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231A - 재생 장치,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31A
KR19990037231A KR1019980043908A KR19980043908A KR19990037231A KR 19990037231 A KR19990037231 A KR 19990037231A KR 1019980043908 A KR1019980043908 A KR 1019980043908A KR 19980043908 A KR19980043908 A KR 19980043908A KR 19990037231 A KR19990037231 A KR 1999003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xiliary
main
area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143B1 (ko
Inventor
가즈히꼬 후지이에
야스아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3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mixed data, i.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94Indication parts or information parts f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4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he area forming one or more zones, wherein each zone is shaped like an annulus or a circular sector
    • G11B2020/1245CLV zone, in which a constant linear velocity is u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618 to 14 modulation, e.g. the EFM code used on CDs or 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auxiliary signals
    • G11B23/36Signals on record carriers or on containers and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메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보조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보조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제2 제어 영역 내에 기록된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데이터에 관한 선정된 타이밍으로 보조 데이터가 재생된다.

Description

재생 장치,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audio data) 등의 메인 데이터와,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 등의 보조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와, 예를 들면 이 기록 매체에 적합한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 신호를 디지탈 방식으로 기록하는 광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악곡 데이터 등을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 공지되어 있다.
미니 디스크(Mini Disc; 상표)로서 알려진 광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시스템은 악곡 등의 음성 신호를 프로그램으로서 기록 및 재생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록된 악곡의 각 프로그램의 디스크명(디스크 타이틀명), 및 트랙명(악곡 타이틀)을 문자 정보로서 기록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악곡의 재생시에, 그의 디스크 타이틀, 악곡 타이틀, 아티스트명, 및 그 외의 기록된 문자 정보가 재생 장치 상에 배치된 표시 모니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란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메인 데이터로서, 악곡 등의 음성 데이터의 단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1 악곡의 음성 데이터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트랙"이란 상술한 프로그램을 나타내기 위해 이후에 이용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디스크명 및 트랙명으로서 기록된 정보는 그다지 큰 사이즈는 아니다. 즉, 상기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몇 개의 타이틀을 구성하는 문자들의 수를 기록하기에 충분한 사이즈이다. 특히, 프로그램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U-TOC(User Table of Contents)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문자 정보가 기록될 수 있고, 그 기록가능한 사이즈는 그다지 크지 않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된 비교적 큰 사이즈의 노래 가사 등의 문자 정보가 U-TOC 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U-TOC 내의 문자 정보는 전체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관련되어 있다. 즉, 프로그램으로서의 예를 들면 악곡 내의 특정 재생 위치에는 관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재생되어야 할 악곡에 대한 연주 위치에 따라 문자 정보 표시 타이밍을 설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악곡의 가사와 동등한 비교적 큰 사이즈의 문자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연주의 진행에 동기하여 가사를 표시 (예를 들면, 보컬 음성에 동기하여 가사를 표시하거나, 또는 가라오케 연주에서의 가사의 가이딩을 위해 가사를 표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가사 등의 비교적 큰 사이즈의 문자 정보의 기록 및 악곡 연주 타이밍에 동기하여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은 U-TOC가 아닌 보조의 데이터 영역이라 불리는 영역 내에 문자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가사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보조의 영역 내에 문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CD-그래픽이 공지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경우, 클러스터라 불리는 데이터 단위가 기록 동작의 기본 단위로서 제공된다. 이 클러스터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32 섹터의 영역과, 보조 데이터의 한 섹터가 기록되는 영역을 갖는다. 그러므로, 각 클러스터 내의 보조 데이터 영역 상에, 클러스터 내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등의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비교적 큰 사이즈의 가사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악곡의 연주에 동기하여 표시하기 위해 기록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기록 동작이 최소 단위로서의 1개의 클러스터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보조 데이터만이 단독으로 기록될 수는 없다. 보조 데이터만의 추가 기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기록되어야 할 기록된 악곡의 보조 데이터에 가사를 제공하여 문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기록하려고 한 경우, 메인 데이터인 음성 데이터와, 문자 정보인 보조 데이터 모두는 재차 기록되어야만 한다. 이는 문자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문자 정보의 추가 기록이나 변경 또는 표시 타이밍의 조정은 불가능하지만, 번거로우며 시간이 걸리게 된다.
즉, 보조 데이터 상에 문자 정보를 추가 기록함에 있어, 메인 데이터인 음성 데이터는 선정된 양으로 재생되어야만 하고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야만 한다. 그 후,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판독되어야 하며 문자 정보는 재차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야 할 보조 데이터부에 추가되어야만 한다.
