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210U -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210U
KR19990040210U KR2019980006790U KR19980006790U KR19990040210U KR 19990040210 U KR19990040210 U KR 19990040210U KR 2019980006790 U KR2019980006790 U KR 2019980006790U KR 19980006790 U KR19980006790 U KR 19980006790U KR 19990040210 U KR19990040210 U KR 199900402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miconductor package
unloading
loading
manufactur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6751Y1 (ko
Inventor
오주일
양성진
신명선
Original Assignee
김규현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2019980006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7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751Y1/ko

Links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를 온로딩하여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자재를 수납한후, 다시 그 트레이를 다시 언로딩시키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평판형의 베이스(10) 상부에 다수의 트레이가 적층되어 위치하도록 상부는 개방된채 전,후,좌,우에 지지벽a,b,c(11,12,13)을 설치하여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 내측에는 각각 모터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21,31)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부에는 다수의 트레이(T)가 위치되는 온로딩승강판(26)과 언로딩승강판(36)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 후방에는 이송레일(40)을 설치하고 그 이송레일(40) 상에는 이송구(41)를 구비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송구(41)상에는 실린더(42)를 구비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42)에는 트레이온로딩부(20)에서 트레이언로딩부(30)로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이송시키는 그립퍼(5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Description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본 고안은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자재가 수납되는 트레이를 자동으로 온로딩 및 언로딩시킬 수 있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는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자재(이하 자재라 함)가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는 매거진이나 트레이 등에서 픽업(Pick Up)이나 푸시(Push) 동작을 통해 자재를 온로딩하는 온로딩부, 온로딩된 자재를 벨트나 흡착수단으로 소정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이송부, 이송된 자재를 소정의 목적물로 제조하는 제조부, 상기 제조완료된 자재를 벨트나 흡착수단 등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자재를 소정의 매거진이나 트레이 등에 다시 순차적으로 수납하는 언로딩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언로딩부는 푸셔장치 등을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매거진에 순차적으로 자재를 적층하여 수납하거나, 또는 픽업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평판 모양의 트레이에 자재를 수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트레이를 수작업으로 온로딩하고, 상기 트레이에 다수의 자재가 수납된후에는 다시 수작업으로 그 트레이를 언로딩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이송레인을 구비하고 그 이송레인에 트레이를 안착하여 이송시킴으로서 트레이의 온로딩, 자재 수납 및 트레이의 언로딩이 순차적으로 실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트레이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자재 파손의 염려가 있다. 또한 별도의 이송레인에 트레이를 안착하여 이송시키는 것은 이송레인외에 별도의 온로딩수단과 언로딩수단 등이 필요함으로서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자재가 수납되는 트레이를 작은 공간내에서 자동적으로 온로딩하고, 언로딩시킬 수 있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중 그립퍼를 포함한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A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5a내지 도5c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의 작동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트레이(Tray) 공급장치 10 ; 베이스(Base)
11,12,13 ; 지지벽a,b,c 20 ; 트레이온로딩(Onloading)부
30 ; 트레이언로딩(Unloading)부 21,31 ; 리드스크류(Lead Screw)
22, 32 ; 풀리(Pully) 23, 33 ; 넛트(Nut)
24,34 ; 지지블럭(Block) 25, 35 ; 승강판지지바
26 ; 온로딩승강판 36 ; 언로딩승강판
40 ; 이송레일(Rail) 41 ; 이송구
42,71b,72b,76b ; 실린더(Cylinder) 43,76a ; 샤프트(Shaft)
50 ; 그립퍼(Gripper) 51 ; 피니언(Pinion)
52 ; 랙(Rack) 53 ; 고정쇠
61,62,63,64 ; 위치센서a,b,c,d 71, 72 ; 위치결정블럭a,b
71a,72a ; 푸셔(Pusher) 75 ; 트레이지지바
76 ; 지지바작동블럭 79 ; 트레이지지편
79a ; 탄성편 79b ; 고정축
T ; 트레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에 의하면, 트레이를 온로딩하여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자재를 수납한후, 다시 그 트레이를 다시 언로딩시키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의 베이스 상부에 다수의 트레이가 적층되어 위치하도록 상부는 개방된채 전,후,좌,우에 지지벽을 설치하여 트레이온로딩부와 트레이언로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온로딩부와 트레이언로딩부 내측에는 각각 모터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부에는 다수의 트레이가 위치되는 온로딩승강판과 언로딩승강판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온로딩부와 트레이언로딩부 후방에는 이송레일을 설치하고 그 이송레일 상에는 이송구를 구비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송구상에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에는 트레이온로딩부에서 트레이언로딩부로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이송시키는 그립퍼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온로딩부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 상단 부근에는, 일정시간동안 트레이가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트레이지지편을 고정축에 일정각도만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되, 각각의 트레이지지편 측면에는 탄성편을 연설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 상부에는, 반도체패키지 자재가 수납되는 동안 트레이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장봉형태로써 트레이지지바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트레이지지바 일단은 연결샤프트와 실린더로 이루어진 지지바작동블럭에 연결하여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 상부에는, 그립퍼로 이송된 트레이가 항상 일정한 부분에만 위치하도록, 실린더와 