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470A -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470A
KR19990052470A KR1019970071946A KR19970071946A KR19990052470A KR 19990052470 A KR19990052470 A KR 19990052470A KR 1019970071946 A KR1019970071946 A KR 1019970071946A KR 19970071946 A KR19970071946 A KR 19970071946A KR 19990052470 A KR19990052470 A KR 1999005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extract
composition
cottonsee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만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7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2470A/ko
Publication of KR1999005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470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발명의 근본적 원인 중의 하나인 모공벽의 과각화로 인하여 형성된 면포(comedo)에 대하여 면포 용해효과(comedolytic effect)가 뛰어난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본 발명은 여드름 발명의 근본적 원인 중의 하나인 모공벽의 과각화로 인하여 형성된 면포(comedo)에 대하여 면포 용해효과(comedolytic effect)가 뛰어난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의 얼굴이나 가슴, 목, 어깨 상단부에서 발생하는 모 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면포, 구진, 농포, 낭종 및 결절을 형성하고 심하면 반흔을 남길 수 있으며 이러한 병변이 호발하는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는 자신감의 결여, 대인관계의 지장, 분노 및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상처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드름의 발생기전은 아직까지도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드름 병인은 대체적으로 네가지 요소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들은 1) 피지분비의 증가, 2)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모낭벽 각화, 3) 세균의 증식, 4) 염증 유발이다.
남성 호르몬의 분비항진에 의한 피지선의 기능이 항진되어 생성된 과잉의 피지가 모낭 벽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낭내에 정체되면서 생기는 면포가 여드름의 초기 단계이며 모낭벽의 과각화가 효과적으로 차단된다면 모낭 밖으로 피지가 원할하게 배출되어 면포 형성이 억제될 수 있으며 생성된 면포라도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약물의 사용으로 면포를 제거할 수 있다.
면포 형성 기전은 다음과 같다. 여드름 환자의 피지내 지방성분에는 변화가 있는데 아실 세라마이드(acyl ceramide)의 리놀산(linoleic acid)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함량은 감소되고 스쿠알렌(squalene)과 자유지방산의 함량은 증가된다. 이러한 지방 조성의 변화로 인하여 모낭내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술페이트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모낭내 각질형성 세포간의 결합을 증진시켜 모낭 정체 과각화증(follicular retention hyperkeratosis)이 초래된다. 그 결과 모낭벽은 과각화되어 모공이 폐쇄되고 결국 생성된 피지가 모낭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모낭내에 정체하게 되어 면포가 형성된다.
이러한 여드름 치료에 대한 원칙은 1) 과잉의 피지 생성 억제 2) 모낭벽의 과각화 억제 3)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증식 억제 4) 염증 반응의 억제 등 크게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여드름의 약물치료는 국소도포요법과 경구요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증상이 경미한 여드름은 국소도포요법만으로도 충분히 치료될 수 있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국소도포요법과 경구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국소도포요법제로 사용되는 대표적 약물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젤라인산, 레티노인산, 살리실산, 황 및 국소도포항생제 등이 있으며 이들 중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젤라인산 및 레티노인산 제제의 주효능은 항균작용 및 면포용해작용 등이지만 과량 도포시 피부발적 또는 피부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살리실산 및 황 제제는 치료 효과가 미비할 뿐만아니라 피부발적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 여드름을 더욱 악화시키기도 한다. 국소도포 항생제로는 클린다마이신(clindarmycin), 에리쓰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 cycline) 등의 복합제가 자주 사용되지만 내성균의 출현 또는 광과민 작용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국소도포요법 제제 중 벤조일 퍼옥사이드, 살리실산, 레소르시놀 및 황 등은 비누, 세안제, 크림 및 로션 등에 포함되어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일반 국소도포요법 제제에 비하여 임상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드름 발병의 근본적 원인인 피지의 모낭내 정체를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안전성이 높고 낮은 농도에서도 면포 용해작용이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각종 천연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세안제, 비누 및 크림 조성물에 고삼 추출물을 함유시키면 낮은 농도에서도 뛰어난 면포 용해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면포 효과를 갖는 조성물은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삼의 일반적 성상, 응용 및 확인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학명은 소포라 플라베센스(Sophora flavescens) 또는 소포라 안구스티폴리아(Sophora angustifolia)이며 생약명은 소포라에 라딕스(Sophorae radix)로 뿌리를 생약으로 사용한다. 