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575A -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575A
KR19990045575A KR1019980050775A KR19980050775A KR19990045575A KR 19990045575 A KR19990045575 A KR 19990045575A KR 1019980050775 A KR1019980050775 A KR 1019980050775A KR 19980050775 A KR19980050775 A KR 19980050775A KR 19990045575 A KR19990045575 A KR 19990045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electrode
dust collecting
self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마사 히로나카
유리꼬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후나이 데츠로
후나이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나이 데츠로, 후나이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나이 데츠로
Publication of KR1999004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5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or velocity of the primar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10Residue bur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사이의 방전작용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집진전극에 집진하는 전자식집진기 또는, 그 집진기가 탑재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자가청소시에, 발화, 발연, 발취를 억제하면서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를 분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전극(70)은 자가청소(self-cleaning)를 위한 히터(71)를 내장하고, 이 집진전극(70)표면에는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층(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집진전극(70)의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70)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71)를 통전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집진전극(70)에 부착된 먼지를 단계적으로 산화시켜 분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의 발화에 의한 연기,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집진전극(70)위의 먼지를 제거하여 집진전극(70)을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 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전자식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self-cleaning)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는 전자식집진기 및 이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공기를 청정화하는 장치로서 탈취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탈취장치는, 탈취촉매를 구비하여, 이 탈취촉매가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담배냄새 등의 냄새성분을 흡착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탈취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탈취장치로는 솜먼지 등의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를 소거할 수 없으며, 공기청정능력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솜먼지 등의 먼지도 소거할 수 있는 공기 청정장치로서 전자식집진기가 알려져 있다. 이 전자식집진기는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을 구비하고, 이들 양자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전극에 의해 주위의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미립자를 이온화하여 집진전극에 흡착시킴으로써,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식집진기에 있어서는, 보수(maintenance)없이 장기간에 걸쳐 집진을 할 수 있도록 집진전극에 히터를 취부하여, 이 히터에 의해 집진전극에 흡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여 제거하는 자가청소형(메인테넌스프리형; maintenance free형)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 실내유니트에 전자식집진기를 함께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소 64-28427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공기유통방향의 아래쪽 즉, 전면그릴과 그 내측에 설치된 열교환기의 사이에 전자식집진기를 설치하고, 집진기내에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집진전극에 흡착시킴으로 인해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집진기를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조화기는 본래의 공기조화기의 기능 외에 공기청정장치로서의 기능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에서는, 집진기가 열교환기의 공기유통방향의 위쪽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흡인이 저해되어, 본래의 공기조화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선형의 방전전극과 면형의 집진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자식집진기를 열교환기의 공기유통방향의 아래쪽에 실내유니트 케이싱내에 취부한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싱내에 집진기를 취부하면 집진전극의 관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상술한 전자식집진기와 같은 집진기로 집진전극에 히터를 취부하여 이 히터에 의해 집진전극에 흡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여 제거하는 자가청소형(메인테넌스프리형)의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가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가청소형 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히터의 온도의 상승속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자가청소시에 히터의 온도를 단번에 상승시켰다. 이에 따라 자가청소시에 먼지가 발화하여 냄새나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의 온도를 단번에 상승시키지 않고, 서서히 상승시켜, 먼지나 미립자를 단계적으로 분해함으로써 발화, 발연, 발취를 억제할 수 있는 전자식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자가청소기능을 갖는 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의 일부절결사시도,
도 2는, 공기조화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의 측면도,
도 3은, 전자식 집진기의 부분사시도,
도 4는, 전자식 집진기의 부분측면도,
도 5는, 전자식 집진기의 부분저면도,
도 6은, 집진전극의 요부단면도,
도 7은, 자가청소시의 집진전극의 표면온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조화기 2 : 취부판
10 : 케이싱
11 : 흡입구 12 : 토출구
30 : 열교환기
31 : 통풍로
50 : 전자식집진기
60 : 방전전극
70 : 집진전극
71 : 히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양자간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을 가지며,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전극에 집진하는 전자식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에 있어서, 집진전극은 집진전극을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며, 집진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가 설치되어 있어서, 히터에 의해 집진전극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킴으로써 촉매위에 부착된 먼지를 단계적으로 산화시켜 분해하여 집진전극을 자가청소하는 것이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전자식집진기의 집진동작시에는,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집진기에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방전전극에 의해 이온화되어, 집진전극위에 흡착됨으로써, 흡입공기가 청정화된다. 또한, 자가청소시에는, 히터가 통전제어됨으로써, 집진전극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되어 전극위에 부착된 (유기물 포함)먼지, 미립자를 촉매의 촉매작용에 의해 단계적으로 산화시켜 분해하여, 최종적으로 먼지가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무색무취기체로 된다. 이에 따라, 먼지의 발화에 의한 연기,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집진전극위의 먼지는 제거되며, 집진전극은 자가청소된다.