푸셔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치결정블럭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트레이온로딩부와 트레이언로딩부를 이루는 일측의 지지벽 상부에는, 안착된 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다수개의 위치센서를 더 설치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100)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3은 트레이 공급장치(100)중 그립퍼(50)를 포함한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의 베이스(10) 상부에는 다수의 트레이가 적층되어 위치하도록 상부는 개방된채 전,후,좌,우에 지지벽a,b,c(11,12,13)이 고정되어 소정의 공간부인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 내측의 저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벨트로 연결된 풀리(22,32) 및 이와 일체인 넛트(23,33)가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넛트(23,33)에는 리드스크류(21,31)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21,31)는 그 상단이 온로딩승강판(26) 및 언로딩승강판(36)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온로딩승강판(26) 및 언로딩승간판(36)의 저면에는 승강판지지바(25,35) 결합되어 있되, 상기 승강판지지바(25,35)는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블럭(24,34)내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 후방에는 이송레일(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레일(40)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이송구(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구(41)의 상부에는 실린더(4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42)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샤프트(76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76a)에는 그립퍼(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그립퍼(50)는 저면에 피니언(51) 및 랙(5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랙(52)의 단부에는 고정쇠(53)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트레이온로딩부(20)의 트레이를 그립하여 트레이언로딩부(30)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a,b(11,12) 상단 부근에는, 일정시간동안 트레이가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트레이지지편(79)이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축(79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지지편(79) 일측면에는 "L"자형의 탄성편(79a)이 연설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트레이지지편(79)이 일정각도 회전된후에는 즉시 윈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온로딩승강판(26)의 상승에 의해 트레이가 상기 트레이지지편(79)을 밀면서 상부로 상승한후에, 다시 하강하게 되면 이미 상승된 트레이는 트레이지지편(79)의 복귀로 인하여, 그 트레이지지편(79)상에 복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b,c(12,13) 상부에는, 자재가 수납되는 동안 트레이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장봉형태로써 트레이지지바(75)가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트레이지지바(75) 일단은 지지바작동블럭(76)(도1 참조) 즉, 전방쪽의 지지벽에 고정된 실린더(76b)와 연결샤프트(76a)로 이루어진 지지바작동블럭(76)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지지바작동블럭(76)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지지바(75)가 좌,우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그립퍼(50)에 의해 트레이가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의 트레이지지바(75)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것이며, 자재가 상기 트레이에 모두 안착된 후에 언로딩승강판(36)이 상기 트레이지지바(75)에 까지 상승하면 상기 지지바작동블럭(76)이 작동하여 트레이지지바(75)를 좌,우로 서로 멀어지게 함으로서 트레이가 상기 언로딩승강판(36)에 안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b,c(12,13) 상부에는, 그립퍼(50)로 이송된 트레이가 항상 일정한 기준 위치에만 위치하도록, 실린더(71b,72b)와 푸셔(71a,72b)로 이루어진 위치결정블럭a,b(7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안착될 트레이의 측면과 대각선방향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그립퍼(50)로 트레이가 트레이지지바(75)상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위치결정블럭a,b(71,72)의 푸셔(71a,72a)가 트레이의 대각선방향과 측면을 동시에 밀어줌으로서 그 트레이가 항상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납될 자재가 트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를 이루는 일측의 지지벽a,c(11,13) 상부에는, 안착된 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다수개의 위치센서a,b,c,d(61,62,63,64)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트레이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을 때 장비 전체의 동작을 멈추게 하거나 또는 작업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 장비의 오동작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하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5a내지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레이온로딩부(20) 내측에 위치한 온로딩승강판(26)상에 작업자가 다수의 트레이(T)를 적층하여 위치시킨다. 그런후에 전원이 인가되면 최초로 도시되지 않은 모터가 작동하고, 상기 모터에는 벨트로 풀리(22)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풀리(22)와 더불어 그 저면의 넛트(23)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넛트(23)에는 리드스크류(21)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리드스크류(21)가 회전하면서 온로딩승강판(26)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로딩승강판(26)의 저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1)를 중심으로 그 외주연에 다수개의 승강판지지바(25)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승강판지지바(25)는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블럭(24)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온로딩승강판(26)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온로딩승강판(26)이 일정높이 상승하여 제일 상부의 트레이(T)가 지지벽a,b(11,12)에 설치된 트레이지지편(79)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면서, 그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여 온로딩승강판(26)이 하강된다. 동시에 상기 트레이지지편(79)이 원위치됨으로서 그 상부에 있던 트레이(T)가 상기 트레이지지편(79)상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벽a,b(11,12)에 설치된 위치센서a,b(61,62)는 트레이(T)가 정확히 트레이지지편(79) 상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정확히 위치되었을 때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치 않을 경우에는 장비의 작동을 중지하거나 이를 작업자에게 알린다.