고삼의 성상은 원주형 또는 원추형의 뿌리로서 길이 5 내지 20 cm, 지름 2 내지 3 cm이고 외면은 암갈색 내지 황갈색이고 세로 주름이 뚜렷하며 주피를 벗긴 것은 황백색이고 섬유성을 나타낸다. 또한, 특유한 구토성의 냄새가 나고 맛은 쓰며 잔유성(殘留性)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주성분으로는 알칼로이드류(alkaloids)로 마트린(matrine), 옥시마트린(oxymatrine), 소포라놀(sophoranol) 등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로는 큐라리딘(kuraridin), 이소안하이드로이카리틴(isoanhydroicaritin) 등이 있다. 또한 잎은 루테오닌-7-글루코스(luteolin-7-glucose)를 함유하고 있으며 종자는 사이티신(cytis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고삼의 용도는 고미건위제(苦味健胃濟), 말초 혈관수축제, 해열진통제 및 피부기생충 구제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당 발명자들은 선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31533 호)에서 고삼 추출물이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하고 여드름 병변을 악화시키는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이움 아크네스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 발명자들의 선출원을 포함한 종래의 사실로 고삼 추출물이 면포 용해효과가 있다는 것을 추측해 내기란 작용기전으로 볼 때 전혀 불가능하며 이러한 고삼 추출물의 종래의 사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효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몇가지의 특이 효능을 발견하였고 다각도에 걸친 실험을 통하여 고삼 추출물이 뛰어난 면포 용해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고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삼의 추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삼 뿌리를 정제하고 분말화하여 약 10 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5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이 때 사용한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하나 또는 두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끼 귀에 유발시킨 면포에 대한 고삼 추출물의 면포 용해효과 평가실험>
고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에탄올에 녹여 1 중량%가 되도록 한 후 토끼 임상 시험용 시험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험동물은 비교할 병리 해부학적 자료가 많이 있는 토끼(New Zealand White)이며 4 개월령 전후이고 2.0 내지 3.0 kg의 건강한 수컷을 사용하였다. 또한 동물 입수후 1 주일간 순화기간을 거친 후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 군의 구성과 투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5마리의 토끼에 면포 유발물질인 IPM(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을 토끼의 양쪽 귀에 매일, 1일 1회, 0.5 ㎖ 씩을 10일간 도포하여 면포를 유발시켰으며, 이중에서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전형적인 면포가 관찰되는 12 마리(A, B, C, D, E, F, G, H, I, J, K, L)를 골라 시험에 사용하였다. 면포 용해효과 평가실험은 유발된 면포가 생성된 토끼의 오른쪽 귀에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만든 고삼 추출물을 시험 물질로 사용하여 매일 1회 0.7 ㎖ 씩 투여한 후 면봉으로 10 내지 15회 정도 고르게 도포하였으며 왼쪽 귀에는 기제로 사용한 에탄올을 0.7 ㎖ 투여 후 면봉으로 10 내지 15회 정도 도포하여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면포 병변 상태를 비교하였다. 면포 치유기간은 3주 동안 진행되었다. 시험 약물을 투여하면서 매일 육안적으로 면포의 병변 진행 정도를 등급화하여 시험 약물의 면포 용해효과를 일정한 평가 척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제시한다.
* 관찰평가 값 = (투여군, 대조군)
* 호전 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 관찰 평가 척도
치료기간(3주) 동안의 토끼 면포 상태의 육안적인 평가(Gross Findings) 결과
등급 관찰 평가 척도
0 모낭확대(×), 면포형성(×), 과각화(×), 염증반응(×)
1 약한정도의 모낭확대(○), 약한정도의 면포형성(○), 과각화(×), 염증반응(×)
2 중간정도의 모낭확대(○), 중간정도의 면포형성(○), 약한정도의 피부과각화(○), 염증반응(×)
3 심한정도의 모낭확대(○), 심한정도의 면포형성(○), 중간정도의 피부과각화(○), 약한정도의 염증반응(○)
4 심한정도의 모낭확대(○), 심한정도의 면포형성(○), 심한정도의 피부과각화(○), 심한정도의 염증반응(○)
* 관찰 평가 척도; ○: 관찰됨, ×: 관찰안됨
시험물질 적용 3주 후, 각 실험 군을 안락사시키고 각 동물의 양귀를 잘라낸 후 약 2.5 cm×1,5 cm 정도로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기저부(외이도의 바깥부위)를 잘라냈다. 잘라낸 조직을 60℃의 물에 1분간 담갔다가 꺼내어 표피(epidermis)만을 박리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에 안쪽면이 위로 올라오도록 잘 펴 올린 각각의 홀 마운트(whole mount) 조직을 건조시킨 후 입체현미경하에서 10배로 관찰하였다. 그 후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홀 마운트한 조직의 면포의 수와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면포 면적/수의 감소율을 게산하여 면포 용해효과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와 표 3에 제시한다.
