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689B1 -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89B1
KR101130689B1 KR1020090088687A KR20090088687A KR101130689B1 KR 101130689 B1 KR101130689 B1 KR 101130689B1 KR 1020090088687 A KR1020090088687 A KR 1020090088687A KR 20090088687 A KR20090088687 A KR 20090088687A KR 101130689 B1 KR101130689 B1 KR 10113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hand
hand sanitizer
extract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990A (ko
Inventor
오세욱
김윤지
구민선
김현정
이남혁
이영철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소독제의 제조에 있어서,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손소독제 조성물은 알코올 냄새를 저하시켜 보다 기호도가 높은 위생용품을 제공하며, 다수의 소비자에 널리 이용되게 하여 단체급식에서의 식중독 등을 예방하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문화를 영위토록 한다.
알코올소취,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Description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Hand-disinfectant composition for alcohol odor-removing containing the extracts of natural material}
본 발명은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소독제의 제조에 있어서,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국민소득의 증가로 외식 기회가 대폭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99% 이상의 학교에서 학교급식을 실시하고 있어 그 결과 식중독 사고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아울러 음식 섭취시 발생할 수 있는 위해미생물의 오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할 수 있다. 위해미생물은 사람의 손에도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세균의 유형은 상재성세균(resident bacteria)과 비상재성세균(transient bacteria)으로 구분된다. 피부에 상주하는 상재성미생물의 90% 정도가 그람 음성 Staphylococci로서 이 중 Staphylococcus aureus는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바이러스의 경우, 최근 단체급식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 및 로터바이러스(Rotaviruses)는 대변/구강의 경로로 감염되어 식품에 오염된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아이에게서 위장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노인 및 면역성이 결핍된 성인에게도 문제가 된다. 로터바이러스는 구조물이나 손에 남아있는 오염된 물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살아남으며, 손에서는 최대 4시간까지도 생존하므로 접촉 등에 의하여 오염이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에 상재하거나 분변 오염에 의해 전파되는 식중독세균을 없애는 것이 식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개인 위생용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손소독제는 알콜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보습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알로에 베라를 첨가하여 제조된다. 알코올은 보통 60% 이상으로 제조되는데, 이 경우 우리나라의 소방법에 저촉되므로 알콜 농도를 60% 이하로 조정하여 손소독제를 제조할 필요성이 있고, 알콜 농도 저하에 따른 항균력을 보완 및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알콜냄새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므로 이를 상쇄할 소취활성의 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를 선발할 필요성이 있다.
손소독제는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병원이나 마트 입구에 비치되어 부분적으 로 이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하여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일상생활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손소독제는 손을 통한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목적 이외에도 감기예방을 위해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소독제는 대부분이 알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서 녹차를 첨가한 제품도 있지만 이는 녹차의 깨끗한 이미지를 활용한 예로서 항균력을 증진시키거나 알콜냄새를 없애거나 저하시키는 목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취활성이 우수한 천연물질을 선발하고, 이를 손소독제의 제조에 이용하여 건강한 생활환경을 이루고자 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소독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손소독제 조성물은 알코올냄새를 저하시켜 보다 기호도가 높은 위생용품을 제공하며, 다수의 소비자에 널리 이용되게 하여 단체급식에서의 식중독 등을 예방하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문화를 영위토록 한다.
본 발명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 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각 천연물질을, 천연물질 부피의 5~10배의 알코올에 첨가하고 20~28시간 정치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 이외에, 알로에 베라 및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질 추출물 0.5~10중량%, 알로에 베라 30~50중량% 및 알코올 40~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에탄올아민 및 주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손소독제의 제조에 있어서,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을, 각 천연물질 부피의 5~10뱅의 알코올에 첨가하고 20~28시간 정치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천연물질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알로에 베라 및 알코올에,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물은 알로에 베라 30~50중량% 및 알코올 40~60중량%에, 상기의 천연물질 추출물 0.5~10중량%를 첨가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중독은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식인성 질병으로 식중독세균에 오염된 식품이나 개인위생이 미비하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병원성세균이나 식중독세균이 없는 깨끗한 손을 유지하는 것도 역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신종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위생관리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에 대한 대처법 중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방법인 손 청결의 유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손에서 문질러서 소독할 수 있는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손소독제의 경우 입을 통해 몸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정 알콜(에탄올)을 주요 성분으로 하였으며, 또한 우리나라 소독방지법에 맞추기 위하여 알코올 농도를 60% 이하로 조정하였고, 알코올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항균력 저하를 천연항균 물질을 첨가하여 항균활성을 증진시켰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일반적인 손소독제의 경우 알코올 냄새가 강하여 소비자 의 기호도가 떨어지는 커다란 원인을 제거하고자, 항균활성 측정과 동시에 소취활성을 조사하여 효과가 우수한 소재(물질)를 선발하였고, 이를 통하여 알코올소취 기능이 부여된 손소독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추출물은 각 천연물질을, 천연물질 부피의 5~10배의 알코올에 첨가하고 20~28시간 정치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각 천연물질을 천연물질 부피의 5배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정치한 후, Whatman No. 2 필터 페이퍼로 여과 및 상용화된 감압농축기로 10배 농축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 이외에, 알로에 베라 및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질 추출물 0.5~10중량%, 알로에 베라 30~50중량% 및 알코올 40~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 1중량%, 알로에 베라 40중량% 및 에탄올 5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에탄올아민 및 주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손소독제의 제조에 있어서,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을, 각 천연물질 부피의 5~10배의 알코올에 첨가하고 20~28시간 정치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천연물질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알로에 베라 및 알코올에,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을 천연물질 부피의 5배 에탄올에 첨가하고 24시간 정치한 후, Whatman No. 2 필터 페이퍼로 여과 및 상용화된 감압농축기로 10배 농축하여 천연물질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알로에 베라 및 에탄올에, 상기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물은 알로에 베라 30~50중량% 및 알코올 40~60중량%에, 상기의 천연물질 추출물 0.5~10중량%를 첨가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알로에 베라 40중량% 및 에탄올 59중량%에, 상기의 천연물질 추출물 1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송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의 제조
1. 양송이 버섯 추출물의 제조
양송이 버섯을 시중에서 구입하였다. 상기의 양송이 버섯을 세척한 후 절단하고, 양송이 버섯 부피의 5배 에탄올(60% 농도의)에 침지하여 24시간 정치시켰다. 정치시켰던 물질을 Whatman No. 2 필터 페이퍼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또한 상기 추출액을 상용화된 감압여과기로 원래부피의 1/10로 농축하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얻었다.
2. 양송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의 제조
손소독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쓰이는 알로에 베라겔 및 에탄올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고, 상기 1.의 양송이 버섯 추출물과 혼합하여 손소독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양송이 버섯 추출물 : 알로에 베라겔 : 에탄올의 함량비는 1 : 40 : 59의 중량비(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103>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의 제조
천연물질 원료로 이하 표 1 및 표 2의 103종의 천연물질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고 손소독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천연물질 추출물들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이하 표 1 참조).
[표 1] 이용된 천연물질 원료들에 따른 실시예 2-51
구분 천연물질 원료 구분 천연물질 원료 비고
실시예 2 녹차 실시예 27 파슬리

