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089A - 고투명성이고 고유연성인 탄성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투명성이고 고유연성인 탄성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089A
KR19990044089A KR1019980701322A KR19980701322A KR19990044089A KR 19990044089 A KR19990044089 A KR 19990044089A KR 1019980701322 A KR1019980701322 A KR 1019980701322A KR 19980701322 A KR19980701322 A KR 19980701322A KR 19990044089 A KR19990044089 A KR 1999004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weight
propylene
polyolefin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810B1 (ko
Inventor
지아니 꼴리나
안테오 펠리코니
에네아 가라냐니
Original Assignee
간디 지오프리 에이치
몬텔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디 지오프리 에이치, 몬텔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간디 지오프리 에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4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의 A, B 및 C 를 함유하고, 총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한 B 및 C 성분의 합의 중량 백분율이 80 % 내지 90 % 인 고유연성 및 투명성이 부여된 탄성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A)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 또는 95 중량 % 이상의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의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부; B) 에틸렌을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5 내지 20 중량부; 및 C) 에틸렌 및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를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상기 공단량체 15 내지 25 중량 %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60 내지 80 중량부. 본 발명의 조성물은 30 % 미만, 대개 15 내지 25 % 의 헤이즈 값 및 150 MPa 미만, 대개 100 MPa 미만의 탄성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고투명성이고 고유연성인 탄성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본 발명은 예상외의 고투명성이 부여된 고유연성 탄성가소성(elastoplastic)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의 순차 공중합반응에 의한 우수한 열가소성 거동을 유지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경우에 따라서는 소량의 올레핀 공단량체 (comonomer), 및 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혼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수소화된 티탄 화합물 기재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지지 촉매를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종류의 조성물은 특히 EP 400333 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폴리올레핀의 전형적 성질들, 예를 들면 화학적 관성 및 독성의 결여, 및 우수한 수준의 기계적 성질을 보이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중요하다. 특히, 이들은 우수한 잔류 신장 (tension set) 과 함께, 700 내지 200 MPa 범위의 낮은 굽힘율 (flexural modulus) 에 의해 증명되었듯이 우수한 탄성을 갖는다. 이들 조성물은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학적 성질 특히 투명성을 갖지 않는다.
순차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일반적으로 탄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방향에서의 뚜렷한 향상이 EP 472946 에 보고되었는데, 이는 하기의 A, B 및 C 를 함유하는 높은 유연성이 부여된 탄성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A)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프로필렌 기재 매트릭스; B)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중량부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분획; C) 40 중량 %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8 중량 % 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부의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분획. 고유연성 외에도, 150 MPa 미만의 굽힘율에서 확인되듯이, 이들 조성물은 실시예의 31 내지 36 % 범위의 헤이즈 (haze) 값에 나타난 것과 같이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올레핀 성형품은 많은 분야, 특히 의료, 자동차, 포장 및 전기 케이블 피복 분야에서 크게 관심을 받기 때문에, 현존하는 물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결과적으로, 상기에서 언급된 종류의 이상 (heterophasic) 중합체의 유연성 및 투명성 사이의 균형이 엘라스토머 상의 양의 백분율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상기 엘라스토머 상의 에틸렌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선행 기술, 특히 EP 472946 에 개시된 것을 기준으로 볼 때, 투명도는 크실렌에 가용성인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분획의 에틸렌 딘위의 양에 명백히 의존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도 1 은 EP 472946 에 보고된 실시예 1 내지 5 의 조성물 및 하기에 보고된 실시예 1 내지 4 의 조성물의 헤이즈 값을, 크실렌에 가용성 분획 (성분 C) 의 에틸렌 함량의 함수로 나타낸다. 헤이즈는 상기 공중합체 분획의 에틸렌 함량이 약 25 중량 % 초과일 때 약 35 % 로 대략 상수이나, 크실렌에 가용성인 공중합체 분획의 에틸렌 함량이 25 % 에서 약 20 % 로 감소하면, 상기 값의 절반 미만으로 감소한다. 이 값 미만에서 헤이즈는 조금씩 계속 감소하지만, 탄성율 (elastic modulus) 의 증가는 조성물을 크실렌에 가용성인 공중합체 분획의 에틸렌 함량을 15 % 미만으로 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한다. 그러나, 만약 엘라스토머 상의 에틸렌 중 일부가 α-올레핀에 의해 대체된다면, 헤이즈와 탄성율 모두에서 흥미있는 결과를 여전히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참조).