고삼 추출물 적용 3주 후 토끼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고삼추출물 A 1 2
B 1 2
C 1 3
D 1 2
E 1 2
F 2 3
G 1 1 ­
H 2 3
I 1 2
J 2 2 ­
K 2 3
L 1 2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다음과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고삼 추출물 적용 3주 후 면포의 면적/수 비율 및 상대감소율
고삼 추출물 적용 3주 후 평가군 면포 면적/수 비율 상대감소율
투여군(우측귀) 0.10±0.03 56.5%
대조군(좌측귀) 0.23±0.03
* 면포 면적/수 상대감소율 = (A-B)/A × 100
A: 대조군의 면포면적/수
B: 치료군의 면포면적/수
상기의 토끼 임상시험 결과(표 1, 2 및 3)에 의하여 고삼 추출물은 면포 용해효과(면포 면적/수 상대감소율)가 현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더욱 진행시켜 우수한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유효성분의 분리(isolation) 및 동정(identification)을 위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고삼 추출물 중 비극성 용매층으로 이행된 추출물을 이상 용매 시스템(two-phase solvents system)으로 전개시켜 각각의 극성도에 따라 유효성분을 분리 및 분취하는 칼럼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용출된 각가의 유효성분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같은 성분이 포함된 분취 용액을 합하여 면포 용해작용이 우수한 유효성분을 분리하였으며 Mass 및 NMR 등의 분석장비를 이용한 동정을 실시하여 유효성분들을 최종 확인하였다. 유효성분의 동정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고삼 추출물 중 면포 용해작용을 하는 두가지 유효성분 군을 발견하였으며 그중 하나는 큐라리논(kurarinone), 소포라플바논지(sophoraflavanone G) 등의 플라보노이드류이고 다른 한 군은 마트린(matrine) 등의 알칼로이드류였다. 당 발명자들의 선출원(대한민국특허출원 제97-31533 호)에 따르면 고삼 추출물 중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은 추출용매에 따라 0.005 내지 11.3 중량%이며 알카로이드(Alkaloid) 함량은 0.05 내지 12.9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삼의 효능으로 밝혀진 면포 용해효과는 일반적으로 피부 각질 용해 효과, 피부 과각화 예방 및 치료효과, 피부 주름 예방 및 치료효과 등과 상호 비슷한 생화학적 작용기전을 기반으로 갖고 있으므로 고삼 추출물도 그러한 효능이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얻은 고삼 추출물의 뛰어난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안제, 비누 및 크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에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과지방을 함유하지 않은 일반적인 세안제, 비누 및 크림 각각 제품의 베이스를 기본으로 하며 각각의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고삼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0.005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세안제 및 비누는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고삼 추출물을 함유시킨 것으로 이밖에 임상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여러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은 일반적인 수중유형(O/W)의 베이스에 고삼 추출물을 함유시킨 것으로 임상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합성 또는 천연 소재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적용한 세안제, 비누 및 크림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조성물의 성상은 서로 다른 제형 즉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의 어떠한 성상에도 적용이 용이하며 다음의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안제 조성물의 제조 및 효능 실험
세안제의 제조
다음 표 4에 제시된 조성비율로 세안제 베이스와 고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호모믹서기에서 교반, 가열, 탈기,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조성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세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업성 및 안정성이란 추출물을 혼합하여 세안제를 제조할 때의 작업용이성(추출물의 제품 내에서의 용해성) 및 제조 후의 상 안정성(상 분리의 유무)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1-1 1-2 1-3 1-4 1-5 1-6 1-1 1-2 1-3
