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911Y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911Y1
KR0128911Y1 KR2019960000279U KR19960000279U KR0128911Y1 KR 0128911 Y1 KR0128911 Y1 KR 0128911Y1 KR 2019960000279 U KR2019960000279 U KR 2019960000279U KR 19960000279 U KR19960000279 U KR 19960000279U KR 0128911 Y1 KR0128911 Y1 KR 0128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group terminal
fixing member
termina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987U (ko
Inventor
김남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00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911Y1/ko
Publication of KR970049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9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그목적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전선(50)의 합선 등의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부(11)와 토출부(12)를 갖는 캐비닛(10),그양단에 전기를 공급받기위하여 배치된 제1그룹단자(21)를 갖고 상기 흡입부(11)에 마련되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부유물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20),상기 흡입부(11)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30),상기 전기집진기(20)가 상기 고정부재(3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그룹단자(21)와 접속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0)에 마련된 제2그룹단자(35), 상기 제2그룹단자(35)에 접속되는 전선(50)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단자(35)의 일측에는 결합부(351)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50)에는 상기 결합부(351)가 체결되는 파지부(51)가 마련된 구성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보인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와 이들이 고정되는 홀더를 보인 부분 발췌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공기조화기를 보인 도면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고정부재와 단자를 보인 도면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2그룹단자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전기 집진기
21 : 제1그룹단자 30 : 고정부재
35 : 제2그룹단자 40 : 변압기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집전기의 접점을 양측면에 분산배치하고 이에 상응하도록 전기집진기의 고정부재에 전선에 연결된 접점을 설치하여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전기집진기를 복수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전면에는 흡입부(1a)가 설치되고, 흡입수(1a)의 하부에는 토출부(1b)가 설치된다. 흡입수(1a)의 전면에는 상하회동하는 흡입그릴(1c)이 설치되며, 흡입부(1a)에는 좌우 한쌍의 공기필터(2a)가 설치되고, 이 공기필터(2a)의 후방에는 전기집진기(3)와 탈취필터(2b)가 각각 설치되어 흡입부(1a)에는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여과하기된다.
전기집진기(3)와 탈취필터(2b)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홀더(4)에 결합설치된다. 캐비닛(제1도의 1)에 결합설치되는 홀더(4)의 중간부위에는 구획부(5)이 설치되어 홀더(4)를 좌우로 양분하며, 이러한 홀더(4)의 좌우 양측에 점기집진기(3)와 탈취필터(2b)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홀더(4)의 좌우 양측벽내측면과 구획부(5)의 좌우 양측면에는 전기집진기(3)와 탈취필터(2b)가 삽탈되는 가이드(6)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홀더(4)의 우측벽에는 전기집진기(3)에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즉, 홀더(4)의 우측벽 외측에는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트랜스(7)가 설치되고, 우측벽의 내측면과 우측벽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6)의 상면에는 고압트랜스(7)와 전선(미도시)을 통하여 접속된 접점(미도시)이 각각 설치된다. 이들 각각의 접점(미도시)은 전기집진기(3)의 삽입 결합시 전기집진기(3)의 우측면과 우측 하면에 각각 설치된 접점(3a)에 접촉되어 고압의 전원이 전기집진기(3)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고압의 전원을 전기집진기의 일측면만을 통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구조가 복잡하여 홀더의 양측부위 모두에 전기집진기를 설치하기가 상당히 곤란하였다. 또한 이렇게 복잡하게 설치된 접점과 접점사이나 전선사이에 합선 등이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히를 용이하게 하며 전선의 합선 등의 불량을 줄일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자와 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단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부와 토출부를 갖는 캐비닛, 그양단에 전기를 공급받기 위하여 배치된 제1그룹단자를 갖고 상기 흡입부에 마련되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부유물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 상기 흡입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전기집진기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그룹단자와 접속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마련된 제2그룹단자,상기 제2그룹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단자의 일측에는 결합부가형성되고, 상기 전선에는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파지부가 마련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30)가 채용된 공기조화기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흡입부(11)와 토출부(12)가 상하로 설치된 캐비닛(10)이 설치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팬과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조화공간내의 공기를 흡입부(11)를 통하여 흡입하여 조화시킨후 토출부(12)를 토출시킨다. 한편 흡입부(11)의 전방에는 그 상측이 캐비닛(10)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흡입그릴(13)이 설치된다. 흡입그릴(13)과 열교환기사이에는 공기필터(14)와 전기집진기(20)가 설치된다. 흡입부(11)에는 전기집진기(20)를 흡입부(11)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재(30)(제4도의30참조)가 결합설치된다.
