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314A -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314A
KR19990044314A KR1019980701553A KR19980701553A KR19990044314A KR 19990044314 A KR19990044314 A KR 19990044314A KR 1019980701553 A KR1019980701553 A KR 1019980701553A KR 19980701553 A KR19980701553 A KR 19980701553A KR 19990044314 A KR19990044314 A KR 1999004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vertical
bracket
machin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757B1 (ko
Inventor
롤란드 벵트손
Original Assignee
퍼 이.에이리츠
발멧-칼스타드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 이.에이리츠, 발멧-칼스타드 에이비 filed Critical 퍼 이.에이리츠
Publication of KR1999004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4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02Opening or closing mechanisms; Regulating the pressure

Landscapes

  • Paper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부에 있는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울프레스는 상부로울(1)과 하부로울(2)을 포함하고, 이 로울들은 대향되고 평행하며 프레스평면(P)을 한정하는 주축들을 갖고 이들 사이에 프레스 닙(N)을 형성한다. 프레스는 하나가 기계의 구동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기계의 텐더측에 서로 평행하게 두 측면 프레임(6)들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갖는다. 각 측면 프레임은 프레스 닙의 상류에 제 1수직기둥(7)을 갖고 프레스닙의 하류에 제 2수직기둥(8)을 갖는다. 상부로울(1)은 상류 및 하류 수직기둥(7,8)들 사이로 연장되는 브라켓으로 지지된다. 브라켓들은 수직 기둥들에 있는 판부재(31)들의 경사면(32)들과 협력하는 경사단부(33)를 갖는다.

Description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발명분야
본 발명은 구동측(drive side)과 텐더측(tender side)을 갖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울프레스는 상부로울과 하부로울을 포함하고 상기 로울들은 대향되고 평행하며 주축들을 갖고, 이 주축들은 일반적으로 수직 프레스 평면을 한정하고 프레스 닙을 함께 형성하며, 로울 프레스는 로울용 구조물을 갖고, 이 구조물은 하나가 기계의 구동측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텐더측에 위치된 서로 평행한 두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각 측면 프레임들은 제 1 및 제 2수직 기둥을 갖고, 제 1기둥은 프레스닙의 상류에 위치되고 제 2기둥은 프레스닙의 하류에 위치되며, 각 측면 프레임에 있는 제 1 및 제 2수직기둥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으로 상호연결된다.
발명의 배경
섬유웨브가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부분에 있는 프레스를 통과할 때 (발멧-칼스타드 에이비)에 기술된 바와같이 서로 기대는 베어링 하우징들에 설치될 때, 예컨대 두 로울들은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설계에서, 이격공간은 로울들이나 로울들의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새로운 펠트가 도입되기에 충분히 커야하고, 필요한 공간은 0.2-0.25m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국제특허공개 제 95/15413호에 개시된 프레스부분은 상부로울이 상승위치로 피봇되는 승강장치(lifting arrangement)를 갖는다. 이는 이와같은 프레스부분이 상부 펠트를 사용하지 않고 그러므로 상부 구조물이 필요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달리 상기에 기술된 서류와 비슷한 설계의 프레스부분이 상부펠트를 갖는다면, 상부펠트를 지지하는 상부구조물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부로울이 피봇되는 대신에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상부로울 승강장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프레스작동중에, 상부프레스로울의 위치가 기계방향으로 안정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마모된 펠트의 신속하고 용이한 교체를 허용하는 상부로울 승강장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로울을 수직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프레스 작동중에 상부로울의 위치를 기계방향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프레스부재들 사이의 닙에 제지웨브와같은 섬유웨브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하나의 상부로울 및 하나의 하부로울인 두 개의 대향되고 평행한 로울들을 갖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프레스평면은 로울들의 주축들로 한정된다. 프레스는 로울용 구조물을 갖는다. 구조물은 하나가 기계의 구동측에 위치되기에 적합하고 다른 하나가 기계의 텐더측에 위치되는 서로 평행한 두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한다.