한편,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 후단에 위치하는 그립퍼(50)는 이송구(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부에 정확히 위치되고, 이어서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76a)가 하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그립퍼(50)의 피니언(51)과 랙(52)의 작동으로 고정쇠(53)가 좌,우로 좁아지면서 트레이지지편(79)상의 한 트레이(T)를 그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T)를 그립한 그립퍼(50)는 다시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상승한 상태에서, 이송구(41)의 작동에 의해 이송레일(40)을 따라서 트레이언로딩부(30) 상부에까지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그립퍼(50)가 하강되고, 그립퍼(50)의 피니언(51)과 랙(52)의 작동으로 고정쇠(53)가 좌,우로 멀어짐으로서 트레이(T)를 트레이지지바(75) 상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의 지지벽b,c(12,13) 상부에 위치한 2개의 위치결정블럭a,b(71,72) 즉, 실린더(71b,72b)와 푸셔(71a,72a)가 작동함으로서 상기 트레이지지바(75)상의 트레이(T)를 소정방향으로 밀어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그 트레이(T)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지지벽b,c(12,13)에 위치된 위치센서c,d(63,64)가 작동됨으로서, 상기 트레이(T)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었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되고, 그렇치 않을 경우에는 장비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작업자에게 이 사실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하여 트레이(T)가 트레이지지바(75)상에 안착된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소정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 다수의 자재가 상기 트레이(T)상에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T)상에 다수의 자재가 모두 수납된 후에는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의 저면에 위치한 모터 및 이와 벨트로 결합된 풀리(32), 리드스크류(31) 등이 작동함으로서 언로딩승강판(36)이 상기 트레이지지바(75)에 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언로딩승강판(36)의 저면에는 승강판지지바(35)가 결합되어 있고, 이 승강판지지바(35)는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블럭(3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언로딩승강판(36)이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된다.