또한, 문자 정보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완전한 부수물로서 엄격히 제어되게 되기 때문에, 문자 정보를 유연하게 취급할 수가 없으며, 따라서 미래의 시스템 확장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카운터부보다도 더 높은 부가 가치를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메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문자 및 이미지 등의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며, 예를 들어 메인 프로그램의 재생에 동기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악곡 내의 위치 등의 미세 타이밍에 동기하여 가사 정보로서의 데이터 파일을 출력하고, 더욱 다양한 출력 형태를 위해 메인 프로그램의 데이터 파일을 단독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보조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의 기록, 편집(editing) 및 재생이 가능함으로써 부가 가치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와,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여,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보조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제1 제어 영역, 제2 제어 영역, 보조 데이터 영역, 및 메인 데이터 영역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듈;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재생 모듈에 의해 재생된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모듈; 재생 모듈에 의해 제2 제어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모듈에 의해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메모리 모듈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모듈; 및 메모리 모듈로부터 판독되는 보조 프로그램을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와,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여,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보조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 상에 메인 데이터에 어느 정도 관련된 보조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 영역 상에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모듈; 기록 모듈에 의해 기록된 보조 프로그램을 메인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메인 프로그램에 관련시키기 위한 동작 모듈; 및 기록 모듈에 의해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보조 프로그램의 기록 위치 및 동작 모듈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제어 영역 내에 기록된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 및 동기 재생에서 이용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는,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와,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여 메인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보조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서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클러스터 또는 기록 단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2의 (b)는 상기 클러스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의 (c)는 사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섹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d)는 사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운드 그룹 SG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e)는 사운드 그룹 SG을 구성하는 우측 채널 데이터 및 좌측 채널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a)는 통상의 어드레스 형태를 표시하는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 도 3의 (b)는 단축 어드레스 형태를 표시하는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
도 4의 (a)는 단축 어드레스 형태로 표현되는 스타트 어드레스를 표시한 테이블, 도 4의 (b)는 단축 절대 어드레스 형태 및 단축 오프셋 어드레스 형태로 표현되는 선정된 어드레스를 표시한 테이블, 도 4의 (c)는 단축 절대 어드레스 형태 및 단축 오프셋 어드레스 형태로 표현되는 선정된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테이블.
도 5의 (a)는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제어 영역 및 프로그램 영역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5의 (b)는 상기 제어 영역 및 상기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상세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6은 제어 영역 내에 기록된 어드레스를 제어하기 위한 U-TOC 섹터 0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된 슬롯의 링크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8은 문자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U-TOC 섹터 1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녹음 일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U-TOC 섹터 2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문자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U-TOC 섹터 4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영역 할당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0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정지 화상 할당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1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정지 화상을 위한 문자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2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정지 화상을 위한 녹음 일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3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정지 화상을 위한 코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4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정지 화상을 위한 재생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5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예를 들어 악곡을 설명하기 위한 문자 정보의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6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예를 들어 악곡을 설명하기 위한 문자 정보의 재생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7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예를 들어 가사를 위한 문자 정보의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8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예를 들어 가사를 위한 문자 정보의 재생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 내의 AUX-TOC 섹터 9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어야 할 이미지 파일 섹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어야 할 텍스트 파일 섹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어야 할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어야 할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의 (a)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설명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의 (b)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의 대응하는 오프셋 어드레스 내에 기록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설명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의 (c)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의 절대 어드레스 내에 기록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설명예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로서, 가라오케 텍스트 데이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데이터 모두가 AUX 데이터 영역의 하나의 섹터 내에서 제어되는 경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의 가라오케 텍스트 데이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데이터가 제어되는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과 가라오케 어드레스 파일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0의 (a) 내지 (d)는 도 29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에 의해 실현되는 가사의 표시 전이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의 제1 섹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3은 도 31에 나타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의 제2 섹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4는 도 31에 나타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의 제3 섹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5의 (a) 내지 (c)는 도 31에 나타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의 포인터에 의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상의 지정 규칙을 설명하는 도면.
