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087B1 - 전력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087B1
KR102103087B1 KR1020180150056A KR20180150056A KR102103087B1 KR 102103087 B1 KR102103087 B1 KR 102103087B1 KR 1020180150056 A KR1020180150056 A KR 1020180150056A KR 20180150056 A KR20180150056 A KR 20180150056A KR 102103087 B1 KR102103087 B1 KR 10210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equation
peak
propyl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232A (ko
Inventor
조영은
남기준
손수진
조민상
신정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057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1529245A/ja
Priority to CN201980029341.2A priority patent/CN112106150B/zh
Priority to US17/055,444 priority patent/US11629246B2/en
Priority to PCT/KR2019/006719 priority patent/WO2020009336A1/ko
Priority to EP19831376.9A priority patent/EP3819918A4/en
Publication of KR2020000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87B1/ko
Priority to US18/111,396 priority patent/US202302575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75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extruded layers of insulation
    • H01B7/0283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extruded layers of insulation comprising in addition one or more other layers of non-extrud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이들 물성과 상충관계(trade-off)에 있는 유연성, 굴곡성, 내충격성, 열안정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이 우수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이들 물성과 상충관계(trade-off)에 있는 유연성, 굴곡성, 내충격성, 열안정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이 우수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은 도체와 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특히 고전압 또는 초고전압 전력 케이블의 경우 상기 도체와 절연층 사이에 내부 반도전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 상기 외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쉬스층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따라 고용량 케이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층을 제조하기 위한 절연 재료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종래 상기 절연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가교시킨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가교 수지는 심지어 고온하에서도 우수한 유연성 및 만족스런 전기적·기계적 강도 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절연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 사용되어 온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XLPE) 등은 가교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등의 수명이 다하면 상기 절연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소각에 의해 폐기할 수밖에 없어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
또한, 쉬스층의 재료로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상기 절연 재료를 구성하는 가교 폴리에틸렌(XLPE)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여, 소각시 유독성 염소화 물질이 생성되는 등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비가교 형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등의 수명이 다하면 상기 절연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재활용이 가능한 등 환경 친화적이나, 가교 형태의 폴리에틸렌(XLPE)에 비해 내열성이 열등하여 낮은 운전온도로 인해 그 용도가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고분자 자체의 용융점이 160℃ 이상으로 가교하지 않고도 내열성이 우수하여 환경 친화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재 수지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만,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이의 높은 강성(rigidity)에 의한 불충분한 유연성, 굴곡성(flexibility) 등으로 인해,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포설 작업시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이고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및 이들과 상충관계(trade-off)에 있는 유연성, 굴곡성, 내충격성, 열안정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인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및 이들과 상충관계(trade-off)에 있는 유연성, 굴곡성, 내충격성, 열안정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절연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층은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은 규격 ASTM D790에 따라 측정된 상온에서의 굴곡탄성율이 50 내지 1,200 MPa이고, 아래 수학식 1에 따른 프로필렌 단량체의 피크 분율이 0.3 내지 2.0이고, 아래 수학식 2에 따른 자일렌 비용해도가 10% 이하인,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수학식 1]
피크 분율=CH3 대칭 벤드의 피크/CH2 및 CH3 벤드의 피크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CH3 대칭 벤드의 피크는 상기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시 프로필렌 단량체를 나타내는 파수 1400 cm-1 내지 1340 cm-1 사이에 존재하는 CH3 대칭에 대한 흡수율의 피크값이고,
상기 CH2 및 CH3 벤드의 피크는 상기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시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 각각을 나타내는 파수 1500 cm-1 내지 1420 cm-1 사이에 존재하는 CH2 및 CH3에 대한 흡수율의 피크값이다.
