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041A -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041A
KR19990047041A KR1019970065255A KR19970065255A KR19990047041A KR 19990047041 A KR19990047041 A KR 19990047041A KR 1019970065255 A KR1019970065255 A KR 1019970065255A KR 19970065255 A KR19970065255 A KR 19970065255A KR 19990047041 A KR19990047041 A KR 19990047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acuum chamber
sides
vacuum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1935B1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9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1Block or short strip-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2Reinforcement elements including foams or expanded materials
    • B60J5/0454Reinforcement elements including foams or expanded materials being expanded onto door panel and forming a laminar structure with door panel, e.g. a r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맴버의 중앙부에 진공벽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벽의 양측으로 실린더를 연결한 장치에 의해 도어 충돌시 상기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진공벽에 진공형성이 이루어져 충격흡수가 되도록 한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는, 양 부에 꺽임유도부(11)(11')가 형성되고, 상기 양 꺽임유도부(11)(11') 사이에 진공실(12)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12)의 양측에 격벽(13)(13')을 형성하여 격벽(13)(13')의 양측으로 양 실린더실(14)(14')이 형성된 아웃터패널(10);
상기 아웃터패널(10)에 접합되어 상기 진공실(12)과 실린더실(14)(14')을 밀폐되도록하는 이너패널(15); 및
상기 양 실린더실(14)(14')과 연결되고 내부의 피스톤(16)이 외부의 와이어(17)에 연결되는 양 실린더(18)(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맴버의 중앙부에 진공벽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벽의 양측으로 실린더를 연결한 장치에 의해 도어 충돌시 상기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진공벽에 진공형성이 이루어져 충격흡수가 되도록 한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외측의 아웃패널과 내측의 인너패널을 합쳐서 창유리를 둘러싼 틀(도어프레임)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는 상하 2개의 힌지에 의해 지지되며, 내외측으로 설치된 도어핸들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어는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를 포함한다.
도어 외측의 핸들을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이라고 하며, 도어 내측의 핸들을 도어인사이드핸들이라고 하며,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핸들 전체를 끌어 올리는 풀업식과 한쪽이 힌지로 되어 있는 풀라이즈식으로 분류된다.
또한 도어에는 주행중 도어개폐의 필요는 전혀 없으므로 도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도어로크가 구성되는 데, 통상은 실내의 노브를 누르고 잠근상태로 함으로써 로크되지만, 리어도어와 같이 노브를 누른 채로 문을 닫았을 때 로크되는 것을 셀프로크, 프런트도어와 같이 실내노브를 누루고 문을 잠그어도 셀프로크되지 않는 것을 셀프캔슬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도어로크에 내장된 래치와 보디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로크 스트라이커와의 작용에 의해 개폐작동이 이루어진다.
도어의 개도는 약 60~70도가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도어를 반쯤 열린상태로 유지하며 더욱 열었을 때 스톱퍼의 역할을 하는 링크인 도어체크링크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에는 강성을 유지하며, 차량의 측면충돌시 그 충격흡수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된 보강맴버가 외측의 아웃터패널과 내측의 인너패널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종래의 보강맴버를 도 1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보강맴버(3)는 도어 외측의 아웃터패널(1)과 내측의 인너패널(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철판을 ㄷ자형태의 절곡시킨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의 상기 도어 보강맴버(3)는 차량의 도어 충돌시 단지 도어패널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패드역활이었기 때문에 충격흡수 및 승객의 보호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맴버의 중앙부에 진공벽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벽의 양측으로 실린더를 연결한 장치에 의해 도어 충돌시 상기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진공벽에 진공형성이 이루어져 충격흡수가 되도록 하여, 도어 자체의 강성을 증대하고, 차량 도어의 충격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실내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는, 양 부에 꺽임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꺽임유도부 사이에 진공실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의 양측에 격벽을 형성하여 격벽의 양측으로 실린더실이 형성된 아웃터패널; 상기 아웃터패널에 접합되어 진공실과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이너패널; 상기 양 실린더실과 연결되고 내부의 피스톤이 외부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양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어의 충돌시 맴버의 양 꺽임부가 꺽이게 되면 이 위치를 지나고 있는 와이어 역시 내부로 휘어지게 되어 이에 연결된 실린더의 피스톤을 잡아 당기게 되고, 피스톤의 후퇴에 의해 실린더는 진공실의 공기를 빨아들여 상기 진공실을 완전한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진공상태의 진공실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보강맴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강맴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강맴버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강맴버 2,10: 아웃터패널
3,15: 이너패널 11,11': 꺽임유도부
12: 진공실 13,13': 격벽
14,14': 실린더실 16: 피스톤
17: 와이어 18,18': 실린더
19: 발포층 20: 볼트
14a: 에어벤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강맴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정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강맴버의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는, 양 부에 꺽임유도부(11)(11')가 형성되고, 상기 양 꺽임유도부(11)(11') 사이에 진공실(12)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12)의 양측에 격벽(13)(13')을 형성하여 격벽(13)(13')의 양측으로 양 실린더실(14)(14')이 형성된 아웃터패널(10)과; 상기 아웃터패널(10)에 접합되어 상기 진공실(12)과 실린더실(14)(14')을 밀폐되도록하는 이너패널(15)과; 상기 양 실린더실(14)(14')과 연결되고 내부의 피스톤(16)이 외부의 와이어(17)에 연결되는 양 실린더(18)(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패널(10)과 이너패널(15) 사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발포층(1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4a는 실린더실(14)(14')의 에어벤트이고, 20는 보강맴버를 도어의 이너패널(2)에 설치시키는 볼트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보강맴버는 도 5에서와 같이 아웃터패널(1)과 이너패널(2)로 이루어진 도어의 상기 이너패널(2)에 볼트(20)를 사용하여 설치되고, 상기 양 볼트(20)에 보강맴버의 양 와이어(17)가 묶어진다.