도 36은 도 31에 나타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의 가사의 한 줄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7a 내지 도 37b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에서의 재생 절차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8a 내지 도 38d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에서의 기록 절차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3 : 광학 헤드
6a : 자기 헤드
8 : EFM/ACIRC 인코터/디코더
9 : 서보 회로
11 : 시스템 컨트롤러
12 : 메모리 컨트롤러
13 : RAM
14 :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
23 : 조작 패널
24 : 표시 모니터
25 : 인터페이스
90 : 디스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자기 디스크(또는 미니 디스크)가 기록 매체의 한 예로서 이용되며, 미니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기록 장치 및 또는 재생 장치의 예로서 이용된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1.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구성
2. 섹터 형태 및 어드레스 형태
3. 영역 구조(area structure)
4. U-TOC
4-1. U-TOC 섹터 0
4-2. U-TOC 섹터 1
4-3. U-TOC 섹터 2
4-4. U-TOC 섹터 4
5. AUX-TOC
5-1 AUX-TOC 섹터 0
5-2 AUX-TOC 섹터 1
5-3 AUX-TOC 섹터 2
5-4 AUX-TOC 섹터 3
5-5 AUX-TOC 섹터 4
5-6 AUX-TOC 섹터 5
5-7 AUX-TOC 섹터 6
5-8 AUX-TOC 섹터 7
5-9 AUX-TOC 섹터 8
5-10. AUX-TOC 섹터 9
6. 데이터 파일
6-1. 화상 파일 섹터(picture file sector)
6-2. 텍스트 파일 섹터(text file sector)
6-3.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karaoke text file sector)
6-4.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7. 프로그램 동기형(program-synchronized) 데이터 파일 재생
8. AUX 데이터 기록
9. 변형예
9-1. 변형예 A
9-2. 변형예 B
9-3. 변형예 C
9-4. 변형예 D
1. 기록 및/재생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미니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광자기 디스크(미니 디스크 : 90)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광학 헤드(3)로부터 데이터 재생 및/또는 기록 동작 시에 광자기 디스크(90) 상으로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3)는 기록 시에 고 레벨의 레이저 출력 동작을 행하여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로 가열하며, 재생시에 비교적 낮은 레이저 출력 동작을 행하여 자기 커 효과(magnetic Kerr effect)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빔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학 헤드(3)는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빔 스플릿터와 대물 렌즈로 이루어진 광학 시스템, 및 반사된 레이저빔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를 갖는다. 대물 렌즈(3a)는 2축 피드 기구(two-axis feed mechanism)에 의해 디스크(90)에 대하여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유지된다.
자기 헤드(6a)는 디스크(9)를 사이에 두고 광학 헤드(3)에 대향하는 위치에 정렬된다. 자기 헤드(6a)는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 인코더/디코더(8)로부터 공급된 변조 데이터를 필드 변조(field-modulate)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인가한다.
광학 헤드(3) 전체 및 자기 헤드(6a)는 디스크(90)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레드 피드(sled-feed) 기구(5)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재생 동작에서의 광학 헤드(3)에 의해 디스크(90)로부터 판독된 정보는 RF 증폭기(7)로 공급된다. 공급된 정보로부터, RF 증폭기(7)는 재생 RF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및 그루브 정보 GFM을 연산에 의해 추출한다. 그루브 정보 GMF는 프리 그루브(pre-groove)로서 미리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절대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추출된 재생 RF 신호는 EFM/ACIRC 인코더/디코더(8)로 공급된다. 트랙킹 에러 신호 TE 및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9)로 공급된다. 그루브 정보 GFM은 어드레스 디코터(10)로 공급된다.
공급된 트랙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시스템 컨트롤러(11)로부터 발행된 트랙 점프 커맨드 및 액세스 커맨드, 및 스핀들 모터(2)의 회전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서보 회로(9)는 각종의 서보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2축 피드 기구(4) 및 슬레드 피드 기구(5)를 제어함으로써,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행하고 일정 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 CLV)로 스핀들 모터를 제어한다.
어드레스 디코더(10)는 공급된 그루브 정보 GFM를 디코딩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어드레스 정보는 각종의 제어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컨트롤러(11)로 공급된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8)는 재생된 RF 신호에 대하여 EFM 복조 및 ACIRC 디코딩을 행한다. 이 때, 어드레스 및 보조 코드 데이터도 추출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1)로 공급된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8)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 내에 일단 저장된다. 디스크(90)로부터의 광학 헤드(3)에 의한 데이터의 판독과, 경로를 통해 광학 헤드(3)로부터 버퍼 메모리(13)로의 재생 데이터의 전송은 1.41 Mbit/초로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버퍼 메모리(13)에 기록된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가 0.3 Mbit/초로 전송되는 타이밍으로 판독되어,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14)로 공급된다. 그 후, 재생 데이터는 음성 압축에 대한 음성 압축 해제(audio decompression)로서 재생 신호 처리를 행하여, 44.1 KHz 샘플링 및 16 비트 양자화의 디지탈 음성 신호를 제공한다.
이 디지털 음성 신호는 D/A 컨버터(1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프로세서(16)에 의해 레벨 및 임피던스가 조정되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 Aout로서 라인 출력 단자(17)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된다. 또한, 디지탈 음성 신호는 헤드폰 출력 HPout로서 헤드폰 출력 단자(27)로 공급되어 장치에 접속된 헤드폰으로 출력된다.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14)에 의해 디코딩된 디지탈 음성 신호는 디지탈 인터페이스(22)로 공급되어 디지털 음성 신호 Dout로서 디지탈 출력 단자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음성 신호는 광 케이블에 기초한 전송 형태로 출력된다.
광자기 디스크(90)로의 기록 시에, 라인 입력 단자(18)로 공급되는 기록 신호인 아날로그 음성 신호 Ain이 A/D 변환기(19)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14)로 공급되어 압축된다.