고정부재(30)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흡입부(11)의 좌우 양측에 전기집진기(20)(20)를 각각 설치하기 위하여 구획부(31)에 의하여 좌우가 구획된 틀형태로 설치되는데, 고정부재(30)의 좌우측벽 내측과 구획부(31)의 좌우측벽(31a)(31b)의 양측면에는 전후로 연장된 가이드(32)가 각각 설치되어 전기집진기(20)가 고정부재(30)의 좌우 양측에 미끄럼운동하여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구획부(31)의 좌측벽(31a)과 우측벽(32b)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그들사이에 공간구(31c)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0)의 우측벽외측에는 전기집진기(20)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변압기(40)가 설치되는데, 변압기(40)는 고정부재(30)우측벽의 우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안착부(34)에 수용된다. 그리고 변압기(40)와 고정부재(30)에는 제1그룹단자(21)와 제2그룹단자(35)가 각각 설치되어 변압기(40)와 전기집진기(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전기집진기(20)는 구획부(31)을 기준으로 고정부재(3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데, 양측에 결합되는 전기집진기(20)는 동일한 것이며, 전기집진기(20)에 고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부재(30)에 설치된 제2그룹단자(35)의 구조는 구획부(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좌우에 동일한 전기집진기(20)를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먼저 우측에 설치된 전기집진기(2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의 구조를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구획부(31)의 우측에는 모두 세 개의 제2그룹단자(35)가 설치되는데, 제2그룹단자(35)는 고정부재(30)의 우측벽 좌측면에 설치된 단자(35c)와 구획부(31)의 우측벽(31b)에 설치된 두개의 단자(35a)(35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제2그룹단자(35)는 설치된 세개의 단자(35a)(35b)(35c)는 세 개의 전선(50)을 통하여 변압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이중 두 개는 전기집진기(20)에 고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하나는 접지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단자에 대항하는 전기집진기(20)에는 전기집진기(20)가 고정부재(3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그룹단자(35)들과 각각 접속되는 제1그룹단자(21)들이 설치되는데, 이들의 설치위치는 전기집진기(20)의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제1그룹단자(21)중 전기집진기(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자(21a)는 고정부재(30)의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전기집진기(20)의 공용화를 위하여 좌우 양측단부로 분기되어 각각 설치된다.
한편 제1그룹단자(21)중에서 전기집진기(20)의 상면에 배치된 단자(21a)와 접속되는 구획부(31)에설치된 단자(35b)는 그 접점부위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구획부(31)의 우측벽(31b)에는 우측으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개구된 지지부(36)가 설치되고, 단자(35b)는 이 지지부(36)에 결합설치 된다. 즉, 단자(35b)의 상단부에는 좌우로 연장된 결합부(351)를 포함하며, 이에 대향하는 지지부(36)에는 결합부(351)가 미끄럼운동하여 삽찰되는 레일(36a)이 형성되어 결합부(351)가 레일(36a)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단자(35a)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된후 좌측으로 밴딩된 연장부(352)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352)의 후단에는 상측으로 밴딩된 체결부(353a)가 형성되어 전선(50)의 단부에 설치된 파지부(5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연장부(3552)에 대향하는 구획부(31)의 우측면에는 설치홀(37)이 형성되어 연장부(352)가 구획부(31)의 공간부(31c)로 인입되어 취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그룹단자(21)중에서 전기집진기(21)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단자(21b)(21c)와 각각 접속되는 고정부제(30)의 우측벽 좌측면과 구획부(31)의 우측벽(31b)에 설치된 단자(35b)(35C)의 구조는 동일하다. 이들의 구조를 구획부(31)에 설치된 단자(35b)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구획부(31)의 우측벽(31b)에 는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취부홈(38)이 상하로 형성되는데, 이들의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단자(35b)는 이 취부홈(38)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그형태는 양단부는 구획부(31)의 공간부(31c)측에 위치하고 중간부가 구획부(31)의 우측벽(31b)의 우측면에 위치하도록 밴딩된다. 이때 공간부(31c)측에 위치하는 단자(35b)의 단부중 일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부(353b)가 형성되어 전선(50)의 단부에 설치된 파지부(51)에 삽입결합되도록 한다.