이어서 지지바작동블럭(76), 즉 실린더(76b)와 샤프트(76a)가 작동함으로서 상기 트레이지지바(75)가 좌,우로 멀어지게 되어, 그 트레이지지바(75)상의 트레이(T)가 언로딩승강판(36)상으로 자연스럽게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언로딩승강판(36)상에 트레이(T)가 안착된 후에는 다시 상기 온로딩승강판(26), 그립퍼(50) 등이 작동하여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서 트레이의 온로딩과, 자재 수납이 완료된 트레이의 언로딩이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서 자재가 수납되는 트레이를 자동적으로 온로딩 및 언로딩시킴으로서, 단위시간당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작업자의 개입이 감소함으로서 작업자의 부주위에 의한 자재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트레이(T)를 온로딩하여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자재를 수납한후, 다시 그 트레이를 언로딩시키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평판형의 베이스(10) 상부에 다수의 트레이(T)가 적층되어 위치하도록 상부는 개방된채 전,후,좌,우에 지지벽a,b,c(11,12,13)을 설치하여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 내측에는 각각 모터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21,31)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부에는 다수의 트레이(T)가 위치되는 온로딩승강판(26)과 언로딩승강판(36)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 후방에는 이송레일(40)을 설치하고 그 이송레일(40) 상에는 이송구(41)를 구비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송구(41)상에는 실린더(42)를 구비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42)에는 트레이온로딩부(20)에서 트레이언로딩부(30)로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이송시키는 그립퍼(5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a,b(11,12) 상단 부근에는, 일정시간동안 트레이(T)가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트레이지지편(79)을 고정축(79b)에 일정각도만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되, 각각의 트레이지지편(79) 측면에는 탄성편(79a)을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b,c(12,13) 상부에는, 반도체패키지 자재가 수납되는 동안 트레이(T)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장봉형태로써 트레이지지바(75)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트레이지지바(75) 일단은 연결샤프트(76a)와 실린더(76b)로 이루어진 지지바작동블럭(76)에 연결하여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언로딩부(30)를 이루는 양측의 지지벽b,c(12,13) 상부에는, 그립퍼(50)로 이송된 트레이(T)가 항상 일정한 부분에만 위치하도록, 실린더(72b,71b)와 푸셔(72a,71a)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치결정블럭a,b(71,7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온로딩부(20)와 트레이언로딩부(30)를 이루는 일측의 지지벽a,c(11,13) 상부에는, 안착된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다수개의 위치센서a,b,c,d(61,62,63,64)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KR2019980006790U 1998-04-28 1998-04-28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KR200286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90U KR200286751Y1 (ko) 1998-04-28 1998-04-28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90U KR200286751Y1 (ko) 1998-04-28 1998-04-28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10U true KR19990040210U (ko) 1999-11-25
KR200286751Y1 KR200286751Y1 (ko) 2002-11-18

Family

ID=6951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790U KR200286751Y1 (ko) 1998-04-28 1998-04-28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75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80B1 (ko) * 2006-10-16 2007-10-30 세크론 주식회사 트레이 이송 시스템
KR100772165B1 (ko) * 2006-10-25 2007-10-31 드림산업(주) 트레이 배출장치
KR101339169B1 (ko) *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반도체 절단 장비용 컨베이어 로더
KR102114636B1 (ko) * 2020-03-19 2020-05-25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의 자동 교체를 위한 공정장치
KR102133881B1 (ko) * 2020-02-18 2020-07-14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용 트레이 및 지그의 자동 교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80B1 (ko) * 2006-10-16 2007-10-30 세크론 주식회사 트레이 이송 시스템
KR100772165B1 (ko) * 2006-10-25 2007-10-31 드림산업(주) 트레이 배출장치
KR101339169B1 (ko) *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반도체 절단 장비용 컨베이어 로더
KR102133881B1 (ko) * 2020-02-18 2020-07-14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용 트레이 및 지그의 자동 교체장치
KR102114636B1 (ko) * 2020-03-19 2020-05-25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의 자동 교체를 위한 공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751Y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558B1 (ko) 모듈아이씨핸들러의엘리베이터부에서팔레트를순환시키는방법및그장치
WO2023071319A1 (zh) 一种层叠托盘分层上料装置
CN214279935U (zh) 一种引线框架的送料装置
CN113371468A (zh) 塑料瓶隔板码垛及隔板拆垛全自动多功能一体机
KR200286751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KR102053752B1 (ko) Pcb 자동 적재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적재방법
CN110217531B (zh) 一种线边仓自动上料设备及上料方法
CN116281158A (zh) 一种可兼容多规格铝壳的上料机
CN105599951A (zh) 自动化包装设备
JP2957787B2 (ja) ワークの移載方法
JP2005022817A (ja) トレーチェンジャー
KR100319015B1 (ko)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의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
JP2000233832A (ja) 収納体処理装置
KR100217397B1 (ko) 리튬전지의 이재공급씨스템
KR100325528B1 (ko) 트레이공급장치
JPH0134884B2 (ko)
CN116422650B (zh) 一种等离子清洗设备
CN220549685U (zh) 落料机构及搬运装置
JPH09136718A (ja) パレット出し入れ装置
KR100368164B1 (ko) 반도체패키지용 카셋트 인/아웃 로더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치
KR100732529B1 (ko) 벌크 방식의 테스터 핸들러 로더/언로더
KR102274543B1 (ko) 쏘 앤 플레이스먼트 시스템
KR0139989Y1 (ko) 트레이 공급장치
CN118004759A (zh) 一种芯片rdt测试装卸设备
JPH0516980A (ja) 部品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