1.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2. 모노알킬포스페이트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3. 수산화나트륨(5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4. 미리스틴산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 고삼 추출물 0.005 0.01 0.10 1.00 5.00 10.00 0.001 - 15.00
6. 정제수 34.995 34.99 34.90 34.00 30.00 25.00 34.999 35.00 20.00
제품의 작업성, 안정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면포 용해효과 평가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서 실시예 1-1, 1-2, 1-3, 1-4, 1-5, 1-6, 비교예 1-1, 1-2 및 1-3의 세안제를 투여군(토끼의 오른쪽 귀에 적용)으로 비교예 1-2의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세안제를 대조군(토끼의 왼쪽 귀에 적용)으로 사용하여 토끼 귀에 유발된 면포에 대한 면포 용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군당 6마리(A, B, C, D, E, F)의 건강한 토끼를 사용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토끼 귀에 면포를 유발한 후 추출물을 함유한 세안제를 오른쪽 귀에, 함유하지 않은 세안제는 왼쪽 귀에 매일 한 번씩 0.5 g을 고르게 도포하여 물로 충분히 씻어내는 방법으로 3주간 실험한 후 토끼를 안락사시킨 후 귀를 잘라내어 귀의 외피를 떼어내고 현미경으로 면포의 상태를 평가하는 홀 마운트 방법으로 측정하여 면포 면적/수 감소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5a, 5b, 5c 및 5d에 제시한다.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세안제 적용 3주 후 토끼 귀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실시예 1-1 A 2 3
B 1 2
C 1 2
D 2 2 -
E 2 2 -
F 2 2 -
실시예 1-2 A 1 2
B 1 3
C 2 2 -
D 1 2
E 1 1 -
F 2 2 -
실시예 1-3 A 1 2
B 1 2
C 2 2 -
D 1 2
E 1 2
F 1 1 -
실시예 1-4 A 1 2
B 1 3
C 1 2
D 1 1 -
E 1 2
F 1 2
실시예 1-5 A 1 2
B 2 3
C 0 2
D 1 2
E 1 2
F 2 3
실시예 1-6 A 1 3
B 1 3
C 0 2
D 1 3
E 1 3
F 1 2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아래와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세안제 적용 3주 후 토끼 귀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비교예 1-1 A 2 2 -
B 2 2 -
C 2 3
D 2 2 -
E 2 2 -
F 1 1 -
비교예 1-2 A 2 2 -
B 2 2 -
C 2 2 -
D 2 2 -
E 3 3 -
F 2 2 -
비교예 1-3 A 1 3
B 0 2
C 1 2
D 1 3
E 1 2
F 0 3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아래와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세안제 적용 3주 후 면포의 면적/수 비율
세안제 실시예 비교예
1-1 1-2 1-3 1-4 1-5 1-6 1-1 1-2 1-3
투여군면포면적/수 0.09±0.02 0.08±0.02 0.08±0.02 0.08±0.02 0.06±0.01 0.04±0.01 0.16±0.05 0.18±0.04 0.03±0.01
대조군면포면적/수 0.18±0.02 0.17±0.03 0.18±0.02 0.19±0.03 0.19±0.04 0.17±0.02 0.19±0.07 0.18±0.04 0.17±0.01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세안제 적용 3주 후 면포 면적/수의 상대감소율
세안제 실시예 비교예
1-1 1-2 1-3 1-4 1-5 1-6 1-1 1-2 1-3
면적/수 감소율 50.0% 52.9% 56.5% 57.9% 68.4% 76.5% 15.8% 0.0% 82.4%
* 면포 면적/수 상대감소율 = (A-B)/A×100
A: 대조군의 면포면적/수
B: 치료군의 면포면적/수
상기의 실험결과(표 5a, 5b, 5c 및 5d)를 보면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세안제(투여군)는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세안제(대조군)에 비하여 탁월한 면포용해효과(면포 크기/수 감소율)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자세히 고찰하면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안제의 경우 고삼 추출물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 첨가한 경우는 면포 용해효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10 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면포용해효과는 우수하지만 작업성 및 안정성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에 따른 세안제는 추출물의 함량이 0.005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면포용해작용과 작업성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및 효능실험
