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771A -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771A
KR19990044771A KR1019980028816A KR19980028816A KR19990044771A KR 19990044771 A KR19990044771 A KR 19990044771A KR 1019980028816 A KR1019980028816 A KR 1019980028816A KR 19980028816 A KR19980028816 A KR 19980028816A KR 19990044771 A KR19990044771 A KR 1999004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upport
link
snowboard
shaft
suppo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723B1 (ko
Inventor
심뻬이 오까지마
가즈끼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1999004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27Ski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ype or construction details
    • A43B5/0466Adjustment of the side inclination of the boot leg; Cant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27Ski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ype or construction details
    • A43B5/0435Adjustment of the boot to the foot
    • A43B5/0439Adjustment of the boot to the foot to the heel; Heel clamping devices; Hee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1Snowboard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27Ski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ype or construction details
    • A43B5/0452Adjustment of the forward inclination of the boot 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을 앞으로 기울인 위치로부터 가로방향의 이동에 따라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이 이동할 때, 그 다리부분의 각 위치에 대응한 추종동작이 가능하다.
발을 가로로 이동시키면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의 제 3 축볼트의 궤적은 최초로 제 1 축볼트의 중심(O1)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α 접동한다. 각도α의 이동이 완료되면,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의 제 3 축볼트의 궤적은 중심(O2)을 중심으로 한 반경R2에서 각도β의 접동 동작이 된다. 중심(O2)은 스노우 보드 부츠의 구두바닥부분의 내측 부근에 위치한다. 이들의 접동은 제 2 링크가 제 2 축볼트 및 제 3 축볼트 부분이 접동하여 추종한다.

Description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본 발명은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부분을 구두바닥 또는 발꿈치부분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또는 전후방향으로 즉, 2축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어 접동할 수 있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노우 보드는 눈 위를 미끄러지는 스키의 일종이다. 스노우 보드에 대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탑승방향은 통상 발꿈치로부터 발끝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탑승방향은 스키가 보드의 길이방향과 평행인 세로방향 탑승인 것에 대해서 스노우 보드는 보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가로방향 탑승이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스노우 보드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진행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오른쪽 발을 앞으로 기울이면서(린) 진행방향으로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즉, 발목에는 앞으로 기울인 자세 외에 가로방향으로의 경사자세가 요구된다. 진행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앞으로 기울이면서 외측 즉,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운동은 특히 오른쪽 발에 있어서 중요하다.
종래, 스노우 보드의 대개의 중심선의 주위에 상하부위, 특히 발꿈치부와 그 발꿈치부의 상방부위의 통부(발목부분), 또는 다리부분이 상대적으로 회전, 즉, 접동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접동기구가 독일 공개공보 DE3622746A1, 일본특허공개공보 7-298902호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접동의 자유로움을 얻기 위해 발꿈치의 상방위치에 있는 어퍼(upper)부를 대개 발의 전후방향으로 향해서 축중심선의 주위에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을 접동시키는 힌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인간의 발목을 구성하는 골격구조는 자유롭게 연결된 입체 아치구조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입체 아치구조는 직립자세의 발을 가로방향으로 기울이기 어렵게 하고 있다. 즉, 이 입체 아치구조는 발목을 앞으로 기울이는 운동과의 복합에 필요없는 가로 방향의 경사운동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발을 앞으로 기울이는 동작과 함께 발의 가로방향의 동작에 원활하게 추종할 수 있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의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스노우 보드 부츠는 유연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발에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의 비교적 작은 이동에는 추종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술한 발의 가로이동을 해석하면 단순한 움직임이 아니며 특히 발목의 위치에 따라서도 다르다.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이 라이더(rider)의 발과 일체로 가로이동하고 있다고 하면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의 자연스러운 가로이동에 추종시키는 것은 라이더의 발의 가로이동에 결과로서 추종시키는 것과 같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아래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을 앞으로 기울인 위치로부터 가로방향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서포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을 앞으로 기울인 위치로부터 가로방향의 이동에 따라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이 이동할 때, 그 다리부분의 각 위치에 대응한 추종동작이 가능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서포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을 뒤로 기울인 동작을 했을 때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을 뒤로 기울이는 동작을 스톱할 수 있는 스토퍼 구조를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서포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는 하이백서포트와 힐컵과의 연결부분의 확대도,
도 2(b)는 도 2(a)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링크구조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링크기구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링크기구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링크기구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링크기구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두바닥부분 2: 발끝부분 3: 발꿈치부분 4: 다리부분
5: 힐컵 12: 축볼트 15: 하이백서포트 16: 스토퍼면
20: 스토퍼기구 25, 80, 95: 링크기구 33: 워셔
42: 고정판 57, 96: 제 1 링크 60, 99: 제 2 축볼트
61: 제 2 링크 64: 제 3 축볼트 65: 고정판
85: 4절 평행링크구조 110: 링크기구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수단을 채용한다.
