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657A -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657A
KR20040003657A KR1020020038409A KR20020038409A KR20040003657A KR 20040003657 A KR20040003657 A KR 20040003657A KR 1020020038409 A KR1020020038409 A KR 1020020038409A KR 20020038409 A KR20020038409 A KR 20020038409A KR 20040003657 A KR20040003657 A KR 20040003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detergent composition
composition
surfactant
benzalkonium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진
Original Assignee
유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진 filed Critical 유경진
Priority to KR102002003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657A/ko
Publication of KR2004000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094Process for mak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e.g. slurries, pastes o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이 끼이기 쉬운 신체의 각 국부부위를 살균과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제수 82.9 ∼ 96.675wt%, 주성분인 살균 소독 및 세정에 사용되는 염화벤잘 코늄액 0.0025 ∼ 0.1wt%, 보습제인 1.3부틸렌글리콜 0.1 ∼ 5wt%,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1 ∼ 2.0wt% 및 계면활성제의 유성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에탄올 0.1 ∼ 12wt%를 혼합한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에 항균작용효과가 있는 한방생약제인 황금추출액 0.05 ∼ 5wt%를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량의 정제수에 주성분인 염화벤젤코늄액50% 0.0025 ∼ 0.1wt%와 보습제 0.1 ∼ 5wt%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드는 제1 단계; 에탄올 0.1 ∼ 12wt%에 계면활성제 0.1 ∼ 2.0wt% 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드는 제2 단계; 한방생약제를 여과 또는 증유화하여 제3혼합물을 만드는 제3 단계; 및 제1 혼합물에 제2 및 제3 혼합물을 투입하고 혼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제조되는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은 저자극 살균효과와 보습효과가 있어 귀속. 코, 배꼽, 각 손가락 발가락 사이등과 같이 신체의 후미진 부위를 위생적으로 세정함과 동시에 홍반, 발진, 가려움, 세균감염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외이염과 중이염의 예방에 탁월하며, 이취, 이물질의 냄새가 나지 않도록 살균소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of sterilant-cleaner for external us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사람의 귀 내,외 부위, 코 내부, 배꼽등과 같이 이물질이 끼이기 쉬운 신체 각 부위를 청결하게 닦아 낼 수 있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식을 많이 하는 서양인들이나, 식생활의 개선으로 육식의 섭취빈도가 많아진 동양인들에게 있어서, 기름성분에 의해 귀속에 귀지가 자주 끼이거나 끈끈한 이물질액이 공해로 인해 오염된 물질과 뒤섞여 덩어리로 뭉쳐져 있는 경향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사람의 귀속은 항상 축축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귀지나 이물질의 제거를 게을리하면 귀지가 큰 덩어리로 뭉쳐져 있게 되어 지저분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귀 내부가 진물러 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심할 경우 귓속이 부어 구멍이 막히기도 한다. 따라서, 적어도 2일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귀속 내부의 귀지를 면봉이나 귀쑤시개등으로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면봉이나 귀쑤시개만을 사용할 때에는 자극을 주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깨끗이 청소되지도 않으며, 또 부주의한 실수로 너무 깊이 귀속으로 삽입할 경우, 귀의 외이도나 고막에 상당한 손상을 주게 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면봉은 귓속에 생긴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도구로서, 소독약이나 점액등을 도포하여 상처부위를 소독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상기 귀쑤시개는 귀지 덩어리를 제거하는 정도로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항상 귀내부에는 귀지의 잔부스러기가 잔재하고 있어 불결한 느낌을 주고 있다.