각 측면 프레임들은 하나가 프레스 닙의 상류에 위치되고 하나가 프레스 닙의 하류에 위치된 제 1 및 제 2수직기둥을 갖는다. 수직기둥들은 각 측면 프레임의 수직기둥들 사이에 설치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브라켓은 상부로울을 지지하고 각 브라켓은 프레스닙의 상류에 있는 일단부와 프레스 닙의 하류에 있는 일단부를 갖는다. 브라켓을 상부로울과 승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승강장치(lifting unit)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측면 프레임들의 수직 기둥들은 판부재에 설치되고 각 웨브는 일반적으로 프레스의 상부 및/또는 하부로울 둘레에 루프(loop)를 형성하고 싱글펠트(singlt-felted) 또는 더블펠트(double-felted) 프레스 닙을 한정하는 프레스 펠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한궤도직물(endless fabrics)위에서 이동한다. 새로운 펠트 또는 한쌍의 새로운 펠트가 마모된 펠트 또는 한쌍의 마모된 펠트로 각각 교체될 때 프레스의 로울들은 서로 떨어져야(이격되야) 한다. 로울들의 이격은 대개 상부로울을 하부로울에서 상승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미국 특허 제 5,091,056(오티오(Autio))에 프레스부분이 기술됐고, 이 특허에서 상부로울은 동력장치(power unit)에 의해 피봇될 수 있는 관절부품에 부착된다. 동력장치가 작동될 때 상부로울은 상방으로 피봇되어 하부로울에서 멀어진다. 프레스의 로울들을 이격시키는 다른 실시예들은 미국특허 제 3,352,747호(리드고 등(Lithgo et. al))와 미국 특허 제 4,560,441호(크라프 등(Kraft et. al))에 기술됐다.
콤팩트한 프레임 디자인을 갖는 몇가지 프레스에서 상부로울은 프레임의 기하학적 형태(geometry)가 상부로울의 수평교체를 가능하게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즉 기계방향과 평행방향으로 교체되지 않을 것이다. 하부로울에서 상부의 필요한 공간이 매우 작지 않다면 상부로울의 피봇은 기계방향에 평행방향으로 상부로울의 상당한 교체를 할 수 있다. 로울이 국제 공개 특허 제 95/15413호 판 부재들은 안내 지지면을 가지며, 안내 지지면은 기계방향을 향하고 프레스 평면을 향해 하향방향으로 경사진다. 제 1수직기둥의 안내 지지면은 안내 지지면과 하향방향으로 수렴하는 간극 사이를 한정하도록 제 2수직기둥의 안내 지지면을 향하게 위치된다. 상부로울을 지지하는 브라켓들의 단부들은 프레스 평면을 향해 하향방향으로 수렴되는 경사부분들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고 로울을 갖춘 브라켓이 하강될 때 수직기둥들에 있는 판부재들은 브라켓의 경사부분들과 함께 브라켓의 상승 및 하강중에 그리고 프레스의 작동중에 상부로울을 기계방향으로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 방식으로 수직기둥들에 있는 판부재들과 협력하기에 적합해진다.
도 1은 제지기 프레스부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Ⅱ부분의 상세도이고 로울을 갖춘 브라켓이 상승위치에 있다.
도 3은 브라켓이 하강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2와 유사한 상세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측과 텐더측(tender side)을 갖는 제지기의 로울프레스가 도시됐고, 여기에서 섬유웨브는 주축(1A)(2A)들을 갖는 상부로울(1)과 하부로울(2)과 같이 한 쌍의 대향되고 평행한 프레스부재들 사이를 통과하고 이 주축들은 일반적으로 수직 프레스 평면(P)을 한정하고 웨브에 대해 프레스 닙(N)을 함께 형성한다. 구동측과 텐더측에서 로울들은 각각의 상부 및 하부 베어링 하우징(3,4)에 설치되고, 이 베어링 하우징들은 도면부호 5로 표시된 연결요소(connecting element)에 의해 프레스작동중에 함께 유지된다. 프레스는 기계의 구동측에 배치된 한 프레임과 기계의 텐더측에 배치된 한 프레임의 서로 평행인 두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로울들용 구조물(framework)을 갖는다.