디지탈 음성 신호 Din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탈 입력 단자920)로 공급되면, 공급된 신호로부터 제어 코드 등이 디지탈 인터페이스(22)에 의해 추출되고, 이 신호에 의해 운반된 음성 데이터가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14)로 공급되어 압축된다.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폰 단자를 배치하여, 마이크로폰 입력을 기록 신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14)에 의해 압축된 기록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에 일단 기록되어 저장된다. 그 후, 저장된 기록 데이터는 선정된 사이즈의 데이터 단위로 간헐적으로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8)로 보내진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8)에서, 기록 데이터는 ACIRC 인코딩 및 EFM 변조되어 자기 헤드 드라이버(6)로 공급된다.
인코딩된 기록 데이터에 따라, 자기 헤드 드라이버(6)는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자기 헤드(6a)로 공급한다. 즉, 자기 헤드 드라이버(6)는 광자기 디스크(90)에 N극 또는 S극을 인가하는 자기 헤드(6a)를 갖는다. 동시에,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제어 신호를 광학 헤드(3)로 공급하여 높은 기록 레벨의 레이저빔을 출력한다.
조작 패널(23)은 사용자 조작을 위해 제공되는 섹션으로, 키(keys)와 노브(knobs)를 포함하는 각종의 조작 제어부를 갖는다. 특히, 조작 제어부는 재생, 녹음, 일시 정지, 정지, 빨리 감기(fast forward : FF), 되감기(rewind : REW), 자동 악곡 센서(automatic music sensor : AMS) 등의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에 관한 제어부, 노멀 재생, 프로그램 재생, 셔플(shuffle) 재생 등의 플레이 모드에 관한 제어부, 표시 모니터(24)에서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표시 모드 제어부, 트랙(프로그램) 분할(split), 트랙 연결(linkage), 트랙 소거(erase), 트랙명(track name) 입력, 디스크명(disc name) 입력 등의 프로그램 편집을 위한 제어부, 및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보조(AUX) 데이터 기록, 재생, 동작 모드 등에 필요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들 제어부의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11)로 공급된 후, 수신된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표시 모니터(24)의 표시 동작은 시스템 컨트롤러(11)에 의해 제어된다.
특히,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표시 동작을 행할 때에 표시해야 할 데이터를 표시 모니터(24) 내의 도시하지 않은 표시 드라이버로 송신한다. 공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에 의해 표시 동작을 구동하여, 요구되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표시한다.
표시 모니터(24)는 기록 및/또는 재생되는 디스크의 동작 모드 상태, 트랙 넘버, 기록 시간 또는 재생 시간, 편집 상태 등을 표시한다.
디스크(90)에는 프로그램 또는 메인 데이터에 부수하여 제어되는 앨범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표시 모니터(24)는 문자 정보의 입력 문자 및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문자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90)는 메인 데이터인 음성 데이터 영역 및 보조 데이터인 AUX 데이터 영역을 갖고 있고, 이들 영역은 서로 이산되어 있다. 보조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문자 및 이미지와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문자 및 이미지도 표시 모니터(24)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AUX 데이터로서의 문자 정보 및 정지 화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어느 정도 자유롭게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풀 도트(full-dot) 표시 디바이스 또는 CRT 표시 디바이스가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외부에 부착된 모니터 디바이스 상에 AUX 데이터의 표시 출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AUX 데이터 파일도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90) 상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스캐너(image scanner),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가 필요할 수도 있다. AUX 데이터 파일로서의 정보가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상기 입력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1)는 CPU, 프로그램 ROM, 워크(work) RAM, 인터페이스 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상술한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디스크(90)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이 행해지면, 제어 정보, 즉 P-TOC[Pre-mastered Table of Contents(TOC)] 및 U-TOC(User TOC)가 디스크(90)로부터 판독되어야만 한다. 이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1)는 디스크(90) 상의기록 영역의 어드레스 및 재생 영역의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이들 정보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유지된다.
그 후, 시스템 컨트롤러(11)는 디스크(90)가 로딩(road)된 때에 최내주(innermost peripheral)에 기록된 제어 정보의 재생을 행함으로써 이들 제어 정보를 판독하고,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기록, 재생, 및 편집 시에 제어 정보를 참조하기 위해 버퍼 메모리(13) 내에 판독된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U-TOC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 또는 편집할 때마다 재기록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상기 동작을 행할 때마다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된 U-TOC를 갱신하고, 선정된 타이밍에 따라 디스크(90) 상의 U-TOC 영역을 재기록한다.
AUX 데이터 파일은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디스크(90) 상에 기록된다. AUX 데이터 파일을 제어하기 위해, AUX-TOC를 디스크(90) 상에 형성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11)는 U-TOC를 판독함과 동시에 AUX-TOC를 판독하고, 필요시에 참조하기 위해 버퍼 메모리(13) 내에 AUX-TOC를 저장한다.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필요에 따라 선정된 타이밍으로 또는 AUX-TOC를 판독함과 동시에 보조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고, 판독된 AUX 데이터 파일을 버퍼 메모리(13) 내에 저장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표시 모니터(24)를 가지며,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외부에 부착된 디바이스가 AUX-TOC에 의해 제어되는 출력 타이밍에 따라 문자 및 이미지 출력 동작을 행한다.