[수학식 2]
자일렌 비용해도=(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용출 전 절연 시편의 질량)×100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은 0.3g의 절연 시편을 자일렌 용매에 담근 후 6시간 동안 끓는점 이상에서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절연 시편을 꺼내어 다시 150℃의 오븐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측정한 절연 시편의 질량이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프로필렌 단량체의 피크 분율이 0.4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자일렌 비용해도가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굴곡탄성율이 200 내지 1,00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나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의 C4-12 알파-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절연층 소재로 비가교 프로필렌 중합체를 채택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이와 상충관계에 유연성, 굴곡성, 내충격성, 열안정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횡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의 종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에서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횡단면 및 종단면 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체(10)와 절연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층(30), 상기 도체(10)를 감싸고 상기 도체(10)와 상기 절연층(30) 사이의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 반도전층(20), 케이블의 차폐역할 및 절연층(30)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반도전층(40), 케이블 보호를 위한 시스층(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10), 절연층(30), 반도전층(20,40), 쉬스층(50) 등의 규격은 케이블의 용도, 송전압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30), 반도전층(20,40), 쉬스층(50)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도체(10)는 전력 케이블의 유연성, 굴곡성, 포설성, 작업성 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복수개의 소선이 연합된 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복수개의 소선이 상기 도체(1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된 복수개의 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30)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상, 구체적으로 결정상 및 고무상 수지를 포함하는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구체적으로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분산된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을 의미한다.
상기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는 통상적인 입체-특이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 촉매, 구속 기하 촉매, 다른 유기금속 또는 배위 촉매하에서 중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글러-나타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로센은 사이클로펜타디엔과 전이금속이 샌드위치 구조로 결합한 새로운 유기금속화합물인 비스(사이클로펜타이덴일)금속의 총칭으로, 가장 간단한 구조의 일반식은 M(C5H5)2(여기서, M은 Ti, V, Cr, Fe, Co, Ni, Ru, Zr, Hf 등)이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은 촉매 잔량이 약 200 내지 700 ppm으로 낮기 때문에, 상기 촉매 잔량에 의해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무정형이다.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의 C4-12 알파-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단량체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디엔 고무(EPD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입자 크기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사이즈일 수 있다.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이러한 입자 크기는 상기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서의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균일한 분산을 담보하고,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의 충격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 크기는 상기 입자에 의해 개시되는 균열의 위험 요인을 감소시키면서 이미 형성된 균열 또는 크랙을 중단시킬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비가교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용융점이 높아 충분한 내열성을 발휘함으로써 연속 사용 온도가 향상된 전력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가교 형태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한 등 환경 친화적인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반면, 종래의 가교 형태의 수지는 재활용이 어려워 친환경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연층(30) 형성시 가교 결합 또는 스코치(scorch)가 조기에 발생하면 균일한 생산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등 장기 압출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핵제(nucleat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제는 솔비톨(sorbitol)계 핵제일 수 있다. 즉, 상기 핵제는 솔비톨계 핵제로서 예를 들어 1,3:2,4-비스(3,4-디메틸디벤질리딘) 솔비톨(1,3:2,4-Bis(3,4-dimethyldibenzylidene) Sorbitol), 비스(p-메틸디벤질리딘) 솔비톨(Bis(p-methyldibenzulidene) Sorbitol), 치환된 디벤질리딘 솔비톨(Substituted Dibenzylidene Sorbitol),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핵제는 케이블의 압출 공정에서 급냉하지 않아도 상기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의 경화를 촉진함으로써 케이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의 경화시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를 작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로 제한함으로써, 제조되는 절연층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결정이 생성되는 결정화 사이트를 다수 개 형성시킴으로써 결정화도를 증가시켜 상기 절연층의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도 동시에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핵제는 용융 온도가 높기 때문에 약 230℃의 높은 온도에서 사출 및 압출 가공을 해야 하며, 2 이상의 솔비톨계 핵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서로 다른 솔비톨계 핵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낮은 온도에서도 핵제의 발현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핵제는 