각각의 추
출물 모두
농축되어
함량1중량
%로 조성물
에 첨가됨
(실시예 1
참조)











실시예 3 사과(껍질포함) 실시예 28 샐러리
실시예 4 감(껍질포함) 실시예 29 오이(껍질포함)
실시예 5 실시예 30 부추
실시예 6 귤(과육) 실시예 31 신선초
실시예 7 레몬(과육) 실시예 32 청겨자
실시예 8 레몬(과피) 실시예 33 비타민
실시예 9 오렌지(과육) 실시예 34 청경채
실시예 10 오렌지(과피) 실시예 35 브로콜리
실시예 11 금귤(껍질포함) 실시예 36 돈나물
실시예 12 애플민트 실시예 37 깻잎
실시예 13 바질 실시예 38 미나리
실시예 14 타임 실시예 39 케일
실시예 15 페퍼민트 실시예 40 비트잎
실시예 16 로즈마리 실시예 41 당귀
실시예 17 알팔파싹 실시예 42 치커리
실시예 18 적무싹 실시예 43 쑥갓
실시예 19 적양배추싹 실시예 44 적상추
실시예 20 브로콜리싹 실시예 45 적로메인
실시예 21 청무싹 실시예 46 근대
실시예 22 메밀싹 실시예 47 참나물
실시예 23 유채싹 실시예 48 취나물
실시예 24 배추싹 실시예 49 시금치
실시예 25 다채싹 실시예 50 아스파라거스
실시예 26 보리순 실시예 51 냉이
[표 2] 이용된 천연물질 원료들에 따른 실시예 52-103
구분 천연물질 원료 구분 천연물질 원료 비고
실시예 52 달래 실시예 78 감자(껍질제외)