본 발명은 하기의 A, B 및 C 성분을 함유하고, 총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한 B 및 C 성분의 합의 중량 백분율이 80 내지 90 % 인, 고유연성 및 투명성이 부여된 탄성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 또는 95 중량 % 이상의 프로필렌 유도 단위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부;
B) 에틸렌 유도 단위를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5 내지 20 중량부; 및
C) 에틸렌 및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에서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상기 공단량체에서 유도된 단위 15 내지 2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 중량 % 를 더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60 내지 80 중량부.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조성물은, 성분 C 가 15 내지 23 중량 % 의 공단량체에서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고, B 및 C 성분의 합이 총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하여 82 내지 86 중량 % 의 범위일 때, 14 내지 18 중량 % 의 성분 A, 5 내지 18 중량 % 의 성분 B 및 72 내지 80 중량 % 의 성분 C 를 함유한다.
조성물 중 공단량체의 총량, 즉 에틸렌과 선택적 α-올레핀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 중량 % 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30 % 미만, 대개 25 % 미만의 헤이즈 값을 나타내지만, 탄성율은 언제나 150 MPa 미만, 대개 100 MPa 미만을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은 단량체들의 순차 중합반응에 의해 두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프로필렌을, 경우에 따라서는 5 중량 % 이하로 함유된 공단량체(들)과,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중합하여 성분 A 를 형성하고, 제 2 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의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중합하여 성분 B 및 C 를 형성한다. 에틸렌 또는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 특히 1-부텐의 혼합물이 성분 C 에서 바람직한 공단량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C 는 에틸렌 및 상기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공단량체들의 총량이 성분 C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 중량 % 가 되도록 각각 5 내지 15 중량 % 의 양으로 함유한다.
제 1 중합 단계는 액체상 또는 기체상에서 수행된다. 제 2 중합 단계는 일반적으로 기체상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양 단계 모두 기체상에서 수행된다. 편리한 중합방법은 WO 92/21706 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 온도는 일반적으로 40 ℃ 내지 90 ℃ 이다. 중합 압력은 반응 온도 및 반응 혼합물의 조성에 의존하여,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 기압 이다. 두 단계에서 머무름 시간의 비는 부분 A 및 부분 B+C 사이의 목적하는 비에 의존한다. 종래의 사슬 이동제, 예를 들면 수소를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할 수 있다.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는 티탄 화합물과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지지 내부 전자 공여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성분, 및 알루미늄 트리알킬 화합물과 외부 전자 공여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생성에 특히 적합한 촉매는 EP 395083 에 기재되어 있다. 이 촉매들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평균 입경이 약 0.5 내지 7 mm 인 구형 입자들의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생성물은 특히 의료, 자동차 및 포장 분야에서 그 적용성을 찾을 수 있다.
분자 및 물리적-기계적 특성을 위해 채택된 실험적 방법들
분획 A, B 및 C 의 양 및 분획 B 및 C 의 공단량체 함량이 EP 0 472 946 A2 에서 인용된 식들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분자 및 물리적-기계적 특성들은 하기 방법에 따라 결정되었다.
중량 % 로 나타낸 에틸렌 및 1-부텐 함량:IR 분광법에 의함.
고유 점도:테트라히드로푸란 내 135 ℃ 에서 측정.
크실렌에 가용성인 백분율:2.5 g 의 중합체를 250 mL 의 크실렌에 135 ℃ 에서 교반하며 용해시킨다. 20 분 후 용액을 교반하여 25 ℃ 로 냉각시키고, 30 분 동안 방치하여 침적시킨다. 침전물은 여과지로 여과하고, 용액을 질소 흐름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여물은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80 ℃ 의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킨다.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중합체의 중량 백분율을 계산한다.
용융점 (Tm):중합체의 Tm 을 하기 절차에 따라 퍼킨-엘머 (Perkin-Elmer) DSC-7 기기로 측정한다. 10 mg 의 중합체를 10 ℃/분의 속도로 200 ℃ 까지 가열하여 승온시키다; 그 후 샘플을 200 ℃ 에서 5 분 동안 방치시키고, 10 ℃/분의 속도로 0 ℃ 까지 냉각시킨다. 그런 다음 샘플을 10 ℃/분의 속도로 200 ℃ 까지 다시 가열한다. 표에 기록된 데이터는 두 번째 가열로부터 얻은 것이다.
