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011B1 - 모낭충 살균제 - Google Patents

모낭충 살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011B1
KR101040011B1 KR1020090007738A KR20090007738A KR101040011B1 KR 101040011 B1 KR101040011 B1 KR 101040011B1 KR 1020090007738 A KR1020090007738 A KR 1020090007738A KR 20090007738 A KR20090007738 A KR 20090007738A KR 101040011 B1 KR101040011 B1 KR 10104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air
demodex
skin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484A (ko
Inventor
유형준
Original Assignee
유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준 filed Critical 유형준
Priority to KR102009000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0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0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낭 안이나 피지선 내에 기생하면서, 피부질환을 일으키고 탈모를 야기하는 모낭충을 피부자극이나 발진 등 부작용 없이 사멸할 수 있는 모낭충 살균제 및 그것을 함유한 발모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감초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애엽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의이인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천궁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황금 분말의 에탄올추출물을, 추출전 분말형태의 질량을 기준으로 추출전 전체 분말 질량에 대하여 1-99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낭충, 에탄올, 추출물, 감초, 애엽, 이의인, 천궁, 황금

Description

모낭충 살균제{DEMODEX FOLLICULORUM GERMICIDE}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진 모낭충 살균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낭 안이나 피지선 내에 기생하면서, 피부질환을 일으키고 탈모를 야기하는 모낭충을 피부자극이나 발진 등 부작용 없이 사멸할 수 있는 생약재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여 탈모를 예방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모낭충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커져가는 현실에서 피부 또는 모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피부 또는 모발을 아름답게 하는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피부 또는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 모낭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낭충은 전 세계의 각 인종을 비롯하여 동물에 널리 퍼져서 기생하는 일종의 피부기생충이다. 피부 속 모낭 안에서 살기 때문에 모낭충으로 명명되어졌으며, 1800년대 처음 발견 되었고 그 종류만도 수천 종으로 알려졌으나 인체에는 Demodex folicurum과 Demodex brevis라는 두 종류의 모낭충만 알려졌다. Demodex folicurum은 주로 모낭 안에서 기생하며 몸체가 비교적 길고, Demodex brevis는 주로 얕은 피지선내에서 기생하며 몸체가 비교적 짧다. 성인의 눈꺼풀이나 코 주위, 외이도(外耳道), 머리 등의 피지선(皮脂腺)과 모낭에서 90%이상의 확률로 발견되는 모낭충은 반투명한 유백색을 띄고 있으며, 암수가 따로 존재하고 평균길이는 0.28mm이고 굵기는 사람머리카락의 1/2-2/3정도이다. 계단형 머리와 양쪽에 4개씩 8개의 거칠고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고 긴 꼬리를 갖고 있다. 모낭충의 형태는 각기 서로 다른 특징이 있어서 사람과 동물사이 또는 각각 다른 동물사이에는 전염되지 않지만 사람끼리 또는 같은 동물끼리 피부를 접촉하면 전염되고 계속적으로 기생하게 된다. 모낭충의 생활은 중간숙주 없이 모낭과 피지선내에서 기생하면서 모든 성장이 진행되고, 암수가 구분되어 생식시 대부분 모낭 밖 피부에서 교미한 후 근처 모낭이나 피지선내에 들어가 알을 낳고 번식한다. 암컷은 배 앞쪽에 생식문이 열려 있고, 수컷은 둘째 및 셋째 걷는 다리 사이에 두 갈래로 갈라진 생식기가 있다. 번식력이 아주 강하여 암수가 교미 후 12시간이 지나면 50-60개의 알을 낳고 2주에는 성충이 되며 성충이 된 후 30-60일간 피부 속에 살다가 죽는다. 모낭이나 피지선내에서 집게발로 조직세포를 찔러서 영양분을 흡수하여 성장발육하며 이러한 모든 과정이 모낭과 피지선내에서 이뤄지면서 모낭충의 분비배설물, 사망 잔해 등이 쌓여 서 모공과 피지선을 오염시키고 피부호흡을 방해한다. 빛을 싫어하고 따뜻한 것을 좋아하는 모낭충은 사람이 잠든 밤에 주로 활동하며 이때 성충은 모낭에서 나와 암수가 교미한다. 연령이 높을수록 모낭충의 기생비율이 높고, 지성두피에서 많이 발견되며, 모발의 세정주기가 짧을수록 기생비율이 낮고 성병 및 가족력에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는다.