각각의 추
출물 모두
농축되어
함량1중량
%로 조성물
에 첨가됨
(실시예 1
참조)













실시예 53 애호박 실시예 79 표고버섯
실시예 54 수삼 실시예 80 금앵자
실시예 55 파프리카(빨강) 실시예 81 지유
실시예 56 참외(껍질포함) 실시예 82 고삼
실시예 57 당근 실시예 83 구기자
실시예 58 바나나(과육) 실시예 84 육두구
실시예 59 파인애플 실시예 85 소목
실시예 60 자몽(과육) 실시예 86 가시오가피
실시예 61 자몽(과피) 실시예 87 자근
실시예 62 키위(과육) 실시예 88 황백
실시예 63 양상추 실시예 89 강황
실시예 64 양배추 실시예 90 작약
실시예 65 실시예 91 정향
실시예 66 고구마(껍질포함) 실시예 92 우슬
실시예 67 토마토(껍질포함) 실시예 93 황련
실시예 68 포도(레드글로브) 실시예 94 느릅나무근
실시예 69 포도(청포도) 실시예 95 감초
실시예 70 배(껍질포함) 실시예 96 호두
실시예 71 포도(캠벨) 실시예 97 마늘
실시예 72 단호박(과육) 실시예 98 파래
실시예 73 단호박(씨) 실시예 99 다시마
실시예 74 딸기 실시예 100 톳나물
실시예 75 가지 실시예 101 메생이
실시예 76 망고(껍질포함) 실시예 102 건미역
실시예 77 밤(껍질제외) 실시예 103 귤(과피)
<비교예 1> 통상의 손소독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되, 천연물질 추출물을 제외하고, 알로에 베라겔 40중량% 및 에탄올 60중량% 만을 혼합하여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천연물질 추출물들의 알코올소취 측정 실험
1. 알코올소취 실험방법
알코올소취 측정도 역시 상기 실시예 1-103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소취활성 측정에 적합한 30인을 선정하여 본 실험의 목적을 설명하고, 실험방 법을 숙지시킨 후, 관능검사로 측정을 하였다. 소취활성이 높은 경우를 5로 잡고(즉, 알코올 냄새가 없는 경우), 가장 취가 심한 경우를 1로 잡고 관능검사 측정을 실시하였다. 항목은 소취활성 정도와 전체적인 기호도(5점 척도법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큼)를 기준으로 하였다(결과는 이하 표 3 및 표 4 참조).
2. 알코올소취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양송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의 경우 소취활성은 4.14 였고, 기호도는 2.29였다. 이하 나머지 실시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의 실험결과를 살핀다.
[표 3] 알코올소취 실험 결과 정리
천연물질 원료 소취
활성
기호도 천연물질 원료 소취
활성
기호도 비고
녹차 3.7 3.7 파슬리 2.3 2.5












사과(껍질포함) 1.7 1.8 샐러리 4.0 3.7
감(껍질포함) 3.0 2.6 오이(껍질포함) 4.0 3.8
3.9 2.4 부추 4.0 1.8
귤(과육) 1.7 1.3 신선초 3.7 2.7
레몬(과육) 4.0 4.5 청겨자 3.7 2.0
레몬(과피) 2.5 3.0 비타민 3.6 2.1
오렌지(과육) 1.8 1.4 청경채 2.5 2.5
오렌지(과피) 3.3 3.3 브로콜리 3.9 2.1
금귤(껍질포함) 3.6 4.6 돈나물 4.2 3.4
애플민트 2.7 1.7 깻잎 4.1 3.6
바질 3.6 2.67 미나리 3.2 2.7
타임 3.2 2.78 케일 3.7 2.1
페퍼민트 3.4 2.7 비트잎 3.9 2.3
로즈마리 3.7 3.4 당귀 3.5 2.7
알팔파싹 3.5 2.8 치커리 3.2 2.8
적무싹 3.4 1.3 쑥갓 3.0 2.2
적양배추싹 3.9 1.8 적상추 3.5 2.2
브로콜리싹 3.9 2.2 적로메인 3.3 1.9
청무싹 3.3 1.2 근대 4.2 3.1
메밀싹 3.9 2.9 참나물 3.7 2.4
유채싹 3.5 1.3 취나물 3.4 2.1
배추싹 2.9 2.2 시금치 2.7 1.9
다채싹 2.9 2.0 아스파라거스 4.3 3.0
보리순 4.1 2.3 냉이 4.1 1.7
(상기 표 3에서 소취활성 및 기호도는 평가인 30인의 평균을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시한 것이다.)
[표 4] 알코올소취 실험 결과 정리
천연물질 원료 소취
활성
기호도 천연물질 원료 소취
활성
기호도 비고
달래 3.4 1.6 감자(껍질제외) 2.9 2.4