한편, 귀속을 제외하고, 매일 위생적으로 사람의 각 신체부위를 청결히 할지라도, 손길이 자주 닿지 않은 배꼽, 코 내부등과 같이 이물질이 끼이기 쉬운 신체부위도 자주 청결하게 해주어야만 하는데, 종래에는 애완견과 같은 동물의 귀를 세정해 줄 수 있는 세정제외에 인체에 적용되는 사례가 없었으며, 사람들은 염증이 발생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생적인 도구로서 면봉이나 귀쑤시개등의 기구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길이 닿기 어렵거나 자주 미치지 않은 부위의 청결을 유지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또 이러한 부위의 청결을 게을리할 경우, 각종 염증을 유발할 수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끼이기 쉬운 신체부위는 연약한 피부조직으로 되어 있어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면봉등으로 닦을 경우, 자극을 주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와서 핸드폰의 사용시 교통안전을 위하여 주행중 이어폰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휴대용 녹음기, 컴퓨터등을 통하여 이어폰의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은 귀에 끼우고 빼는 동작을 자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귀속 또는 귀 주위가 손상을 입거나 피부 알레르기성 질환등을 유발시키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스폰지 커버등이 고안되어 이어폰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스폰지 자체가 먼지를 더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귀속에 세균이 침투할 우려를 증대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이어폰의 착용과 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면봉등의 기구이외에 귀내부나, 이물질이 끼이기 쉬운 신체부위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세정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세정제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귀세척제나 외이염이나 중이염 치료제(약품)로서 사용되고 있는 동물약품은 그 성분이 각화성피부질환치료제로써 티눈, 각화증. 건선백선, 임주위피부염, 좌창다한증, 무좀치료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리실산(Salicyic acid) 0.037g. 안식향성 산(Benzoic acid) 0.15g. 사과산(malic acid) 2.25g.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glycol) 적량과 정제수를 적량 혼합한 약품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약품은 인체에 자극을 많이 주기 때문에, 이물질이 끼익 쉬운 사람의 신체부위에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이 끼이기 쉬우며, 손길이 자주 닿지 않거나 손길이 미치기 어려운 신체의 각 후미진 부위의 살균과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무해하면서 자극을 주지 않고 살균 및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수 82.9 ∼ 96.675wt%, 주성분인 살균 소독 및 세정에 사용되는 염화벤잘 코늄액 0.0025 ∼ 0.1wt%, 보습제인 1.3부틸렌글리콜 0.1 ∼ 5wt%,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1 ∼ 2.0wt% 및 계면활성제의 유성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에탄올 0.1 ∼ 12wt%를 혼합한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에 항균작용효과가 있는 한방생약제인 황금추출액 0.05 ∼ 5wt%를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량의 정제수에 주성분인 염화벤젤코늄액50% 0.0025 ∼ 0.1wt%와 보습제 0.1 ∼ 5wt%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드는 제1 단계; 에탄올 0.1 ∼ 12wt%에 계면활성제 0.1 ∼ 2.0wt% 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드는 제2 단계; 한방생약제를 여과 또는 증유화하여 제3혼합물을 만드는 제3 단계; 및 제1 혼합물에 제2 및 제3 혼합물을 투입하고 혼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인체에 무해하며, 손실이 닿기 어려우면서 이물질이 끼이기 쉬운 신체 각부를 위생적이고 청결히 세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살균세정제는 약품의 용제로 사용되는 정제수 82.9 ∼ 96.675wt%, 주성분인 살균 소독 및 세정에 사용되는 염화벤잘 코늄액50% 0.0025 ∼ 0.1wt%, 보습제인 1.3부틸렌글리콜 0.1 ∼ 5wt%,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1 ∼ 2.0wt% 및 계면활성제의 유성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에탄올 0.1 ∼ 12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항균작용효과가 있는 한방생약제인 황금추출액 0.05 ∼ 5wt%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0.002 ∼ 0.5wt%비율로 더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외용용이므로 사용용도에 따라 향료나 색소를 첨가물로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의 염화벤잘코늄액(Benzalkonium Chloride Solution)50%는 정제수가 섞여 약효의 강도가 반으로 감소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따라서,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원액으로 대체하여 사용할때는 염화벤잘코늄액50%의 절반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주성분인 염화벤잘 코늄액(Benzalkonium Chloride Solution)50%은 창상 또는 수술전후의 감염예방, 의료기구의 소독 및 세척등에 주로 사용되는 약품으로서, 아포가 없는 세포. 