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459B1 -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459B1
KR0125459B1 KR1019930009475A KR930009475A KR0125459B1 KR 0125459 B1 KR0125459 B1 KR 0125459B1 KR 1019930009475 A KR1019930009475 A KR 1019930009475A KR 930009475 A KR930009475 A KR 930009475A KR 0125459 B1 KR0125459 B1 KR 0125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pening
lever
lock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207A (ko
Inventor
김상복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459B1/ko
Publication of KR94002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용 밧데리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충전용 밧데리의 착탈을 간편히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체(10)의 일측에 밧데리 수납부(15)를 형성하며 상기 밧데리 수납부의 측벽(11)에 개구부(13)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13)에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신장된 레버(22)와 록커(23)를 구비하는 착탈구(20)를 토션스프링(27)으로 탄지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팩키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제1도는 종래 밧데리 착탈장치의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 밧데리 착탈장치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밧데리 착탈장치의 작동상태도.
본 발명은 충전용 밧데리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밧데리를 착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착탈동작을 간편히 행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원공급장치로 충전용 밧데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용 밧데리는 전자기기에 수시로 교환하여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 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종전에는 제1도와 같은 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유동홈(2a,2a) 삽입구(2b) 안내홈(2c) 고정턱(2d)을 갖는 전자기기의 본체 캐비넷(2)에 걸림턱(3a), 경사면(3b)을 갖는 고정돌부(3c), 가이드면(3b)이 형성된 노브(3)를 탄성부재(4)를 매개로 상기 삽입구(2b)에 탄지시키면서, 상하유동가능케 고정시키며, 상기 안내홈(2c)에는 안내편(5a) 및 탄성부재(4')를 갖는 로크(5)를 안착시켜 안내핀(5a)을 매개로 가이드면(3d)에 유동되도록 하여 밧데리(1)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밧데리 착탈장치는 우선 밧데리를 장착시키고자 할 경우 밧데리(1)의 조립 안내홈(1a)(1a)를 본체의 유동홈(2a,2a)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5)와 고정돌부(3c)의 위치에 맞도록 올려 놓은 후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며 밧데리(1)는 로크(5)를 누르면서 밧데리(1)가 제1도 B의 위치에 오면 밧데리(1) 홈(1a)의 걸림턱(6)과 로크(5)의 걸림턱이 서로 맞물려 밧데리(1)는 본체에 장착된 상태가 되며 위와 같은 상태에서 밧데리(1)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노브(3)의 끝단을 힘을 가해 눌러주면 노브(3)는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 때 로크(5)에 설치된 안내핀(5a)는 노브(3)의 경사안내면(3d)에 안내되어 로크(5)는 뒤로 밀리게 되며 로크(5)와 맞물려 걸려 있던 밧데리(1)의 걸림턱(6)은 로크로 부터 이탈되어 본체에서 밧데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밧데리 장착장치는 밧데리(1)와 로크(5) 및 노브(3)의 고정돌부(3c)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어야 하며 동작시 노브(3)가 삽입구(2b)에서 이탈될 염려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밧데리(1) 분리시 본체(2)의 고정턱(2d)과 노브(3)의 걸림턱(3a)이 맞물린 상태에서 해제시키기 위하여서는 노브(3)의 고정돌부(3c)를 한번 더 눌러주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으며 노브(3)가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어 기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밧데리를 장착 및 이탈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간소화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공간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부피를 축소하여 경박단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동작에 의한 밧데리가 이탈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된 레버를 토션스프링으로 탄지되게 설치하되 하측 레버에는 경사면과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측 레버의 상면에는 돌기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체(10)의 일측에 밧데리 수납부(15)를 형성하며 상기 밧데리 수납부의 측벽(11)에 개구부(13)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13)에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신장된 레버(22)와 록커(23)를 구비하는 착탈구(20)를 토션스프링(27)으로 탄지되도록 설치한다.
이 때 록커(23)는 밧데리 수납부(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경사면(23a)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힌지축(21)은 착탈구(20)의 중심선 이하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우선 밧데리(12)를 본체에 장착하려고 할 때에는 밧데리(12)의 내측의 안내홈에 본체(10)의 안내돌기(17)를 맞추어 결합한 상태에서 밧데리 수납부(15)에 밀어 넣으면 밧데리(12)의 선단이 록커(23)의 경사면(23a)에 닿으면 착탈구(20)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밧데리(12)의 밑면을 받히게 되며, 상기 밧데리(12)가 정위치에 오게 되면 록커(23)의 걸림턱(23b)이 밧데리(12)의 하면 걸림홈(12a)에 위치한 순간 록커(23)는 토션스프링(27)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 하게 되어 록커(23)의 걸림턱(23b)이 밧데리의 걸림홈(12a)의 벽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밧데리(12)는 뒤로 후퇴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밧데리(12)는 본체의 수납부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기의 사용 중 밧데리가 방전되어 교체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레버(22)의 상면을 밧데리 측방향으로 밀면 착탈구(20)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3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록커(23)의 걸림턱(23b)이 밧데리(12)의 걸림홈(12a)을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밧데리(12)는 슬라이드시켜 분리하게 되는 것이며 이후 사용자(USER)가 레버(22)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레버(22)는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하게 된다.
이 때 레버(22)의 구동길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밧데리 수납부(15)의 하측에 받침면(15a)을 형성하였으며, 레버(22) 작동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2a)를 형성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2)를 밀었을 때 록커(23)의 선단이 받침면(15a)에 닿게 되어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위와 같은 동작으로 밧데리(12)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밧데리 장착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여 기기의 경박단 소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용 밧데리 팩을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밧데리가 장착되는 밧데리 수납부와, 상기 밧데리 수납부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신장된 레버와 록커를 일체형으로 가지는 착탈구와, 상기 밧데리 수납부의 개구부와 연이은 부위에 상기 밧데리 수납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착탈구의 레버의 위치를 제어하는 받침면과,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기 착탈구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착탈구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장착장치.
KR1019930009475A 1993-05-31 1993-05-31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KR0125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475A KR0125459B1 (ko) 1993-05-31 1993-05-31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475A KR0125459B1 (ko) 1993-05-31 1993-05-31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207A KR940027207A (ko) 1994-12-10
KR0125459B1 true KR0125459B1 (ko) 1997-12-22

Family

ID=1935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475A KR0125459B1 (ko) 1993-05-31 1993-05-31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4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207A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00909A (ja) ハンディターミナル
US5598082A (en) Replaceable trigger switch for battery operated device
JP3645786B2 (ja) 機器ユニット係止装置
US5782654A (en) Battery receiving mechanism
KR0125459B1 (ko) 팩캐지형 밧데리 착탈장치
KR940001688B1 (ko) 배터리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JPH08236090A (ja) Icメモリカード
US4635225A (en) Magnetic bubble cassette
US20040145872A1 (en) Battery-locking mechanism
KR100190583B1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JPH0733518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装着機構
KR910004679Y1 (ko) 착탈식 리모콘 겸용 버튼부착장치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JP3687173B2 (ja) コードレス電動工具
US20210364887A1 (en) Electronic device
JPH0145085Y2 (ko)
JPS5839010Y2 (ja) 電池カバ−取付構造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3951980B2 (ja) 電気機器
KR940000726Y1 (ko) 노우트형 컴퓨터의 배터리 수납장치
JPH11162431A (ja) 携帯通信機のバッテリー保持構造
KR840001564Y1 (ko) 축전지 팩 장착장치
KR0118112Y1 (ko) 밧데리 팩 탈거장치
KR890007009Y1 (ko) 누름 버튼식 평면 핸들장치
KR0118005Y1 (ko)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