제 1 의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은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 보드 부츠에 설치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발꿈치로부터 발끝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을 접동이 가능한 접동축의 중심위치를 미세 조정하며, 상기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다리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의 본 발명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은,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을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1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제 2 부분과 제 1 부분이 제 2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제 2 부분과 상기 다리부분이 제 3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2 링크로 이루어진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의 간격을 상기 제 2 축과 상기 제 3 축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 4 발명은 제 2 발명 또는 제 3 발명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축, 상기 제 3 축 및 상기 제 2 축의 높이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제 5 발명은 제 2 발명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축, 상기 제 2 축 및 상기 제 3 축의 높이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제 6 발명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은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을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1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2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제 2 부분과 제 1 부분이 제 3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제 2 부분과 상기 제2 링크의 제 2 부분이 제 4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3 링크로 이루어진다.
제 7 발명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은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을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백서포트와, 상기 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1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상기 다리부분에 제2 부분이 제 2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링크로 이루어진다.
제 8 발명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은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과,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를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하이백서포트의 접동을 규제하여 일단을 상기 구두바닥에 형성된 스토퍼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접동 레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면은 상기 구두바닥의 발꿈치부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서포트 시스템을 탑재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스노우 보드 부츠는 구두바닥부분(1), 발끝부분(2), 발꿈치부분(3), 다리부분(4)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두바닥부분(1), 발끝부분(2) 및 발꿈치부분(3)의 내부에는 구두의 바닥에 배치되어 심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힐컵(heel cup : 5)이 배치되어 있다(도2 참조). 힐컵(5)의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내용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힐컵(5)의 후부의 상부(6)의 양측에는 관통구멍인 하이백서포트(high back support)취부구멍(7)이 3개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 사이에는 스트랩(strap : 10)의 양단이 축볼트(12)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걸쳐져 있다. 스트랩(10)은 다리부분(4)과 발끝부분(2)의 경계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분(4)을 앞으로 기울이면 이 경계면에서 절곡된다. 이 경계부를 스트랩(10)으로 꽉 조이면 발과 스노우 보드 부츠를 고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스트랩(10)에는 스트랩(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13)가 배치되어 있다. 조절기구(13)를 조작함으로써 스트랩(10)의 조임과 언클램프 조작을 한다. 조절기구(13)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은 주지의 내용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스트랩(11)이 다리부분(4)에 배치되어 스트랩(11)을 조작함으로써 다리부분(4)을 꽉조여서 발목과 일체로 고정한다. 구두끈(8)은 스노우 보드 부츠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끈이며, 그 고정방법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후크(9)에 구두끈(8)을 크로스하여 걸쳐서 발을 스노우 보드에 고정하는 타입이다.
스노우보드의 양측의 축볼트(12)에는 하이백서포트(15)의 양단이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하이백서포트(15)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표피(14)의 외측에 배치되며, 주로 발목의 배면을 간접적으로 서포트하는 것이다. 하이백서포트(15)는 발목의 후경자세(後傾姿勢)때 압력을 받아 그 압력을 힐컵(5)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이백서포트(15)의 양단은 축볼트(12)에 의해 힐컵(5)의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하이백서포트(15)의 중앙하단에는 스토퍼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기구(20)는 하이백서포트(15)의 축볼트(12)를 중심으로 한 후경동작만을 규제하여 일단을 힐컵(5)의 상면에 형성된 스토퍼면(16)에 접촉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하이백서포트(15)의 상단에는 링크기구(25)가 배치되어 있다. 링크기구(25)는 다리부분(4)의 후경동작을 하이백서포트(15)로 전달하여 힐컵(5)으로 전달하면 다리부분(4)의 접동 축을 중심으로 한 접동 및 이 접동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가로이동의 복합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는 하이백서포트와 힐컵과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2(B)는 도 2(A)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 은 스노우 보드 부츠의 서포트 시스템의 배면도, 도 4 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구조 및 서포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힐컵(5)의 후부의 상부(6)의 양측에는 관통구멍인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이 3개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을 둘러싸도록 그 외주는 일정한 깊이로 타원형의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의 내주면에는 요철형상의 파상돌기(32)가 일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내에는 워셔(washer : 33)가 삽입되어 있다. 워셔(33)의 외주면에는 요철형상의 파상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파상돌기(32)와 파상돌기(34)는 형상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워셔(33)를 오목부(31)에 삽입할 수 있다. 워셔(33)에는 2개소에 볼트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내의 워셔(33)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볼트구멍(35)의 위치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이백서포트(15)의 오목부(31)의 3개소의 위치에 볼트구멍(35)을 배치한 효과가 있다.