도 1에 텐더측의 측면 프레임이 도시됐다.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6으로 표시된 각 측면프레임은 로울(1,2)들 사이에 형성된 프레스 닙의 상류에 있는 제 1수직기둥(7)과 프레스 닙 하류의 제 2수직기둥(8)을 포함한다. 새로운 펠트(felt)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텐더측 측면프레임의 기둥들은 제거가능한 중간부품(23,24,25, 26)들을 갖는다. 프레스의 측면 각각에서 상부 베어링 하우징(3)은 브라켓(10)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은 각 측면 프레임의 제 1기둥과 제 2기둥사이로 연장되고 프레스 닙의 상류에 제 1단부(11)를 갖고 프레스 닙의 하류에 제 2단부(12)를 갖는다. 따라서 상부로울(1)은 상부 베어링 하우징(3)에 브라켓(10)에 의해 유지되거나 브라켓(10)으로부터 현수된다. 구동측과 텐더측의 브라켓(10)들은 가로 보(cross beam)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들의 상부 단부에서 측면프레임 각각의 수직기둥들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9)에 의해 상호연결되고 상부 빔(9)은 하나가 브라켓(10)의 상류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브라켓(10)의 하류 단부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16)들과 같은 한쌍의 액츄에이터로 형성된 승강장치를 지지한다. 유압실린더들은 핀(19)으로 브라켓(10)에 연결되고 브라켓(10)의 구멍(21)들로 결합되는 피스톤 부품(17,18)들을 갖는다. 유압실린더(15,16)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상부 베어링 하우징(3)과 상부로울(1)을 갖춘 브라켓(10)이 하부작동 위치로부터 상승된 비작동위치로 상승 될 수 있다.
도 2-5에서, 프레스닙의 상류에 있는 측면 프레임의 상부부분은 브라켓(10)의 상부단부와 함께 도시됐다. 프레임의 하류부분과 브라켓의 하류단부(도 1의 우측)가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의 하류부분과 브라켓의 하류부분들은 도 2-도 5에 도시된 것과 비슷하고 설명된 것이 구조물의 양 측면 프레임들에 적용됨을 알아야 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10)의 상류단부(11)는 수직 기둥을 향한 방향으로, 즉 기계방향으로 향하는 단부면(13)을 갖는다. 단부면(13)의 하부부분은 경사부분(33)을 형성하도록 경사진다. 브라켓의 하류단부(12)에 비슷한 단부면이 존재하고 이 단부면은 비슷한 경사부분을 형성하도록 경사진다. 브라켓의 단부면들에 있는 경사부분들은 기계의 프레스 평면을 향해 수렴된다.
판부재(31)는 판부재들의 구멍(36)을 통해 수직기둥(7)의 나사구멍과 결합되게 연장되는 나사(34)들에 의해 제 1수직기둥(7)에 설치된다. 판부재(31)는 기계방향을 향하고 브라켓(10)용으로 일반적으로 수직 안내 지지면(32)을 가지며, 이 수직 안내 지지면은 기계방향을 향하고 프레스 평면을 향해 하향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 2수직기둥(8)에 비슷한 판부재가 존재하고 제 1,상류 기둥에 있는 안내 지지면이 제 2, 하류기둥의 안내 지지면을 향해서 이들 안내 지지면(32)들의 이들 사이에 하향 방향으로 수렴하는 간극을 한정함을 알아야 한다. 안내지지면(32)들의 경사는 브라켓(10)의 단부면(13)들의 경사부분(33)의 경사와 동일하다. 경사각은 마찰각 보다 조금 더 크다. 마찰각은 arctan μ=α, 여기에서 μ는 경사면(32)과 경사부분 사이의 마찰계수이고, α는 마찰각인 방정식으로 정해지는 각으로 이해된다. 실제 마찰각은 수직평면과 관련하여 4°-10°이다. 브라켓의 경사부분(33)들과 판부재들의 경사면(32)들은 동일 경사를 갖기 때문에 경사부분(33)들은 상부로울을 갖춘 브라켓(10)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안내 지지면(32)을 갖춘 판부재들과, 협력하는 경사부분(33)들은 브라켓을 안내하고 기계작동중에 이들은 상부로울을 기계방향으로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기둥(7,8)들의 판부재(31)와 협력하기에 적합해질 것이다.