상기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핵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큰 결정 크기, 예를 들어, 10 ㎛를 초과하는 결정 크기 및 불균일한 결정 분포로 인해 상기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의 내열성, 전기적·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핵제의 함량이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작은 결정 크기, 예를 들어, 1 ㎛ 미만의 결정 크기로 인해 상기 결정과 상기 수지의 무정형 부분 사이의 표면 계면 면적의 증가로 상기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의 교류절연파괴(AC dielectric breakdown; ACBD) 특성, 임펄스 (impulse) 특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절연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유는 광유, 합성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연유는 디벤질톨루엔, 알킬벤젠, 알킬디페닐에탄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방향족계 오일, 파라핀계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나프텐계 오일, 실리콘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유의 함량은 상기 비가교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절연유의 함량이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도체(10) 상에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압출 과정에서 상기 절연유가 용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유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강성(rigidity)이 커서 유연성(flexibility)이 다소 낮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절연층(30)의 유연성, 굴곡성 등을 추가로 개선함으로써 케이블의 포설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전기적 특성을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절연유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경우 다소 좁은 분자량 분포에 의해 다소 저하된 가공성을 보충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의 상온에서의 굴곡탄성율이 50 내지 1,200 MPa(규격 ASTM D790에 따라 측정됨),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MPa이고, 프로필렌 단량체의 FT-IR 피크 분율(peak ratio)가 0.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7, 자일렌 비용해도(Xylene Insolubility)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규격 ASTM D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탄성율은 직육면체 형상의 절연 시편을 2개의 지지대 위에 놓고 상기 2개의 지지대 사이의 상기 절연 시편의 중간 부분에 하중을 인가하면서 절연 시편 표면에 파단이 발생하거나 5.0%의 변형이 일어나는 시점에 인가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시편의 상온에서의 굴곡탄성율이 50 MPa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30)의 내열성, 기계적 특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1,200 MPa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층(30)의 유연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단량체의 FT-IR 피크 분율(peak ratio)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피크 분율=CH3 대칭 벤드의 피크/CH2 및 CH3 벤드의 피크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CH3 대칭 벤드 (symmetric bend, 또는 umbrella mode)의 피크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시 프로필렌 단량체를 나타내는 파수 1400 cm-1 내지 1340 cm-1 사이에 존재하는 CH3 대칭 밴드에 대한 흡수율의 피크값(해당 파수 내에서 가장 큰 값)이고,
상기 CH2 및 CH3 벤드의 피크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시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 각각을 나타내는 파수 1500 cm-1 내지 1420 cm-1 사이에 존재하는 CH2 및 CH3에 대한 흡수율의 피크값(해당 파수 내에서 가장 큰 값)이다.
여기서, 상기 파수(wave number)는 파동에 있어서 단위 길이당 변화하는 위상의 크기를 의미한다.
즉, 상기 프로필렌 피크 분율이 0.3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절연층(30)은 내열성, 기계적 특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2.0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층(30)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유연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일렌 비용해도(Xylene Insolubility)는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자일렌 비용해도=(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용출 전 절연 시편의 질량)×100
상기 수학식 2에서, 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은 0.3g의 절연 시편을 자일렌 용매에 담근 후 6시간 동안 끓는점 이상, 예를 들어 150℃ 이상에서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절연 시편을 꺼내어 다시 150℃의 오븐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측정한 절연 시편의 질량을 의미한다.
즉, 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은 해당 절연 시편에서 자일렌 용매로 용출되는 고무상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제거되고 남은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기타 첨가제의 총 질량에 해당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자일렌 비용해도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즉 상기 절연 시편 내의 결정상 부분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 상기 절연층(30)의 유연성, 내한성, 포설성, 작업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기재된 피크 분율, 굴곡탄성율 및 자일렌 비용해도를 갖는 절연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시편을 각각 제조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피크분율 1.39 0.90 1.51 1.28 0.29 1.79 2.06 2.43
굴곡탄성율(MPa) 600 350 850 550 45 1100 1450 1800
자일렌비용해도(%) 1.55 3.89 6.23 2.37 0.38 10.17 9.04 13.21
2. 물성 평가
1) 유연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시편을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하고 이의 양측에 test cylinder(직경 : 25(D+d); D : 케이블 외경, d : 도체 직경)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시편을 상기 test cylinder의 원주 곡면을 따라 양방향 180°로 3회 반복 굴곡 후 케이블 절연층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시 꺾임, 크랙, 파손, 백화현상 등을 확인하였다. 꺾임, 크랙, 파손 및 백화현상 중 하나라도 관찰되는 경우 불량이다.