최초로 볼트인 축볼트(12)가 스트랩(10)의 취부구멍(37)에 삽입되며, 다음 워셔(33)의 볼트구멍(35)에 삽입되고, 최후로 힐컵(5)에 3개 형성된 것 중 하나의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을 관통하여 힐컵(5)의 내면에 배치된 너트(36)에 축볼트(12)가 순차삽입 또는 나사 결합되어 있다. 결국, 하이백서포트(15)는 볼트구멍(35) 및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에 삽입된 축볼트(12)를 중심으로 하여 접동한다. 이 접동중심은 볼트구멍(35) 및 하이백서포트 취부구멍(7)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6개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기구(20)]
도 3 ,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백서포트(15)의 중앙부의 후면에는 일정 피치로 단면형상이 구형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돌기(40)가 2렬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40)의 중간위치에는 볼트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40)의 위에는 고정판(42)이 고정볼트(43) 및 너트(44)에 의해 하이백서포트(1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42)에는 일정 피치로 단면형상이 구형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하이백서포트(15)의 위치결정돌기(40)와 고정판(42)의 위치결정돌기(45)는 동일 피치이기 때문에 고정판(43)은 소망하는 위치로 맞물려 고정된다. 고정판(42)은 오목형상의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6)에는 스토퍼레바(47)가 축(48)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레바(47)는 스프링(49)에 의해 항상 하이백서포트(15)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레바(47)의 스토퍼면(50)이 힐컵(5)의 상면에 형성된 스토퍼면(16)에 접촉하여 하이백서포트(15)의 축볼트(12)를 중심으로 하는 접동을 정지시킨다.
[링크기구(25)]
도 4 도는 제 1 링크기구부분의 측단면도, 도 5 는 링크기구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링크기구(25)는 하이백서포트(15)와 다리부분(4)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이백서포트(15)의 상단에는 관통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55)에는 너트(56)가 삽입되어 있다. 너트(56)에는 제 1 축볼트(58)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 제 1 축볼트(58)에 제 1 링크(57)의 일단이 접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57)의 타단에는 관통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59)에는 부싱이 삽입되며, 이 부싱 구멍에 제 2 축볼트(60)가 삽입되고, 이 제 2 축볼트(60)의 선단은 제 2 링크(61)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구멍(62)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또한, 제 2 링크(61)의 타단에는 관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63)에는 부싱(미도시)이 삽입되며 이 부싱에 제 3 축볼트(64)가 삽입되어 있다.
제 3 축볼트(64)는 고정판(65)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구멍(66)에 삽입되어 있다. 제 3 축볼트(64)에는 2개의 구면좌금(球面座金: 67)이 삽입되며, 2개의 구면좌금(67) 사이에는 제 2 링크(6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구면좌금(67)은 제 3 축볼트(64)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은 로크너트(lock nut : 68)에 의해 제 3 축볼트(64)에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링크(61)는 구면좌금(67)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 3 축볼트(64)를 중심으로 한 접동운동과 약간의 구면운동이 가능하다.
제 3 축볼트(64)의 외주에는 부싱(71)이 배치되며, 그 타단은 너트판(7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판(70)과 고정판(65) 사이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백서포트(72)가 끼워져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판(65)의 타단에는 고정볼트(75)가 배치되며, 고정볼트(75)의 외주에는 부싱(76)이 배치되고 그 선단은 너트판(7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결국, 백서포트(72)에 고정판(65)과 제 3 축볼트(64)가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 고정된 제 3 축볼트(64)에 제 2 링크(61)의 일단이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제 2 링크(61)의 타단에 제 2 축볼트(6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제 2 축볼트(60)의 타단에 제 1 링크(57)의 일단이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링크(61)의 타단이 하이백서포트(15)에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게 된다. 이들의 구조는 주로 2링크, 3절의 링크구조(25)를 구성하게 된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다음,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스노우 보드 부츠를 신고 스노우 보드(미도시) 위에 타면 스노우 보드의 스피드와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발을 이동시킨다. 발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사람의 발구조에 의해 발꿈치(복사뼈)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도 앞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다리부분(4)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다리부분(4)이 유연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발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사람의 발구조로부터 발꿈치(복사뼈)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뒤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도 뒤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은 다리부분(4)의 후경동작은 링크구조(25)를 통해서 하이백서포트(15)에 전달된다. 하이백서포트(15)로 전달된 후경동작은 스토퍼레바(47)의 스토퍼면(50)이 힐컵(5)의 상면에 형성된 스토퍼면(16)에 접촉하여 하이백서포트(15)의 접동을 받아낸다. 이에 의해 발의 후경동작은 힐컵(5)에 전달되어 이 힘이 스노우 보드(미도시)로 전달되어 활주를 제어한다.
