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612B1 -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612B1
KR100258612B1 KR1019970073454A KR19970073454A KR100258612B1 KR 100258612 B1 KR100258612 B1 KR 100258612B1 KR 1019970073454 A KR1019970073454 A KR 1019970073454A KR 19970073454 A KR19970073454 A KR 19970073454A KR 100258612 B1 KR100258612 B1 KR 10025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pack
skin
extract
gardeni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760A (ko
Inventor
정재수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7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6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발병의 주원인인 피지의 과잉분비를 근본적으로 억제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원인균에 대한 살균작용이 우수한 고삼(Sophora flavescens), 강활(Angelica Korean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치자(Gardenia jasminoides) 및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추출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팩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본 발명은 여드름 발명의 주원인인 피지의 과잉분비를 근본적으로 억제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원인균에 대한 살균작용이 우수한 고삼(Sophora flavescens), 강활(Angelica Korean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치자(Gardenia jasminoides) 및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추출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팩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정식으로는 심상성좌창이라고 한다. 환자의 70-80%는 11-25세의 연령층에 집중되고, 경미한 여드름은 피부병이라기 보다 성장기의 피부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증의 여드름은 보기에도 나쁘고, 치유후에도 흔적을 남기는 경우가 있으며, 또 사람에 따라서는 여드름이 생긴 것 때문에 정신적으로 우울해지고 정상생활과 사회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미용적인 견지에서도 빨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정상피부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여드름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여드름이 생기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즉 여드름의 원인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 몇몇의 요인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 그 주된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과잉으로 분비된 피지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피지선의 비대, 즉 피지분비의 과잉으로 피지선은 끊임없이 피지를 생산하고, 피지선 배출관으로부터 모루듀(毛漏斗)를 통하여 피부표면에 피지를 분비한다. 테스토스테론은 피지를 촉진시키며, 지질의 생합성 분비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피지선은 제2차 성장시기(10-16세)에 급속히 발달한다. 특히 안면, 등, 가슴 등의 부위에서 피지선이 크게 발달하고, 분비기능이 활발하기 때문에 피지의 생산량과 피지의 분비능력의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시기에 분비가 원활하지 않게 되고, 모낭내에 피지가 남아 발진의 원인도 된다. 또, 성인 남성은 통상 정소로부터 분비된 테스토스테론의 활동으로 피지의 분비가 일정하게 되지만, 여성의 경우는 배란후 일정기간 동안 항체 호르몬의 증가가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 생리후에 여드름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둘째는 모낭공의 각화항진, 즉 과각화에 의한 모공의 폐쇄 때문으로 설명된다. 모낭의 모루두에서는 각화항진이 일어나기 쉽고, 두꺼워진 각질층이 모낭내에 박리하여 모루두가 막혀 이것이 면포를 형성하게 되고, 모낭공과 피지선의 개구부가 각질에서 막히던가, 좁아지면 정상적인 피지의 배출이 억제되고 모루두에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되며, 그 결과 여드름 간균이 증가하게 되고 그 생산 물질이 모루두의 상피세포를 자극하여 각화가 더욱 항진된다. 피지선과 모낭은 피지가 막아서 발진을 일으키기 쉽다. 각질층은 물리적 자극과 자외선에 의해서도 각화가 촉진되어 비후되기 때문에 바다나 산에서 강도 높은 빛을 받은 후에 여드름이 급속히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또, 세안을 게을리 하거나 피부를 불결하게 해도 같은 양식으로 각질이 모낭공을 막아 발진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셋째는 세균 즉,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 이하 피.아크네스라 함)의 영향으로서 피지선의 비대증식과 모낭공의 각화항진 등이 원인이 되어 피지가 남게 되면 모낭의 모루두에 남은 피부상재균인 여드름 간균과 피부 포도상구균이 증가하며 이러한 균이 분비하는 효소 중 리파아제는 피지를 구성하고 있는 피질성분중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여 유리지방산에 변화를 가져온다. 실제로 여드름이 있는 피부와 정상피부의 피부표면의 지질성분을 비교하면 여드름이 생길 수 있는 피부는 유리지방산이 많고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적다. 유리지방산은 피부상피에 작용하여 각종의 효소를 생산하고 모낭벽을 파괴하여 모낭 주위의 결합조직에 염증을 유발한다. 이상 세 가지가 여드름을 생성하는 큰 요인이지만 피지선의 비대증식, 모낭공의 각화항진, 세균의 영향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여드름을 악화시키고, 각자가 단독으로 여드름을 만들어 낸다. 그 외에 여드름이 생기기 쉬운 체질인 유전적 요인, 음식물에 의한 영향, 피로와 스트레스도 여드름에 관계한다. 여드름의 생성은 피지선의 활성화와 각화항진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모낭공이 좁아져 피지의 배출이 방해를 받아 피지가 모낭공에 차게되면 면포라고 하는 여드름의 초발피진이 된다. 그 후 면포의 벽조직이 파괴되면 내용물이 주위의 조직에 작용하여 피지선 개구부 주변에 염증을 일으키며 이런 상태를 홍색구진이라 한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모낭내에 찬 각화물질과 피지가 모낭벽부터 진피내로 들어가 농포를 만든다. 또 세균이 진피내에 투입되면 백혈구가 집결되고 고름이 형성된다. 따라서 진피내에 농이 남게 되어 커진 종양상태가 농종으로 되며 손을 대면 통증을 수반한다. 여드름의 발병원인은 아직도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못하며 단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세 가지의 중요한 원인이 여드름 발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보고를 통하여 확인이 되고 있다.