2) 상온 기계적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절연 시편에 대해 규격 KS C IEC 60811-501에 따라 인장강도 및 신율을 각각 측정했다. 인장강도는 1.27 kg/㎟ 이상, 신율은 350% 이상이어야 한다.
3) 가열 후 기계적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절연 시편을 규격 NEN-HD 620 S2에 따라 135±3℃에서 240시간 동안 가열 후 규격 KS C IEC 60811-501에 따라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했다. 가열 후 인장강도는 1.27 kg/㎟ 이상, 가열 후 신율은 350% 이상이어야 한다.
4) 내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절연 시편에 대해 규격 ASTM D746에 따라 취성온도를 측정했다. 취성온도는 -35℃ 이하여야 한다.
상기 물성 평가 결과는 아래 표에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상온 인장강도
(kgf/㎟)
1.88 1.97 2.89 3.06 2.56 3.02 3.11 3.32
상온 신율(%) 577.02 545.54 545.95 674.56 687.93 597.16 471.56 403.94
가열 후 인장강도
(kgf/㎟)
1.92 2.37 3.16 3.16 측정불가
(용융)
3.18 3.98 5.21
가열 후 신율(%) 501.23 541.67 533.39 628.30 337.76 241.95 158.15
취성온도(℃) -50.5 <-60 -44.5 <-60 <-60 -36.5 -17.5 -15.5
유연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이 적용된 실시예 1 내지 4는 피크 분율, 굴곡탄성율 및 자일렌 비용해도가 정밀하게 조절된 경우 상온 기계적 특성, 내열성, 열안정성, 내한성, 유연성 등이 동시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비교예 1은 절연 조성물의 피크 분율이 낮아 프로필렌 함량이 불충분하여 융점(Tm)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내열성이 크게 저하되었고, 비교예 2는 절연 조성물의 자일렌 비용해도가 기준 초과인 관계로 고무상 성분 함량이 낮아지고 따라서 내한성, 유연성 등을 크게 저하되고, 추가로 수지 상태가 불안정하여 가열 후 신율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3 및 4는 절연 조성물의 피크 분율 및 굴곡탄성율이 기준 초과이거나 피크 분율, 굴곡탄성율 및 자일렌비용해도가 모두 기준 초과로 내열성, 내한성 및 유연성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도체 20 : 내부 반도전층
30 : 절연층 40 : 외부 반도전층
50 : 시스층

Claims (8)

  1. 절연 조성물로서,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헤테로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분산된 것이며,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은 규격 ASTM D790에 따라 측정된 상온에서의 굴곡탄성율이 50 내지 1,200 MPa이고, 아래 수학식 1에 따른 프로필렌 단량체의 피크 분율이 0.3 내지 2.0이고, 아래 수학식 2에 따른 자일렌 비용해도가 10% 이하인, 절연 조성물.
    [수학식 1]
    피크 분율=CH3 대칭 벤드의 피크/CH2 및 CH3 벤드의 피크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CH3 대칭 벤드의 피크는 상기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시 프로필렌 단량체를 나타내는 파수 1400 cm-1 내지 1340 cm-1 사이에 존재하는 CH3 대칭에 대한 흡수율의 피크값이고,
    상기 CH2 및 CH3 벤드의 피크는 상기 절연 조성물에 대한 FT-IR 분석시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 각각을 나타내는 파수 1500 cm-1 내지 1420 cm-1 사이에 존재하는 CH2 및 CH3에 대한 흡수율의 피크값이다.