다음, 도 3 을 참조하여 발을 가로 이동시킬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발꿈치로부터 발끝방향을 정방방향이라 하면, 발을 가로 이동시키면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의 제 3 축볼트(64)의 궤적은 다음과 같이 된다.
제 3 축볼트(64)의 중심은 최초로 제 1 축볼트(58)의 중심(O1)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α)를 접동한다. 즉, 제 1 축볼트(58)의 중심(O1)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R1)의 궤적을 나타낸다. 이 각도(α)의 이동은 기계적으로 제 1 축볼트(58)의 중심(O1)을 중심으로 한 이동이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 각도(α)의 이동은 복사뼈를 중심으로 한 원운동에 의한 접동 이동에 근사하는 이동이라 추정된다.
이와 같이 각도(α)의 이동이 완료되면,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의 제 3 축볼트(64)의 궤적은 중심(O2)을 중심으로 한 반경(R2)으로 각도β의 접동동작이 된다. 중심(O2)은 스노우 보드 부츠의 구두바닥부분(1)의 내측부근에 위치한다. 이 접동은 제 2 링크(61)에 제 2 축볼트(60) 및 제 3 축볼트(64)부분이 접동하여 추종한다. 이것은 복사뼈를 중심으로 하는 접동으로부터 발꿈치를 중심으로 한 접동동작으로 변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링크, 3절을 구비한 링크구조이기 때문에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의 제 3 축볼트(64)의 궤적은 반경이 변화하여도 추종할 수 있다. 즉, 링크구조(25)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의 접동의 복잡한 이동에 대응하는 미세조정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링크구조(25)는 구두바닥의 위치로부터 얘기하자면 제 1 축볼트(58)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제 2 축볼트(60)의 위치는 제 3 축볼트(6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 3 축볼트(60)의 이동궤적은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의 특정위치의 이동궤적에 있어서 다리부분(4)의 궤적이 반드시 동일한 궤적을 나타낸다고는 할 수 없다.
도 6, 도 7 에 나타낸 링크구조(80)는 2링크, 3절의 링크구조인 점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링크구조(25)와 동일하며 2링크의 길이도 동일하다. 상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접동링크구조(25)와 다른 점은 제 3 축볼트(64)의 위치가 다르다는 점이다. 즉, 제 1 축볼트(58)를 기준위치로 하면 제 2 축볼트(60)는 높이 H1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에 고정된 제 3 축볼트(64)는 높이 H2의 위치에 위치되어 H2〉H1의 관계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부분(4)으로의 제 3 축볼트(64)의 고정위치의 이동궤적에 의해 이 구조를 채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즉, 다리부분(4)으로의 제 3 축볼트(64)의 고정위치의 이동궤적이 제 1 축볼트(58)를 중심으로한 반경 H2에 가까운 원호의 궤적일 경우에 이 구조를 채용한다.
[제 3 실시예]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링크구조(25) 및 링크구조(80)는 2링크, 3절 구조였다. 도 8, 도 9 도에 나타낸 것은 4절 평행링크구조(85)이다. 즉, 4절 평행링크구조(85)는 다리부분(4)의 일부를 원호 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리부분(4) 전체를 가로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하는 구조이다. 하이백서포트(15)에 제 1 축볼트(86)에 의해 제 1 링크(87)의 하단을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제 3 링크(91)의 하단을 제 4 축볼트(92)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다.
제 1 링크(87)의 상단을 제 2 축볼트(88)에 의해 제 2 링크(89)의 일단과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함과 동시에 제 2 축볼트(88)는 다리부분(4)에 고정한다. 제 2 링크(89)의 타측은 제 3 링크(91)의 상단을 제 3 축볼트(90)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함과 동시에 제 3 축볼트(90)는 다리부분(4)에 고정한다. 결국, 하이백서포트(15), 제 1 축볼트(86), 제 1 링크(87), 제 2 축볼트(88), 제 2 링크(89), 제 3 축볼트(90), 제 3 링크(91) 및 제 4 축볼트(92)로 4절 평행링크구조(85)를 구성한다.