곰팡이류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고, 국소감염된 부위나 질세정에도 적합하며, 그람양성, 음성균 뿐만아니라 진균류에 대해서도 항균성이 있고, 비교적 조직자극성이 적어 피부, 조직, 점막등에서의 살균에 적용된다. 상기 염화벤잘코늄액은 정량할 때, 표시량의 93.0%-107.0%에 해당하는 C22H40CLN:354.02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염화벤잘코늄액을 0.0025 ∼ 0.1wt%의 범위로 설정한 것은 상기 염화벤잘코늄액이 0.1wt% 이상이면 피부조직의 점막에 자극을 주므로 사용할 수 없고, 0.0025wt%이하이면 살균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같은 투입비율은 사용기준을 초과할수 없도록 법제화 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염화벤잘코늄액의 투입비율은 민감한 부위에 자극이 없는 0.0025 ∼ 0.05wt%가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염화벤잘코늄액 대신에 피부 살균력이 있는 글루콘산헥사딘액(Chlorhexidine Glucoride Solution)이나 이와 유사한 약품으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상수를 이온교환, 초여과에 의하여 정제한 물로서, 약품의 용제로 사용된다.
상기 황금(Scutellariae Radix) 추출액은 항균작용효과가 있는 생약제로서 한방임상실험서라는 저서에 보면, 항균, 항진균을 억제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시험관내(in vitro)에서 적리균, 녹균, 포도구균, 용혈성연쇄구균, 폐렴쌍구균, 선모상구균등 많은 진균에 대해서도 각기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이와 같이 황금추출액(Scutellariae Radix Solution)은 항균력도 있지만, 향료와 색소를 별도로 넣을 필요 없이 약제 냄새와 약제추출물 황색 자체를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의 생약원료는 대한약전과 한방임상실험서에 발표되어 통용되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는 황금(Scutellariae Radix) 대신에 치이자(Gardeniae Fructus), 황련(Coptidis Rhizoma), 황백(Phellodendri Cortex) 또는 금은화(Loniceraceae Flos), 고삼(Sophorae Radix), 초롱담등 같은 효능의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은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여 피부의 당김과 거칠어짐을 방지하는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투입범위를 0.1 ∼ 5.0wt%로 한 것은 0.5wt% 이상이면 피부가 끈적거려 불쾌감을 주게 되며, 0.1wt% 이하이면, 보습효과가 떨어져 피부의 당김과 거칠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보습제로서의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대신에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칠렌 글리콜4,000(Polyethylene Acid 4,000), 히아루로닉애시드 추출물(Hyaluronic Aicd Extraet)등이 사용될 수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Poiyoxyethylene Hydyrogenated Caster Oil)은 피부에 자극이 없는 계면활성제로서, 여러 가지 약품이 골고루 섞이게 하는 기능, 이물질등이 잘 닦이도록 하는 클린싱작용 및 피부의 세정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에탄올(Ethyl Alcohol)은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녹이기 위한 용제로서, 피부의 자극을 없애기 위해 주정용 에틸알콜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에탄올의 투입비율이 0.1wt% 이하이면 기름성분을 용해시키지 못하며, 12wt%이상일 경우, 피부에 자극이 심해 눈물이 나게 되어 민감한 부위에 사용이 부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갖는 살균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대한약전에 고시된 약품의 정량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정제수 적량에 염화벤젤코늄액50%(Benzalkonium Chloride Solution) 0.05g 과 1.3부티렌글리콜 1.0ml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 에탄올8.0ml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0.5g(Poiyoxyethylene Hydyrogenated Caster Oil)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 황금액(Scutellariae Radix Solution)을 여과 또는 증유화한 투명 또는 연황색의 추출액인 제3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황금 추출액의 제조방법은 먼저, 황금(Scutellariae Radix)을 3g ∼ 9g를 정제수 300ml에 넣고, 85 ∼ 115℃의 온도에서 30 ∼ 3시간정도 가열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된 황금추출액을 침전후 여과 또는증유기를 이용하여 증유화하여 100ml의 맑고 투명한 제3 혼합물을 만든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각 혼합물에서, 상기 제1 혼합물에는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중 적어도 하나이상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혼합물에 아로마향과 같은 향료나 색소를 첨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의약품으로서의 인식보다는 개개인의 신체분위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미용용도로서의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에 첨가되는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는 0.002 ∼ 0.5wt%이며, 상기 제2 혼합물에 첨가되는 향료나 색소는 사용용도에 따라 소량씩 첨가한다.