한현 좌측에 결합되는 전기집진기(20)는 우측에 결합되는 전기집진기(20)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구획부(31)의 좌측부위에 설치되는 단자는 우측에 설치된 단자들과 그위치만 대칭일뿐 각각의 구조는 대칭되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기 작동되어 조화공간내의 공기를 흡입부(11)를 통하여 흡입하여 조화시킨후 톺출부(12)를 통하여 조화공간으로 토출시켜 조화공간을 조화시킨다.
이때 흡입부(11)의 전방에 설치된 전기집진기(20)는 코로나방전을 이용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먼지 등의 부유물을 집진하여 조화공간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기집진기(20)의 착탈을 설명하면, 전기집진기(20)를 가이드(32)를 따라 후측으로 밀면 전기집진기(20)는 가이드(32)를 미끄럼운동하여 고정부재(30)에 결합된다. 이때 전기집진기(20)가 고정부재(30)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제1그룹단자(21)들은 고정부재(30)에 배치된 제2그룹단자(35)에 접속되어 변압기(40)의 전원이 전기집진기(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그룹단자(35)들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들을 구획부(31)이나 고정부재(30)에 형성된 취부홈(38)이나 레일(36a)에 삽설한 후 전선(50)의 체결부(51)를 단자의 파지부(51)에 체결시키면 간단하게 단자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기집진기에 고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 특히 단자들을 건단하고 깨끗하게 설치하여 합선 등의 전기적 불량 요인을 감소시키는 이점과 전기집진기를 흡입부의 좌우 양측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단자를 구획부이나 고정부재(30)에 형성된 레일이나 취부홈에 삽설시킨후 체결부와 파지부를 결합시키면 단자의 설치가 끝나기 때문에 단자를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흡입부(11)와 토출부(12)를 갖는 캐비닛(10), 그 양단에 전기를 공급받기 위하여 배치된 제1그룹단자(21)를 갖고 상기 흡입부(11)에 마련되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부요물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20), 상기 흡입부(11)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30), 상기 전기집진기(20)가 상기 고정부재(3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그룹단자(21)와 접속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0)에 마련된 제2룹단자(35), 상기 제2그룹단자(35)에 접속되는 전선(50)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단자(35)의 일측에는 결합부(351)가 형성되고, 상기전선(50)에는 상기 결합부(351)가 체결되는 파지부(5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60000279U 1996-01-11 1996-01-11 공기조화기 KR0128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279U KR0128911Y1 (ko) 1996-01-11 1996-01-1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279U KR0128911Y1 (ko) 1996-01-11 1996-01-1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987U KR970049987U (ko) 1997-08-12
KR0128911Y1 true KR0128911Y1 (ko) 1999-01-15

Family

ID=1944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279U KR0128911Y1 (ko) 1996-01-11 1996-01-1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9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987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0910B1 (en) Air cleaning device
KR100498401B1 (ko) 플라즈마 공기 정화기
CA2659198C (en) Air cleaner conductor system
KR0128911Y1 (ko) 공기조화기
EP0938637A1 (en) Air conditioner
KR950008078B1 (ko) 공기 청정기
CN209849094U (zh) 一种电离模块及应用该电离模块的静电净化装置
KR200194576Y1 (ko)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KR0136067Y1 (ko) 공기조화기
KR0118096Y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20140070844A (ko)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CN210187414U (zh) 一种板丝一体净化装置
JPH1069962A (ja) 渦流発生装置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JPH0696127B2 (ja) 空気清浄装置
CN211575300U (zh) 一种负离子发生装置及空调器
CN210846770U (zh) 一种静电净化装置的电离模块
CN109028383B (zh) 高压包组件及空气处理装置
CN210010055U (zh) 静电集尘清净机的组合结构
CN216619518U (zh) 一种导轨式指示灯装置
JPH0344262Y2 (ko)
JPH10216557A (ja) 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枠体構造
CN212566199U (zh) 空调显示器组件和空调器
JP2000021520A (ja) タップ
CN217589930U (zh) 一种便于固定电器设备的高低压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