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299A -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299A
KR19990050299A KR1019970069379A KR19970069379A KR19990050299A KR 19990050299 A KR19990050299 A KR 19990050299A KR 1019970069379 A KR1019970069379 A KR 1019970069379A KR 19970069379 A KR19970069379 A KR 19970069379A KR 19990050299 A KR19990050299 A KR 1999005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upled
bracket
mount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4833B1 (ko
Inventor
변상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83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41Link-typ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키트(210)와, 상기 브래키트(210)에 결합된 댐퍼(220)와, 상기 브래키트(210)에 축(2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엔진(10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회동 지지바(230)로 이루어진 제 1마운팅 요소(200); 차체에 댐퍼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완충바(310)와, 상기 완충바(310)에 축(32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엔진(10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회동 지지바(320)로 이루진 제 2마운팅 요소(300); 엔진(1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브래키트(410)와, 상기 브래키트(410)에 결합되는 댐퍼(420)와, 상기 댐퍼(420)에 결합되고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바(430)로 이루어진 제 3마운팅 요소(400)로 구성되며, 제 1,2마운팅 요소와 제 3마운팅 요소가 엔진의 축선 방향 및 원주 방향 진동을 완화 및 방지하므로, 차체로의 전달력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진동 및 소음의 완충 및 방지에 유리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본 발명은 엔진 마운트 지지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오크 롤 축(TRA; torque roll axis)을 고려한 마운팅 시스템에서 엔진 모멘트 및 토크 반동 측면에서 최적의 콘트롤을 위한 토오크 반동 링크를 적용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 중 엔진은 구조상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항상 진동이 생긴다.
피스톤과 컨넥팅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 변화에 의한 것,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 부분의 관성력에 의한 것, 커넥팅 로드가 크랭크 축의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의한 관성력에 의한 것,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 변화에 의한 것, 그리고 이들이 겹쳐져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의 진동으로 나타나지만, 특히 실린더수가 적은 엔진은 실린더수가 많은 것 보다, 또 저속회전시에는 고속시 보다 진동이 커진다. 자동차용 엔진은 섀시 프레임 또는 보디에 지지되어 있으나, 엔진의 진동이 섀시나 보디에 전해져 승차감이 나빠지지 않도록 엔진 정착부에는 반드시 탄성체에 의한 방진장치가 설치된다.
엔진 마운팅장치는 진동을 완화, 흡수함과 동시에 엔진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므로 지지부의 위치, 수, 구조 등에 대해서는 엔진의 종류, 섀시, 보디의 구조 등을 합쳐서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리고, 마운팅은 고무 등을 거쳐서 엔진쪽과 보디쪽을 연결하여 고무의 압축, 인장, 비틀림 등의 작용에 따라 진동, 소음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종에 따라서는 진동쪽에 추를 추가하여 진동쪽의 진동을 작게하거나 진동수를 변화시켜 공진을 방진하는 것, 충격을 완화하는 버퍼 로드를 설치하는 것, 마운트 고무외에 마운트액을 봉입한 복합 마운팅 등이 실시되고 있다.
또, 엔진의 마운트 방법은 4점 지지 또는 3점 지지방식이 가장 많지만, 최근에는 토오크 롤 축 지지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powertrain torque roll axis) 마운팅에서 파우어 트래인은 롤 원리 관성 축으로 알려진 파우어 트래인의 롤 축에 대하여 진동되도록 반응하고, 차량이 공회전할 때, 실린더에서 가스 압력의 변화와 왕복 피스톤과 컨넥팅 로드의 관성력은 플라이 휠의 원통형 요동 모멘트를 증,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만일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 마운팅 시스템의 마운트를 이동시키는 두 힘의 탄성 센터 코오디네이터가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 위의 실제적 마운트로 위치가 정해진다면, 상기 파우어 트래인은 공회전할 때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에 대하여 보디 구조를 위한 마운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힘이 최소가 되는 것과 같이 좋은 아이들 조건이 되도록 진동될 것이다.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 마운팅 시스템은 좋은 아이들 컨디션과 마운팅 시스템의 정역 드라이브 토크 및 회전 파우어 트래인을 유발하는 전방휠의 작용이 고려되어 결정되고, 실제적으로 엔진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 드라이브와 트랜스미션의 위치에 의하여 마운트를 이동시키는 2 힘은 보통 상기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위에 위치된다.