한편, 여드름 치료의 주 목적은 병변을 깨끗이 해주며, 흉터를 예방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데 있으며, 여드름의 경우 피지의 과잉생성, 모공의 과각화 및 혐기성화농균인 피. 아크네스의 작용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인자로 발병되는 질환으로 사춘기의 시기에는 혈액 중에는 많은 양의 남성호르몬이 존재하며, 이들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은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해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고 이것이 피지선의 세포내에서 피지를 생성하는 주원인 물질로 작용하여 피지생성을 촉진하게 된다. 현재 이러한 여드름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려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왔고(참조 : Cations Inhibit Specifically Type I 5α-reductase Found in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04, 775-778, 1995), 이와 관련된 몇몇 물질들이 알려지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여드름의 경우 피.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물질로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을 사용할 경우 프로피오니박테리아 내성균의 출현 또는 광과민 작용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드름 치료제로서 살리실산이나 레티노인산 제제는 케라틴의 제거를 주 효능으로 하며, 벤조일퍼옥사이드 제제나 국소 항생제류 등은 화농균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여드름을 치료한다. 그러나, 이들 제제는 부작용이 많고 효능면에서도 여드름을 완치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리실산 제제는 피부잘적 및 홍반을 일으킬 수 있으며 화농성 피부염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레티노인산 제제는 개인에 따라 발적, 부종 또는 기피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연용할 경우 일시적인 과소색소침착증이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벤조일 퍼옥사이드 제제에서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및 상처를 남기는 심한 홍반이 생길 수 있으며, 갑작스런 피부건조 및 박리현상을 경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기타 국소 항생제류의 경우에는 항생제 과민성 환자에 적용할 수 없는 한계성이 있으며,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안정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참조 : 메디칼인덱스, 제5판, 1988, 메디칼인덱스사 발행). 여드름은 거의 모든 사람이 사춘기를 거치면서 한 번씩 경험하게 되는 피부질환으로서 피부 내에는 비활성 스테로이드 전구물질을 활성 안드로젠으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효소가 존재하며, 5 알파-리덕타아제는 그 중의 하나로서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피지선에서 피지가 과잉분비됨으로써 유발되는 경우가 많고, 혐기성화농균 등에 의해 악화되며, 때로는 약물성, 유전성 등의 원인에 의해서도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개발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제제로서는 크림상의 연고나 화장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살리실산이나 레티노인산 등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2차적인 상처를 남길 수 있고 환자에 따라서 그 적용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회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 사용기회가 증가함으로써 피부에 장시간 도포를 필요로 하는 화장품이나 연고의 경우 일시적인 치유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피부에 장시간 도포함에 따라 원활한 피지의 분비를 방해하고,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연고 도포부분에 부착됨으로써 피부자극, 피부오염 및 피부모공폐쇄의 정도를 심화시켜 피지생성과 피지배출의 부조화를 초래하게 되어 모낭내에 남아 있는 피지가 만성염증성 질환인 구진, 농포, 낭포, 결절로 발전하게 되며, 심하면 반흔을 일으키게 되고 연고 사용에 의한 모공확대로 피부에 2차적인 후유증이 생기게 되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제제는 다르지만 세정시 여드름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비누, 세안제 등의 세정제용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제의 경우 세정시 유효성분이 피부에 충분히 작용하기 전에 씻어냄으로써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아주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남성호르몬 관련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인 활성 남성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효소인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하고, 여드름 악화의 주원인 균으로 알려진 피. 