또한,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의 표면온도가 상온에서 먼지성분 물질의 발화온도미만의 온도까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를 통전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양자간에 고전압이 인가된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을 구비하여,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전극에 집진하는 전자식집진기에 있어서, 집진전극은 이 집진전극을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며, 이 집진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가 설치되어 있고, 집진전극의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 표면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를 통전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자가청소시에는, 제어수단에 의한 통전제어에 의해 집진전극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되므로, 상기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 자가청소는 통상, 집진동작을 종료하고 나서 필요에 따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의 표면온도가 상온에서 먼지성분물질의 발화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를 통전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와 토출구가 설치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내의 흡입구에 면하여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 및 케이싱내의 통풍로를 통해 토출구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팬과, 통풍로에 배치되어 통풍로를 통하는 공기중의 먼지를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사이에서 실시되는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전자식집진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집진전극은 이 집진전극을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고, 집진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가 설치되어 있으며, 집진전극의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표면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를 통전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공기조화 운전시에는 열교환기 및 팬이 구동됨으로써, 케이싱의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통풍로로 흐른다. 이 때, 통풍로 위에 설치된 전자식집진기의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방전전극에 의해 통풍로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이온화되어 집진전극위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흡입공기가 청정화되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집진전극의 자가청소시에는 히터에 대한 통전제어에 의해 집진전극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되어, 상기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자가청소는 통상 냉난방의 효율 등을 고려하여 냉난방운전을 종료하고나서 필요에 따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의 표면온도가 상온에서 먼지성분물질의 발화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를 통전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자가청소기능이 적용된 전자식집진기에 대하여, 공기조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5에 있어서,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공기조화기능과,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맑게 하는 집진기능을 함께 갖추며, 실내유니트로서 취부판(2)을 통하여 벽 등에 취부되는 것이다. 공기조화기(1)는, 전면(前面)이 공기흡입구(11)로서 개구되며, 공기흡입구(11)의 하방에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전면(前面)그릴(21)을 가지며, 케이싱(10)의 공기흡입구(11)에 장착되는 전면(前面)판넬(20)과, 케이싱(10)의 흡입구(11)에 면하여 케이싱(10)내에 설치된 열교환기(30)와, 이 열교환기(30)를 경유하여 흡입구(11)로부터 토출구(12)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해 토출구(12)의 안쪽에 설치된 크로스플로우(cross flow)형 팬(40)과, 열교환기(30)의 배면측 통풍로(31)에 배치된 전자식집진기(50)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전면판넬(20)과 열교환기(30) 사이에는, 필터(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토출구(12)에는, 각도조정식 루버(13)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내부에는, 공기조화기(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5)(제어수단)가 구비되어 있다. 열교환기(30)는 냉매배관에 의해 실외유니트(도시하지 않음)의 열교환기와 연결된다.
전자식집진기(50)는, 수평으로 설치된 선형의 방전전극(60)과, 이 방전전극(6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자가청소를 위한 시즈(seize)히터(71)를 내장한 막대형상의 집진전극(70)과, 이 집진전극(70)의 시즈히터(71)의 열을 차폐함과 동시에,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을 보지하는 열차폐판(80)(청구항에서 말하는 집진기취부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이 통풍로(31)내에 면하도록 케이싱(10)의 수직의 배판부(18)의 표면에 취부된다.