판부재(31)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것으로 가장 잘 알 수 있고, 이는 판부재(31)와 브라켓(10)의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32)은 기계방향으로 폭을 갖고 이 폭은 기계의 가로방향의 브라켓(10)의 단부면(13) 폭과 동일하며 판부재는 하나의 경사면(32)의 각 측면에 기계방향과 평행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돌출플랜지(37)들을 갖고, 이 플랜지(37)들은 이들 사이에 브라켓(10)의 상류단부(11)를 수용하기에 적합해진다. 따라서 플랜지(37)들은 상부로울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들이 상부로울을 갖춘 브라켓을 기계의 가로방향으로 안정화시키도록 브라켓(10)의 각 단부(11,12)가 판부재들 중 한 판부재의 플랜지(37)들 사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브라켓(10)의 단부들과 협력하도록 적합해진다.
판부재(31)는 돌출 플랜지들의 각측면에 하나씩 기계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사용 구멍(36)을 제공하는 한 쌍의 편평한 부분(38)을 갖는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판부재(31)의 구멍(36)들은 원형이 아니고 판부재(31)의 수직 위치조정을 허용하도록 세장 슬롯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판부재들은 나사(34)에 의해 수직기둥(7,8)의 수직위치에 관해 조정되게 설치되고 나사는 세장 슬롯(36)을 통해 수직 기둥(7,8)들의 나사 구멍(35)과 결합되게 연장된다.
승강장치의 설치는 도 1-3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기계의 비부하 상태(unloaded state)에서 시작될 때 상부 베어링하우징과 상부로울(1)을 함께 갖춘 브라켓(1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위치에 있고, 브라켓들은 상부베어링 하우징들이 하부베어링 하우징(4)에 도달될 때까지 하강된다. 판부재(31)들은 기둥(7,8)들에 고정되나, 나사는 조여지지 않는다. 브라켓이 하강될 때 브라켓의 상류 및 하류 단부들은 판부재(31)들의 돌출 플랜지(37)들 사이를 통과하고 브라켓들의 경사부분(33)들은 판부재(31)들의 경사면(32)들과 만난다. 판부재(31)들의 경사면들은 브라켓들을 하향경로로 안내하도록 브라켓(10)들의 경사부분(33)들과 협력한다. 브라켓들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하강됐고, 상부 베어링 하우징(3)들이 하부 베어링 하우징(4)들에 기대어질 때 판부재(31)들의 수직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조정은 해머와 같은 공구로 하방으로부터 판부재를 타격하거나 또는 이와달리 수직기둥(7,8) 중 각각에 있는 조정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나사는 판부재(31)의 수직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결합된 판부재(31)의 하부면과 결합한다. 판부재(31)가 상방으로 타격되거나 눌려질 때, 판부재들이 수직기둥(7,8)에 조정되게 설치되도록 나사(34)용 세장 슬롯(36)들이 수직 연장부를 갖기 때문에 조정될 수 있다. 브라켓(10)들의 경사부분(33)들과 판부재(31)들의 경사면(32)들 사이의 운동(play)이 제거됐을 때 나사(34)들은 판부재들이 수직위치에 잠금되도록 견고히 조여진다. 그다음 판부재(31)들은 브라켓(10)들을 지지하는 위치에 있고 이에의해 상부 베어링 하우징(3)과 상부로울(1)은 프레스작동 중에 기계방향에 있다. 돌출 플랜지(37)들은 브라켓들의 상류 및 하류 단부들이 플랜지(37)들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동시에 브라켓들, 상부 베어링 하우징(3)들 및 상부로울(1)을 기계의 가로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한다.
마모된 펠트(27,28)가 교체될 때 상부 및 하부 베어링 하우징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요소(5)는 제거되고 브라켓(10)은 유압실린더(15,16)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상승된다. 경사부분(33)들과 경사면(32)들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조금 더 크기때문에 이들 부품사이에 잠금위험이 존재하지 않고, 상부베어링하우징들과 상부로울을 함께 갖춘 브라켓들이 방해없이 상승될 수 있다. 이후 텐더측에 있는 제거가능한 중간부품(23-26)들이 제거된다. 로울(1)의 상승 및 중간부품들의 제거 때문에 이용가능한 공간은 새로운 연속루프 펠트가 프레스로 들어오게 한다.
본 발명은 상부 프레스로울의 수직 상승 및 하강 때문에 마모된 펠트의 신속하고 용이한 교체 및 콤팩트한 프레임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방향과 기계방향의 가로방향 양방향으로 로울의 안정화를 달성한다.

