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844A -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844A
KR20140070844A KR1020120135970A KR20120135970A KR20140070844A KR 20140070844 A KR20140070844 A KR 20140070844A KR 1020120135970 A KR1020120135970 A KR 1020120135970A KR 20120135970 A KR20120135970 A KR 20120135970A KR 20140070844 A KR20140070844 A KR 20140070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ust
dust collector
contact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660B1 (ko
Inventor
김동진
박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Priority to KR102012013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6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기에 내장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셀을 상기 전기집진기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제작이 간편한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집진셀(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집진기접점부(100); 및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와 접점 되어 전원을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인가하는 전원접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를 상기 집진셀(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집진기탈착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집진기접점부와 전원접점부를 개별부품화하여 전기집진기에 집진셀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CONTACTING DEVICE FOR ELECTR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기에 내장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셀을 상기 전기집진기에 다양한 구조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기는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 등과 같이 미세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기 내부에는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 전원이 인가되는 집진셀이 내장되어 있다.
전기집진기는 전리부로만 구성되어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리부에 부착시켜 집진하는 일단식과 먼지 입자를 하전시키는 전리부와 하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로 구성된 이단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이단식 전기집진기는 전리부와 포집부에 각각 직류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먼지가 포집되는 과정은, 상기 전기집진기 내부로 유입된 먼지가 상기 집진셀을 거치게 된다. 상기 집진셀 내부의 전리부는 먼지입자를 양(+)이온으로 대전시킨 뒤에 이에 대응되는 음(-)극을 띠는 포집부가 상기 먼지를 포집하여 공기가 청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가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고전압을 공급받기 위해서 전기집진기를 구성하는 하우징(15)의 측면에 가이드홈(121)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121)의 일측에 접점단자(300)를 배설하여 전원을 인가시켰다.
그리고 상기 집진셀(20)을 상기 가이드홈(12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5)에 장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점단자(300)가 상기 하우징(15)의 측면에 배설된 경우에는 상기 집진셀(20)을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해야 했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진셀(20), 상기 집진셀(20)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셀(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접점단자(300)와 상기 집진셀(20)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단자(300)과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스프링접점(310)이 돌출된 필터 가이드(320)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집진셀(20)을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집진셀(20)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탈착을 하도록 장착방법이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상기 집진셀을 전기집진기 등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고정적이어서 전기집진기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집진셀에 장착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단자의 구조 설계를 수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20-0194576 (등록일자: 2000년 06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집진셀을 전기집진기에 다양한 구조로 장착시킬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진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부품수량을 줄일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의 접점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집진셀(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집진기접점부(100); 및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와 접점 되어 전원을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인가하는 전원접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를 상기 집진셀(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집진기탈착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집진기탈착구(110)에 의해 상기 집진셀(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기장착보드(120),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점부(200)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집진기단자(130), 그리고 상기 집진기단자(130)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집진셀(20)에 접촉하여 전원을 전달하는 전극편(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접점부(2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수용편(210) 및 상기 전원수용편(21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집진기단자부(1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단자(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단자(230)는,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와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하고, 탄성을 갖는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전기집진기에 집진셀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전기집진기에 집진셀의 장착 방식을 변경하여도 설계가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접점단자의 수량을 줄임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가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구성하는 집진기접점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접점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집진기접점부를 집진셀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구성하는 전원접점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전원접점부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접점부와 도 6에 도시한 전원접점부가 접점을 형성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장착한 집진셀을 상하방향으로 전기집진기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장착한 집진셀을 좌우방향으로 전기집진기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장착한 집진셀을 상하방향으로 전기집진기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전기집진기(10)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6)와 상기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중의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집진셀(20)이 내장된다.
상기 집진셀(20)은 상기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하여 상기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서 고전압(3 내지 5000V)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집진셀(20)에 고전압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가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구성하는 집진기접점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접점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집진기접점부를 집진셀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병행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는 상기 집진셀(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집진기접점부(100) 및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와 접점을 형성하는 전원접점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집진셀(20)의 프레임(25)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프레임(25)에 장착되는 집진기장착보드(120),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를 상기 집진셀(20)에 장착시키는 집진기탈착구(110),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점부(2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하는 집진기단자(130)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는 사각의 평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기단자(1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는 전기절연성과 내열성이 강한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열경화성수지로는 베크라이트 등이 있다.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는 상기 집진셀(20)에 집진기탈착구(110)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집진기탈착구(110)는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를 상기 프레임(25)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집진셀(20)의 내부의 유지보수 등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의 상면에는 후설될 전원접점부(2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접점을 이루는 집진기단자(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단자(130)는 복수의 상기 삽입홈(121)에 끼움결합되며,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에 장착된다.
상기 집진기단자(130)는 도체로 제작되며 후술될 전원단자(230)로부터 고전압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집진기단자(130)는 후설될 전원단자(230)의 수량보다 많은 수량을 갖도록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기단자(130)의 양단에는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전극편(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편(140)은 상기 집진셀(20) 내부에 장착된 극판과 접촉하여 상기 극판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도록 전원을 직접적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극판에 전원을 직접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기존에 접점단자의 수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된다.
양(+)의 고전압이 인가된 상기 극판은 공기중의 먼지를 양이온화 시키고, 대전된 먼지를 음(-)의 고전압이 인가된 상기 극판이 포집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필터링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구성하는 전원접점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전원접점부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9를 병행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접점부(200)는 상기 전기집진기(10)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접점부(20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압수용편(210), 상기 전압수용편(210)이 장착되는 전원장착보드(220), 상기 전압수용편(210)에 연장형성되는 전원단자(2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장착보드(220)의 중앙부에는 슬릿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홈(221)은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전원장착보드(220)는 전기절연성과 내열성이 강한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열경화성수지로는 베크라이트 등이 있다.
상기 전원장착보드(220)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전압수용편(210)은 상방향으로 경사져서 돌출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외부전원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수용편(21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집진기단자(1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전원단자(230)는 탄성을 갖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230)가 탄성을 갖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원단자(230)는 탄성을 갖되, 상기 집진셀(20)이 상기 전기집진기(10) 내부에 장착될 때에도 접점이 흔들리지 않아 상기 집진기단자(120)와 접점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접점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집진기접점부와 도 6에 도시한 전원접점부가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전원접점부(200)의 저면에 위치한다.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은 상기 전원수용편(210)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고전압의 전원을 전달받은 전원단자(230)는 상기 전원접점부(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집진기단자(130)와 접점을 형성하여 상기 고전압의 전원을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전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를 장착한 집진셀을 좌우방향으로 전기집진기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용 접점단자를 장착한 상기 집진셀(20)은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고, 도 10에서,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용 접점단자를 장착한 상기 집진셀(20)은 구조적인 변경 없이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좌우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용 접점단자를 장착한 상기 집진셀(20)은 구조변경 없이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전기집진기에 장착이 가능하며, 설계변경 또한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230)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집진셀(20)이 상기 전기집진기(1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도, 상기 전원단자(230)와 상기 집진기단자(130)가 형성하는 접점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이므로, 쇼트가 발생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기집진기 20: 집진셀
100: 집진기접점부 110: 집진기탈착구
120: 집진기장착보드 130: 집진기단자
140: 전극편 200: 전원접점부
210: 전원수용편 220: 전원단자