탄성율:DMTA(Dynamic-Mechanical Thermal Analysis, Polymer Laboratories) 의 장치를 사용하여 압축 성형된 샘플의 23 ℃ 인장 모드에서 측정되었다. 측정 진동수는 1 Hz 이고, 주사 온도 속도는 2 ℃/분 이었다.
경도:ASTM 2240 에 따라 사출 성형된 표본에서 측정되었다.
헤이즈:ASTM 1003 에 따라 사출 성형된 플라크에서 측정되었다.
용융 흐름 속도:ASTM-D 1238, 조건 L 에 따라 측정되었다.
압축 성형:샘플들을 압력 42 kg/cm2, 온도 200 ℃ 에서 카버 프레스 (Carver press) 로 5 분 동안 성형한다; 실온까지의 냉각 속도는 15 ℃/분 이었다.
사출 성형:샘플들을 하기의 조건에서 바텐펠드 (Battenfeld) BA500CD 기로 성형한다: 용융 온도 260 ℃, 사출 시간 3 초, 성형 온도 40 ℃, 지속 시간 10 초, 냉각 시간 10 초, 사출 압력 65 바, 지속 압력 25 바.
실시예 1
10 mL 의 유리 플라스크에, EP A 395083 의 실시예 3 에 따라 제조된 고체 촉매 성분 0.1042 g 을, 4 mL 의 건조 헥산 내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0.094 g 및 트리에틸알루미늄 0.4567 g 과 접촉시킨다. 80 ℃ 에서 1 시간 동안 헥산으로, 계속하여 80 ℃ 에서 1 시간 동안 기체 프로필렌으로 연속 린스한 혼합물을, 4.25 L 강철 오토클레이브에 도입한다. 그 후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0.95 g 의 에틸렌, 116.4 g 의 프로필렌 및 405 mL 의 수소의 혼합물을 반응기에 첨가한다. 온도는 60 ℃ 로 승온시키고, 31 분 동안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147 g 의 프로필렌 및 3.0 g 의 에틸렌을 반응 시간 동안 첨가한다. 소량의 샘플을 특성화를 위해 회수하여 하기의 결과를 얻었다: 에틸렌 함량 2.0 중량 %,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 4.2 중량 %,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 중 에틸렌 함량 11 중량 % 및 고유 점도 1.97 dL/g. 그런 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10 g 의 에틸렌, 98.35 g 의 프로필렌 및 986 mL 의 수소의 혼합물로 대체시킨다. 계속하여 142.1 g 의 에틸렌 및 537.9 g 의 프로필렌을 반응 시간 동안 공급하면서 공중합반응을 73 분 동안 60 ℃ 에서 수행한다. 표 1 에 나타난 특성들을 가진 800 g 의 이상 공중합체를 얻는다.
실시예 2
10 mL 의 유리 플라스크에, 실시예 1 에 보고된 것에 따라 제조된 고체 촉매 성분 0.1096 g 을, 4 mL 의 건조 헥산 내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0.094 g 및 트리에틸알루미늄 0.4567 g 과 접촉시킨다. 80 ℃ 에서 1 시간 동안 헥산으로, 계속하여 80 ℃ 에서 1 시간 동안 기체 프로필렌으로 연속 린스한 혼합물을, 4.25 L 강철 오토클레이브에 도입한다. 그 후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0.95 g 의 에틸렌, 116.2 g 의 프로필렌 및 135 mL 의 수소의 혼합물을 반응기에 첨가한다. 온도는 60 ℃ 로 승온시키고, 33 분 동안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147 g 의 프로필렌 및 3.0 g 의 에틸렌을 반응 시간 동안 첨가한다. 소량의 샘플을 특성화를 위해 회수하여 하기의 결과를 얻었다: 에틸렌 함량 2.0 중량 %,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 4.2 중량 %, 가용성인 분획 중 에틸렌 함량 8 중량 % 및 고유 점도 2.45 dL/g. 그런 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10.5 g 의 에틸렌, 97.5 g 의 프로필렌 및 985 mL 의 수소의 혼합물로 대체시킨다. 계속하여 142.2 g 의 에틸렌 및 513.0 g 의 프로필렌을 반응 시간 동안 공급하면서 공중합반응을 67 분 동안 60 ℃ 에서 수행한다. 표 1 에 나타난 특성들을 가진 780 g 의 이상 공중합체를 얻는다.