Claims (7)

  1. 로울 프레스가 상부로울(1)과 하부로울(2)을 포함하고, 상기 로울들이 평행하게 대향배치되고 주축들을 가지며 이 주축들은 일반적으로 수직 프레스 평면(P)을 한정하고 함께 프레스 닙을 형성하며, 로울 프레스는 로울(1,2)용 구조물을 갖고, 이 구조물은 서로 평행한 두 측면 프레임(6)들을 포함하며, 이 프레임들 중 한 프레임은 구동측에 위치되고 다른 프레임은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텐더측에 위치되며, 측면 프레임들 각각은 제 1 및 제 2수직기둥(7,8) 각각을 갖고 제 1수직기둥은 프레스 닙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 2수직기둥은 프레스 닙의 하부에 위치되며, 각 측면프레임의 제 1 및 제 2수직기둥이 수평 연장 상부 빔(9)으로 상호연결되며, 구동측과 텐더측을 갖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부에 있는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에 있어서,
    a) 각 브라켓(10)은 프레스 닙의 상류에 제 1단부(11) 그리고 프레스 닙의 하류에 제 2단부(12)를 가지며, 각 브라켓(10)들은 각각의 측면 프레임(6)들에 있는 제 1수직기둥과 제2 수직기둥 사이에 연장되고, 상부로울(1)을 브라켓에 현수되게 지지하기 위한 2개의 브라켓(10) ;
    b) 각 브라켓(1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장치(15,16) ;
    c) 브라켓(10)용으로 일반적으로 수직 안내 지지면(32)을 가지며, 상기 수직 안내 지지면은 기계방향을 향하고 프레스 평면을 향해 하향방향으로 경사지고, 제 1수직기둥(7)의 수직안내 지지면(32)은 수직 안내 지지면(32)과 하향으로 수렴되는 간극사이를 한정하도록 각 측면 프레임(6)에 있는 제 2수직기둥(8)의 수직안내 지지면을 향하며, 각 수직기둥에 설치된 판 부재(31) ;
    d) 상부로울(1)과 함께 브라켓(10)이 하강될 때 안내 지지면(32)을 갖춘 판부재(31)들과 브라켓 단부들의 경사진 협력부분(33)들이 브라켓의 하강중에 브라켓(10)을 안내하고 기계의 작동중에 이들이 기계방향으로 상부로울(1)을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수직기둥(7,8)에 있는 판부재(31)들과 협력하기에 적합하고 프레스 평면을 향해 하향방향으로 수렴하는 경사부분(33)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각 브라켓(10)의 제 1 및 제 2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판부재(31)는 경사 안내 지지면(32)의 각 측면에 하나씩 두 개의 돌출 플랜지를 갖고, 이 플랜지들은 기계방향과 평행방향으로 돌출되며 브라켓(10)의 단부들과 협력하기에 적당하여서 상부로울(1)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 브라켓(10)의 각 단부는 플랜지들이 상부로울(1)을 갖춘 브라켓(10)을 기계의 횡방향으로 안정화시키도록 판부재(31)들중 한 판부재의 플랜지(37)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판부재(31)들은 판부재(31)들의 수직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수직기둥(7,8)에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각 판부재(31)는 세장슬롯(36)이 제공된 한쌍의 편평한 부분(38)을 갖고, 수직기둥(7,8)들은 나사가 형성된 구멍(35)을 가지며, 판부재(31)들은 세장슬롯(36)을 통해서 나사가 형성된 구멍(35)과 결합되는 나사(34)에 의해 수직기둥(7,8)의 수직위치에 대해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각 수직기둥(7,8)은 판부재(31)의 수직위치조정이 용이하도록 관련 판부재(31)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조정나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장치(15,16)는 상부 빔(9)에 설치되고, 브라켓(10)의 상류단부(11)에 연결된 한 액츄에이터(15)와 브라켓(10)의 하류 단부(12)에 연결된 다른 액츄에이터(16)의 두 액츄에이터(15,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직 평면과 관련하여 판부재의 경사면의 경사는 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로울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KR1019980701553A 1995-09-27 1996-09-24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KR100266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3358-5 1995-09-27
SE9503358A SE504847C2 (sv) 1995-09-27 1995-09-27 Lyftanordning för en toppvals för en valspress i en pappers- eller kartongmask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314A true KR19990044314A (ko) 1999-06-25
KR100266757B1 KR100266757B1 (ko) 2000-10-02

Family

ID=2039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553A KR100266757B1 (ko) 1995-09-27 1996-09-24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70022A (ko)
EP (1) EP0852639B1 (ko)
JP (1) JP2957705B2 (ko)
KR (1) KR100266757B1 (ko)
AT (1) ATE200809T1 (ko)
CA (1) CA2230871C (ko)
DE (1) DE69612621T2 (ko)
SE (1) SE504847C2 (ko)
WO (1) WO1997012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30174B (fi) * 2022-02-02 2023-03-28 Valmet Technologies Oy Pikalukittava nostojärjestely ja paperi- tai kartonkiko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2747A (en) * 1964-04-23 1967-11-14 Diamond Int Corp Apparatus for replacing an endless belt in a papermaking roller press assembly
DE2943974C2 (de) * 1979-10-31 1984-02-16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Pressenpartie einer Papiermaschine
FI82088C (fi) * 1987-04-14 1991-01-10 Valmet Paper Machinery Inc Stomkonstruktion foer ett pressparti foersett med skilda nyp i en pappersmaskin.