이러한 설치상태에서 도어가 충돌되면, 약한 부위인 보강맴버의 양 꺽임부(11)(11')가 안으로 밀려 들어오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위치를 지나고 있는 양 와이어(17) 역시 내부로 밀려 들어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밀려 들어가는 양 와이어(17)가 이의 끝단에 연결된 양 실린더(18)(18')의 양 피스톤(16)을 잡아 당기게 되어져 상기 양 피스톤(16)은 실린더(18)(18') 내부에서 후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진공실(12)의 공기는 양 실린더(18)(18') 내부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실(12)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져 상기 진공상태의 진공실(12)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는, 양 부에 꺽임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꺽임유도부 사이에 진공실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의 양측에 격벽을 형성하여 격벽의 양측으로 실린더실이 형성된 아웃터패널; 상기 아웃터패널에 접합되어 진공실과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이너패널; 상기 양 실린더실과 연결되고 내부의 피스톤이 외부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양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도어의 충돌시 맴버의 양 꺽임부가 꺽이게 되면 이 위치를 지나고 있는 와이어 역시 내부로 휘어지게 되어 이에 연결된 실린더의 피스톤을 잡아 당기게 되고, 피스톤의 후퇴에 의해 실린더는 진공실의 공기를 빨아들여 상기 진공실을 완전한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진공상태의 진공실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져, 도어 자체의 강성이 증대되고, 차량 도어의 충격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실내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양 부에 꺽임유도부(11)(11')가 형성되고, 상기 양 꺽임유도부(11)(11') 사이에 진공실(12)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12)의 양측에 격벽(13)(13')을 형성하여 격벽(13)(13')의 양측으로 양 실린더실(14)(14')이 형성된 아웃터패널(10);
    상기 아웃터패널(10)에 접합되어 상기 진공실(12)과 실린더실(14)(14')을 밀폐되도록하는 이너패널(15); 및
    상기 양 실린더실(14)(14')과 연결되고 내부의 피스톤(16)이 외부의 와이어(17)에 연결되는 양 실린더(18)(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패널(10)과 이너패널(15) 사이에 발포층(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KR1019970065255A 1997-12-02 1997-12-02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KR10025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255A KR100251935B1 (ko) 1997-12-02 1997-12-02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255A KR100251935B1 (ko) 1997-12-02 1997-12-02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041A true KR19990047041A (ko) 1999-07-05
KR100251935B1 KR100251935B1 (ko) 2000-04-15

Family

ID=1952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255A KR100251935B1 (ko) 1997-12-02 1997-12-02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299A (zh) * 2021-04-27 2021-07-06 上海兹马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用防撞型车门板
CN113212647A (zh) * 2021-05-19 2021-08-06 无锡市申锡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用舱室铝质隔音阻气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299A (zh) * 2021-04-27 2021-07-06 上海兹马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用防撞型车门板
CN113212647A (zh) * 2021-05-19 2021-08-06 无锡市申锡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用舱室铝质隔音阻气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1935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634B2 (en) Vehicle hinge pillar and fender insulator
US5242208A (en) Structure of a body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0251935B1 (ko) 차량 도어의 충격흡수 보강맴버
KR0127074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7520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라 보강구조
KR0129215Y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용 도어
KR0133770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00444018B1 (ko) 충돌 강도 향상 및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도어용 비임 브라켓트 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100274935B1 (ko) 자동차 후드 스트라이커의 보강판 구조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970001039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48108Y1 (ko) 차량용 측면도어 구조
KR200182557Y1 (ko) 싸이드실 보강구조
KR0144515B1 (ko) 자동차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KR100262165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960040975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62272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36147A (ko) 승용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9980032345U (ko) 자동차의 사이드도어
KR19980062290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43457U (ko) 자동차 사이드실 및 도어 하단부의 보강구조
KR19980062490A (ko) 자동차용 백도어의 외측판넬 굴곡방지용 보강브래킷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