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073B1 -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073B1
KR100427073B1 KR10-2001-0040779A KR20010040779A KR100427073B1 KR 100427073 B1 KR100427073 B1 KR 100427073B1 KR 20010040779 A KR20010040779 A KR 20010040779A KR 100427073 B1 KR100427073 B1 KR 10042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engine
rear bracket
cross member
roll r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474A (ko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0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8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후방측을 샤시의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는 롤 리어 브라켓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엔진에서 전달되는 저/중 주파수 영역의 진동이 감쇠되도록 하는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후방측을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기 위해 환봉의 일측으로 엔진측에 결합되기 위한 제1부쉬가 형성되는 롤 리어 브라켓트에 있어서,
크로스 멤버의 하부 일측에 제2부쉬의 일측면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주연과 상기 제2부쉬의 외주연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부쉬의 중심에 매립되는 너트에는 90도 각도로 절곡된 환봉의 절곡부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구조{Mounting apparatus of roll rear bracket}
본 발명은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후방측을 샤시의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는 롤 리어 브라켓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엔진에서 전달되는 저/중 주파수 영역의 진동이 감쇠되도록 하는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는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 변화,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 부분의 관성력, 커넥팅 로드가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 변화 등에 의해서 상당한 진동이 발생된다. 엔진은 섀시 프레임 또는 바디에 지지되어 있으나, 엔진의 진동이 섀시 프레임이나 바디에 전해져 승차감이 나빠지지 않도록 엔진 장착부에는 반드시 탄성체에 의한 엔진 지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엔진 지지장치(마운트 브라켓트)는 진동을 완화, 흡수함과 동시에 엔진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므로 지지부의 위치, 수, 구조 등에 대해서는 엔진의 종류, 섀시, 바디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브라켓트는 엔진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해 타이밍 기어 케이스 또는 실린더블럭 전단 하부의 양쪽을 각각 설치되고, 엔진의 후방부를 지지하기 위해 변속기 케이스의 후부에 설치된다.
도 5는 종래의 롤 리어 브라켓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엔진의 후방이 롤 리어 브라켓트로써 지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롤 리어 브라켓트(10)는 환봉(11)의 일측으로 엔진측에 장착되는 제1부쉬(1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크로스 멤버(2)에 장착되는 제2부쉬(15)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부쉬(12)는 제2부쉬(1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제1부쉬(12)의 강성은 강하고 제2부쉬(15)의 강성은 약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부쉬(12) 및 제2부쉬(15)의 케이스(12a,15a)는 각각 상기 환봉(11)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2a,15a)의 중심에는 볼트(3)가 통과되기 위한 축공(13,16)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2a,15a)와 축공(13,16) 사이에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14,17)가 충진된다. 특히, 상기한 제1부쉬(12)와 제2부쉬(15)는 서로 90도 각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롤 리어 브라켓트(10)의 제1부쉬(12)는 엔진의 후방에 볼트(3)로써 고정되고, 제2부쉬(15)는 크로스 멤버(2)의 하측에 볼트(3)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롤 리어 브라켓트는 엔진측에 결합되는 부쉬의 강성이 강해지므로서 엔진을 중심으로 끝단에 매스 덩어리를 가지는 외팔보의 구조를 유지하게 되어 환봉의 강성이 약하게 된다. 그리고 크로스 멤버 측의 부쉬는 차체의 강성을 가지고 움직여 아주 낮은 공진주파수를 가지게 되므로서, 엔진에서 전달된 진동이 크로스 멤버에 전달되어 실내 소음특성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성 향상을 위해서 환봉을 "ㅁ"자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롤 리어 브라켓트의 무게 및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의 후방측을 샤시의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는 롤 리어 브라켓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엔진에서 전달되는 저/중 주파수 영역의 진동이 감쇠되도록 하는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엔진의 후방측을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기 위해 환봉의 일측으로 엔진측에 결합되기 위한 제1부쉬가 형성되는 롤 리어 브라켓트에 있어서,
크로스 멤버의 하부 일측에 제2부쉬의 일측면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주연과 상기 제2부쉬의 외주연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부쉬의 중심에 매립되는 너트에는 90도 각도로 절곡된 환봉의 절곡부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 리어 브라켓트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롤 리어 브라켓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크로스 멤버에 제2부쉬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 리어 브라켓트를 장착하였을 경우의 진동모드를 보이는 그래프.