모낭충에 관한 간행물은 모낭충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수백 편이 발표되고 있으며, 모낭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모낭충이 모발과 피부에서 기생하면서 탈모 뿐 아니라 여드름, 기미, 주근깨, 반점, 모공의 확대 등을 일으키는데 상승 작용을 한다고 밝혀지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여러 논문들을 정리하면 모낭충은 다음과 같이, 여드름, 기미, 주근깨, 피부반점, 모공의 확대, 가려움증, 탈모, 피부노화, 아토피성피부염, 기타 여러 가지 피부의 염증 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모낭충이 피지선을 이동할 때, 모공 속을 출입할 때, 피부 위를 기어 다닐 때 피부는 가려움증을 느끼게 된다. 모낭충의 분비물과 배설물, 죽은 세포와 그 잔해들이 물리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심각한 피부질환과 각화현상을 일으킨다. 모낭충은 진피층에 기생하며 진피층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갉아먹으며 진피층에 얽혀 있는 실핏줄을 파괴하여 피부의 자생력을 악화시킨다.
둘째, 피부에 사용하는 각종 화장품들 속에 들어있는 많은 영양분들이 피부 속으로 흡수되기 전에 오히려 수많은 모낭충의 영양분으로 사용되어 피부의 영양공급을 억제한다. 머릿속에 있는 모낭충보다 얼굴에 있는 모낭충의 덩치가 더 큰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셋째, 머리카락 굵기의 1/2-2/3 정도 되는 모낭충들이 한 개의 모공 속에 7-8마리가 우글거리며 수없이 모공을 출입하게 되면 모공은 늘어나게 되고 피부는 처짐과 동시에 주름이 늘어나고 피부에 탄력이 없어지게 된다.
넷째, 모낭충은 피부에 색소침착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침착은 모공 속에 각종 오염물질이나 화장품 찌꺼기와 수명을 다한 모낭충의 잔해물들이 모공 속에서 썩고 부패하면 피부를 자극하여 멜라닌 색소의 분비를 촉진하고, 진피층에서 색소분해를 방해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
다섯째, 모낭충은 피지선에 기생하며 진피 층의 주요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갉아먹고 세포조직과 모세혈관을 파괴시켜 피부의 조기노화를 촉진한다.
여섯째, 성인 아토피성 피부염환자의 알레르기 반응원인을 찾기 위해 패치테스트를 한 결과 50% 이상이 진드기 류에 양성반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곱째, 모낭충은 머리털의 뿌리인 모근 벽을 갉아먹어 모근으로 공급되는 영양분을 섭취하여 모발의 뿌리를 약하게 하고, 모공을 출입하면서 모공을 넓게 하고, 모근에 염증을 일으켜 탈모의 원인이 된다.
여덟째, 피부 밖에 나와 있는 피부진드기는 표피층의 피부를 날카로운 발톱으로 자극하고 돌아다님으로써 비듬과 가려움증의 원인이 된다.