애호박 2.7 2.3 표고버섯 3.1 2.4
수삼 3.2 3.0 금앵자 3.8 1.7
파프리카(빨강) 3.7 2.7 지유 3.2 2.2
참외(껍질포함) 3.0 3.0 고삼 2.5 2.3
당근 1.7 1.4 구기자 3.8 1.7
바나나(과육) 1.8 2.8 육두구 4.0 2.8
파인애플 3.2 4.2 소목 2.8 2.5
자몽(과육) 2.0 2.7 가시오가피 4.2 2.5
자몽(과피) 3.5 4.3 자근 3.3 1.5
키위(과육) 3.7 2.0 황백 4.0 2.5
양상추 3.3 2.6 강황 3.2 2.0
양배추 3.3 2.0 작약 3.0 2.3
3.5 1.8 정향 4.0 2.8
고구마(껍질포함) 2.5 2.0 우슬 2.8 2.8
토마토(껍질포함) 3.0 3.0 황련 4.2 2.2
포도(레드글로브) 2.2 1.6 느릅나무근 2.8 2.3
포도(청포도) 2.9 2.0 감초 3.8 2.7
배(껍질포함) 2.5 1.8 호두 2.5 2.2
포도(캠벨) 2.0 2.5 마늘 3.8 1.5
단호박(과육) 2.9 2.3 파래 3.4 2.0
단호박(씨) 2.4 2.0 다시마 3.5 2.1
딸기 4.1 4.7 톳나물 3.3 1.7
가지 2.0 2.3 메생이 3.8 2.5
망고(껍질포함) 2.9 3.0 건미역 3.6 1.6
밤(껍질제외) 2.9 2.4 귤(과피) 4.0 4.5
(상기 표 4에서 소취활성 및 기호도는 평가인 30인의 평균을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시한 것이다.)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소취활성이 우수한 천연물질 추출물은 양송이 버섯, 귤과피, 육두구,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황련, 보리순, 샐러리, 오 이, 부추, 돈나물, 깻잎, 근대, 아스파라거스, 냉이 및 딸기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의 알코올소취 측정 실험
상기 실험예 1에서 알 수 있듯이 천연물질 추출물 중에 양송이 버섯, 귤과피등의 추출물이 알코올소취 효과가 있었는바, 이들은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의 알코올소취활성 정도 및 기호도를 측정(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하여 보았다. 아울러 소취활성이 미약했던 사과 및 당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와,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도 같은 실험을 하였다(이하 표 5 참조).
[표 5] 제조된 손소독제의 알코올소취 측정 정리
구분 천연물질 원료 소취
활성
기호도 비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양송이 버섯 4.3 3.0












실시예 103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귤과피 4.1 3.7
실시예 84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육두구 4.0 3.0
실시예 86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가시오가피 4.1 2.7
실시예 88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황백 3.9 2.8
실시예 91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정향 4.0 2.9
실시예 93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황련 4.1 2.5
실시예 26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보리순 4.1 2.4
실시예 28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샐러리 4.0 3.7
실시예 29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오이 4.1 3.8
실시예 30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부추 3.9 2.0
실시예 36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돈나물 4.3 3.5
실시예 37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깻잎 4.2 3.6
실시예 46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근대 4.2 3.4
실시예 50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아스파라거스 4.3 3.1
실시예 51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냉이 4.1 2.0
실시예 74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딸기 4.2 4.7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사과 2.2 2.1
실시예 57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당근 2.3 2.2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 - 1.3 1.3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가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손소독제보다 전반적으로 알코올소취활성 및 기호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물 중 소취활성이 미약했던 사과추출물과 당근추출물의 경우 소취활성 조성물로 제조하여도 마찬가지로 알코올소취활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손소독제 조성물은 환경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의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기호도가 높으며 불쾌한 냄새가 제거된 천연물질 함유 손소독제를 제공하여 국민생활건강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적무새싹, 바질, 적양배추새싹, 알팔파새싹 및 타임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각각의 추출물들을 얻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laims (8)