아크네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작용을 가지며, 장시간 사용할 때 안정성이 높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피부에 일정시간 도포한 다음 유효성분이 피부에 충분하게 작용한 후 씻어내거나 떼어내는 제제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추출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팩제제에 적용하면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하고, 여드름 악화의 주원인 균으로 알려진 피.아크네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작용을 가짐과 동시에 연고 및 세정제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과 단점들을 월등히 개선할 수 있음을 밝혀 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추출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에 관한 일반적인 성상, 응용 및 확인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고삼은 학명으로는 스포라 플라비센스(Sophora Flavescens)이며, 뿌리를 생약으로 사용한다. 고삼은 원추형으로서 길이 10 내지 30㎝, 지름 2 내지 ㎝이다. 성분은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며, 해열, 거습, 소염, 이뇨 효과가 있다. 강활은 학명으로는 안젤리카 코리아나(Angelica Koreana)이며, 생약명은 안젤리카 코리아니 라딕스(Angelica koreana radix)로 뿌리 및 뿌리줄기를 생약으로 사용한다. 강활은 다년생으로서 뿌리줄기는 굵고 원주상이다. 강활의 성분으로는 코레아닌, 안젤리코레아놀, 이소임페라토닌 등이다. 강활은 진경, 진통, 신경통 및 발한에 효과가 있다.
적작약은 학명으로는 파에오니아 락티플로라(Paeonia lactiflora)이며, 다년생으로 뿌리를 자르면 붉은 빛을 띠기 때문에 적작약이라고 한다. 뿌리에는 파에오니플로린, 파에오놀, 파에오닌, 안식향산, 정유 성분, 탄닌, 베타시스톨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약효로는 위, 장의 평활근 및 자궁평활근에 억제작용이 있고, 위액분비 억제, 지한, 이뇨작용 등이 있으며, 항균작용이 크다고 보고되었다.
치자는 학명으로는 가르데니아 자스미노이데스(Gardenia jasminoides)이며, 사용부위는 치자나무의 열매이다. 보통 6개 내외의 명백한 선이 과실의 세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성분으로는 색소로 알파-크로신 및 이리도이드 글리코사이드류와 게니핀 및 가르데노사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크로신 확인반응은 치자가루나 파편에 진한 황산 1방울을 가하면 즉시 심람색이 되고 자색으로 되었다가 마지막에는 적갈색이 된다. 이것은 황달, 담도염, 타박, 충혈 및 토혈에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호장근은 학명으로는 폴리고눔 쿠스피다툼(Polygonum cuspidatum)이며, 다년생으로 뿌리줄기를 생약으로 사용하며 뿌리와 뿌리줄기에는 유리 안트로퀴논체와 아트라퀴논 배당체(뿌리에는 하이드록시아트라퀴논이 0.1 내지 0.5% 함유됨)를 함유하는데, 주성분은 에모딘, 시피온 및 크리소파놀 등이다. 약효로는 항균작용이 우수하며, 완화, 이뇨 및 진통작용이 있다. 또한 타박상이나 화상 등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삼, 강활, 적작양, 치자 및 호장근의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들의 뿌리, 줄기, 잎 및 꽃을 정제하고 분말화하여 추출용매로서 각각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약 1-10배량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정제수,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5-10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각각의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얻는다.
이들을 사용하여 관련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인 활성남성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효소인 5 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억제력, 여드름 악화의 주 원인 균으로 알려진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 및 토끼를 이요한 면포감소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호장근추출물의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평가]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평가 실험에 사용된 5 알파-리턱타아제는 쥐[Sprague-Dawley 성숙 수컷쥐(8-10주령)]의 간에서 얻었으며, 단백질 정량을 통하여 일정량의 단백질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효소반응용액을 준비하였다. 5 알파-리더타아제의 반응기질로는 방사선표지된 테스토스테론(3H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였으며, 효소반응용액: 단백질 현탁액: 각 한방생약추출물=70:70:10의 비율로 2분간 항온조에서 반응시킨후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전개용매에 녹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에 전개하고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을 덴시토미터를 이용, 정량분석하여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전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대조군(각 한방생약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5 알파-리덕타아제의 억제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다.