도 5 및 도 6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0 : 롤 리어 브라켓트
21 : 환봉 22 : 절곡부
24 : 제1부쉬 25 : 케이스
26 : 축공 27 : 고무부재
30 : 제2부쉬 31 : 케이스
32 : 너트 33 : 고무부재
40 : 크로스 멤버 41 : 공간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 리어 브라켓트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롤 리어 브라켓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크로스 멤버에 제2부쉬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 리어 브라켓트를 장착하였을 경우의 진동모드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한 롤 리어 브라켓트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 부호 50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멤버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롤 리어 브라켓트(20)의 환봉(21) 일측에는 종래와 같이 엔진측에 장착되기 위한 제1부쉬(24)가 고정형성된다. 상기 제1부쉬(24)는 종래와 같이 환형의 케이스(25)가 형성되고, 케이스(25) 중앙에 축공(26)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5)와 축공(26) 사이에 고무부재(27)가 충진된다. 그리고 환봉(21)의 다른 일측은 상기 제1부쉬(24)의 축공(26)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절곡되는데, 이렇게 절곡된 절곡부(22) 끝단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크로스 멤버(40)의 하부 일측에는 제2부쉬(30)의 외주연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부쉬(30)는 환형의 케이스(31)가 형성되고, 케이스(31)의 중앙에 상기 환봉(21)의 절곡부(22)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너트(3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와 너트(32) 사이에 고무부재(33)가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부쉬(30)는 상기한 크로스 멤버(40)의 공간부(41)에 일측이 수용된 채로 케이스(31)의 외주연이 상기 공간부(41)의 내주연에 용접되는데, 상기 제2부쉬(30)의 상부면과 상기 공간부(41)의 내부면 사이에는 소정 거리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 멤버(40)의 공간부(41)에 용접되어 고정된 상태인 제2부쉬(30)에 상기 롤 리어 브라켓트(20)를 장착할 때는, 우선 나사가 형성된 환봉(21)의 절곡부(22)를 제2부쉬(30)의 너트(32)에 나사결합한다. 그런 다음에 상기 제1부쉬(24)를 종래와 같이 볼트(3)로써 엔진측에 장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1)이 시동되면 크랭크 축의 회전 및 피스톤의 상하이동 등에 따라서 상당한 진동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진동은 엔진의 전후방을 지지하는 마운트 브라켓트에 의해서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 감쇠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롤 리어 브라켓트(20)의 경우에는 환봉(21)과 크로스 멤버(40) 측에 장착되는 제2부쉬(30)가 독립체로 형성되므로서 진동 전달 특성이 개선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 리어 브라켓트(20)로써 엔진의 후방을 지지할 경우의 진동모드를 그래프로서 보인 것으로, 종래의 롤 리어 브라켓트를 장착한 경우와 비교하면 주파수 영역이 300~500Hz인 경우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한 진동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는 특성이 개선되므로서 차량의 실내소음 수준이 향상되어진다.
또한 강성 향상을 위해서 환봉을 "ㅁ"자 형태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롤 리어 브라켓트의 무게 및 단가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 리어 브라켓트의 제2부쉬를 환봉과 독립적으로 형성하므로서 엔진에서 전달되는 저/중 주파수 영역의 공진 모드의 진동 및 소음이 감쇠될 뿐만 아니라, 강성 향상을 위해서 환봉을 "ㅁ"자 형태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롤 리어 브라켓트의 무게 밍 단가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엔진의 후방측을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기 위해 환봉의 일측으로 엔진측에 결합되기 위한 제1부쉬가 형성되는 롤 리어 브라켓트에 있어서,
    크로스 멤버(40)의 하부 일측에 제2부쉬(30)의 일측면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1)의 내주연과 상기 제2부쉬(30)의 외주연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부쉬(30)의 중심에 매립되는 너트(32)에는 90도 각도로 절곡된 환봉(21)의 절곡부(22)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구조.
KR10-2001-0040779A 2001-07-09 2001-07-09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KR10042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779A KR100427073B1 (ko) 2001-07-09 2001-07-09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779A KR100427073B1 (ko) 2001-07-09 2001-07-09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474A KR20030005474A (ko) 2003-01-23
KR100427073B1 true KR100427073B1 (ko) 2004-04-17

Family

ID=2771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779A KR100427073B1 (ko) 2001-07-09 2001-07-09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0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126A (ja) * 1990-11-26 1992-07-09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マウント
KR960011660U (ko) * 1994-09-29 199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유 엔진 마운트
KR19980049530U (ko) * 1996-12-30 1998-10-07 양재신 보다 향상된 진동감쇠효과를 갖는 토크 롤 제어 브래킷
KR19990011007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엔진의 롤 로드 마운팅부시
KR19990029699U (ko) * 1997-12-29 1999-07-26 정몽규 엔진지지용 롤로드의 구조
JP2000289467A (ja) * 1999-04-02 2000-10-17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126A (ja) * 1990-11-26 1992-07-09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マウント
KR960011660U (ko) * 1994-09-29 199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유 엔진 마운트
KR19980049530U (ko) * 1996-12-30 1998-10-07 양재신 보다 향상된 진동감쇠효과를 갖는 토크 롤 제어 브래킷
KR19990011007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엔진의 롤 로드 마운팅부시
KR19990029699U (ko) * 1997-12-29 1999-07-26 정몽규 엔진지지용 롤로드의 구조
JP2000289467A (ja) * 1999-04-02 2000-10-17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474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101B1 (ko) 차량의 변속기 마운트장치
KR10048911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00427073B1 (ko) 진동감쇠를 위한 롤 리어 브라켓트의 장착 구조
KR200202992Y1 (ko) 엔진지지용 롤로드의 구조
KR20080018484A (ko) 리어 롤 마운트 어셈블리
KR10048280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JP4136851B2 (ja) 防振マウント装置
KR200156646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JPH0658356A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00805473B1 (ko) 엔진 진동 흡수 구조
KR0185112B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
KR0137866Y1 (ko) 자동차 엔진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200147359Y1 (ko) 2개의 주파수를 가지는 댐퍼 일체형 인슐레이터
KR100274833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00535614B1 (ko) 엔진 마운트의 구조
KR19980054113U (ko) 자동차의 엔진 장착구조
KR200143931Y1 (ko) 스톱퍼 내장형 엔진마운트
KR100846039B1 (ko) 스토퍼 일체형 엔진마운트
KR19980074856A (ko) 자동차용 엔진의 마운팅 구조
KR19980060511U (ko) 자동차엔진용 파워트레인의 롤억제를 위한 마운트구조
KR20050007080A (ko) 차량의 엔진마운트 보강 구조
KR19990023002U (ko) 차량용 엔진 지지장치
KR19980054393U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