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837U -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837U
KR19990040837U KR2019980007501U KR19980007501U KR19990040837U KR 19990040837 U KR19990040837 U KR 19990040837U KR 2019980007501 U KR2019980007501 U KR 2019980007501U KR 19980007501 U KR19980007501 U KR 19980007501U KR 19990040837 U KR19990040837 U KR 19990040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cts
display unit
portable comput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7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837U/ko
Publication of KR19990040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837U/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용 컴퓨터는 본체, 디스플레이부, 힌지부로 구성된다. 힌지부는 힌지축과 축받이부 그리고 스위칭 수단을 갖는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로부터/에 열릴 때/닫힐 때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ON/OFF 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는 소정폭으로 홈이 형성된다. 축받이부는 센서 스위치를 갖는다. 센서 스위치는 힌지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전원을 ON 시키고, 상기 홈 상에 위치되면 전원을 OFF 시킨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a portable computer)
본 고안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디스플레이부의 회동에 따라 전원 ON/OFF 및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차단하도록 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도록 만들었으며, 컴퓨터 시스템의 다기능 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의 기구적인 구조에도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적인 설계는 생산의 편리성과 함께 사용자의 편리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10)는 본체(12)와 디스플레이부(14)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본체(12)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본체(12)에 힌지부(2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본체(12)에는 키보드(16)와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18) 등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평면형 디스플레이(14')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용 컴퓨터(10)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디스플레이부(14)를 사용하기 적합한 각도로 펼친다. 그리고 본체(12)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12')를 눌러 전원을 ON 시킨다. 한편,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을 OFF시킨 후 디스플레이부(14)를 상기 본체(12)에 덮어둔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용 컴퓨터(10)의 전원이 켜진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4)를 닫으면, 배터리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4')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본체(12)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꼭 전원의 ON/OFF를 확인하여 전원을 OFF 상태로 만든 후에 디스플레이부(14)를 본체(12)에 닫아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한편, 상기 본체(12)와 디스플레이부(14)는 플렉시블 케이블(22)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 블렉시블 케이블(22)은 그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성도 매우 낮다. 그 이유는 작업자가 일일이 플렉시블 케이블(22)의 양단을 메인보드(미도시)와 인터페이스 보드(미도시)에 각각 접속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플렉시블 케이블(22)을 가리기 위해 별도의 부품(24)이 사용되므로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를 제작, 생산함에 있어서 이 플렉시블 케이블(22)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열리고 닫힘에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ON/OFF 시키고,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부의 확대 단면도;
도 4a는 도 2의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도 4a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로부터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힌지부의 확대 단면도;
도 6b는 도 6에서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힌지부가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닫히고 열려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휴대용 컴퓨터 32 : 본체
34 : 디스플레이부 34a : 디스플레이
34b : 디스플레이 패널 36 : 마더보드
38 : 케이블 40 : 힌지부
42 : 힌지축 42a : 홈
44 : 축받이부 46 : 축받이홈
48 : 센서 스위치 50 : 제 1 콘택트
52 : 제 2 콘택트 54 : 비접촉부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마더보드를 갖는 본체와; 인터페이스 보드를 갖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절첩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축받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축받이부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로부터/에 열릴 때/닫힐 때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칭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소정 폭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혔을 때 상기 홈과 대응되는 축받이공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소정 폭과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상기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각각 대응되는 축받이공의 내주면에 힌지축의 회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 2 콘택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콘택트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혔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접속되지 않도록 비접속부분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디스플레이부의 회동에 따라 동작되는 힌지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컴퓨터(30)는 본체(32)와 디스플레이부(34) 그리고 힌지부(40)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상기 본체(32)에는 키보드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32)의 내부 공간에는 마더보드(도 4a에 도시되어 있음;36)가 설치되며, 상기 마더보드(36)에는 메모리, 프로세서(processor) 등의 다수의 반도체 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는 디스플레이(34a)와 디스플레이 패널(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는 본체(32)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32)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상기 디스플레이(34a)는 디스플레이 패널(34b)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4b) 내부에는 인터페이스 보드(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마더보드(36)는 케이블(38)에 의해 서로 전기적인 연결된다. 이 케이블(38)을 통해 상기 본체(32)로부터 디스플레이부(34)로 전원 및 데이터를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40)는 힌지축(42)과 축받이부(44) 그리고 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축(42)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4b)에 스크류로 고정된다. 상기 축받이부(44)는 본체(32)에 스크류로 고정된다. 상기 축받이부(44)에는 상기 힌지축(42)이 끼워지는 축받이공(46)이 형성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4)가 본체(32)로부터/에 열릴 때/닫힐 때 휴대용 컴퓨터(30)의 전원을 ON/OFF 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힌지축(42)의 외주면에는 소정폭으로 홈(42a)이 형성된다. 상기 축받이부(44)에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센서 스위치(48)가 설치된다. 이 센서 스위치(4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4)가 본체(32)에 닫혔을 때 상기 홈(42a)과 대응되는 축받이공(46)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이 센서 스위치(48)는 마더보드(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센서 스위치(48)는 검출 대상인 힌지축(42)의 외주면(42b)과 접촉되면 휴대용 컴퓨터(30)의 전원을 ON 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열리고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a는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2)의 홈(42a) 상에 센서 스위치(48)가 위치되어 있다.(이때,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은 OFF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32)로부터 디스플레이부(34)를 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0)의 힌지축(42)이 회동되면서 센서 스위치(48)에는 힌지축(42)의 외주면(42b)이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스위치(48)는 휴대용 컴퓨터(30)의 전원을 ON 시킨다. 