억제율(%)=[(A-B/A]×100
A : 한방생약추출물 미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B : 한방생약추출물 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상기의 억제율 계산방법에 따른 평가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kpo00001
표 1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에 사용된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호장근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5 알파-리더타아제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호장근추출물의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 평가]
전술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각각의 한방생약추출물의 살균력 실험은 액체배지에서 배양시킨 피.아크네스에 일정농도의 상기 추출물을 가하여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한 후 피.아크네스(ATCC. 6919)의 발육을 억제하는 초소억제농도(MIC)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2
표 2의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 평가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각 추출물에 따라 피.아크네스의 초소억제농도(MIC)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0.001% 정도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살균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0.003% 내지 0.005% 이상에서는 피.아크네스(ATCC.6919)의 균은 완전히 살균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한방생약추출물이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피.아크네스에 대해 매우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끼 귀에 유발시킨 면포에 대한 본 발명 추출물들의 면포감소효과실험]
면포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한방생약인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 추출물의 건조엑기스를 각각 에탄올에 용해시켜 1% 용액이 되도록 한 후 토끼 임상실험용 실험물질을 제조하였다. 실험동물은 비교할 수 있는 병리 해부학적 자료가 많이 있는 토끼(뉴질랜드산 흰토끼(New Zealand White))이며, 4개월령, 전, 후이고 2.0-3.0㎏의 건강한 수컷을 사용하였다. 또한 동물 입수후 1주일간 순화기간을 거친후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의 구성과 투여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0마리의 토끼에 면포유발 물질인 IPM(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을 토끼의 양쪽 귀에 매일 1회 0.5㎖씩을 10일간 도포하여 면포를 유발시켰으며, 이중 육안으로 관하여 전형적인 면포가 관찰되는 30마리를 골라 면포의 진행정도를 고려하여 각 군당 6마리가 되도록 5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면포감소효과 실험은 유발된 면포가 생성된 토끼의 오른쪽 귀에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만든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 추출물의 실험물질을 매일 1회 1.5㎖씩 투여한 다음 면봉으로 10 내지 15회 정도 고르게 도포하였으며, 왼쪽 귀에는 기제로 사용한 에탄올을 1.5㎖씩 투여한 다음 면봉으로 10 내지 15회 정도 고르게 도포하하여 오른쪽 귀와 비교하였다. 면포 치유기간은 3주동안 진행되었다. 실험약물을 투여하면서 매일 육안적으로 면포의 병변진행 정도를 등급화하여 실험약물의 면포감소효과를 일정한 평가척도에 따라 평가하고 실험물질 적용 3주후 각 실험군을 안락사시키고 각 동물의 양쪽 귀를 잘라낸 후 약 2.5㎝×1.5㎝ 정도로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기저부(외이도의 바깥부위)를 잘라낸 조직을 60℃의 물에 1분간 담구었다가 꺼내어 표피만을 박리한 후 슬라이드글라스에 안쪽면이 위로 올라오도록 잘 펴 올린 각각의 홀 마운트(Whole mount)조직을 건조한 다음 입체 현미경하에서 10배로 관찰하고,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홀 마운트한 조직의 면포의 수와 면적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면포면적/수의 상대적 감소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면포면적/수의 상대적 감소율(%)=[(C-D)/C]×100
상기에서,
C는 대조군의 면포면적/수이고,
D는 치료군의 면포면적/수이다.
상기의 표 3 및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토끼를 이용하여 여드름에 대한 면포감소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성분인 한방생약추출물의 면포감소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얻은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팩제제는 피부에 일정시간 도포 후 유효성분이 피부에 침투하여 충분히 작용후 씻어내거나 떼어내는 팩제제로서 얼굴, 목, 어깨, 팔, 다리 등의 부분용 외에 전신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제제의 주 기능으로서는 피부각질층은 팩제제가 부여하는 수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와 도포된 팩의 폐쇄효과에 의해 피하에서 올라오는 수분으로 피부수분이 유지되어 피부가 유연해 지고, 팩제제의 흡착작용과 동시에 건조, 박리시에 피부표면 및 모공 깊숙한 곳의 노폐물과 같은 오염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우수한 청정작용이 있으며, 피막제와 분말의 건조과정에서는 피부에 적절한 긴장을 주고, 건조 후 일시적으로 피부온도를 높여 혈행을 원활하게 하며, 오래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는 강력한 작용이 있다.