비누의 제조
다음 표 6에 제시된 조성비율로 비누 베이스(수분 및 각종 첨가제 포함)와 고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고삼 추출물은 일반 비누 뿐만아니라 통상의 비누 제조방법에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업성이란 추출물을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할 때의 작업용이성(추출물의 제품 내에서의 용해성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2-1 2-2 2-3 2-4 2-5 2-6 2-1 2-2 2-3
1. 비누 베이스(수분 13% 포함) 99.995 99.99 99.90 99.00 95.00 90.00 99.999 100.00 85.00
2. 고삼 추출물 0.005 0.01 0.10 1.00 5.00 10.00 0.001 - 15.00
제품의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면포 용해효과 평가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서 실시예 2-1, 2-2, 2-3, 2-4, 2-5, 2-6, 비교예 2-1, 2-2 및 2-3의 비누를 투여군(토끼의 오른쪽 귀에 적용)으로 비교예 1-2의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누를 대조군(토끼의 왼쪽 귀에 적용)으로 사용하여 토끼 귀에 유발된 면포에 대한 면포용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군당 6마리(A, B, C, D, E, F)의 건강한 토끼를 사용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토끼 귀에 면포를 유발한 후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를 오른쪽 귀에, 함유하지 않은 비누는 왼쪽 귀에 매일 한 번씩 0.5 g을 고르게 도포하여 물로 충분히 씻어내는 방법으로 3주간 실험한 후 토끼를 안락사시킨 후 귀를 잘라내어 귀의 외피를 떼어내고 현미경으로 면포의 상태를 평가하는 홀 마운트 방법으로 측정하여 면포 면적/수 감소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a, 7b, 7c 및 7d에 제시한다.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비누 적용 3주 후 토끼 귀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실시예 2-1 A 2 2 -
B 2 3
C 1 3
D 2 2 -
E 2 2 -
F 1 2
실시예 2-2 A 1 2
B 1 3
C 2 2 -
D 2 2 -
E 2 2 -
F 2 3
실시예 2-3 A 1 2
B 2 2 -
C 1 2
D 1 2
E 1 2
F 2 2 -
실시예 2-4 A 1 3
B 1 2
C 1 2
D 2 2 -
E 1 3
F 1 3
실시예 2-5 A 1 2
B 1 2
C 1 2
D 1 2
E 1 2
F 2 2 -
실시예 2-6 A 1 3
B 1 2
C 1 2
D 1 2
E 1 3
F 1 3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아래와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비누 적용 3주 후 토끼 귀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비교예 2-1 A 2 2 -
B 2 3
C 3 3 -
D 2 2 -
E 2 2 -
F 2 2 -
비교예 2-2 A 3 3 -
B 3 3 -
C 2 2 -
D 2 2 -
E 2 2 -
F 2 2 -
비교예 2-3 A 1 2
B 0 2
C 1 2
D 1 3
E 1 2
F 0 2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아래와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비누 적용 3주 후 면포의 면적/수 비율
비누 실시예 비교예
2-1 2-2 2-3 2-4 2-5 2-6 2-1 2-2 2-3
투여군면포면적/수 0.08±0.02 0.08±0.02 0.07±0.03 0.07±0.02 0.06±0.01 0.04±0.01 0.15±0.05 0.18±0.03 0.03±0.01
대조군면포면적/수 0.16±0.02 0.16±0.03 0.15±0.05 0.16±0.04 0.16±0.05 0.16±0.03 0.19±0.07 0.18±0.04 0.17±0.05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비누 적용 3주 후 면포 면적/수의 상대감소율
비누 실시예 비교예
2-1 2-2 2-3 2-4 2-5 2-6 2-1 2-2 2-3
면적/수 감소율 50.0% 50.0% 53.3% 56.3% 62.5% 75.0% 21.1% 0.0% 82.4%
* 면포 면적/수 상대감소율 = (A-B)/A×100
A: 대조군의 면포면적/수
B: 치료군의 면포면적/수