    [수학식 2]
    자일렌 비용해도=(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용출 전 절연 시편의 질량)×100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자일렌 용매에서의 용출 후 절연 시편의 질량은 0.3g의 절연 시편을 자일렌 용매에 담근 후 6시간 동안 끓는점 이상에서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절연 시편을 꺼내어 다시 150℃의 오븐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측정한 절연 시편의 질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프로필렌 단량체의 피크 분율이 0.4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자일렌 비용해도가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탄성율이 200 내지 1,00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상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나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의 C4-12 알파-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8.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층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
KR1020180150056A 2018-07-03 2018-11-28 전력 케이블 KR102103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73167A JP2021529245A (ja) 2018-07-03 2019-06-04 電力ケーブル
CN201980029341.2A CN112106150B (zh) 2018-07-03 2019-06-04 电力电缆
US17/055,444 US11629246B2 (en) 2018-07-03 2019-06-04 Power cable
PCT/KR2019/006719 WO2020009336A1 (ko) 2018-07-03 2019-06-04 전력 케이블
EP19831376.9A EP3819918A4 (en) 2018-07-03 2019-06-04 POWER CABLE
US18/111,396 US20230257564A1 (en) 2018-07-03 2023-02-17 Power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7047 2018-07-03
KR1020180077047 2018-07-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66A Division KR102174435B1 (ko) 2018-07-03 2020-04-08 전력 케이블용 절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232A KR20200004232A (ko) 2020-01-13
KR102103087B1 true KR102103087B1 (ko) 2020-04-21

Family

ID=691533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56A KR102103087B1 (ko) 2018-07-03 2018-11-28 전력 케이블
KR1020200042766A KR102174435B1 (ko) 2018-07-03 2020-04-08 전력 케이블용 절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66A KR102174435B1 (ko) 2018-07-03 2020-04-08 전력 케이블용 절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29246B2 (ko)
JP (1) JP2021529245A (ko)
KR (2) KR102103087B1 (ko)
CN (1) CN1121061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61A (ko) * 2018-07-03 2020-01-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WO2022108208A1 (ko) * 2020-11-20 2022-05-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가교 절연 케이블
KR20230041346A (ko) 2021-09-17 2023-03-24 한국전기연구원 유기성 경질 개질제를 포함하는 삼성분계 절연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절연 소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143B2 (en) 1999-11-17 2005-03-01 Pirelli Cavi E Sistemi S.P.A.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JP2012134136A (ja) 2010-12-01 2012-07-12 Fujikura Ltd 伝送ケーブル用絶縁電線及び伝送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0133B (it) *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propileniche plasto-elastiche
JP3719715B2 (ja) * 1996-06-24 2005-11-24 モンテル ノース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透明性で高柔軟性の弾性プラスチック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IT1293759B1 (it) 1997-07-23 1999-03-10 Pirelli Cavi S P A Ora Pirelli Cavi con rivestimento riciclabile a bassa deformazione residua
IT1295925B1 (it) * 1997-10-28 1999-05-28 Montell North America Inc Composizioni polipropileniche ad elevato contenuto di cariche minerali pesanti, adatte al rivestimento di tubi metallici
EP1279699A1 (en) * 2001-07-27 2003-01-29 Baselltech USA Inc.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US7125924B2 (en) * 2002-09-17 2006-10-24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Highly filled soft polyolefin compositions
US7288598B2 (en) * 2003-03-06 2007-10-30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Polyolefin masterbatch for preparing impact-resistant polyolefin articles
US20050234198A1 (en) * 2004-04-20 2005-10-20 Fina Technology, Inc. Heterophasic copolymer and metallocene catalyst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heterophasic copolymer using the metallocene catalyst system