실시예 3
10 mL 의 유리 플라스크에, 실시예 1 에 보고된 것에 따라 제조된 고체 촉매 성분 0.2288 g 을, 4 mL 의 건조 헥산 내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0.094 g 및 트리에틸알루미늄 0.4567 g 과 접촉시킨다. 80 ℃ 에서 1 시간 동안 헥산으로, 계속하여 80 ℃ 에서 1 시간 동안 기체 프로필렌으로 연속 린스한 혼합물을, 4.25 L 강철 오토클레이브에 도입한다. 그 후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0.95 g 의 에틸렌, 115.4 g 의 프로필렌 및 810 mL 의 수소의 혼합물을 반응기에 첨가한다. 온도는 60 ℃ 로 승온시키고, 147 g 의 프로필렌 및 3.0 g 의 에틸렌을 반응 시간 동안 첨가하면서 19 분 동안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소량의 샘플을 특성화를 위해 회수하여 하기의 결과를 얻었다: 에틸렌 함량 2.0 중량 %,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 4.3 중량 %, 가용성인 분획 중 에틸렌 함량 12 중량 % 및 고유 점도 1.6 dL/g. 그런 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11.5 g 의 에틸렌, 95.65 g 의 프로필렌 및 981 mL 의 수소의 혼합물로 대체시킨다. 계속하여 공중합반응을 161.8 g 의 에틸렌 및 518.2 g 의 프로필렌을 반응 시간 동안 공급하면서 73 분 동안 수행한다. 표 1 에 나타난 특성들을 가진 800 g 의 이상 공중합체를 얻는다.
실시예 4 (시험 공장 실행)
0.25 L 의 베셀 (vessel) 형 반응기에, 1.0 kg/h 의 프로판, 23.1 g/h 의 트리에틸알루미늄, 5.5 g/h 의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및 4.4 g/h 의 실시예 1 에 따라 생성된 고체 촉매를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온도는 20 ℃ 이고, 머무름 시간은 5 분이다. 그 후 미리 접촉시킨 촉매계를 초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동일한 반응기에 7 kg/h의 프로필렌 및 12 kg/h의 프로판을 도입한다; 온도는 20 ℃, 압력은 30 바이고, 머무름 시간은 30 분이다. 초기 중합체를 온도가 65 ℃ 로 유지된 100 L 기체상의 유체화된 층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도입하고, 압력을 18 바이고, 기체상 조성은 하기와 같다: 프로필렌 8.2 몰 %, 프로판 89.3 몰 %, 및 수소 0.74 몰 %. 이정은 약 800 g/g 촉매이다. 소량의 샘플을 특성화를 위하여 회수하였다: 이것은 8 dg/분 의 MFR 값 및 2.0 중량 % 의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을 나타내었다. 그런 다음, 동종 중합체를 온도가 65 ℃ 로 유지된 300 L 기체상의 다른 유체화된 층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도입하고, 압력을 16 바이고, 기체상 조성은 하기와 같다: 프로필렌 65.4 몰 %, 프로판 25.4 몰 %, 에틸렌 7.2 몰 % 및 수소 0.65 몰 %. 이정은 약 4000 g/g 촉매이다. 이상 공중합체의 분자 및 물리적-기계적 특성은 표 1 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5 (삼원 공중합체)
10 mL 의 유리 플라스크에,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고체 촉매 성분 0.1094 g 을, 4 mL 의 건조 헥산 내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0.094 g 및 트리에틸알루미늄 0.4567 g 과 접촉시킨다. 계속하여 80 ℃ 에서 1 시간 동안 헥산으로, 그 후 80 ℃ 에서 1 시간 동안 기체 프로필렌으로 연속 린스한 혼합물을, 4.25 L 강철 오토클레이브에 도입한다. 그 후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0.95 g 의 에틸렌, 116.3 g 의 프로필렌 및 405 mL 의 수소의 혼합물을 반응기에 첨가한다. 온도는 60 ℃ 로 승온시키고, 147 g 의 프로필렌 및 3 g 의 에틸렌을 반응 시간 동안 첨가하면서 27 분 동안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소량의 샘플을 특성화를 위해 회수하여 하기의 결과를 얻었다: 에틸렌 함량 2.0 중량 %,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 4.2 중량 %,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 중 에틸렌 함량 15 중량 % 및 고유 점도 1.9 dL/g. 그런 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1 기압 25 ℃ 에서 측정한 3.9 g 의 에틸렌, 91.7 g 의 프로필렌, 32.6 g 의 1-부텐 및 1061 mL 의 수소의 혼합물로 대체시킨다. 계속하여 53.5 g 의 에틸렌 및 434.3 g 의 프로필렌 및 107.1 g 의 1-부텐을 반응 시간 동안 공급하면서 공중합반응을 91 분 동안 60 ℃ 에서 수행한다. 표 2 에 나타난 특성들을 가진 745 g 의 이상 삼원 공중합체를 얻는다.