한편, 팩제제의 종류를 살펴보면, 타입별로는 피부도포후 씻어내는 린스오프타입, 피부에 도포후 떼어내는 필오프타입, 주성분을 석고로 하는 고화후 박리타입, 부직포를 이요한 도포타입으로 구분되며, 제제로서는 젤리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크림상, 점토상, 에어졸, 부직포젤, 부직포함침 등의 제제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의 여러 가지 팩제제들을 통상 가장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실험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한 타입은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느 페이스트상의 필오프타입과 머드팩형태의 린스오프타입으로 제조시 주의할 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페이스트상 필오프타입에서는 제조공정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이 피막제의 분산용해와 분말의 분산이다. 피막제는 용해에 시간이 걸리는데, 덩어리 상태로 남지 않도록 균일하게 용해시켜야 하고, 분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2차 응결에 의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분산이 필요하다. 또한, 머드팩 형태의 씻어내는 타입은 방부제와 계면활성제의 용해시 가열을 필요로 하는데 그 외에는 기본적으로 실온공정으로 한다. 가장 주의를 요하는 것은 점토광물의 분말상과 분말류의 수상과의 균일한 혼합이다. 이 두 가지를 충분히 해주지 않으며 제품외관은 덩어리가 지고 거칠거칠해져 매끄러움이 결여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상부에서 응결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은 5 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하고, 피.아크네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 및 면포감소효과를 갖는 것으로, 일반적인 팩제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추출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0.001 중량%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3중량% 내지 20.0 중량%를 함유한다. 사용량이 0.003중량% 미만인 경우는 여드름 드의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가 미약하며, 20.0중량% 이상인 경우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는 탁월하나 제제의 특성상 물성, 안정성 및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제제는 일반적인 팩제제 조성물에 상기의 본 발명의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 추출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팩제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 또는 유황, 살리실산, 레티노인산, 레솔신 등의 피부 각질제 거제,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등의 피지억제제, 염화번젤코니움, 염화벤젠토니움, 할로카반,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페놀, 글리칠리친산 등의 살균 및 항염증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달리 한정이 없는 한 성분 함량은 단위중량%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5a 내지 5d 조성의 팩제제 조성물에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팩제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팩제제의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제조한 팩제제의 5알파-리덕타아제에 대한 활성 억제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5%의 실시예 및 비교예 팩제제 수용액을 실험액으로 제조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억제율(%) = [(A-B/A] ×100
상기식에서,
A=각 한방생약추출물 미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이고,
B=각 한방생약추출물 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전환율이다.
결과를 표 6a, b,c 및 d에 나타내었으며, 5알파-리덕타아제에 대한 활성억제력은 80%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활성억제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상기 표 6a,b,c 및 d의 평가결과에서 볼 때, 각각의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팩제제는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에 비하여 탁월한 효과의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력이 있다. 