방전전극(60)을 구성하는 방전선(61)은, 그 양단부가 보지부재(62)에 취부된 전극(63)에 인장스프링(64)을 사이에 두고 보지되며, 인장스프링(64)의 장력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방전선(61)에는, 전극(63)으로부터 인장스프링(64)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집진전극(70)은, 방전전극(60)에 대하여 통풍로(31)위의 공기유통방향의 아래쪽에 방전전극(6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집진전극(70)은 그 길이방향 양단부(72)가 결합부재(73)에 의해 보지부재(74)에 고정된다. 이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에는, 공기청정동작시에 각각 정(正)의 직류전압, 부(負)의 직류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지부재(62) 및 보지부재(74)는 열차폐판(80)에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집진전극(70)은 시즈히터(71)를 내장하며, 이 시즈히터(71)는 알루미늄의 금속관(75)과, 이 금속관(75)내에 삽입된 전기저항선(76)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금속관(75)의 표면에는 제오라이트, 활성알루미나, 이산화망간 등으로 대표되는 촉매물질로 이루어지는 촉매층(77)이 도포 또는 용착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오라이트(일반적으로 비석(沸石)이라고 불려짐)는, 공동(空洞)을 갖는 삼차원그물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 공동내에 흡착된 분자의 반응을 촉진한다. 활성알루미나(Al2O3)는, 흡착능력이 높은 알루미나미세분말이며, 결정입자의 지름이 작고 표면적이 커서, 촉매, 촉매담체, 흡착제로서 적당하다. 이산화망간(MnO2)은, 상술한 제오라이트, 활성알루미나와 같이 촉매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금속관(75)과 전기저항선(76)이 접촉하지 않도록, 금속관(75)내에는 산화마그네슘(78)이 충전되어 있고, 이 금속관(75)의 단부(75a)는 유리밀봉재(79)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시즈히터(71)는, 단위면적당의 에너지가 작은 180W정도의 것이면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진기부착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공기조화시에는, 열교환기(30) 및 팬(40)을 동작시킴으로써, 실내공기가 전면판넬(20)의 전면그릴(21) 및 필터(32)를 통과하여 케이싱(10)내에 흡입되고, 열교환기(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그 배면측의 통풍로(31)의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이 통풍로(31)를 통과하는 공기는 집진기(50)의 주변을 통과한다. 여기서, 집진기(50)의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 사이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양전극(60, 70)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방전전극(60) 주위의 공기중에 존재하는 담배의 타아르(油煙)의 미립자나 솜먼지(綿埃) 등의 먼지에는 코로나에 의해 생긴 양이온이나 전자가 부착되어, 미립자나 먼지는 정(正)으로 대전된다. 그 결과, 양전극간의 쿨롬력에 의해 집진전극(70)에 끌어당겨져, 집진전극(70)에 포집되어, 전기집진이 이루어진다. 또한, 냄새성분인 미립자가 공기중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냄새성분은 집진전극(70)의 촉매층(77)에 의해 흡착탈취된다. 이렇게 하여, 열교환기(30)를 통과한 공기는, 그 배면측의 통풍로(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청정화되며, 공기토출구(12)로부터 실내로 토출된다.
여기에서, 집진전극(70)이 방전전극(60)의 공기유통방향의 아래쪽에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풍로(31)를 흐르는 공기의 풍력 및 먼지가 집진전극(70)으로부터 받는 쿨롱력에 의해, 먼지를 집진전극(70)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로서, 보다 많은 먼지를 집진전극(70)에 부착시킬 수 있고, 집진기(50)에 의한 집진효과가 향상된다.
도 7을 참고로, 집진전극(70)의 자가청소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자가청소는, 공기조화기(1)의 공기조화동작을 종료하고나서 필요에 따라 실시한다. 소정의 공기조화운전시간이 경과한 후의 공기조화운전정지시에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어회로(15)는 집진전극(70)의 표면온도가 상온(18℃)에서 350℃정도까지 약 20분에 거쳐 서서히 상승하도록 (즉, 15℃/분정도) 히터(71)를 통전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집진전극(70)표면에 부착된 타아르, 솜먼지 등의 먼지는, 촉매의 촉매작용을 받으면서, 단계적으로 산화되어 분해되며, 최종적으로는 300℃를 넘는 정도에서, 무색무취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되어, 집진전극(70)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먼지를 단계적으로 산화시킴으로써, 먼지의 발화에 수반되는 연기 및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집진전극(70)을 청소할 수 있다. 또, 집진전극(70)의 최종 표면온도가 먼지성분물질의 발화온도 미만의 온도에 머물기 때문에 먼지가 발화하여 연기등이 나지 않는다.