에틸렌/프로필렌 이상 공중합체의 분자구조 및 성질들
단위 실시예1 2 3 4
공중합체 내 에틸렌단위 중량% 18.1 18.5 20.5 14
고유 점도 dl/g 2.34 2.28 2.34 2.3
크실렌에 가용성인 공중합체 부분 중량% 72.8 73.7 70.6 68.8
크실렌에 가용성인 공중합체 부분 내 에틸렌단위 중량% 20.7 21.4 22.8 16
분획 A 중량% 15 16 15 15
분획 B 중량% 12.8 11 15 16.5
분획 C 중량% 72.2 73 70 68.5
분획 C 내 에틸렌단위 중량% 20.8 21.5 22.9 16.1
분획 B 내 에틸렌단위 중량% 21.5 23.3 28.2 18.2
용융온도 153 152 153 162
탄성율 MPa 84 82 86 130
경도 쇼어 D 28 26 29 34
헤이즈 % 15 24 30 11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이상 삼원 공중합체의 분자구조 및 성질들
단위 실시예 5
에틸렌단위 중량% 7.4
1-부텐 단위 중량% 10.5
고유 점도 dl/g 2.12
크실렌에 가용성인 공중합체 부분 중량% 78
크실렌에 가용성인 부분 내 에틸렌단위 중량% 9
분획 A 중량% 17
분획 B 중량% 5.7
분획 C 중량% 77.3
분획 C 내 에틸렌 단위 중량% 8.9
분획 B 내 에틸렌 단위 중량% 3.1
분획 C 내 1-부텐 단위 중량% 12.4
분획 B 내 1-부텐 단위 중량% 16.6
용융온도 153
탄성율 MPa 110
경도 쇼어 D 35
헤이즈 % 9

Claims (15)

  1. 하기의 A, B 및 C 성분을 함유하고, 총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한 B 및 C 성분의 합의 중량 백분율이 80 % 내지 90 % 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A)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 또는 95 중량 % 이상의 프로필렌 유도 단위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의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부;
    B) 에틸렌 유도 단위를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5 내지 20 중량부; 및
    C) 에틸렌 및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 (comonomer) 에서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상기 공단량체에서 유도된 단위 15 내지 25 중량 % 를 더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60 내지 80 중량부.
  2. 제 1 항에 있어서, 14 내지 18 중량부의 성분 A, 5 내지 18 중량부의 성분 B 및 72 내지 80 중량부의 성분 C 를 함유하고, B 및 C 성분의 합이 총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하여 82 내지 86 중량 % 범위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15 내지 23 중량 % 의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에틸렌 또는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함량 15 내지 23 중량 % 를 갖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의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5 내지 15 중량 % 의 에틸렌 유도 단위 및 5 내지 15 중량 % 의 α-올레핀 유도 단위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 중 에틸렌 또는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의 총 함량이 상기 공중합체의 15 내지 23 중량 % 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1-부텐의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이고, 성분 C 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성분 C 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H2=CHR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식 중, R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이다) 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율 (elastic modulus) 이 150 MPa 미만이고, 헤이즈 (haze) 가 30 % 미만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탄성율이 100 MPa 미만이고, 헤이즈가 25 % 미만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품.