한방생약추출물의 함량이 0.003 중량%에서 0.1 중량%까지 증가할수록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력이 높아졌으나, 0.1 중량%에서 20.0 중량% 까지는 약간의 유의차는 있으나 거의 유사한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생약성분을 함유한 팩제제는 일반적인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제에 사용되고 있는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의 피부각질 연화제, 에스트론 등의 피지억제제, 염화벤잘코니움 등의 살균 및 항염증제를 함유한 팩제제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력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이외에 분말상, 점토상, 에어졸, 부직포젤, 부직포함침 등의 제제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팩제제의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제조한 팩제제의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패트리디쉬(박테리아 배양용 접시)에 피.아크네스를 접종한 후, 3일간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하여 피.아크네스의 집락수(N1)를 측정하고, 5%의 실시예 및 비교예 팩제제 수용액을 패트리디쉬 위에 떨어뜨려 3일 이상 혐기성 배양조에서 배양시킨 후 집락수(N2)를 측정하였다.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율(%) = [(초기배양 피.아크네스수(N1)-팩제제 첨가후 피.아크네스수(N2)/초기배양 피.아크네스수(N1)]×100
결과를 표 7a,b,c 및 d 에 나타내었으며,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은 90%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상기 표 7a,b,c 및 d의 평가결과에서 볼 때, 각각의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팩제제는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에 비하여 피.아크네스에 대한 탁월한 효과의 살균력이 있고, 한방생약추출물의 함량이 0.003 중량%에서 0.1중량%까지 증가할수록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이 높아졌으나, 0.1 중량%에서 20.0 중량%까지는 약간의 유의차는 있으나 거의 유사한 살균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생약성분을 함유한 팩제제는 일반적인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제에 사용되고 있는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의 피부각질제거제, 에스트론 등의 피지억제제, 염화벤잘코니움 등의 살균 및 항염증제를 함유한 팩제제에 비해서도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이 월등히 우수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이외에 분말상, 점토상, 에어졸, 부직포젤, 부직포함침 등의 제제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팩제제의 면포감소효과 실험]
본 발명의 팩제제의 면포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한방생약인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한 토끼 임상실험용 팩제제 실험물질을 제조하였다. 실험동물로는 4개월령 전,후 2.0 내지 3.0㎏의 건강한 수컷 뉴질랜드산 흰토끼를 사용하였다. 또한, 동물입수후 1주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의 구성과 실험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토끼에 면포유발물질인 IPM을 토끼의 양쪽 귀에 매일 1회 0.5㎖씩을 10일간 도포하여 면포를 유발시켰으며, 이중 육안으로 관찰하여 전형적인 면포가 관찰되는 토끼를 골라 면포의 진행정도를 고려하여 실험하였다. 면포감소효과 실험은 유발된 면포가 생성된 토끼의 오른쪽 귀에는 전술의 방법으로 만든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팩제제를, 왼쪽 귀에는 한방생약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를 매일 1회 3g씩 사용하여 면봉으로 고르게 도포하고, 충분히 건조한 다음 씻어내거나 떼어내는 방법으로 면포감소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면포치유기간은 3주동안 진행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팩제제와 세안제 및 크림상 제제의 면포감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방생약추출물을 각 제제에 대하여 동일하게 함침시키고, 각 제제의 일반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본 발명의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한 팩제제(실시예 11), 세안제(실시예 17), 크림제(실시예 18)는 토끼의 오른쪽 귀에,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비교예1 내지 3), 세안제(비교예 4), 크림제(비교예 5)는 토끼의 왼쪽 귀에 각각 매일 1회 3g씩 사용하여 면봉으로 도포하여, 팩제제는 도포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씻어내거나 떼어내는 방법으로 하였고, 세안제는 면봉으로 도포후 즉시 씻어내는 방법으로 하였으며, 크림제는 면봉으로 도포하고 24시간 방치후 씻어내고 다시 도포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면포치유기간은 3주동안 진행하였다. 실험제제들을 도포하면서 매일 육안으로 면포의 병변진행 정도를 등급화하여 실험물질의 면포감소효과를 일정한 평가척도에 따라 평가하였고, 실험제제 적용 3주후 각 실험토끼를 안락사시키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홀 마운트한 조직의 면포면적과 수의 비율을 구하여 표 8a,b 및 c에 나타내었고, 상대적 감소율을 아래의 계산방법으로 계산하여 표 9a,b 및 c에 나타내었다.