이 처럼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모낭충을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 예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487275호 발명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0-487275호 발명은 특히 두피에 기생하는 모낭충을 사멸시켜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하기 위하여, 백두웅(할미꽃 뿌리) 에탄올추출물, 대산(마늘) 증류추출물, 황금 에탄올추출물, 황금 증류추출물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탈모방지샴푸나 발모촉진조성물에 1% 농도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충 살균작용을 갖는 발모촉진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0-487275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조성물의 조성을 이루는 백두웅(할미꽃 뿌리)과 대산(마늘)은 피부 자극성이 매우 강하여, 이를 포함한 발모촉진조성물을 두피에 바를 경우 두피에 통증 및발진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 생약제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는 모낭충 살균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피부 자극 없이 모낭충에 대한 사멸효과를 갖는 천연물 추출 모낭충 살균제 및 그것을 함유한 모낭충 살균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의 두피 뿐만아니라 몸 전체에 분포하는 모공이나 피지선에 서식하여 국소적인 병변 뿐 아니라 전신적인 피부병변을 야기하는 모낭충에 적용하여 피부질환(천포창,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등), 여드름, 기미, 주근깨, 반점, 모공의 확대 등을 치료할 수 있는 모낭충 살균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는 감초 분말, 애엽 분말, 의이인 분말, 천궁 분말 및 황금 분말에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한 감초추출물, 애엽추출물, 의이인추출물, 천궁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추출전 분말 상태의 질량을 기준으로 추출전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1 ~ 99 중량%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제은 상기 추출물 혼합물 을 탈모방지샴푸나 발모촉진조성물에 1% 농도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는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없으므로 사용상의 거부감이나 사용 후의 피부 발진이 없으며, 두피 뿐만아니라 몸 전체에 분포하는 모공이나 피지선에 서식하여 국소적인 병변 뿐 아니라 전신적인 피부병변을 야기하는 모낭충을 사멸하여 이로인한 천포창,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드름, 기미, 주근깨, 반점, 모공의 확대 등을 치료할 수 있으며, 두피에 적용할 경우 모낭충에 의한 모근 벽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모근에서의 영양분 손실 원인 및 모공 확장 원인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 및 발모촉진제을 구성하는 천연물 및 그 천연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 및 발모촉진제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는 감초 분말, 애엽 분말, 의이인 분말, 천궁 분말 및 황금 분말에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한 감초추출물, 애엽추출물, 의이인추출물, 천궁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각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추출 전 분말 상태의 질량을 기준으로 추출전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1 ~ 99 중량% 함유하도록 한다.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에탄올은 순도 95%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중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뿌리를 사용하며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한방에서 독성을 중화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하며 단맛이 있어서 민간에서는 음식을 할 때 감미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애엽(艾葉, 약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 해 살이 풀의 잎으로서 민간에서는 떡의 첨가제로서 식용하거나 말려서 뜸의 재료로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지혈조경작용이 있어서 자궁의 기능성출혈 치료에 사용 하며, 오한을 몰아내고 통증을 몰아내며, 살균소염작용이 있어서 전염병환자가 있는 곳에 훈연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의이인(薏苡仁, 율무쌀)은 벼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인 율무의 열매로서 식용으로 사용되며 타 곡류에 비하여 단백질이 풍부하다. 한방에서는 부종을 제거하고 피부에 난 부스럼을 개선하는데 사용하며, 최근에는 항균, 항염, 항암작용도 하는 것으로 실험을 통하여 보고되었다.
천궁(川芎, 궁궁이 뿌리)은 혈관을 확장하고 혈전을 용해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보혈조경작용을 하며 두통이나 신체통,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에서 거습지통작용을 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는 1) 감초, 애엽, 의이인, 천궁, 황금을 분말 상태로 마련하는 단계, 2) 각각의 분말에 추출용매로서 95% 에탄올을 1 : 4 의 중량비로 가하여 상온에서 60일간 침지하여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3) 추출한 추출용액을 추출전 분말 상태의 질량을 기준으로 추출전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1 ~ 99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제은 위 추출물 혼합물을 탈모방지샴푸나 발모촉진조성물에 1% 농도로 첨가함으로써 얻어 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 및 발모촉진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a) 감초, 애엽, 의이인, 천궁, 황금의 95%에탄올 추출 - 감초, 애엽, 의이인, 천 궁, 황금를 분말형태로 2 ㎏씩 준비하였다. 각각의 생약재에 95%에탄올을 8kg씩 가하여 상온에서 60일간 침지한 후 채로 걸러 각각 6kg의 추출물 용액을 얻었다.