DE602005009648D1 (de) * 2005-01-14 2008-10-23 Borealis Polymers Oy Heterophasische Polymer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9516044A (ja) * 2005-11-15 2009-04-16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プロピレン−エチレン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法
EP1988122A1 (en) * 2007-05-04 2008-11-05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Blend for use in automobile application
DE602007006219D1 (de) * 2007-12-18 2010-06-10 Borealis Tech Oy Kabelschicht aus modifiziertem weichem Polypropylen
EP2985765B1 (en) * 2010-12-01 2020-03-18 Fujikura Ltd. Insulated wire and cable
KR101884495B1 (ko) * 2011-05-11 2018-08-01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의 고충전 화합물
CN103649208B (zh) * 2011-07-07 2016-08-17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责任公司 聚丙烯组合物
EP2551109A1 (en) * 2011-07-25 2013-01-3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ipe lining with heterophasi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thermosetting resin
EP2882803B1 (en) * 2012-08-10 2019-03-27 Equistar Chemicals LP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KR102038709B1 (ko) * 2013-05-15 2019-10-30 한국전력공사 전력 케이블
KR102003567B1 (ko) * 2013-02-14 2019-07-24 한국전력공사 전력 케이블
US10662323B2 (en) * 2013-08-12 2020-05-26 Nkt Hv Cables Ab Thermoplastic blend formulations for cable insulations
GB201320919D0 (en) * 2013-11-27 2014-01-08 Addivant Switzerland Gmbh Composition
CN105829426B (zh) * 2013-12-19 2019-05-21 博里利斯股份公司 经交联的低mfr聚合物组合物、电力电缆绝缘和电力电缆
CN107531960B (zh) * 2015-04-13 2020-10-23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热塑性组合物和制品
JP6681158B2 (ja) * 2015-07-27 2020-04-15 日立金属株式会社 多層絶縁電線及び多層絶縁ケーブル
KR101968388B1 (ko) * 2016-06-28 2019-04-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180007762A (ko) 2016-07-14 2018-01-24 (주)휴이노베이션 케이블 절연층용 이상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 전력케이블
KR20180013507A (ko) * 2016-07-29 2018-02-07 (주)휴이노베이션 케이블 절연층용 이상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 전력케이블
KR101859852B1 (ko) 2016-12-27 2018-05-18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절연층에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PL3495423T3 (pl) * 2017-12-05 2021-08-09 Borealis Ag Wyrób zawierający kompozycję polipropylenową wzmocnioną włóknami
KR102558902B1 (ko) * 2018-01-25 2023-07-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FR3090989B1 (fr) * 2018-12-21 2023-08-18 Nexans Câble électrique ayant une tenue au vieillissement en température amélioré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143B2 (en) 1999-11-17 2005-03-01 Pirelli Cavi E Sistemi S.P.A.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JP2012134136A (ja) 2010-12-01 2012-07-12 Fujikura Ltd 伝送ケーブル用絶縁電線及び伝送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9245A (ja) 2021-10-28
KR20200004232A (ko) 2020-01-13
KR102174435B1 (ko) 2020-11-04
KR20200040222A (ko) 2020-04-17
CN112106150A (zh) 2020-12-18
US20210179829A1 (en) 2021-06-17
US11629246B2 (en) 2023-04-18
CN112106150B (zh)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709B1 (ko) 전력 케이블
KR102174435B1 (ko) 전력 케이블용 절연체
US11763963B2 (en) Power cable
CN112041943B (zh) 电力电缆
US20230257564A1 (en) Power cable
KR101968388B1 (ko) 전력 케이블
EP3544026A1 (en) Power cable
KR102003568B1 (ko) 전력 케이블
KR20190106955A (ko) 전력 케이블
KR102339371B1 (ko) 반도전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반도전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
KR102061407B1 (ko) 전력 케이블
KR102020068B1 (ko) 전력 케이블
KR20200104241A (ko)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US20220135782A1 (en) Insulator and power cable comprising same
KR101949643B1 (ko) 반도전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반도전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
KR102097238B1 (ko) 전력 케이블
KR20200004270A (ko) 전력 케이블
KR102097236B1 (ko) 전력 케이블
KR20240020533A (ko) 고온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