제 2 축볼트(88) 및 제 3 축볼트(90)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분(4)은 발의 가로 이동에 추종하여 평행이동, 즉, 구두바닥의 평면방향과 동일한 평행이동을 하게된다.
[제4 실시예]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링크구조(95)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의 링크구조(95)는 1링크, 2절의 링크구조이다. 이 링크구조(95)는 백서포트(72)를 강체(剛體)로 보면 고정연쇄기구이지만 실제의 백서포트(7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간의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고정연쇄기구가 아니다.
제 1 축볼트(58)로 구성되는 제 1 절(97)은 제 1 축볼트(58)에 제 1 링크(96)의 일단이 접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접동기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링크(96)의 타단에는 관통구멍(98)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98)에는 제 2 축볼트(99)가 삽입되며 제 2 축볼트(99)에 의해 제 1 링크(96)의 타단의 접동이 자유롭다.
즉, 제 2 축볼트(99)와 제 1 링크(96)의 관통구멍(98)은 제 2 절(100)을 구성한다. 제 2 축볼트(99)의 백서포트(72)로의 고정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의 링크구조(95)는 1링크, 2절 링크구조이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형태에 비해 기구적으로 운동이 제약을 받지만 간소한 기구이기 때문에 좋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은 스노우 보드 부츠를 배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도면이며, 도 12 는 도 11 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힐컵(5)의 후부배면에는 Y자 형상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제 1 절 지지금구(支持金具: 101)의 하부가 리벳(10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1 절 지지금구(101)의 상단에는 제 1 링크(103)의 하단이 접동이 자유롭게 축(104)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축(104)은 제 1 절(105)을 구성한다.
제 1 링크(103)의 상단은 다리부분 백서포트(106)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10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축(104)은 제 2 절(107)을 구성한다. 결국, 이 링크구조(110)는 상술한 링크구조(95)와 동일한 1링크, 2절의 링크구조를 구성한다. 제 1 절 지지금구(101)를 이용하여 링크구조(110)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절(105)의 높이를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 1 절(105)의 위치의 조절범위가 넓어졌다. 또한, 링크기구(110)는 힐컵(5)과 같이 높이가 낮은 백서포트에도 링크기구(110)를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은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추종하기 때문에 라이더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으며 조종성도 좋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 보드 부츠에 설치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발꿈치로부터 발끝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노우 보드 부츠의 다리부분을 접동 가능한 접동축의 중심위치를 미세조정하며, 상기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다리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링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2.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을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1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제 2 부분과 제 1 부분이 제 2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제 2 부분과 상기 다리부분이 제 3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2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3. 제 2 항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의 간격이 상기 제 2 축과 상기 제 3 축의 간격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축, 상기 제 3 축 및 상기 제 2 축의 높이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5. 제 2 항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축, 상기 제 2 축 및 상기 제 3 축의 높이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6.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을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와,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1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2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제 2 부분과 제 1 부분이 제 3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제 2 부분과 제 2 링크의 제 2 부분이 제 4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3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7.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을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에 부착되는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백서포트와,
    상기 백서포트에 제 1 부분이 제 1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상기 다리부분에 제 2 부분이 제 2 축에 의해 접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8. 발목의 외주를 둘러싸기 위한 다리부분과, 상기 다리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두바닥과, 상기 구두바닥에 연결되어 주로 발목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이백서포트를 구비한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이백서포트에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하이백서포트의 접동을 규제하여 일단을 상기 구두바닥에 형성된 스토퍼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접동레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9. 제 8 항의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면은 상기 구두바닥의 발꿈치부분의 상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부츠의 백서포트 시스템.
KR1019980028816A 1997-11-18 1998-07-16 스노우보드부츠의백서포트시스템 KR100294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561 1997-11-18
JP33356197 1997-11-18
JP36572897 1997-12-22
JP9-365728 1997-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771A true KR19990044771A (ko) 1999-06-25
KR100294723B1 KR100294723B1 (ko) 2001-09-17

Family

ID=2657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816A KR100294723B1 (ko) 1997-11-18 1998-07-16 스노우보드부츠의백서포트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12237A (ko)
KR (1) KR100294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3118B1 (en) 1998-12-02 2003-12-16 Shimano, Inc. Snowboard interface with an upper portion that translates and rotates relative to a lower portion
US6283482B1 (en) * 1998-12-07 2001-09-04 The Burton Corporation Binding with a tool-free selectively adjustable leg support member
IT1307012B1 (it) * 1999-01-26 2001-10-11 Scarpa Calzaturificio Spa Scarpone da sci.