b) 혼합물 생성 : 위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용액을 추출전 분말 상태의 질량을 기준으로 추출전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1 ~ 99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전자현미경을 CCD카메라에 부착하여 컴퓨터에 연결한 후, 피검자의 코 옆 피지선에서 여드름을 짜듯 피지선을 압축하여 피지를 올라오게 하여 slide glass에 올려놓고 식물성 오일을 떨어뜨려 피지를 용해한 후 모낭충의 존재여부를 관찰하고 위 추출물 혼합물을 100배 희석하여 검체에 떨어뜨리고 cover glass로 덮은 후 관찰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낭충의 모양이 심하게 오그라들고, 움직임을 멈추며, 분해되어 아무 것도 보이지 않게 되는 데까지 약 4시간이 경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낭균 살균제를 100배로 희석하여 모낭충의 사멸시험을 한 것은 화장품이나 의약외품 등의 외용제로 사용가능한 농도에서 모낭충이 사멸하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c) 제형 :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는 샴푸, 폼클린싱, 스킨, 젤 등 일반적인으로 모발 세척용 또는 화장용 사용하는 제형에 약 1%의 농도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모낭충은 우리 몸 전체에 분포하는 모공이나 피지선에 서식하여 국소적인 병변 뿐 아니라 전신적인 피부병변을 야기하기도 하기 때문에, 몸 전체에 적용하기 쉬운 제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전신에 작용하는 제형으로는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쉬운 샴푸 제형과, 폼클린징 제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얼굴 부위는 폼클린징 제형으로 하는 것이 알맞다. 본 발명에 따른 모낭균 살균제를 샴푸나 폼클린징에 1%의 농도로 혼합하여, 피부에 바르고 거품을 낸 후 바로 씻지 않고 모냥균 살균 성분이 모낭충에 작용하도록 5분 정도 경과 후에 씻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확인되었다. 둘째, 주로 지성피부를 동반하는 여드름에는 유분이 없는 토닉타입의 제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셋째, 아토피성 피부염처럼 건조시에 가려움증을 약화시키는 경우에는 보습작용이 있는 젤타입의 제형이 알맞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 예 2>
실시예 1에서와 달리, 각 생약재를 따로 분리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지 않고, 감초 분말, 애엽 분말, 의이인 분말, 천궁 분말, 황금 분말을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1-99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 ㎏을 준비하고, 여기에 95%에탄올을 8kg 가하여 실시 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채로 걸러 6kg의 생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모낭충 살균제도 실시 예 1에서 얻은 모낭충 살균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실시 예 1에서와 설명한 제형에 1%의 농도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 3>
실시 예 1 또는 실시 예 2에서 얻은 모낭충 살균제를 탈모방지샴푸나 발모촉진조성물에 1% 농도로 첨가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발모촉진제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는 임상 시험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임상 예 1: 천포창 치료 예>
임상 예 1에서는 모낭충 살균제를 32세 여성 천포창 환자에게 적용하였다. 상기 환자는 급성으로 진행된 천포창 환자로서 항히스트민제와 스테로이드제로 수개월 복용 중 증상이 개선되는 듯 했으나 위장장애가 심해져 약물치료를 중단하니 갑자기 전신으로 번졌다. 처음 관찰 시 전신에 3도 화상을 입은 것처럼 진물이 손과 발을 제외한 전신에서 흐르고 있었다. 내복약으로는 염증을 개선하는 약차를 복용하고 외용제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가 포함된 토닉을 미스트 용기에 담아 상처 부위에 골고루 뿌려 주었다. 3일 후부터 진물이 줄기 시작 하며 전신에서 새 피부가 골고루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2주 후부터는 가피의 형성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가피가 전신을 막을 형성하면서 진물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때부터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가 포함된 샴푸를 목욕시에 사용하게 하였다. 그 결과 피부의 가피 형성이 촉진되고 염증이 줄어들어 속살이 차 오르기 시작하였다. 또한 두피에도 두껍게 가피가 형성되었고, 이후 두피의 가피가 벗겨지면서 모발도 함께 떨어져나가 탈모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털이 많은 부위인 눈썹과 음모부위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후 탈모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두피가 완전히 재생되면서 다시 발모가 진행되었다. 6개월이 경과한 후 환자의 피부는 전신적으로 정상적인 피부색과 형태를 되찾았다.
