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422U -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422U
KR19990038422U KR2019980004457U KR19980004457U KR19990038422U KR 19990038422 U KR19990038422 U KR 19990038422U KR 2019980004457 U KR2019980004457 U KR 2019980004457U KR 19980004457 U KR19980004457 U KR 19980004457U KR 19990038422 U KR19990038422 U KR 19990038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omputer
lock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4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422U/ko
Publication of KR19990038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22U/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컴퓨터의 주변기기의 하나인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컴퓨터 본체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컴퓨터 본체에 키보드 수납부를 형성하여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책상 위의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키보드에 보관시에 컴퓨터 본체 내부에 키보드가 보관가능해지므로 키보드에 별도의 키보드 보호용 커버를 복개하지 않아도 되는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본 고안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본체에 수납가능하도록 하여 키보드를 사용시에만 컴퓨터 본체에서 인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한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기기 본체(1)와, 주변기기로서 모니터(2) 및 키보드(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는 각종 정보의 저장 및 연산이 본체(1)에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1)의 동작을 모니터(2)에서 디스플레이하며, 키보드(3)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컴퓨터 본체(1)를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는 컴퓨터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 키보드를 보관할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책상 위에서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작업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작업이 종료된 후에 키보드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먼지나 기타 이물질에 의하여 키보드의 표면이 오염되거나, 이러한 이물질로 인하여 키보드의 버튼 작동에 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 케이스 내부에 키보드를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스페이스를 확보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먼지 및 이물질이 키보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컴퓨터에서 키보드 수납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키보드가 수납된 상태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컴퓨터 본체 11 ; 키보드 수납부
12 ; 키보드 몸체 13 ; 스프링
14 ; 밀판 15 ; 록크턱
16 ; 스프링 17 ; 록크
15a,17a ; 경사면 18 ; 노브
상기한 바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요입형성되어 키보드 몸체를 수납하는 키보드 수납부와, 상기 키보드 몸체를 키보드 수납부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인출 수단과, 상기 키보드 몸체를 키보드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인출 수단은 상기 키보드 수납부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밀판과, 상기 밀판을 탄지하는 스프링을 적용한다.
상기 록킹 수단은 컴퓨터 본체의 양측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크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와 연결되고, 키보드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록크와 대응되는 부위에 록크턱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컴퓨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키보드가 수납된 상태의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컴퓨터 본체(10)의 전면 케이스에 키보드 수납부(11)를 요입형성하고, 키보드 수납부(11)의 내측벽에는 스프링(13)에 의해 전방으로 탄지되는 밀판(14)을 설치한다.
또한, 컴퓨터 본체(10)의 전면 양측에는 키보드(12)를 키보드 수납홈(11)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의(10)의 내부에 스프링(16)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크(17)를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18)와 연결하여 조정가능하도록 설치하고, 키보드(12)의 측면으로 록크(17)와 대응되는 부위에 록크턱(15)을 형성하도록 한다. 록크(17)와 록크턱(15)에는 키보드(12)의 록킹시 접촉되는 경사면(15a)(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일측에만 록킹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양측에 록킹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키보드(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보드(12)를 컴퓨터 본체(10)의 전면 케이스에 요입형성되어 있는 키보드 수납부(11)의 내부에 밀어넣는다. 이때, 키보드(12)는 키보드 수납부(11)의 내벽에 스프링(13)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는 밀판(14)을 밀고 들어가게 된다.
키보드(12)가 키보드 수납부(11)의 내부로 수납되는 동작시에 키보드(12)의 양측벽에 형성된 록크턱(15)과 키보드 수납부(11)의 내부 양측벽에 돌출되는 록크(17)가 접촉되는데 이때, 록크턱(15)과 록크(17)는 각각 미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면(15a)(17a)이 형성되어 있어 키보드(12)가 키보드 수납부(11)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는데 방해되지 않고 수납이 이루어지며, 키보드(12)가 완전히 수납된 후에는 록크(17)는 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되면서 록크턱(15)을 잡아주게 됨으로써 밀판(14)이 스프링(13)에 의해 전방으로 키보드(12)를 밀어주더라도 키보드(12)는 키보드 수납부(11)에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보드(12)가 키보드 수납부(1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기 때문에 책상 위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키보드를 사용하고자 하면, 컴퓨터의 본체(10)의 양측면에 설치된 노브(18)를 우측으로 밀어주면 키보드(12)의 록크턱(15)을 잡아주고 있던 록크(17)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므로 키보드(12)는 스프링(13)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밀판(14)의 탄지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나오게 되므로, 사용자는 키보드(12)를 책상으로 잡아당겨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는 키보드를 컴퓨터 본체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책상 위의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보드에 보관시에 컴퓨터 본체 내부에 보관가능해지므로 키보드에 별도의 키보드 보호용 커버를 복개시키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컴퓨터의 운반시에 키보드를 컴퓨터 본체와 분리된 상태로 운반하는 것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컴퓨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요입형성되어 키보드 몸체를 수납하는 키보드 수납부와,
    상기 키보드 몸체를 키보드 수납부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인출 수단과,
    상기 키보드 몸체를 키보드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KR2019980004457U 1998-03-25 1998-03-25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KR199900384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457U KR19990038422U (ko) 1998-03-25 1998-03-25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457U KR19990038422U (ko) 1998-03-25 1998-03-25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22U true KR19990038422U (ko) 1999-10-25

Family

ID=6971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457U KR19990038422U (ko) 1998-03-25 1998-03-25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42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454B1 (en) Battery lock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
KR0139123Y1 (ko) 누름버튼식 평면핸들장치
KR100198905B1 (ko) 배터리의 착탈기구
US6474123B1 (en) Electronic key device
GB2293718A (en) Portable telephone set holder
JP2009221767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携帯機
ATE384181T1 (de) Verschlusseinrichtung
KR19990038422U (ko)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 장치
JP3737622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3671800B2 (ja) 筐体
JP4163288B2 (ja) 電子機器
JP5197985B2 (ja) 電池を備える携帯用器具
KR0144288B1 (ko) 도어 로크 핸들장치
CN113864587B (zh) 支撑装置及电子系统
JP4698369B2 (ja) ラッチ錠
US20240183190A1 (en) Energy source access in a lock
JPH0773661A (ja) 電子機器
JP4805805B2 (ja) スイッチ装置
KR900003048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Glove Box) 의 잠금장치
JP2018060470A (ja) 電子装置
KR940000726Y1 (ko) 노우트형 컴퓨터의 배터리 수납장치
KR0133182Y1 (ko) 원터치방식에 의한 전원공급 및 이젝트버튼 장치
JP3040979U (ja) 錠の受金具
KR0125459B1 (ko)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JP4481795B2 (ja) 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