상기 각 혼합물을 제조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혼합물에 제3 혼합물을 넣고 교반하고, 이어서 제2 혼합물을 넣고 교반하여 살균세정제 조성물을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대하여 임상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임상실험 인원은 175명을 대상으로 면봉만으로 귀를 닦아냈을때와, 본 발명의 살균세정제 조성물을 면봉에 흡수시켜 귀를 닦아냈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가에 대해 대상을 설정하여 비교 임상실험을 실시했다.
대상: (1)외이염, 중이염를 앓거나 자주 앓는 자(10세-70세) 35명.
(2)이어폰 사용으로 발진, 발열 및 가려움증이 잦은자(18-25세) 100명.
(3)육류 및 기름성분를 즐겨하는 비만자(20-60세) 15명.
(4)귀에 물기를 자주 접하는 자(10-60세)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회수와 기간을 확인하기 위해 면봉 200개와 귀청결제 90ml를 주3회 이상 200회까지 사용하도록 임상실험 대상자 전원에게 지급 하고, 면봉만 사용했을때와 면봉에 본 귀청결제조성물 흡수시켜 사용한후 반응결과를 1주일 간격으로 3개월간(12회) 정규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표1>
대상자 답변인원수 발진,부종에도움이 됐다. 가려움증에 도움이됐다. 시원하고,뚫린기분이다 깔끔하고, 위생적이다.
(1) 36명 36명 36명 36명 36명
(2) 79명 42명 75명 79명 79명
(3) 17명 12명 16명 17명 17명
(4) 19명 18명 18명 19명 19명
상기와 같은 임상실험에서 (1)번 대상자는 이비인후과 병원에 진료를 받는사람 위주로 대상을 선정했고, 외이염, 중이염을 자주 앓거나 앓는자가가 발진, 부종, 가려움증에 도움이 되는가와, 사용후 느낌에 대해서도 임상실험결과에 포함했다.
(2)번 대상자는 이어폰 사용이 빈번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3)번 대상자는 육류 및 기름성분을 즐겨하는 대상으로는 비만한자 위주로 실시하였다.
(4)번 대상자는 물을 빈번하게 접촉하는 수영장에서 매일 수영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표1>에서 보인바와 같이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가려움증과 발진. 부종, 중 어느 하나의 증세을 앓거나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고, 면봉만 사용했을 때, 깔끔하게 세정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의 위생용 세정제가 생산, 판매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하기의 <표2> 및 <표3>은 본 발명에 대하여 KIST에서 대한약전에 고시한 약품의 정량과 살균력이 있는가의 적합성을 실험한 것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나타낸 것이다.
