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328U -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7328U KR19990037328U KR2019980002974U KR19980002974U KR19990037328U KR 19990037328 U KR19990037328 U KR 19990037328U KR 2019980002974 U KR2019980002974 U KR 2019980002974U KR 19980002974 U KR19980002974 U KR 19980002974U KR 19990037328 U KR19990037328 U KR 1999003732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asing
- elevator
- car
- compression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의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의 승하차시 카실에 감지되는 무게에 의해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의 카실 받이부(20)의 상방에는 카실(30)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켜 수개의 체결보트(40)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체결볼트(40)에 상기 카실(30)을 상방으로 떠받치도록하는 압축스프링(50)을 삽입시키고, 상기 카실 받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카실(30)이 상기 압축스프링력(50)을 이기고 하강할 시 카실(30)의 하강압력을 감지해내는 압력센서(60)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60)에는 상기 카실(30)의 하강압력이 감지된 때 도어를 개방 또는 재개방시키고 그렇치않을 경우 도어 닫힘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도어구동제어부(1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승강기의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의 승하차시 카실에 감지되는 무게에 의해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포함하여 주로 승객을 실어나르는 승강기에는 도어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카내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카가 목적층에 정확히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에 도어가 열리게 된다든지 승객이 탑승 완료 중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로 출발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다.
종래의 도어측에 설치된 안전장치로는 기계적인 안전장치나 광감지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전자의 기계적인 안전장치는 좌우측 도어의 마주보는면에 기계적인 슈(mechanical shoe)를 설치한 것으로,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도어가 닫히지 않고 열려있게 되는 경우에 슈의 움직임에 의해 신호를 받아서 도어를 다시 열리게 하는 장치이다.
한편, 후자의 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장치는 상기 기계적인 장치에 추가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적용되어 수광부와 발광부에서 적외선의 차단시(도어사이에 장애물이 끼었을 경우) 도어가 다시 열리게 되어 있다.
즉, 이러한 2가지 경우의 종래 안전장치는 도어가 닫히기 시작후 기계적인 장치가 신체에 부딪혀 작동되거나 또는 광감지의 경우 적외선이 차단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도어가 다시 열리게 되며 도어가 다시 닫힘을 반복적으로 시작한다.
따라서 기계적인 감지장치의 경우 감지는 신체에 부딪혀야만 감지되며 이때는 승객에게 불쾌감한 느낌을 주고, 이를 피하기 위해 도어가 완전히 닫힐 무렵 승객이 손 또는 카 실위에 발을 얹어서 감지를 작동시키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광감지기의 경우 감지기 설치 높이의 제한성으로 인해 낮은 곳은 감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어, 승객이 짐이나 낮고 높낮이가 다른 손수레 등을 가지고 승,하차 할 경우에는 시간적으로 직접 작동되지 않고 기계적인 장치가 부딪혀야만 작동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강기의 승하차시 카실에 감지되는 무게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신체접촉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승강기의 카실 받이부의 상방에는 카실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켜 수개의 체결보트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체결볼트에 상기 카실을 상방으로 떠받치도록하는 압축스프링을 삽입시키고, 상기 카실 받이부의 상면에는 상기 카실이 상기 압축스프링력을 이기고 하강할 시 카실의 하강압력을 감지해내는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에는 상기 카실의 하강압력이 감지된 때 도어를 개방 또는 재개방시키고 그렇치않을 경우 도어 닫힘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도어구동제어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도어 안전장치의 설치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도어 안전장치의 제어 작동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카실 받이부 30 : 카실
40 : 체결볼트 50 :압축스프링
60 :압력센서 100 : 도어구동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카실 받이부(20)의 상방에는 카실(30)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수개의 체결보트(4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체결볼트(40)에는 상기 카실(30)의 저면과 카실받이부(2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실(30)을 상방으로 떠받치도록하는 압축스프링(50)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카실 받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카실(30)이 상기 압축스프링력(50)을 이기고 하강할 시 이에 접촉되어 카실(30)의 하강압력을 감지해내는 압력센서(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60)에는 상기 카실(30)의 하강압력이 감지된 때 도어(5)를 개방 또는 재개방시키고 그렇치않을 경우 도어 닫힘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도 2의 도어구동제어부(10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어(5)에 광감지기 또는 기계적인 안전 슈(safty shoe)가 설치되었을 경우 도 2의 승강기 도어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강기의 카내부로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도시안된 조작반에 층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어(5)를 닫기 시작한다.