면포면적/수의 상대적 감소율(%) = [(C-D)/C]×100
상기식에서,
C = 대조군의 면포면적/수(한방생약성분 미함유 제제)이고,
D = 대조군의 면포면적/수(한방생약성분 함유 제제)이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상기 표 8a,b,c 및 표 9a,b,c의 토끼를 이용한 면포감소 실험결과, 본 발명의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한 팩제제는 이들을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면포감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일반적인 크림 또는 연고류의 제제에 사용하는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의 피부각질 제거제, 에스트론 등의 피지억제제, 염화벤잘코니움 등의 살균 및 항염증제를 함유한 팩제제에 비해서도 면포감소효과가 월등히 탁월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한방생약추출물을 동일하게 함유한 팩제제, 세안제 및 크림제에 대한 면포감소 실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팩제제가 사용후 즉시 씻어내는 세안제에 비하여 면포감소효과가 월등히 우수하고, 크림제와는 거의 유사한 면포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크림제의 경우 장시간 도포에 의한 피지 분비 및 배출 불균형에 따른 새로운 면포가 형성되는 부작용이 나타나 일정시간 도포후 씻어내거나 떼어내는 본 발명의 팩제제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이 면포감소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이외에 분말상, 점토상, 에어졸, 부직포젤, 부직포함침 등의 제제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팩제제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품평조사]
상기의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력 평가, 피.아크네스에 대한 살균력 평가 및 토끼를 이용한 면포감소효과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로 5알파-리덕타아제 및 피.아크네스에 의해 발생되는 대적인 피부질환인 여드름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한방생약추출물을 함유한 팩제제와 이를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를 사용하여 품평조사를 실시하였다. 품평대상으로는 얼굴 부위에 여드름이 있는 10대에서 20대 사이의 여성 30명(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피시험자로 선정한 후, 1일 3회, 1개월간 팩제제를 피부에 도포하고 일정시간 건조후 씻어내거나 떼어내도록 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판정방법은 실험 시작전 피시험자의 피부상태, 즉 여드름의 상태에 따라 일정한 등급을 매기고, 팩제제를 사용한 후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 정도를 육안관찰에 의한 면포감소 정도로 확인하였으며, 그 판정 기준은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23
품평결과 표 10의 판정기준으로 피시험자의 여드름에 대한 등급이 3등급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면 효과우수, 1 내지 2의 감소를 나타내면 효과중간, 감소가 나타나지 않으면 효과없음, 시험전의 등급보다 시험후의 등급이 높으면 악화되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상기의 판정기준에 따라 본 발명의 팩제제를 사용하여 품평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품평조사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24
상기 팩제제의 품평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추출물을 함유한 팩제제는 이들을 함유하지 않은 팩제제에 비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매우 탁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추출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0.003 내지 20.0중량% 함유하는 팩제제는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를 강력히 억제하였으며, 여드름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3)

  1.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추출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추출물을 조성물 총양에 대해 0.003 내지 20.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고삼, 강활, 적작약, 치자 및 호장근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 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에 냉침시킨 다음,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시켜 수득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KR1019970073454A 1997-12-24 1997-12-24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25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454A KR100258612B1 (ko) 1997-12-24 1997-12-24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454A KR100258612B1 (ko) 1997-12-24 1997-12-24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760A KR19990053760A (ko) 1999-07-15
KR100258612B1 true KR100258612B1 (ko) 2000-07-01

Family

ID=1952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4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8612B1 (ko) 1997-12-24 1997-12-24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657A (ko) * 2002-07-03 2004-01-13 유경진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3076B1 (ko) * 2008-03-07 2010-09-17 동방에프티엘(주)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009A (ko) * 2000-12-20 2002-06-26 성재갑 피부 가려움 완화 및 억제 세정제 조성물
KR20030073441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웰스킨 탄닌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149545B1 (ko) * 2010-04-23 2012-05-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337415B1 (ko) * 2011-09-19 2013-12-06 최희선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40158593A (ko) 2023-04-27 2024-11-05 주식회사 케이센스 탈취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657A (ko) * 2002-07-03 2004-01-13 유경진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3076B1 (ko) * 2008-03-07 2010-09-17 동방에프티엘(주)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76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7144C (zh) 用于预防和治疗痤疮的局部制剂
CN114028295B (zh) 一种抑菌止痒褪红祛痘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6419963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aper rash using natural products
CN1795926B (zh) 治疗皮肤症状的制药用途
KR100258612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JP3590369B2 (ja) クリプトタンシノンを含むニキビ予防及び治療用化粧料組成物
CA2700335C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combined with liposome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as a sun protector, an anti-acne agent, an epidermal regenerator and a moisturiser
JPS6360910A (ja) 皮膚外用剤
CN109966232A (zh) 一种祛痘祛斑、美白养颜的中药复方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60085231A (ko) 여드름균 항균제 및 그것을 함유한 화장품
KR100467031B1 (ko) 여드름예방및치료용조성물
CN116172942A (zh) 一种祛痘组合物和祛痘洁面乳
KR20080049234A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S6322510A (ja) 皮膚外用剤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7574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코팅된 부직포
CN113081933A (zh) 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327674B1 (ko) 멜라닌성 색소집락의 감소 및 제거를 위한 피부 미화 청결제의 조성물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2069B1 (ko)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부직포 팩
JP4368072B2 (ja) 皮膚外用剤
KR100630240B1 (ko) 여드름에서 폐쇄된 모공을 열어주고 피지분비를 촉진하는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040011B1 (ko) 모낭충 살균제
KR20040056081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6626A (ko) 피부의 국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