<표2>
배 합 성 분 원 료 명 규 격 분 량
1. 주 성 분 염화벤잘코늄액(50%) 약 전 0.05ml
2. 보 조 제 황금추출액 약 전 1.0ml
3. 습 윤 제 1.3부틸렌글리콜 장 원 기 1.0ml
4. 기 제 에 탄 올 약 전 8.0ml
5. 기 제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장 원 기 0.5ml
6. 용 제 정 제 수 약 전 89.45ml
[원료약품 및 그분량] : 100ml
<표3>
배 합 목 적 원 료 명 규 격 분 량
1.주 성 분 염화벤잘코늄액(50%) 약 전 0.05ml
2.습 윤 제 1.3부틸렌글리콜 장 원 기 1.0ml
3.기 제 에 탄 올 약 전 8.0ml
4.기 제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트 오일 장 원 기 0.5ml
5.정제수 정 제 수 약 전 90.45ml
[원료약품 및 그분량] :100ml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은 저자극 살균효과와 보습효과가 있어 귀속. 코, 배꼽, 각 손가락 발가락 사이등과 같이 신체의 후미진 부위를 위생적으로 세정함과 동시에 홍반, 발진, 가려움, 세균감염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외이염과 중이염의 예방에 탁월하며, 이취, 이물질의 냄새가 나지 않도록 살균소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향료나 색소가 첨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의약품이 아닌 일반 실생활품으로 분류될 수 있어 구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미용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른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주성분인 살균 소독 및 세정에 사용되는 살균제 0.0025 ∼ 0.1wt%, 보습제 0.1 ∼ 5wt%, 계면활성제 0.1 ∼ 2.0wt% 및 계면활성제의 유성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에탄올 0.1 ∼ 12wt% 및 정제수 82.9 ∼ 96.675wt%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항균작용효과가 있는 한방생약제 0.05 ∼ 5wt%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염화벤잘 코늄액50%, 염화벤잘코늄, 글루콘산헥사딘액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칠렌 글리콜4,000, 히아루로닉애시드 추출물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제는 황금추출액, 치이자, 황련, 황백, 금은화, 고삼, 초롱담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칠렌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0.002 ∼ 0.5wt% 비율로 첨가되며, 향료 및 색소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8. 적량의 정제수에 주성분인 염화벤잘코늄액50% 0.0025 ∼ 0.1wt%와 보습제 0.1 ∼ 5wt%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드는 제1 단계;
    에탄올 0.1 ∼ 12wt%에 계면활성제 0.1 ∼ 2.0wt% 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드는 제2 단계;
    한방생약제를 여과 또는 증유화하여 제3혼합물을 만드는 제3 단계; 및
    제1 혼합물에 제2 및 제3 혼합물을 투입하고 혼합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한방생약제 3g ∼ 9g를 정제수 300ml에 넣고, 85 ∼ 115℃의 온도에서 30 ∼ 3시간정도 가열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된 추출액을 침전후 여과 또는 증유화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의 제1 혼합물에는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중 선택된 하나가 0.002 ∼ 0.5wt%비율로 첨가되며,
    상기 제2 단계의 제2 혼합물에는 사용용도에 따라 향료 및 색소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20038409A 2002-07-03 2002-07-03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3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09A KR20040003657A (ko) 2002-07-03 2002-07-03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09A KR20040003657A (ko) 2002-07-03 2002-07-03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57A true KR20040003657A (ko) 2004-01-13

Family

ID=3731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409A KR20040003657A (ko) 2002-07-03 2002-07-03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65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03B1 (ko) * 2007-06-07 2007-10-04 박병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130691B1 (ko) *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130689B1 (ko) *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130690B1 (ko) *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453834B1 (ko) * 2012-12-05 2014-10-22 최철원 생약재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KR20220118664A (ko) * 2021-02-19 2022-08-2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보습 효과를 보유한 가미황련해독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015A (ko) * 1993-01-27 1994-08-16 다께다 구니오 소독 살균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에어졸 조성물
KR950011605A (ko) * 1993-10-06 1995-05-15 김항덕 피부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물티슈
US5661170A (en) * 1994-03-21 1997-08-26 Woodward Laboratorie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H1087410A (ja) * 1996-09-17 1998-04-07 Kanto Chem Co Inc 殺菌消毒用組成物