도어(5)가 닫아지면서 도어구동제어부(100)가 광감지기 또는 안전 슈가 작동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광감지기 또는 안전 슈가 작동하게 되면 이내 도어구동제어부(100)는 닫혀지는 도어(5)를 열게 된다. 그렇치않고 이들 감지수단이 작동안되면 도어구동제어부(100)는 압력센서(60)의 작동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누군가가 압축스프링(50)에 의해 상방으로 들려있는 카실(30)을 밟게 되면, 카실(30)은 압축스프링(50)의 탄반력을 이기고 압력센서(60)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압력센서(60)에서 검출된 신호는 도어구동제어부(100)로 입력되고, 도어구동제어(100)는 압력센서(60)의 작동으로 닫혀지는 도어(5)가 재차 열려지도록 명령을 내리고 도어(5)는 도시안된 기계장치에 의해 다시 열리게 된다.
도어(5)의 재열림이 완료된 후 다시 도어구동제어부(100)는 상기한 순서로 감지수단의 입력신호를 판단한 후 이상이 없을 시 도어(5) 닫힘을 완료하고 카의 운행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광감지기 또는 안전 슈의 기계적인 안전장치와 함께 사용될 시 이들이 작동하지 않게되더라도 2차적으로 승객이 승하차 중 카실을 밟고 있는 때에는 도어를 다시 열개하여 통과중이면 승객의 끼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객과의 접촉에 의한 감지가 아니기 때문에 승객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카의 입구측에 카실을 밟게 되면 카의 도어를 열리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기계적으로 감지시 발생되는 신체접촉에 의한 불쾌감을 없앨 수 있고, 또 광감지기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높이의 제한성을 해소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성의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 승강기의 카실 받이부(20)의 상방에는 카실(30)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켜 수개의 체결보트(40)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체결볼트(40)에 상기 카실(30)을 상방으로 떠받치도록하는 압축스프링(50)을 삽입시키고, 상기 카실 받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카실(30)이 상기 압축스프링력(50)을 이기고 하강할 시 카실(30)의 하강압력을 감지해내는 압력센서(60)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60)에는 상기 카실(30)의 하강압력이 감지된 때 도어를 개방 또는 재개방시키고 그렇치않을 경우 도어 닫힘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도어구동제어부(1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2974U KR19990037328U (ko) | 1998-03-03 | 1998-03-03 |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2974U KR19990037328U (ko) | 1998-03-03 | 1998-03-03 |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7328U true KR19990037328U (ko) | 1999-10-05 |
Family
ID=6971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2974U KR19990037328U (ko) | 1998-03-03 | 1998-03-03 |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3732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935B1 (ko) * | 2017-04-25 | 2018-07-26 | 김운현 | 승강기용 수직 개폐형 도어 안전장치 |
-
1998
- 1998-03-03 KR KR2019980002974U patent/KR1999003732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935B1 (ko) * | 2017-04-25 | 2018-07-26 | 김운현 | 승강기용 수직 개폐형 도어 안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77258B2 (ja) | 昇降路アクセス検知システム | |
KR101924806B1 (ko) |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 |
KR101987563B1 (ko) | 휠체어리프트 승강장도어의 일체형 잠금 및 감시장치 | |
WO2007066375A1 (ja) |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 |
JP4782004B2 (ja) |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 |
KR101014256B1 (ko) |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 장치 | |
KR19990037328U (ko) | 승강기의 카도어 안전장치 | |
KR100762859B1 (ko) |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 |
US20010002775A1 (en) | Powered trap door device for vehicle | |
JP5199559B2 (ja) |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 |
KR20080018539A (ko) | 차량의 도어락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JP4346743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575806B2 (ja) | 低層階建物用エレベータ | |
JP2010018372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 |
JP2004224542A (ja) |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 |
JPH05170388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3790516B2 (ja) |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 |
JPH0867466A (ja) | 自動車用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2004284725A (ja) |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 |
JPH09202560A (ja) | エレベータのかご揺れ警報装置 | |
JPS61193865U (ko) | ||
JPH09177428A (ja) | 車両乗降口の安全装置 | |
JPH0313502Y2 (ko) | ||
KR20180067987A (ko) | 버스의 승객 도어 끼임 방지 장치 | |
KR200384074Y1 (ko) |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