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960U -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960U
KR19990038960U KR2019980004996U KR19980004996U KR19990038960U KR 19990038960 U KR19990038960 U KR 19990038960U KR 2019980004996 U KR2019980004996 U KR 2019980004996U KR 19980004996 U KR19980004996 U KR 19980004996U KR 19990038960 U KR19990038960 U KR 19990038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act
dust collector
air conditioner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4576Y1 (ko
Inventor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4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5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점단자는 상기 복수의 전기집진기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복수의 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나의 접점단자에 복수의 접점을 이루도록 형성함에 따라 복수의 전기집진기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이게 되어 조립성을 개선시킴은 물론 재료비를 다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집진기키트의 일측에 배설된 접점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원가를 절감시키는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측에는 실내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수의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2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내측에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상냄새를 제거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공기청정수단(10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공기청정수단(100)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배설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상측 및 하측에 서로 쌍을 이루며 회전가능케 힌지 결합된 복수의 집진기키트(120)와,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1)을 따라 내장되어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 시켜 포집하는 복수의 전기집진기(130)와, 상기 전기집진기(13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의 이상 냄새를 제거시키도록 후측지지대(140)를 매개로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내측 단부측에 배설되는 복수의 탈취필터(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하단측에는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공급수단(19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하단측에는 상기 집진기키트(120)가 회전되도록 회전축(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키트(122)의 상단측에는 상기 회전축(122)에 의해 지지된 집진기키트(120)의 상단측을 고정하도록 연결고리(16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측부에는 가이드홈(12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21a)을 통해 관통되어 전기집진기(130)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복수의 접점단자(123)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접점단자(123)는 고전압공급수단(190)에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기집진기(130)의 전면측에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기집진기(130)측에 손 또는 도전체를 잡고 넣을 경우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안전망(19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전기집진기(130)의 상단측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30)를 집진기키트(120)에 용이하게 착탈시키도록 하는 손잡이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후측에는 상기 탈취필터(150)을 고정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후측지지대(14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하단측에는 한쌍을 이루는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하측을 일체로 받쳐줌과 동시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닥지지대(170)가 배설되어 있다.
미설명부호(141)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나타내고, 부호(142)는 상기 탈취필터(150)를 고정가능케 가이드하는 필터가이드를 나타내고, 부호(180)는 내장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품의 전면측을 커버하는 전면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시되지 않은 조작스위치의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고전압공급수단(190)으로부터 접점단자(123)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접점단자(123)와 접촉된 전기집진기(130)의 접점(미도시)을 통하여 전기집진기(130)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블로워팬(미도시)이 구동되고, 상기 블로워팬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공기가 흡입그릴부재(20)의 공기흡입구(21)를 통해 강제 흡입되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전기집진기(130)를 통과하면서 전기적으로 이온화되어 상기 전기집진기(130)에 포집되고, 상기와 같이 전기집진기(13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탈취필터(150)에 의해 이상냄새가 제거되어 청정한 공기가 된 후 본체(10)의 내측 상단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전기집진기(130)의 접점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전기집진기(130)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집진기키트(120)의 일측에 배설된 접점단자(123)가 총 6개로 이루어져 있어, 그 장착작업을 여러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부품수 증가에 따른 재료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장착작업수를 줄임과 동시에 재료비를 다운시키는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가 배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접점장치가 배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집진기키트 130 : 전기집진기
300 : 접점단자 310 : 고정부
320 : 직립절곡부 330 : 수평절곡부
331 : 접점형성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 시켜 포집하도록 집진기키트의 내측에 병렬로 내삽 고정된 복수의 전기집진기와, 상기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단자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접점단자는 상기 복수의 전기집진기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복수의 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전기적으로 이온화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130)가 있고, 상기 전기집진기(130)를 병렬로 내삽시켜 고정시키도록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홈(121)이 형성됨과 동시에 쌍을 이루도록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집진기키트(120)가 있고, 집진기키트(120)의 측부에는 전기집진기(1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복수의 접점단자(300)가 배설되어 있다.