2. 섹터 형태 및 어드레스 형태
이제, 도 2의 (a) 내지 (e)를 참조하여 섹터 및 클러스터로 불리는 데이터 단위에 대해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트랙에 대하여, 클러스터 CL이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1 클러스터는 최소 기록 단위가 된다. 1 클러스터는 2-3 주회(circle)의 트랙에 상당한다.
1 클러스터 CL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섹터 SFC∼SFF로 이루어진 링킹 영역과, 32개의 섹터 S00∼S1F로 이루어진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1 섹터는 2352 바이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이다.
4-섹터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섹터 SFF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보조 데이터 섹터이다. 3개의 섹터 SFC∼SFE는 데이터 기록에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TOC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AUX 데이터는 메인 데이터 영역의 32 섹터 내에 기록된다.
어드레스는 각 섹터마다에 기록된다.
섹터는 사운드 그룹으로 더 분할되며, 2개의 섹터는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 사운드 그룹(SGs)으로 분할되어 있다.
특히, 우수(even-number) 섹터 S00 및 기수(odd-sector) 섹터 S01과 같은 연속하는 2개의 섹터는 사운드 그룹 SG00∼SG0A를 포함한다. 1개의 사운드 그룹은 424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11.61 msec에 상당하는 음성 데이터량이 제공된다.
1개의 사운드 그룹 SG에서, 도 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L(left) 채널 및 R(right) 채널 내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 그룹 SG00은 L 채널 데이터 L0과 R 채널 데이터 R0으로 이루어진다. 사운드 그룹 SG01은 L 채널 데이터 L1과 R 채널 데이터 R1로 이루어진다.
L 채널 또는 R 채널 데이터 영역을 제공하는 212 바이트는 사운드 프레임이라 불린다.
이하,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여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어드레스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각 섹터는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어드레싱된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스터 어드레스는 16 비트(=2 바이트)로 구성되며, 섹터 어드레스는 8 비트(=1 바이트)로 구성된다.
이들 3 바이트로 구성된 어드레스는 각 섹터의 헤드에 기록된다.
4 비트로 구성된 사운드 그룹 어드레스를 추가하여, 섹터 내의 각 사운드 그룹의 어드레스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TOC의 제어에 있어서, 사운드 그룹을 포함하는 표기(notation)는 사운드 그룹의 단위에서의 재생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U-TOC 및 AUX-TOC에 있어서, 클러스터 어드레스, 섹터 어드레스, 및 사운드 그룹 어드레스 모두를 3 바이트로 표현하기 위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축형(short-form) 어드레스가 이용된다.
단축형 어드레스에서, 각 섹터는 1개의 클러스터가 36 섹터를 가지므로 6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섹터 어드레스의 상위 2 비트는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클러스터는 디스크 최외주(outermost periphery)까지 14비트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각 클러스터 어드레스의 상위 2 비트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섹터 어드레스 및 각 클러스터 어드레스의 상위 2 비트를 생략하여, 클러스터, 섹터, 및 사운드 그룹 모두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3 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U-TOC 및 AUX-TOC에 있어서, 재생 위치, 재생 시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각 어드레스는 상술한 단축형으로 표현된다. 이 단축형 어드레스로서, 예를 들어 절대 어드레스 또는 오프셋 어드레스가 가능하다. 오프셋 어드레스는 악곡 등의 각 프로그램의 헤드 위치를 어드레스 0으로 규정되어 있는 상대적인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프로그램 내측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오프셋 어드레스의 예에 대해 도 4의 (a) 내지 (c)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여 악곡 등의 프로그램의 기록에 대해 후술한다. 프로그램은 클러스터(50; 16진수 표기로 클러스터 32h)부터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여기서 문자 "h"가 후미에 붙는 숫자는 16진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 프로그램의 선두 위치(start position)의 클러스터 32h, 섹터 00h, 및 사운드 그룹 0h의 어드레스 값은 도 4의 (a)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0000110010000000000000" (즉, 0032h, 00h, 0h)이다. 단축형에서, 이 어드레스는 도 4의 (a)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001100100000000000" (즉, 00h, C8h, 00h)로 표시된다.