JPH1161199A (ja) * 1997-08-07 1999-03-05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KR19990046318A (ko) * 1999-02-09 1999-07-05 위찬호 제균위생티슈및그제조방법
KR100258612B1 (ko) * 1997-12-24 2000-07-01 성재갑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KR20010110625A (ko) * 2000-11-30 2001-12-13 구본길 로션타입의 피부보호 살균소독제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20082401A (ko) * 2001-04-20 2002-10-31 안국약품 주식회사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강분무용조성물
KR100384538B1 (ko) * 1999-12-06 2003-05-22 (주)바이오코리아 젖병, 젖꼭지와 같은 유아용품을 살균, 세정하기 위한조성물
KR20030085653A (ko) * 2002-04-29 2003-11-07 유경진 세정용 살균티슈 페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015A (ko) * 1993-01-27 1994-08-16 다께다 구니오 소독 살균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에어졸 조성물
KR950011605A (ko) * 1993-10-06 1995-05-15 김항덕 피부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물티슈
US5661170A (en) * 1994-03-21 1997-08-26 Woodward Laboratorie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H1087410A (ja) * 1996-09-17 1998-04-07 Kanto Chem Co Inc 殺菌消毒用組成物
JPH1161199A (ja) * 1997-08-07 1999-03-05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KR100258612B1 (ko) * 1997-12-24 2000-07-01 성재갑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KR19990046318A (ko) * 1999-02-09 1999-07-05 위찬호 제균위생티슈및그제조방법
KR100384538B1 (ko) * 1999-12-06 2003-05-22 (주)바이오코리아 젖병, 젖꼭지와 같은 유아용품을 살균, 세정하기 위한조성물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10110625A (ko) * 2000-11-30 2001-12-13 구본길 로션타입의 피부보호 살균소독제
KR20020082401A (ko) * 2001-04-20 2002-10-31 안국약품 주식회사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강분무용조성물
KR20030085653A (ko) * 2002-04-29 2003-11-07 유경진 세정용 살균티슈 페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03B1 (ko) * 2007-06-07 2007-10-04 박병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130691B1 (ko) *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130689B1 (ko) *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130690B1 (ko) *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453834B1 (ko) * 2012-12-05 2014-10-22 최철원 생약재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KR20220118664A (ko) * 2021-02-19 2022-08-2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보습 효과를 보유한 가미황련해독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8658B2 (ja) 非水性皮膚軟化剤入りヨードフォア製剤
CA2562329C (en) Therapeu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8449928B2 (en) Cleans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100029780A1 (en) Topical composition
CN103340816B (zh) 一种专用于女性的私密护理湿巾
WO2006087569A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archonanthus camphoratus
CN112048402B (zh) 一种抑菌去渍除异味的内衣皂及其制备方法
DE3725381A1 (de) Waessrige, fluessige, antiseptische zusammensetzung
KR20100137014A (ko) 감염 방지 시스템
KR20040003657A (ko)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860821A (zh) 一种广谱消毒的组合物
US5565189A (en) Wound cleanser method of use
MX2011001693A (es) Desinfectante de la piel no alcoholico, no irritante, suave.
AU2006235798B2 (en) Topical composition
CN110339121A (zh) 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416041A (zh) 一种抗菌消炎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ES2345199T3 (es) Formulacion barrera que comprende una emulsion basada en silicona.
KR20030085653A (ko) 세정용 살균티슈 페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CN1812775B (zh) 戊-1,5-二醇在制备用于抑制细菌生长的局部给药的药物中的用途
EP0869800B1 (fr) Composition antibacterienne a base d&#39;acylglycine et de sel de zinc
US20020172707A1 (en) Ultra-nutraceuticals and toothbursh sanitizer (ozone)
CN104510643A (zh) 一种睡莲根草本提取物保湿洗手液
Sushmitha Baby Care–Baby Care Products and Harmful Ingredients Used in Baby Product
CN100998577A (zh) 一种三氯生复方外用洗液及其制备方法
KR20220109172A (ko) 녹차를 이용한 질 세정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질 세정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