예컨대,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4)를 본체(32)에 닫으면 센서 스위치(48)가 홈(42a) 상에 위치되고,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30)의 전원이 자동으로 OFF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가 별도로 파워 스위치(32a)를 조작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부(34)의 열고 닫힘에 따라 전원이 자동으로 ON/ OFF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힌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5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40')는 힌지축(42')과 축받이부(44') 그리고 콘택트 수단을 갖는다. 상기 힌지축(42')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4b)에 스크류로 고정된다. 상기 축받이부(44')는 본체(32)에 스크류로 고정된다. 상기 축받이부(44')에는 상기 힌지축(42')이 끼워지는 축받이공(46')이 형성된다. 다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콘택트 수단은 상기 본체(32)와 디스플레이부(34)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콘택트들(50)과 제 2 콘택트들(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콘택트들(50)은 상기 힌지축(42')의 외주면에 소정폭과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제 1 콘택트들(50)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콘택트들(52)은 상기 축받이부(44')에 형성된다. 이 제 2 콘택트들(52)은 상기 제 1 콘택트들(50)과 각각 대응되는 상기 축받이공(44')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 제 2 콘택트들(52)은 메인보드(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보드와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힌지부(40')의 제 1, 2 콘택트들(50,52)의 접속에 의해 서로 전기적인 연결된다. 즉 이 힌지부의 제 1 , 2 콘택트들(50,52)을 통해 상기 본체(32)로부터 디스플레이부(34)로 전원 및 데이터가 전달된다. 다시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콘택트들(52)은 비접속부분(54)을 갖는다. 이 비접속부분(5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4)가 본체(32)에 닫혔을 때 상기 제 2 콘택트들(52)과 접속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 2 콘택트들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힌지부가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열리고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들(50)은 상기 제 2콘택트들(52)의 비접촉부분(54)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32)와 디스플레이부(34)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 본체(32)로부터 디스플레이부(34)를 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0')의 힌지축(42')이 회동된다. 그리고 제 1 콘택트들(50)은 비접촉부분(54)으로부터 벗어나 제 2 콘택트들(52)과 접촉된다. 이 접촉으로 상기 메인보드(36)와 인터페이스 보드(미도시)는 서로 전기적인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 힌지부(40')의 제 1 , 2 콘택트들(50,52)을 통해 상기 본체(32)로부터 디스플레이부(34)로 전원 및 데이터가 전달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4)를 본체(32)에 닫으면 제 1 콘택트들(50)이 비접촉부분(54)에 위치되고, 따라서 자동으로 본체(32)와 디스플레이부(34)는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휴대용 컴퓨터(10)는 디스플레이부(34)와 본체(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고, 디스플레이부가 열렸을 때에만 힌지부(40')를 통해 본체(32)와 디스플레이부(3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과 콘택트 수단을 하나의 힌지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수단과 콘택트 수단을 갖는 힌지부가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열림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이 ON 되고,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디스플레이부의 열고 닫힘에 따라서 자동으로 ON/OFF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는 힌지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써, 종래 본체와 디스플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고, 따라서, 종래 이 케이블에 의해서 발생되었던 문제들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마더보드를 갖는 본체와;
    인터페이스 보드를 갖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절첩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축받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축받이부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로부터/에 열릴 때/닫힐 때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소정 폭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혔을 때 상기 홈과 대응되는 축받이공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 스위치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ON 시키고, 상기 홈 상에 위치되면 그 전원을 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소정 폭과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상기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각각 대응되는 축받이공의 내주면에 힌지축의 회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 2 콘택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콘택트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닫혔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제 1 콘택트들과 접속되지 않도록 비접속부분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열리면 상기 다수의 제 2 콘택트들을 통해 상기 제 1 콘택트들로 전원 및 시그널들이 전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닫히면 상기 제 1 콘택트들이 상기 비접촉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콘택트들과 제 2 콘택트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으므로써 전원 및 시그널들의 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2019980007501U 1998-05-08 1998-05-08 휴대용 컴퓨터 KR199900408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01U KR19990040837U (ko) 1998-05-08 1998-05-08 휴대용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01U KR19990040837U (ko) 1998-05-08 1998-05-08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37U true KR19990040837U (ko) 1999-12-06

Family

ID=6951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501U KR19990040837U (ko) 1998-05-08 1998-05-08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8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82B1 (ko) * 1998-12-30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82B1 (ko) * 1998-12-30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500B1 (ko) 전원 제어 모드 변환부를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KR19990078411A (ko) 디스플레이 조명 수단을 구비한 정보 터미날 디바이스
US5422784A (en) Housing arrangement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removably mounted circuit board above an opening in a top shell
JP2007292280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US9152169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2011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03091332A (ja) 情報処理装置
US5953205A (en) Portable type information apparatus having a first housing with a display portion and a second housing movable to cover the first housing with a key in one, extending into a recess o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KR19990040837U (ko) 휴대용 컴퓨터
KR100294262B1 (ko) 케이블가이딩장치와케이블가이딩장치가설치된휴대용컴퓨터
JP3673766B2 (ja) ヒンジ
JPH10268971A (ja) 携帯形情報機器
JP4594483B2 (ja) 電子機器
KR100315563B1 (ko) 케이블가이딩구조를갖는휴대형컴퓨터
JP2550670Y2 (ja) 蝶番用コネクタ
KR100782883B1 (ko) 스위블 힌지의 전선 가이드구조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전자기기
TWM645127U (zh) 可穿線鉸鏈
JP2009075865A (ja) 電子機器
KR100304189B1 (ko) 회로기판의장착구조및그장착구조가적용된휴대용컴퓨터
JP2001067142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10116134A (ja) 情報処理装置
CN117130432A (zh) 电子装置
KR20010011372A (ko) 도킹 도어 구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KR100948157B1 (ko) 휴대용 컴퓨터
KR20050054719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스피커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