상기의 실험결과(표 7a, 7b, 7c 및 7d)를 보면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투여군)는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누(대조군)에 비하여 탁월한 면포용해효과(면포 크기/수 감소율)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자세히 고찰하면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의 경우 고삼 추출물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 첨가한 경우는 면포 용해효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10 중량% 초과 경우에는 면포 용해효과는 우수하지만 작업성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는 추출물의 함량이 0.005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면포 용해작용과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3>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조성물의 제조 및 효능실험
크림 조성물의 제조
다음 표 8에 제시된 조성비율로 크림 베이스인 유성 성분, 수성 성분,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물(수분 포함)에 고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혼합기에서 잘 유화시키고 탈기, 여과, 냉각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적은 양의 유성 성분이 존재하도록 처방은 수중유형(O/W)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의 고삼 추출물은 폼 클렌싱, 로숀,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품에 편리하게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작업성 및 안정성이란 추출물을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할 때의 작업용이성(추출물의 제품 내에서의 용해성 등) 및 제조 후의 상안정성(상분리의 유무)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3-1 3-2 3-3 3-4 3-5 3-6 3-1 3-2 3-3
1.스테아린산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8.00
2.스테아릴알코올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3.스테아린산부틸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4.프로필렌글리콜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6.수산화칼륨 0.4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7.고삼 추출물 0.005 0.01 1.00 5.00 7.00 10.00 0.001 - 15.00
8.정제수 74.595 74.59 73.60 69.60 67.60 64.60 74.599 74.60 59.60
제품의 작업성, 안정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면포 용해효과 평가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서 실시예 3-1, 3-2, 3-3, 3-4, 3-5, 3-6, 비교예 3-1, 3-2 및 3-3의 크림을 투여군(토끼의 오른쪽 귀에 적용)으로 비교예 1-2의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대조군(토끼의 왼쪽 귀에 적용)으로 사용하여 토끼 귀에 유발된 면포에 대한 면포 용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군당 6마리(A, B, C, D, E, F)의 건강한 토끼를 이용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토끼 귀에 면포를 유발한 후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오른쪽 귀에,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왼쪽 귀에 매일 한 번씩 0.5 g을 고르게 도포하여 물로 충분히 씻어내는 방법으로 3주간 실험한 후 토끼를 안락사시킨 후 귀를 잘라내고 귀의 외피를 떼어내고 현미경으로 면포의 상태를 평가하는 홀 마운트 방법으로 측정하여 면포 면적/수 감소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a, 9b, 9c 및 9d에 제시한다.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크림 적용 3주 후 토끼 귀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실시예 3-1 A 2 3
B 2 2 -
C 1 3
D 2 2 -
E 2 2 -
F 1 2
실시예 3-2 A 2 2 -
B 1 2
C 2 3
D 2 2 -
E 2 2 -
F 2 3
실시예 3-3 A 1 2
B 2 2 -
C 1 2
D 1 1 -
E 1 2
F 2 2 -
실시예 3-4 A 1 3
B 1 1 -
C 1 2
D 2 2 -
E 1 3
F 1 2
실시예 3-5 A 1 2
B 2 3
C 1 2
D 1 2
E 1 2
F 2 2 -
실시예 3-6 A 1 3
B 1 3
C 1 2
D 0 2
E 1 2
F 1 2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아래와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크림 적용 3주 후 토끼 귀 면포의 홀 마운트 관찰
그룹 처리(오른쪽 귀) 대조군(왼쪽 귀) 호전여부
등급 등급
비교예 3-1 A 3 3 -
B 2 2 -
C 2 3
D 2 2 -
E 2 2 -
F 2 2 -
비교예 3-2 A 2 2 -
B 3 3 -
C 2 2 -
D 2 2 -
E 2 2 -
F 2 2 -
비교예 3-3 A 1 3
B 0 2
C 1 2
D 1 2
E 1 3
F 0 2
* 등급의 값은 면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아래와 같다.