접점단자(300)는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310)의 양단은 상기 고정부(310)에 직각을 이루도록 직립절곡부(32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3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절곡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절곡부(330)에는 상기 복수의 전기집진기(130)의 일측에 배설된 전기집진기접점(133)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전기집진기(130)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도록 접점형성부(33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점형성부(331)는 전기집진기(130)의 착탈동작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유동가능케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점단자(300)는 와이어(340)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부호(311)는 체결공을 나타낸다.
다음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의 조립방법 및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접점단자(300)의 고정부(310)를 집진기키트(120)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면 상기 고정부(310)의 양단에 형성된 직립절곡부(320) 및 수평절곡부(330)는 집진기키트(120)에 형성된 관통홀(121b)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수평절곡부(330)에 유동가능케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접점형성부(331)가 집진기키트(120)의 가이드홈(121)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배설된다.
상기와 같이 접점단자(300)를 배설시킨 후에 집진기키트(12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121)을 따라 복수의 전기집진기(130)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전기집진기(130)에 배설된 전기집진기접점(133)이 상기 접점단자(300)의 접점형성부(331)와 접촉되고, 와이어(340)를 통해 상기 접점단자(300)에 고전압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전기집진기(1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집진동작을 행한다.
이때, 상기 접점단자(300)는 복수의 접점형성부(331)가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전기집진기(130)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접점단자에 복수의 접점을 이루도록 형성함에 따라 복수의 전기집진기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부품 수를 줄이게 되어 조립성 을 개선시킴은 물론 재료비를 다운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 시켜 포집하도록 집진기키트의 내측에 병렬로 내삽 고정된 복수의 전기집진기와, 상기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단자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접점단자는 상기 복수의 전기집진기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복수의 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단자는 집진기키트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집진기키트의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양단측에 형성된 직립절곡부와,
    상기 고정부와 수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직립절곡부에 형성된 수평절곡부와,
    접점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절곡부에 유동가능케 형성된 접점형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KR2019980004996U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KR200194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96U KR200194576Y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96U KR200194576Y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60U true KR19990038960U (ko) 1999-11-05
KR200194576Y1 KR200194576Y1 (ko) 2000-09-01

Family

ID=1953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996U KR200194576Y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5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72B1 (ko) * 2003-11-24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KR101449660B1 (ko) * 2012-11-28 2014-10-14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927B1 (ko) * 2000-07-04 2002-08-09 엘지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결합구조
KR100749054B1 (ko) 2005-10-25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17402B1 (ko) * 2006-02-06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988566B1 (ko) * 2018-12-31 2019-06-13 (주)코리프냉동공조 전기 접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72B1 (ko) * 2003-11-24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KR101449660B1 (ko) * 2012-11-28 2014-10-14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576Y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692B1 (ko) 공기 청정기
US5290343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chine for charging dust particles contained in air and capturing dust particles with coulomb force
CA1224727A (en) Air-purifying apparatus
US5702507A (en) Automatic air cleaner
KR200194576Y1 (ko)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JP4853604B2 (ja) 空気調和機
JPH1015220A (ja) パチンコ遊技者用台間空気清浄装置
KR200194577Y1 (ko) 전기집진기를구비한공기조화기의안전장치
JP3036802B2 (ja) 空気清浄器
JP3630875B2 (ja) 空気清浄機
KR100261703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JPH10274421A (ja) 空気調和機
JP2950943B2 (ja) 空気清浄器
KR200194578Y1 (ko) 공기조화기의공기누설방지장치
JPH08173843A (ja) 空気清浄装置
JPH1094739A (ja) 空気清浄機
JP3426873B2 (ja) 空気清浄機
JPH10296126A (ja) 空気清浄器
JPH10296124A (ja) 空気清浄器
KR0128911Y1 (ko) 공기조화기
JP2752157B2 (ja) 空気清浄器
JPS61153160A (ja) 電気集塵機
JPH1099717A (ja) 空気清浄機
JPH11347449A (ja) 空気清浄機の集塵ユニット
JPH1194282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