이 스타트 어드레스를 원점(origin)으로서 이용했을 때, 제1 프로그램에서의 소정 위치의 어드레스, 예를 들면 클러스터 0032h, 섹터 04h, 및 사운드 그룹 0h의 어드레스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축형 절대 어드레스에서는 "00h, C8h, 40h"이다. 한편, 클러스터 000h, 섹터 04h, 사운드 그룹 0h가 원점 또는 스타트 어드레스와의 차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오프셋 어드레스는 "00h, 00h, 40h"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스타트 어드레스를 원점으로서 이용했을 때, 제1 프로그램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클러스터 0032h, 섹터 13h, 사운드 그룹 9h의 어드레스는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단축형 절대 어드레스에서는 "00h, C9h, 39h"이고, 대응하는 오프셋 어드레스에서는 "00h, 01h, 39h"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프로그램 내측의 위치 등이 절대 어드레스 또는 오프셋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3. 영역 구조(area structure)
이하,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크(90)에 이용되는 영역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최내주에서 최외주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광자기 디스크로서의 디스크(90)에서, 최내주는 엠보스 피트(emboss pits)에 의해 재생 전용 데이터가 형성된 피트 영역이고, 여기에 P-TOC가 기록된다.
피트 영역의 외측은 기록 트랙 가이드 그루브로 형성된 기록/재생이 가능한 영역인 광자기 영역이다.
광자기 영역의 내주 측면 상의 클러스터 0 내지 클러스터 49는 제어 영역으로 된다. 악곡 등의 실제 프로그램은 클러스터 50 내지 클러스터 2251 범위 내의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다. 프로그램 영역은 리드 아웃(lead-out)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어 영역의 상세는 도 5의 (b)에 나타내었고, 섹터는 횡방향으로 나타낸 반면에, 클러스터는 종방향으로 나타내었다.
제어 영역에서, 클러스터 0 및 1은 피트 영역에 대한 버퍼 영역으로 된다. 클러스터 2는 레이저빔 출력 파워를 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파워 조정 영역 PCA(power calibration area)로 된다.
클러스터 3, 4 및 5는 U-TOC를 기록한다. U-TOC의 내용은 후술한다. 데이터 포맷은 1개의 클러스터에서의 각 섹션 내에 지정되어, 선정된 제어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U-TOC 데이터로 되는 섹터는 클러스터 3, 4 및 5 내에 반복해서 기록된다.
클러스터 6, 7 및 8은 AUX-TOC를 기록한다. AUX-TOC의 내용은 후술한다. 데이터 포맷은 1개의 클러스터 내의 섹터 내에 지정되어, 선정된 제어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AUX-TOC 데이터를 갖는 섹터는 클러스터 6, 7 및 8에 반복해서 기록된다.
클러스터 9 내지 클러스터 46까지의 영역은 AUX 데이터를 기록한다. AUX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섹터 단위로 형성된다. 이 데이터 파일은 후술하는 정지 화상 파일로서의 화상 파일 섹터, 후술하는 문자 정보로서의 텍스트 파일 섹터, 및 후술하는 프로그램과 동기하는 문자 정보 파일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를 포함한다.
AUX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과, AUX 데이터 영역 내의 AUX 데이터 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 AUX-TOC에 의해 제어된다.
AUX 데이터 영역에서의 데이터 파일 기록 사이즈는 에러 정정 모드 2를 고려하면 2.8 MB이다.
또한, 예를 들면 프로그램 영역의 후반 부분이나 프로그램 영역 외측의 영역(예를 들면, 리드 아웃 부분) 내에 제2 AUX 데이터 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 데이터 파일 기록 사이즈를 확대할 수 있다.
클러스터 47, 48 및 49는 프로그램 영역에 대한 버퍼 영역으로 된다.
클러스터 50(=32h)부터 시작하는 프로그램 영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악곡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를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로서 공지된 압축 형태로 기록한다.
기록된 프로그램과 기록 가능한 영역은 U-TOC에 의해 제어된다.
프로그램 영역 내의 각 클러스터에서의 섹터 FFh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정보를 보조 데이터로서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등이 재생 전용 데이터로서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 디스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생 전용 디스크에서는, 디스크 전체가 피트 영역으로 덮여 있다. 재생 전용 디스크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U-TOC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P-TOC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U-TOC는 재생 전용 디스크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재생 전용 데이터 파일이 AUX 데이터로서 기록된 때에는, 데이터 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AUX-TOC가 재생 전용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4. U-TOC
4-1. U-TOC 섹터 0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90) 상의 프로그램의 기록 및/또는 재생은 미리 디스크(90)로부터 제어 정보 P-TOC 및 U-TOC를 판독하여 필요에 따라 그들을 참조하기 위한 시스템 컨트롤러(11)가 필요하다.
이하, 프로그램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인 U-TOC에 대해 설명한다.
P-TOC는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90)의 내주 상의 피트 영역에 형성된다. P-TOC는 판독 전용 정보이다.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또는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리드 아웃 영역, U-TOC 영역의 위치는 P-TOC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 광 디스크에 있어서, 재생 전용으로 기록된 악곡도 제어되며, 따라서 U-TOC는 형성되지 않는다.
P-TOC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기록 가능 광자기 디스크 상에 형성된 U-TOC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U-TOC 섹터 0의 형태를 나타낸다.
U-TOC 섹터로서 섹터 0 내지 섹터 32가 제공될 수 있다. 섹터 1 및 섹터 4는 문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 되며, 섹터 2는 기록일시(a date of recording)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 된다.