0: 면포가 관찰되지 않음(None)
1: 면포가 작게 관찰됨(Slight)
2: 면포가 중간정도 크기임(Moderate)
3: 면포가 발달되어 있음(Significant)
* 호전여부; ○: 면포의 호전, -: 면포 호전 안됨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크림 적용 3주 후 면포의 면적/수 비율
크림 실시예 비교예
3-1 3-2 3-3 3-4 3-5 3-6 3-1 3-2 3-3
투여군면포면적/수 0.09±0.02 0.08±0.02 0.07±0.03 0.07±0.02 0.05±0.01 0.04±0.01 0.15±0.04 0.16±0.02 0.03±0.01
대조군면포면적/수 0.18±0.02 0.17±0.03 0.16±0.03 0.17±0.04 0.17±0.03 0.17±0.03 0.18±0.04 0.16±0.02 0.19±0.05
실시예 6종 및 비교예 3종의 크림 적용 3주 후 면포 면적/수의 상대감소율
크림 실시예 비교예
3-1 3-2 3-3 3-4 3-5 3-6 3-1 3-2 3-3
면적/수 감소율 50.0% 52.9% 56.3% 58.8% 70.6% 76.5% 16.7% 0.0% 84.2%
* 면포 면적/수 상대감소율 = (A-B)/A×100
A: 대조군의 면포면적/수
B: 치료군의 면포면적/수
상기의 실험결과(표 9a, 9b, 9c 및 9d)를 보면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투여군)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크림(대조군)에 비하여 탁월한 면포 용해효과(면포 크기/수 감소율)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자세히 고찰하면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경우 고삼 추출물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 첨가한 경우는 면포 용해효과 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10 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면포 용해효과는 우수하지만 작업성 및 안정성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은 추출물의 함량이 0.005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면포 용해작용과 작업성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라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안제, 비누 및 크림 조성물은 면포 용해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Claims (7)

  1. 고삼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삼 추출물의 함량이 건조 중량으로 0.005 내지 10 중량%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삼 추출물의 건조분말 중 면포 용해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으로서 플라보노이드 0.005 내지 11.3 중량% 또는 알카로이드 0.05 내지 12.0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삼 추출물이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단일 혹은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고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성물이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제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성물이 피부각질 용해, 피부과각화 예방 및 치료, 주름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진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성물이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인 조성물.
KR1019970071946A 1997-12-22 1997-12-22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9990052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946A KR19990052470A (ko) 1997-12-22 1997-12-22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946A KR19990052470A (ko) 1997-12-22 1997-12-22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470A true KR19990052470A (ko) 1999-07-05

Family

ID=6609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946A KR19990052470A (ko) 1997-12-22 1997-12-22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24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9B1 (ko) * 2005-04-21 2007-04-3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330A (ja) * 1991-07-03 1993-01-26 Fujii Kk にきび治療薬
JPH06279256A (ja) * 1993-03-30 1994-10-04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外用剤
KR100311199B1 (ko) * 1996-07-12 2001-12-15 성재갑 5알파-리덕타아제의활성억제작용과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항균작용을갖는조성물
KR101092997B1 (ko) * 2009-12-14 2011-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네거티브 내부전압 생성장치
KR101156617B1 (ko) * 2005-10-18 2012-06-14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330A (ja) * 1991-07-03 1993-01-26 Fujii Kk にきび治療薬
JPH06279256A (ja) * 1993-03-30 1994-10-04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外用剤
KR100311199B1 (ko) * 1996-07-12 2001-12-15 성재갑 5알파-리덕타아제의활성억제작용과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항균작용을갖는조성물
KR101156617B1 (ko) * 2005-10-18 2012-06-14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KR101092997B1 (ko) * 2009-12-14 2011-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네거티브 내부전압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9B1 (ko) * 2005-04-21 2007-04-3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67673A (ja) 5α−レダクターゼの活性抑制作用とプロピオニバクテリウムアクネスに抗菌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08019180A (ja) リパーゼ阻害剤、角栓形成抑制剤、毛穴目立ち抑制剤およびニキビ抑制剤
US8093293B2 (en)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KR20040015917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3611128B2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S61238719A (ja) 頭髪化粧料
JP2006257056A (ja)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8088075A (ja) プロフィラグリ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表皮/角層正常化用皮膚外用剤、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方法、及び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方法
JPH11322630A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JPH0377809A (ja) 養毛料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Z71194A3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JP2002047194A (ja) 微生物性リパーゼ阻害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ニキビ用皮膚外用剤並びにフケ用皮膚外用剤
KR100258612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JPH04124138A (ja) 皮膚外用剤
JPS6293217A (ja) 養毛料
KR19990052470A (ko)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7031B1 (ko) 여드름예방및치료용조성물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0154648B1 (ko) 양모제 조성물
KR19990055304A (ko) 정향을 함유하는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조성물
KR100909729B1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5818B1 (ko) 고산홍경천 추출물 함유 두발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