SE9002758D0 (sv) * 1990-08-29 1990-08-29 Valmet Paper Machinery Inc A framework for a press in a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fibrous web
DE9206152U1 (ko) * 1992-05-12 1992-07-16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SE502125C2 (sv) * 1993-12-02 1995-08-28 Valmet Karlstad Ab Kompakt stativering för en press i en pappers- eller kartongmaskin
FI101633B (fi) * 1994-02-04 1998-07-31 Valmet Paper Machinery Inc Pitkänippitelojen välinen kytkentärakenne ja menetelmä pitkänippiteloj en yhteenliittämisess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04847C2 (sv) 1997-05-12
EP0852639B1 (en) 2001-04-25
JP2957705B2 (ja) 1999-10-06
CA2230871A1 (en) 1997-04-03
SE9503358D0 (sv) 1995-09-27
CA2230871C (en) 2001-08-14
EP0852639A1 (en) 1998-07-15
SE9503358L (sv) 1997-03-28
US5670022A (en) 1997-09-23
DE69612621T2 (de) 2001-10-11
WO1997012094A1 (en) 1997-04-03
ATE200809T1 (de) 2001-05-15
JPH10512337A (ja) 1998-11-24
KR100266757B1 (ko) 2000-10-02
DE69612621D1 (de) 200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29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per or tissue web
US4272317A (en) Roll bearing alignment
US200802097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a Fabric in a Paper or Board Machine
JPS6350593A (ja) 固定式支持装置
US3270664A (en) Calender stack
ATE123830T1 (de) Doppelsiebformer in einer papiermaschine.
KR960706585A (ko) 제지기계 또는 판지기계의 프레스용 컴팩트 프레임 조립체(a compact frame assembly for a press in a papermaking or boardmaking machine)
KR100266757B1 (ko) 제지기 또는 판지기의 프레스용 상부로울 승강장치
EP0287276B1 (en) Horizontal twin wire machine
KR900002102B1 (ko) 섬유 웨브의 탈수 방법 및 장치
US6305280B1 (en) Calender for material webs and method for calendering material webs
US6146502A (en) Paper making machine with a traveling deckle board
US5690792A (en) Set of ribs in a dewatering device in a paper machine
US7101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per or tissue web
US5558018A (en) Support frame for nip rollers
JPH0749636B2 (ja) 脱水要素の支持装置
US6464835B1 (en) Equipment and method in a twin-wire former
FI115231B (fi) Kuiturainan profilointiin tai puristuskuivaukseen tarkoitettu laite
US5250154A (en) Quick-release post for a papermaking machine press frame
CA2148385C (en) Loading box for a former of a paper or board machine
WO1998038380A1 (en) Rib for a water draining device in a paper machine
JP2574741Y2 (ja) デッケル装置
SE527250C2 (sv) Stativ för en dubbelvirapress och metod för virabyte i en dubbelvirapress innefattande nämnda stativ
WO2007099203A1 (en) Adjusting the distance of a suction box from a counter roll
US809832A (en) Paper-ma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