Claims (4)

  1.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집진셀(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집진기접점부(100); 및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와 접점 되어 전원을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인가하는 전원접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를 상기 집진셀(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집진기탈착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집진기접점부(100)는,
    상기 집진기탈착구(110)에 의해 상기 집진셀(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기장착보드(120),
    상기 집진기장착보드(120)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점부(200)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집진기단자(130), 그리고
    상기 집진기단자(130)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집진셀(20)에 접촉하여 전원을 전달하는 전극편(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전원접점부(2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수용편(210) 및
    상기 전원수용편(21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집진기단자부(1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단자(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전원단자(230)는,
    상기 집진기접점부(100)와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하고, 탄성을 갖는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KR1020120135970A 2012-11-28 2012-11-28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KR10144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970A KR101449660B1 (ko) 2012-11-28 2012-11-28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970A KR101449660B1 (ko) 2012-11-28 2012-11-28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844A true KR20140070844A (ko) 2014-06-11
KR101449660B1 KR101449660B1 (ko) 2014-10-14

Family

ID=5112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970A KR101449660B1 (ko) 2012-11-28 2012-11-28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326A (ko) * 2017-10-16 2019-04-24 한국기계연구원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65B1 (ko) * 2018-12-31 2019-06-13 (주)코리프냉동공조 전기 접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1988566B1 (ko) * 2018-12-31 2019-06-13 (주)코리프냉동공조 전기 접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149Y1 (ko) * 1997-05-31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인가장치
KR200194576Y1 (ko) * 1998-04-01 2000-09-01 윤종용 공기조화기용전기집진기의접점장치
JP3302005B2 (ja) 2000-04-14 2002-07-15 フジクリーン工業株式会社 浄化槽用電気機器類の接続装置
JP2004144398A (ja) 2002-10-24 2004-05-20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機及びその給電接点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326A (ko) * 2017-10-16 2019-04-24 한국기계연구원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660B1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4516B2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module an electrostatic air purifier thereof
CN201444536U (zh) 离子发生装置及电气设备
US8580017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9308537B2 (en) Electrostatic air conditioner
KR20060083910A (ko) 제전 장치 및 방전 모듈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KR101449660B1 (ko) 전기집진기용 접점장치
CN204396169U (zh) 碳刷放电电极、荷电模块及空气净化器
US7717984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nit
CN204070552U (zh) 电子烟用供电装置、电子烟及其充电装置
US20080028937A1 (en) Air cleaner conductor system
CN203155373U (zh) 一种空气净化器集尘装置
CN107559966B (zh) 静电除尘装置、空气净化设备以及空调器
CN108325753B (zh) 静电除尘模块和空调室内机
CN107575940B (zh) 静电除尘装置、空气净化设备以及空调器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EP4084243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02683347U (zh) 一种多边形通孔静电式空气净化装置
CN104822458A (zh) 放电单元及空气净化器
CN208321094U (zh) 静电发生装置及静电除尘器
JP3499602B2 (ja) 空気清浄装置
CN210897655U (zh) 接地结构及具有接地结构的装置
CN219252906U (zh) 一种静电集尘器
CN206631765U (zh) 静电装置和油烟机
CN205146445U (zh) 一种空气净化器用高效静电除尘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