또한 제어회로(15)는 시즈히터(71)의 전기저항선(76)에 인가된 전류 또는 전압의 효율을 변화시켜 시즈히터(71)의 발열량을 제어하면 되고, 시즈히터(71)로 단위면적당 에너지가 적은 180W정도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제어회로(15)에 의한 통전제어가 100%의 효율이 되어도 시즈히터(71)의 최종온도가 350℃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발화온도의 하한인 400℃정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케이싱(10)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부재가 집진전극(70)에 접촉하여도 플라스틱이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능만을 갖는 전자식집진기에 본 발명의 자가청소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먼지의 발화에 의한 연기,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집진전극위의 먼지를 제거하고, 집진전극을 자가청소할 수 있다. 이 전자식집진기에 있어서, 자가청소동작은, 소정의 공기청정운전시간이 경과한 후의 청정운전정지시에 실시하도록 하면 된다. 또, 흡착형열분해방식의 탈취장치의 촉매재생방법에 본 발명의 자가청소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양전극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을 가지며,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전극에 집진하는 전자식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에 있어서, 집진전극은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며, 집진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가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에 의해 집진전극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킴으로써 촉매 위에 부착된 먼지를 단계적으로 산화시켜 분해하여 집진전극을 자가청소 하는 것으로 이 때, 발화, 발연, 발취를 억제하면서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를 분해할 수 있다.

Claims (6)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양자간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을 구비하며,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상기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 사이에 생기는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전자식집진기(50)의 집진전극자가청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진전극(70)은, 그 집진전극(70)을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71)를 구비하며, 이 집진전극(70)의 표면에는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7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71)에 의해 상기 집진전극(70)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촉매(77)상에 부착된 먼지를 단계적으로 산화시켜 분해하여, 이 집진전극(70)을 자가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집진기(50)의 집진전극청소세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70)의 표면온도가 상온에서 먼지성분물질의 발화온도미만의 온도까지 서서히 상승하도록 히터(71)를 통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집진기(50)의 집진전극자가청소방법.
  3.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양자간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을 구비하며,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상기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 사이에 생기는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전자식집진기(50)에 있어서,
    상기 집진전극(70)은, 이 집진전극(70)을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71)를 구비하며, 이 집진전극(70)의 표면에는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7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진전극(70)의 자가청소시에, 상기 집진전극(70)의 표면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되도록 상기 히터(71)를 통전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청소기능을 갖는 전자식집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70)의 표면온도가 상온에서 먼지성분물질의 발화온도미만의 온도까지 서서히 상승되도록 히터(71)를 통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청소기능을 갖는 전자식집진기.
  5. 공기의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설치된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내에 상기 흡입구(11)에 면하여 설치된 열교환기(30)와, 상기 흡입구(11)로부터 이 열교환기(30) 및 상기 케이싱(10)내의 통풍로(31)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팬(40)과, 상기 통풍로(31)에 배치되며 이 통풍로(31)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먼지를 방전전극(60)과 집진전극(7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방전작용을 이용하여 집진하여 공기를 맑게 하는 전자식집진기(5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1)에 있어서,
    상기 집진전극(70)은, 이 집진전극(70)을 자가청소하기 위한 히터(71)를 구비하고, 이 집진전극(70)의 표면에는 부착된 먼지를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한 촉매(7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진전극(70)의 자가청소시에 상기 집진전극(70)의 표면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되도록 상기 히터(71)를 통전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청소기능을 갖는 전자식집진기(50)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가청소시에 집진전극(70)의 표면온도가 상온에서 먼지성분물질의 발화온도미만의 온도까지 서서히 상승되도록 히터(71)를 통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청소기능을 갖는 전자식집진기(50)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KR1019980050775A 1997-11-26 1998-11-25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KR199900455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4808 1997-11-26
JP32480897A JP3277869B2 (ja) 1997-11-26 1997-11-26 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575A true KR19990045575A (ko) 1999-06-25

Family

ID=1816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75A KR19990045575A (ko) 1997-11-26 1998-11-25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56099A (ko)
EP (1) EP0919286A3 (ko)
JP (1) JP3277869B2 (ko)
KR (1) KR19990045575A (ko)
TW (1) TW3722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0061B2 (en) 2001-10-26 2003-12-0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Vapor purification with self-cleaning filter
FR2843547B1 (fr) * 2002-08-14 2004-09-17 Faurecia Sys Echappement Protection des resistances de regeneration dans un electrofiltre
JP2006112929A (ja) * 2004-10-15 2006-04-27 Shimadzu Corp 浮遊粒子の分析装置
ES2288119B1 (es) * 2006-05-12 2008-08-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para la limpieza y la climatizacion de aire.