도 1은 종래 엔진 마운트장치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단부에 트랜스미션(2)이 연결되고, 엔진(1)의 선단부와 트랜스미션(2)의 후단부에 롱지(3),(4)가 배치되어 있으며, 엔진(1)의 선단부가 일측 롱지(3)에 마운팅 요소(10)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엔진(1)의 중간부가 센터 맴버(5)에 마운팅 요소(20),(30)를 개재하여 결합되며, 엔진(1)의 후단부가 타측 롱지(4)에 마운팅 요소(40)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요소(10)는 일측 롱지(3)에 고정되는 브래키트(11)와, 엔진(1)에 고정되는 브래키트(12)와, 상기 브래키트(11),(12) 사이에 결합되는 하이드로릭 마운터(hydromounter)(13)로 이루어지고, 마운팅 요소(20),(30)는 센터 맴버(5)의 전,후방부에 전방 마운팅 요소(20) 및 후방 마운팅 요소(30)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 맴버(5)와 전,후방 마운팅 요소(20),(30)는 모두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마운팅 요소(20)는 센터 맴버(5)의 전방 결합부(5a)에 결합되고, 후방 마운팅 요소(30)는 센터 맴버(5)의 후방 결합부(5b)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마운팅 요소(20)는 엔진(1)에 결합되는 브래키트(21)와, 센터 맴버(5)에 결합되는 브래키트(22) 및 이에 결합되는 댐퍼 부쉬(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마운팅 요소(30)는 엔진(1)에 결합되는 브래키트(31)와, 센터 맴버(5)에 결합되는 브래키트(32)와, 이에 결합되는 댐퍼 부쉬(3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엔진 마운팅 장치는 토크 반동을 위한 전방 및 후방 마운트가 부쉬 타입(bush type)으로 보디로의 전달력이 커서 진동, 소음 측면에서 불리하고, 엔진 마운트 제어를 위하여 마운트를 견고하게 할 경우 진동 및 소음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오크 롤 축(TRA; torque roll axis)을 고려한 마운팅 시스템에서 엔진 모멘트 및 토크 반동 측면에서 최적의 콘트롤을 위한 토오크 반동 링크를 적용하여 진동 및 소음 대폭 완화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 마운팅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에 의한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 200 : 제 1마운팅 요소
210 : 브래키트 220 : 댐퍼
230 : 회동 지지바 231,321 : 축
300 : 제 2마운팅 요소 310 : 완충바
320 : 회동 지지바 400 : 제 3마운팅 요소
410 : 브래키트 420 : 댐퍼
430 : 연결바
이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키트와, 상기 브래키트에 결합된 댐퍼와, 상기 브래키트에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엔진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회동 지지바로 이루어진 제 1마운팅 요소; 차체에 댐퍼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완충바와, 상기 완충바에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엔진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회동 지지바로 이루진 제 2마운팅 요소; 엔진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브래키트와, 상기 브래키트에 결합되는 댐퍼와, 상기 댐퍼에 결합되고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바로 이루어진 제 3마운팅 요소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에 의한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는 각각 엔진(100)에 연계되는 제 1마운팅요소(200), 제 2마운팅요소(300) 및 제 3마운팅요소(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마운팅 요소(200)는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키트(210)와, 상기 브래키트(210)에 결합된 댐퍼(220)와, 상기 브래키트(210)에 축(2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엔진(10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회동 지지바(2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2마운팅 요소(300)는 차체에 댐퍼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완충바(310)와, 상기 완충바(310)에 축(32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엔진(10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회동 지지바(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3마운팅 요소(400)는 엔진(1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브래키트(410)와, 상기 브래키트(410)에 결합되는 댐퍼(420)와, 상기 댐퍼(420)에 결합되고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바(4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마운팅 요소(200)는 회동 지지바(230)가 엔진(10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 2마운팅 요소(300)는 회동 지지바(320)가 엔진(100)의 폭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3마운팅 요소(400)는 연결바(430)가 엔진(10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마운팅 요소(200),(300)는 엔진(100)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 진동을 완충 및 흡수하고, 상기 제 3마운팅 요소(400)는 엔진(100)의 길이 방향 진동을 완충 및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는 파우어 트래인 토크 롤 축(powertrain torque roll axis) 마운팅의 원리에 따라 제 1,2마운팅 요소(200),(300)와 제 3마운팅 요소(400)가 엔진(100)에 가하여지는 축선 방향 및 원주 방향을 완충 및 흡수하여 진동 및 소음을 현저히 감소 및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는 제 1,2마운팅 요소와 제 3마운팅 요소가 엔진의 축선 방향 및 원주 방향 진동을 완화 및 방지하므로, 보디로의 전달력이 대폭 감소하는 잇점이 있고, 엔진 마운트 제어를 위하여 마운트를 견고하게 할 경우에도 진동 및 소음의 완충 및 방지에 유리한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키트(210)와, 상기 브래키트(210)에 결합된 댐퍼(220)와, 상기 브래키트(210)에 축(2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엔진(10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회동 지지바(230)로 이루어진 제 1마운팅 요소(200); 차체에 댐퍼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완충바(310)와, 상기 완충바(310)에 축(32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엔진(10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회동 지지바(320)로 이루진 제 2마운팅 요소(300); 엔진(1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브래키트(410)와, 상기 브래키트(410)에 결합되는 댐퍼(420)와, 상기 댐퍼(420)에 결합되고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바(430)로 이루어진 제 3마운팅 요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019970069379A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0027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379A KR100274833B1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379A KR100274833B1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299A true KR19990050299A (ko) 1999-07-05
KR100274833B1 KR100274833B1 (ko) 2000-12-15

Family

ID=1952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379A KR100274833B1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81B1 (ko) * 2017-07-21 2018-07-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4833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11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90050299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JP3983942B2 (ja) チルト式キャブの締結装置
KR200202992Y1 (ko) 엔진지지용 롤로드의 구조
KR100494418B1 (ko) 엔진의 롤 마운팅 구조
KR0137866Y1 (ko) 자동차 엔진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200156646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20040035263A (ko) 자동차의 리어롤스톱퍼
JP2584432Y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KR100427073B1 (ko)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JP200310636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39732Y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0048280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100440022B1 (ko) 엔진 마운팅 장치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9980060511U (ko) 자동차엔진용 파워트레인의 롤억제를 위한 마운트구조
KR200153110Y1 (ko) 보다 향상된 진동감쇠효과를 갖는 토크 롤 제어 브래킷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KR200147371Y1 (ko) 리저버일체형댐퍼
JP2002276713A (ja) 連結ロッド
KR100482873B1 (ko) 엔진의 진동 저감을 위한 엔진 마운팅 장치
KR19990000810U (ko) 엔진의 마운팅 구조
JPH0547033Y2 (ko)
JP2000136096A (ja) 後部重りと内燃機関とを備えた産業車両
KR100501433B1 (ko) 엔진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