KR10-1998-0701322A 1996-06-24 1997-06-14 고투명성이고고유연성인탄성가소성폴리올레핀조성물 KR100458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1738.0 1996-06-24
EP96201738 199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089A true KR19990044089A (ko) 1999-06-25
KR100458810B1 KR100458810B1 (ko) 2005-02-24

Family

ID=822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322A KR100458810B1 (ko) 1996-06-24 1997-06-14 고투명성이고고유연성인탄성가소성폴리올레핀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08967B2 (ko)
EP (1) EP0846134B1 (ko)
JP (1) JP3719715B2 (ko)
KR (1) KR100458810B1 (ko)
CN (1) CN1161391C (ko)
AU (1) AU731426B2 (ko)
DE (1) DE69723657T2 (ko)
NO (1) NO980722D0 (ko)
WO (1) WO1997049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9699A1 (en) * 2001-07-27 2003-01-29 Baselltech USA Inc.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KR101423945B1 (ko) * 2006-12-07 2014-08-13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저경도 및 저광택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US8026312B2 (en) * 2006-12-07 2011-09-27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low hardness and low gloss
US10150828B2 (en) 2007-08-03 2018-12-1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for producing propylene terpolymers
EP2022824A1 (en) 2007-08-08 2009-02-11 Borealis Technology Oy Sterilisable and Tough Impact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1849836B1 (ko) * 2013-05-08 2018-05-30 보레알리스 아게 다층 중합체 필름
WO2020009336A1 (ko) * 2018-07-03 2020-0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102103087B1 (ko) * 2018-07-03 2020-04-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3016A (ja) * 1981-11-13 1983-05-18 Mitsui Petrochem Ind Ltd プロピ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の製法
IT1206128B (it) * 1984-07-30 1989-04-1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propileniche resistenti all'urto aventi migliorata resistenza allo sbiancamento.
IT1230133B (it)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propileniche plasto-elastiche
IT1230134B (it)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240417B (it) * 1990-02-28 1993-12-15 Himont Inc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film e corpi laminari polipropilenici e prodotti cosi' ottenuti
IT1243188B (it) * 1990-08-01 1994-05-2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olefiniche elastoplastiche
US5212246A (en) * 1990-09-28 1993-05-18 Himont Incorporated Olefin polymer films
IT1246614B (it) 1991-06-03 1994-11-24 Himont Inc Procedimento per la polimerizzazione in fase gas delle olefine
DE4330661A1 (de) * 1993-09-10 1995-03-16 Basf Ag Kälteschlagzähe Propylenpolymerisate
IT1270125B (it) * 1994-10-05 1997-04-28 Spherilene Srl Processo per la ( co) polimerizzazione di olefine
US5539056A (en) * 1995-01-31 1996-07-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elastomers
US5516848A (en) * 1995-01-31 1996-05-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to produce thermoplastic elastomers
IT1274469B (it) * 1995-05-11 1997-07-17 Spherilene Spa Composizioni poliolefiniche vulcanizzabili dinamicam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9406A (zh) 1998-11-18
EP0846134A1 (en) 1998-06-10
US20030105239A1 (en) 2003-06-05
AU3339597A (en) 1998-01-14
NO980722L (no) 1998-02-20
NO980722D0 (no) 1998-02-20
KR100458810B1 (ko) 2005-02-24
JPH11511805A (ja) 1999-10-12
AU731426B2 (en) 2001-03-29
JP3719715B2 (ja) 2005-11-24
EP0846134B1 (en) 2003-07-23
DE69723657T2 (de) 2004-06-09
WO1997049744A1 (en) 1997-12-31
US6908967B2 (en) 2005-06-21
CN1161391C (zh) 2004-08-11
DE69723657D1 (de)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107B (fi) Termoplastinen olefiinipolymeeri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Lohse et al. Graft copolymer compatibilizers for blends of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US5286564A (en) Elast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KR100849872B1 (ko)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US5723545A (en) Blends of a semi-crystalline polymer and elastic α-olefin/cyclic olefin copolymers
EP0339804B1 (en) Modified polypropylene, process for making article made from the same
US4999403A (en) Graft polymers of functionalized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with polypropylene,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in polypropylene compositions
EP2072546B2 (en) Heterophasic polypropylene with high impact properties
US6121383A (en) Thermosplastic vulcanizates from blends of a polypropylene and elastic α-olefin/cyclic olefin copolymers
KR20080086439A (ko)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JPH03205439A (ja) 塑弾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WO1999020663A2 (en) High impact, flexural moduli polymeric materials formed using sequential donors
US4454306A (en) Olefinic block copolymer and crosslinked product thereof
KR101423945B1 (ko) 저경도 및 저광택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0458810B1 (ko) 고투명성이고고유연성인탄성가소성폴리올레핀조성물
US20100292410A1 (en) Polypropylene Copolymer
EP0785969B1 (en) Blends of polypropylene and elastic alpha-olefin/cyclic olefin copolymers
EP0528908B1 (en) Olefin copolymers
CA2040480C (en) Syndiotactic propylene copolymer, preparation of the same,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A1331239C (en) Thermoplastic olefin polymer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EP1023375A1 (en) Depression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olefins containing cyclic monomers
WO2009055212A1 (en) Crystallizable propylene co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