우선, 디스크(90) 상에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에 항상 필요한 U-TOC 섹터 0에 대해 설명한다.
U-TOC 섹터 0은 사용자에 의해 주로 기록되는 악곡 등의 프로그램과, 추가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프리 영역(free area)에 대한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90) 상에 악곡을 기록할 때에, 시스템 컨트롤러(11)는 P-FRA에 기초하여, U-TOC 섹터 0부터 기록 가능 영역인 디스크의 프리 영역을 탐색하고, 검색된 프리 영역 내에 악곡을 기록한다. 재생 동작에서, U-TOC 섹터 0에 기초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재생해야 할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그 영역을 액세스하여 재생한다.
U-TOC 섹터 0의 데이터 영역(4 바이트 × 588 = 2352 바이트)에서, 모두 0 또는 모두 1인 1-바이트 데이터가 순서대로 형성되는 동기 패턴이 선두 위치에서 기록된다.
동기 패턴은 클러스터 어드레스(클러스터 H 및 클러스터 L) 및 섹터 어드레스(sector)를 3개의 연속하는 바이트로 제공하는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이들 어드레스는 1 바이트의 모드 정보(MODE)를 수반한다. 이들 4 바이트는 헤더를 형성한다. 3 바이트의 어드레스는 섹터 그 자체의 어드레스로서 제공된다.
동기 패턴 및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헤더는 P-TOC 섹터, AUX-TOC 섹터, AUX 파일 섹터, 및 프로그램 섹터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들 섹터들의 헤더는 후술하는 도 8 및 그 이후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들 섹터의 설명으로부터 생략된다. 특정 섹터의 어드레스 및 동기 패턴은 섹터 단위로 기록된다.
클러스터 어드레스는 상위 어드레스(클러스터 H) 및 하위 어드레스(클러스터 L)의 2 바이트로 표현되며, 섹터 어드레스는 1 바이트로 표현된다. 즉, 각 섹터의 어드레스는 단축형 어드레스가 아니다.
그리고, 제조자를 표시하는 메이커 코드, 기록이 행해지는 장치의 모델을 표시하는 모델 코드, 제1 트랙 넘버(First TNO), 최후 트랙 넘버(Last TNO), 섹터 사용 상태(Used sectors), 디스크 시리얼 넘버, 및 디스크 ID가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서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는 악곡 등의 프로그램 영역 및 기록 가능한 영역인 프리 영역을 후술하는 테이블부에 관련시켜 식별하기 위한 포인터부로서 각종의 포인터 [P-DFA(Pointer for Defective Area), P-EMPTY(Pointer for Empty Slot), P-FRA(Pointer for Free Area), 및 P-TNO1 내지 P-TNO225]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포인터부는 포인터(P-DFA 내지 P-TNO255)에 관련되어 있는 225개의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로 이루어진 테이블부를 수반한다. 각 파트 테이블은 특정 파트의 원점으로서 제공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그 파트의 종점으로서 제공되는 엔드 어드레스, 및 기록되는 파트에 대한 모드 정보(트랙 모드)를 기록한다. 하나의 파트 테이블 내에 리스팅된 파트가 다른 파트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지정 파트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을 표시하는 링크 정보가 테이블부 내에 기록될 수 있다.
파트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터의 조각들이 하나의 트랙 내에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기록되어 있는 트랙 파트를 의미한다.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 표시되는 어드레스는 하나의 악곡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트를 표시하는 어드레스로서 제공된다.
이들 어드레스는 단축형으로 기록되어, 클러스터, 섹터, 및 사운드 그룹을 지정한다.
이런 종류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하나의 악곡에 대한 데이터가 불연속적인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즉 복수의 파트에 걸쳐 기록된 경우, 재생 중에 파트마다 액세스가 이루어져, 재생 시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는 악곡 등이 기록 가능 영역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파트에 걸쳐 기록되는 경우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링크 정보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파트 테이블에 할당된 넘버 01h 내지 FFh에 의해 링크되어야 하는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파트 테이블이 링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U-TOC 섹터 0 내의 제어 테이블부에서, 하나의 파트 테이블은 하나의 파트를 표현하고 있다. 3개의 파트를 링크하여 이루어진 악곡에 대하여, 이들 파트의 위치는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된 파트 테이블에 의해 제어된다.
실제로, 링크 정보는 선정된 연산에 의해 U-TOC 섹터 0 내의 바이트 위치로 되는 값으로 표시된다. 즉, 파트 테이블은 304 + (링크 정보) × 8 (8번째 바이트)로 지정된다.