US20070295207A1 (en) * 2006-06-23 2007-12-27 Sceptor Industries, Inc. Electrostatic collection device
KR100793892B1 (ko) * 2006-09-26 200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매연여과장치용 입자상 물질 여과 시스템
EP2276915A2 (en) * 2008-03-25 2011-01-26 Ogut, Ali Non-thermal plasma particulate redu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869245B2 (ja) * 2011-07-15 2016-02-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貼付装置及びシート貼付方法並びに転写装置
TWI518555B (zh) 2012-11-30 2016-01-21 和冠股份有限公司 電磁筆與其控制方法
CN103388858B (zh) * 2013-06-25 2016-04-27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放电等离子体的室内气体净化装置
US20160118220A1 (en) * 2014-10-23 2016-04-28 E/G Electro-Graph, Inc. Geometric field enhancement to maintain electrode conductivity
US9903016B2 (en) 2014-10-23 2018-02-27 E/G Electro-Graph, Inc. Device having preformed triple junctions to maintain electrode conductivity and a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device
ES2546687A1 (es) * 2015-06-30 2015-09-25 Universidad De Vigo Precipitador electrostático autoregenerable y método de autoregeneración de precipitadores electrostáticos
US10980911B2 (en) 2016-01-21 2021-04-20 Global Plasma Solutions, Inc. Flexible ion generator device
US11283245B2 (en) 2016-08-08 2022-03-22 Global Plasma Solutions, Inc. Modular ion generator device
US11695259B2 (en) 2016-08-08 2023-07-04 Global Plasma Solutions, Inc. Modular ion generator device
CN107694754B (zh) * 2017-10-17 2024-02-02 深圳市涤风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高压静电吸附将固体与气体分离的设备
EP3752209A4 (en) 2018-02-12 2021-10-27 Global Plasma Solutions, Inc SELF-CLEANING ION GENERATOR DEVICE
US11581709B2 (en) 2019-06-07 2023-02-14 Global Plasma Solutions, Inc. Self-cleaning ion generator device
CN111609499B (zh) * 2020-06-01 2021-07-06 河北米微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增氧式新风净化机
US20230043567A1 (en) 2021-08-03 2023-02-09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odo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42152A1 (en) * 1973-08-31 1975-03-28 Dietrich & Cie De Electrostatic air and smoke filter - electrode coatings cause catalytic decomposition of deposited particles
JPS52157651U (ko) * 1976-05-25 1977-11-30
US4544388A (en) * 1983-12-27 1985-10-01 Ford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eriodically oxidizing particulates collected from exhaust gases
DE3723544A1 (de) * 1987-07-16 1989-01-26 Man Technologie Gmbh Elektrostatischer filter zum reinigen von gasen
IT1230462B (it) * 1989-02-10 1991-10-23 Sviluppo Materiali Spa Sistema per l'abbattimento del particolato nei gas di combustione
JP3155775B2 (ja) * 1991-07-19 2001-04-1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電気集塵機
JPH06180127A (ja) * 1992-12-10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臭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H06180128A (ja) * 1992-12-10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臭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72269B (en) 1999-10-21
EP0919286A3 (en) 1999-09-29
US6156099A (en) 2000-12-05
EP0919286A2 (en) 1999-06-02
JPH11156240A (ja) 1999-06-15
JP3277869B2 (ja)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5575A (ko)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JP3129263B2 (ja) 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JP3246427B2 (ja) 電子式集塵器と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KR101322886B1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KR100708547B1 (ko) 전기 집진기
JPH0544959A (ja) 空気浄化調和装置
JP2010142773A (ja) 集塵装置
JP2010063947A (ja) 空気清浄機
JPH11197546A (ja) 電子式集塵器とそれを有した空気調和機
JP2001062342A (ja) 電気集塵機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3284955B2 (ja) 電子式集塵器及び空気調和機
JP3129260B2 (ja) 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JP2000024545A (ja) 除煙装置
JP3267239B2 (ja) 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JP3284538B2 (ja) 排気装置
JP3051010U (ja) 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JP3343596B2 (ja) イオン式空気清浄器
CN212841749U (zh) 一种内循环油烟机
CN214332992U (zh) 一种臭氧还原模块及空气净化器
CN213467349U (zh) 一种等离子废气净化装置
JP3129270B2 (ja) 電子式集塵器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1223175A (zh) 集尘电极的自除尘方法、电子式集尘器和空调器
KR200316329Y1 (ko) 공기청정기
JP3125986B2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電気集塵装置
CN1221871A (zh) 带电子式集尘器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