US6231066B1 (en) * 1999-03-03 2001-05-15 Shimano Inc. Active highback system for a snowboard boot
US6554296B1 (en) * 2000-04-28 2003-04-29 The Burton Corporation Highback with independent forward lean adjustment
US20020089151A1 (en) 2001-01-09 2002-07-11 Carrasca Robert G. Hinge strap for snowboard conventional binding
US6519877B2 (en) 2001-01-12 2003-02-18 K-2 Corporation Snowboard boot with removable upper support
ATE357858T1 (de) * 2001-01-22 2007-04-15 Scarpa Calzaturificio Spa Skischuh
US20060237920A1 (en) * 2005-04-25 2006-10-26 K-2 Corporation Virtual forward lean snowboard binding
AT503543B1 (de) 2006-07-18 2007-11-15 Barthel Fritz Sportschuh
US9155351B2 (en) * 2007-11-06 2015-10-13 Black Diamond Equipment, Ltd. Selectable boot articulation system
US7992888B2 (en) * 2007-12-07 2011-08-09 K-2 Corporation Blockless highback binding
IT1404279B1 (it) * 2011-01-24 2013-11-15 Head Technology Gmbh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della posizione del gambale rispetto allo scafo, particolarmente per scarponi da sci.
US10130138B2 (en) * 2016-01-22 2018-11-20 Apex Sports Group, Llc Exoskeletal boot
US11278079B2 (en) * 2018-01-16 2022-03-22 Phantom Snow Industries Llc Adjustable and dual-suspension boot lev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378A (ja) * 1991-10-15 1993-04-30 Hitachi Ltd 電子顕微像観察方法及び装置
IT1255752B (it) * 1992-05-22 1995-11-15 Scarpone per snowboarding,dotato di mezzi per l'inclinazione regolabile ed assistita del piede
US5435080A (en) * 1992-12-17 1995-07-25 Meiselman; Jamie Boot for snowboarding and the like
US5437466B1 (en) * 1993-07-19 1997-11-18 K 2 Corp In-line roller skate
US5802741A (en) * 1993-07-19 1998-09-08 K-2 Corporation Snowboard boot
DE4333503C2 (de) * 1993-10-01 1995-07-27 Usp Markeing & Vertriebs Gmbh Snowboard-Stiefel
FR2719197B1 (fr) * 1994-04-29 1996-07-12 Salomon Sa Chaussure pour sport de glisse.
JP2812912B2 (ja) * 1995-11-10 1998-10-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ブーツ
IT1279471B1 (it) * 1995-11-16 1997-12-10 Tecnica Spa Scarpa non rigida per snow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12237A (en) 2000-01-11
KR100294723B1 (ko) 200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723B1 (ko) 스노우보드부츠의백서포트시스템
US7621542B2 (en) Snowboard binding and related methods
US6094842A (en) Sports boot having a mobile collar
JPH0160242B2 (ko)
JPH07298902A (ja) 滑走スポーツ用の靴
US6017042A (en) Apparatus for retaining a boot on a glide board
JP2812912B2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
JPS61284201A (ja) アルペンスキ−靴
US8850720B2 (en) Sports boot
US5933986A (en) Lateral stability device for sport boot
JPH09502915A (ja) 滑走部材上の靴保持装置と靴のセット
JPH11505150A (ja) 滑走ボードに靴を保持する装置
JPH1085001A (ja) 胴部の枢動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スポーツ靴
JPS5849102A (ja) アルペンスキ−用靴
US20030141701A1 (en) Snowboard binding
US6663118B1 (en) Snowboard interface with an upper portion that translates and rotates relative to a lower portion
JP3014091B2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バックサポートシステム
JPH01198502A (ja) アルペンスキー靴
US9498699B2 (en) Device for receiving a boot on a gliding apparatus
JP3050922U (ja) スノーサーフィン用の滑走板上に靴を保持する装置
EP0813825B1 (en) Snowboard boot
JP4021497B2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用改良足首サポート組立体
JPH06178701A (ja) 人工関節および人工関節を備えたスキー靴
JPS6333522Y2 (ko)
JP3011526U (ja) スキー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