.
이 자성도료(C)와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를 사용하고, 이하의 PEN필름을 사용하고, 자성층두께를 0.12㎛, 중간층두께를 1.3㎛로하고,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필름두께 재질(영률MD/TD)
실시예 16 5.2㎛ PEN(600/1100)㎏/㎟
비교예 15
비교예 7의 중간층도료를 사용하고, 그외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를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실시예 17∼18
자성도료(D)
메탈자성분말 100중량부
BET비표면적 50㎡/g, Hc2360 Oe,
σs143emu/g, SFD0.49
Co/Fe=30at%
장축 0.10㎛, 단축 16㎚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α알루미나 1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130㎚, BET비표면적 21㎡/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80]
염화비닐계수지 8중량부
[닛뽄제온(주)제 MR-110]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 [NV30%] 16중량부
[토요보(주)제 UR-8300]
메틸에틸케톤 70중량부
톨루엔 7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70중량부
(계 342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자성도료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88중량부
톨루엔 188중량부
시클로헥사논 82중량부
(계 802중량부)
도포직전, 자성도료에, 가교제로서 닛뽄폴리우레탄공업(주)제 콜로네이트L(고형분 75%)을,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33%중량%첨가했다.
이 자성도료(D)와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를 사용하고, 이하의 폴리아미드필름을 사용하고, 이하의 자성층두께, 중간층두께로하고, 슬릿폭을 3.8㎜로 변경하여,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필름두께 재 질 (영률MD/TD) 자성층두께 중간층두께
실시예 17실시예 18 4.5㎛4.5㎛ 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 (1100/1500)㎏/㎟(1100/1500)㎏/㎟ 0.12㎛0.08㎛ 1.4㎛1.4㎛
비교예 16
비교예 7의 중간층도료를 사용하고, 그 외는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비교예 17
비교예 7의 중간층도료를 사용하고, 그 외는 실시예 18과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실시예 19
자성도료(E)
메탈자성분말 100중량부
BET비표면적 52㎡/g, Hc 2200 Oe,
σs145emu/g, SFD0.59
Co/Fe=30at%
장축 0.09㎛, 단축 16㎚
분산제(인산에스테르) 3중량부
[토호화학(주)제 RE-610]
카본블랙 0.2중량부
평균입자직경 84㎚, BET비표면적 28㎡/g,
DBP흡유량 84㎖/100g, pH7.0
[미쯔비시화학(주)제 #10B]
α알루미나 1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130㎚, BET비표면적 21㎡/g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HIT-80]
염화비닐계수지 8중량부
[닛뽄제온(주)제 MR-110]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 [NV30%] 16중량부
[토요보(주)제 UR-8300]
메틸에틸케톤 70중량부
톨루엔 7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70중량부
(계 342중량부)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 샌드그라인더밀에 의해서 분산한 후, 하기의 조성물을 첨가해서, 또 분산하여 자성도료를 작성했다.
스테아르산부틸 1중량부
스테아르산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88중량부
톨루엔 188중량부
시클로헥사논 82중량부
(계 802중량부)
도포직전, 자성도료에, 가교제로서 닛뽄폴리우레탄공업(주)제 콜로네이트L(고형분 75%)을, 도료속의 수지분에 대하여 33% 중량% 첨가했다.
이 자성도료(E)와 실시예 4의 중간층도료(b-1)를 사용하고, 이하의 PET필름을 사용하고, 자성층두께를 0.25㎛, 중간층두께를 1.4㎛로하고, 슬릿폭을 8㎜로 변경하여,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필름두께 재질(영률MD/TD)
실시예 19 8.3㎛ PET(650/450)㎏/㎟
비교예 18
비교예 7의 중간층도료를 사용하고, 그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테이프샘플을 얻었다.
표 1에 표시한 평가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 대표되는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비교예에 표시되는 종래의 자기기록매체에 비해서, 스틸은 동등이상, 도전성에 뛰어나고, 커핑도 네거티브의 커핑으로 되어, 전자변환특성에 뛰어나고, 전체적으로 균형이 뛰어난 자기기록매체인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비자성지지체의 적어도 1면에 두께가 0.5∼2.5㎛인 비자성의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중간층의 위에, 강자성분말과 결합제를 주체로해서 함유하는 두께가 0.05∼0.5㎛인 자성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진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평균1차입자직경이 25∼40㎚이고, 비표면적이 50∼80㎡/g이고, DBP흡유량이 40∼55cc/100g인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상기 카본블랙과 아울러서 이 카본블랙이외의 비자성무기미세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과 이 카본블랙이외의 비자성무기미세분말과의 중량비가 18/82∼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4. 제 1항∼제 3항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결합제를 함유하고, 이 중간층에 있어서의 상기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비자성무기미세분말의 총중량을 P하고, 이 결합제의 중량을 B로했을때에, 이 P와 B의 사이에,
    6.5≥P/B≥3.5
    의 관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KR1019980053953A 1997-12-09 1998-12-09 자기기록매체 KR19990062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54008 1997-12-09
JP9354008A JPH11175957A (ja) 1997-12-09 1997-12-09 磁気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931A true KR19990062931A (ko) 1999-07-26

Family

ID=1843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953A KR19990062931A (ko) 1997-12-09 1998-12-09 자기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23069A1 (ko)
JP (1) JPH11175957A (ko)
KR (1) KR199900629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042B2 (ja) * 1999-11-08 2010-07-21 Tdk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2004198717A (ja) * 2002-12-18 2004-07-15 Showa Denko Kk カラーフィルター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レジスト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に用いるカーボンブラック分散液組成物
JP2005044402A (ja) * 2003-07-23 2005-02-17 Sumitomo Chemical Co Ltd 磁気記録メディア用αアルミナ粉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3918B1 (en) * 1992-09-30 2002-12-04 TDK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8241515A (ja) * 1995-03-03 1996-09-17 Tdk Corp 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3069A1 (en) 1999-06-16
JPH11175957A (ja) 199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3412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003323710A (ja) 磁気記録媒体
JP2000040218A (ja) 磁気記録媒体
US4741954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5688591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n unsaturated fatty acid diester of a dihydric alcohol
KR19990062931A (ko) 자기기록매체
JP4090642B2 (ja) 磁気記録媒体
US5652040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882180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647502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20040214048A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KR100322819B1 (ko) 자기기록매체
JP2001134919A (ja) 磁気記録媒体
US20050170214A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40253482A1 (en) Dual-layer magnetic medium with nonhalogenated binder system
JPH027223A (ja) 磁気記録媒体
JP2001084551A (ja) 磁気記録媒体
JP2888488B2 (ja) 磁気記録媒体
US20040191573A1 (en) Magnetic recording media exhibiting decreased tape dropout performance
JPH01134717A (ja) 磁気記録媒体
JPH11126325A (ja) 磁気記録媒体
JP2002367159A (ja)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6111281A (ja) 磁気記録媒体
JPH1186267A (ja) 磁気記録媒体
JP2000285436A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