<임상 예 2: 건선 치료 예>
임상 예 2에서는 모낭충 살균제를 32세 여성 천포창 환자에게 적용하였다. 상기 환자는 20년 된 건선으로 다니는 병원마다 건선이라고 진단하고 스테로이드제제로 치료하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개선되지만 치료를 중지하면 다시 재발하는 것을 반복하던 상태이며 병원에서는 스테로이드 요법 외에는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상태인 환자였다. 내복약으로는 염증을 개선하는 약차를 복용하고 외용제로서 전신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가 포함된 샴푸를 사용하였다. 1개월경과 후에는 피부의 발진이 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소양증은 오히려 줄어들었으며, 2개월경과 후에는 발진 부위의 두께가 줄어들고 발진부위의 피부색도 검붉은 색에서 밝은 색으로 바뀌어 갔으며, 3개월 후에는 발진부위가 많이 줄어들고 발진이 완전히 줄어든 부위는 피부색이 하얗게 되었다가 주변 피부와 동일한 색깔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상 예 3: 아토피 치료 예>
임상 예 3에서는 모낭제 살충제를 성인 아토피 환자들에게 적용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내복약없이 본 발명에 따른 모낭제 살충제가 포함된 샴푸와 젤을 사용하게 하였는데 그 중 일부에선 그것만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이 완전히 개선된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이 모낭충이 될 수 있으며 모낭충을 개선하면 아토피성 피부염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 예 4: 여드름 치료 예>
여드름 심한 사람들에게 연령에 구분 없이 무작위로 내복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가 포함된 폰클렌징과 토닉을 같이 사용하도록 하고 경과를 관찰하였는데 대부분 사용과 동시에 염증이 줄기 시작하고 2-3개월 안에 깨끗하게 개선되었으며, 부분적으로 3-5일경과 후 발진이 심해지다가 이후 2-3주 지나면서 점차로 깨끗하게 개선되는 경우도 있었다.
<임상 예 5: 탈모증 치료 예>
탈모가 심하게 진행되는 탈모증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 살균제가 포함된 샴푸를 사용하게 하였는데 대부분 3-5일 사이에 세발 후, 세면기에 남아 있는 탈모된 머리카락 숫자로, 탈모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매운 고추나 차가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 중 일부에서 탈모증이 개선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를 통해 자극적인 음식들이 교감신경을 흥분시켜서 모근의 영양공급을 방해하여 탈모의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Claims (3)

  1. 감초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애엽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의이인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천궁 분말의 에탄올추출물, 황금 분말의 에탄올추출물을, 추출전 분말형태의 질량을 기준으로 추출전 전체 분말 질량에 대하여 1-99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충 살균제.
  2. 감초 분말, 애엽 분말, 의이인 분말, 천궁 분말, 황금 분말을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1-99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분말에 에탄올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살균제.
  3. 삭제
KR1020090007738A 2009-01-30 2009-01-30 모낭충 살균제 Active KR10104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38A KR101040011B1 (ko) 2009-01-30 2009-01-30 모낭충 살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38A KR101040011B1 (ko) 2009-01-30 2009-01-30 모낭충 살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84A KR20100088484A (ko) 2010-08-09
KR101040011B1 true KR101040011B1 (ko) 2011-06-08

Family

ID=4275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738A Active KR101040011B1 (ko) 2009-01-30 2009-01-30 모낭충 살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645B1 (ko) * 2019-07-04 2021-07-2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2535A (ja) * 1991-07-12 1992-11-30 Rohto Pharmaceut Co Ltd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
JPH10265350A (ja) * 1997-03-26 1998-10-06 Shiseido Co Ltd 育毛剤
JPH11193219A (ja) * 1997-12-26 1999-07-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配合養毛・育毛剤
WO2005034894A1 (ja) * 2003-10-09 2005-04-21 Advangen, Inc. 育毛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2535A (ja) * 1991-07-12 1992-11-30 Rohto Pharmaceut Co Ltd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
JPH10265350A (ja) * 1997-03-26 1998-10-06 Shiseido Co Ltd 育毛剤
JPH11193219A (ja) * 1997-12-26 1999-07-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配合養毛・育毛剤
WO2005034894A1 (ja) * 2003-10-09 2005-04-21 Advangen, Inc. 育毛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84A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870333A (zh) 一种改善人脱发生发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00396A (ko) 미백 화장료
KR100747651B1 (ko)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KR20200113600A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CN108653006A (zh) 一种植物保湿全效眼霜及其制备方法
KR100357824B1 (ko)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CN105878114A (zh) 一种清爽保湿补水美容液的配方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WO2005002608A1 (en) Herbal composition
CN105213279A (zh) 一种消除萎缩纹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KR102112382B1 (ko) 화장품 조성물
KR20110130555A (ko) 아토피 피부 예방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CN103721138B (zh) 一种治疗酒糟鼻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039022A (zh) 一种亮肤美白中药组合物、亮肤美白中药制剂、亮肤美白面膜、制备方法
KR101040011B1 (ko) 모낭충 살균제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90061A (zh) 一种外用防脱、育发的毛囊干细胞唤醒因子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KR101799368B1 (ko) 트리트먼트 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