  1. (i) 양송이 버섯 또는 돈나물 중 어느 하나인 천연물질을, 천연물질 부피의 5~10배의 알코올에 첨가하고 20~28시간 정치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천연물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1단계; 및 (ii) 상기 수득한 천연물질 추출물 0.5~10중량%, 알로에 베라 30~50중량% 및 에탄올, 에탄올아민 및 주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알코올 40~60중량%을 혼합하는 제2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88687A 2009-09-18 2009-09-18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13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87A KR101130689B1 (ko) 2009-09-18 2009-09-18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87A KR101130689B1 (ko) 2009-09-18 2009-09-18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90A KR20110030990A (ko) 2011-03-24
KR101130689B1 true KR101130689B1 (ko) 2012-04-02

Family

ID=4393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687A KR101130689B1 (ko) 2009-09-18 2009-09-18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760B1 (ko) * 2022-01-26 2023-04-05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17B1 (ko) 2011-04-05 2013-02-08 주식회사 코아비스 자동차 연료펌프용 임펠러
KR101390084B1 (ko) * 2012-04-03 2014-04-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07051B1 (ko) * 2013-01-14 2014-06-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KR102068134B1 (ko) * 2018-10-17 2020-01-20 오훈 접착성분 및 냉이추출물을 함유하여 흘러내리지 않는 거품을 생성하는 세제
KR102562050B1 (ko) * 2021-02-19 2023-07-3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보습 효과를 보유한 가미황련해독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40003657A (ko) * 2002-07-03 2004-01-13 유경진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087754A (ja) * 2004-09-24 2006-04-06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消臭剤
KR20060084263A (ko) * 2005-01-19 2006-07-24 김원용 항균 활성을 가지는 루버스 속 식물의 뿌리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40003657A (ko) * 2002-07-03 2004-01-13 유경진 외용 살균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087754A (ja) * 2004-09-24 2006-04-06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消臭剤
KR20060084263A (ko) * 2005-01-19 2006-07-24 김원용 항균 활성을 가지는 루버스 속 식물의 뿌리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760B1 (ko) * 2022-01-26 2023-04-05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90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689B1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소취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Barku et al. In-vitro assessment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six wound healing medicinal plants
CN103392748B (zh) 一种天然蚊香及其制备方法
CN107398172A (zh) 一种高效去除甲醛空气净化剂
CN101313697A (zh) 一种天然果蔬保鲜剂
KR101130691B1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CN104437427A (zh) 多功能椰壳活性炭除臭膏及其制备方法
Resende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plants as storage media for avulsed teeth: A systematic review
KR101130690B1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Alitonou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investigations of Syzygium aromaticum L. essential oil from Benin
CN106318707A (zh) 一种环保洗涤剂及其制备方法
CN113080206A (zh) 一种芳香精油空气消杀剂及其制备方法
Ogbo et al. Effects of three plant extracts (Ocimum gratissimum, Acalypha wilkesiana and Acalypha macrostachya) on post harvest pathogen of Persea americana
Legesse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Dovyalis abyssinica
CN108815546B (zh) 一种驱虫抗菌的柠檬香天然植物清新剂
KR100802908B1 (ko)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vi et al. Comparative antibacterial study of different extract of pomegranate and its wild variety
Sakulpanich et al. Laxative anthraquinone contents in fresh and cooked Senna siamea leaves
CN107455395A (zh) 用于抑菌防感染的植物精油
Ghani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ascorbic acid concentration in two varieties of citrus (Citrus sinensis, Citrus limetta) collected from different tehsils of District Sargodha, Pakistan
CN106176336B (zh) 聚六亚甲基双胍消毒剂与复方中草药蚊蝇驱避剂二合一凝胶制造方法
KR20110032718A (ko) 소독성분을 함유한 물티슈
CN109566662A (zh) 一种防虫蛀除异味的樟木粉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608004B1 (ko) 발색제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소독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