U-TOC 섹터 0의 테이블부 내의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의 내용은 포인터부의 포인터(P-DFA, P-EMPTY, P-FRA, 및 P-TNO1 내지 P-TNO225)에 의해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포인터 P-DFA는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결함 영역을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크랫치(scratch)에 의해 생긴 결함 영역으로 되는 트랙 부분(=파트)을 표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즉, 결함 파트가 있을 경우, 01h 내지 FFh 중 하나가 포인터 P-DFA 내에 기록되고,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은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 내의 결함 파트를 표시한다. 다른 결함 파트가 있을 경우, 다른 파트 테이블이 전자의 파트 테이블 내의 링크 정보로서 지정된다. 결함 파트는 또한 그 파트 테이블 내에 표시된다. 그 외의 결함 파트가 없을 경우, 링크 정보는 예를 들어 "00h"로 되고, 더 이상 링크 없음을 표시한다.
포인터 P-EMPTY는 제어 테이블부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사용(empty) 파트 테이블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나타낸다. 미사용 파트 테이블이 있을 경우, 01h 내지 FFh 중 하나는 포인터 P-EMPTY로서 기록된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미사용 테이블이 있을 경우, 파트 테이블은 포인터 P-EMPTY에 의해 지정된 것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정되고, 제어 테이블부 내의 모든 미사용 파트 테이블을 링크한다.
포인터 P=FRA는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프리 영역(소거 영역을 포함하는)을 나타낸다. 이 포인터는 프리 영역으로 되는 트랙 부분(=파트)이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즉, 프리 영역이 있을 경우, 01h 내지 FFh 중 하나는 포인터 P-FRA 내에 기록되고,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은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프리 영역으로 되는 파트를 표시한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파트가 있거나, 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파트 테이블이 있을 경우, 파트 테이블은 라인 정보가 "00h"로 되는 것까지 순차 지정된다.
도 7은 파트 테이블에 의해 프리 영역으로 되는 파트의 제어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는 파트 03h, 18h, 1Fh, 2Bh, 및 E3h가 프리 영역일 경우, 이 상태가 포인터 P-FRA 후에 파트 테이블 03h, 18h, 1Fh, 2Bh, 및 E3h의 링크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상술한 결함 영역 및 미사용 파트 테이블의 제어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포인터 P-TNO1 내지 P-TNO225는 사용자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기록되는 예를 들어 악곡의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포인터 P-TNO1은 제1 트랙의 데이터가 기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트 중 시간적으로 선두 파트를 표시하는 파트 테이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트랙(또는 제1 프로그램)인 악곡이 디스크 상의 비분할된 트랙으로 기록되는, 즉 파트 전체로 기록된 경우, 제1 트랙의 기록 영역은 포인터 P-TNO1로 나타내는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기록된다.
예를 들어 제2 트랙(또는 제2 프로그램)인 악곡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파트에 걸쳐 이산적으로 기록된 경우, 제2 트랙의 기록 위치를 표시하는 파트는 시간적으로 순차 지정된다. 즉, 포인터 P-TNO2로 표시된 파트 테이블에서 시작하여, 링크 정보가 "00h"(도 7에 나타낸 형태와 동일)인 파트 테이블까지 다른 파트 테이블들이 링크 정보에 의해 순차 지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2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된 모든 파트가 순차 지정되어 기록된 경우, U-TOC 섹터 0에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2번째의 악곡을 재생 또는 오버라이팅(overwriting) 시에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a)가 억세스 동작을 행하여 이산적인 파트로부터 연속하는 악곡 정보를 취하거나 또는 기록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광자기 디스크(90)에 대하여, 디스크 상의 영역 제어는 P-TOC에 의해 행해지며,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내에 기록된 악곡의 제어 및 프리 영역의 제어는 U-TOC에 의해 행해진다.
4-2. U-TOC 섹터 1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U-TOC 섹터 1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섹터 1은 기록 트랙에 트랙명을 할당하고 디스크 그 자체에 디스크명을 부친 때에 입력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U-TOC 섹터 1은 기록 트랙에 대응하는 포인터 P-TNA1 내지 P-TNA255를 포함하는 포인터부를 갖는다. U-TOC 섹터 1은 포인터 P-TNA1 내지 P-TNA255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1개의 8 바이트 슬롯 이외에 255개의 8 바이트 슬롯(01h 내지 FFh)을 포함하는 슬롯부를 갖는다. U-TOC 섹터 1은 상술할 U-TOC 섹터 0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문자 정보를 제어한다.
디스크 타이틀 및 트랙명에 대한 문자 정보는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에서의 슬롯 01h 내지 FFh 내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포인터 P-TNA1에 의해 지정된 슬롯은 제1 트랙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록한다. 슬롯은 링크 정보에 의해 함께 링크되어, 7 바이트(또는 7 문자)를 초과하는 문자의 수를 하나의 트랙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
슬롯(00h)으로서의 8 바이트는 디스크명이 기록되는 전용 영역으로 제공되어, 이 슬롯은 임의의 포인터(P-TNA(X))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다.
U-TOC 섹터 1에서, 포인터 P-EMPTY도 미사용 슬롯을 제어한다.
4-3. U-TOC 섹터 2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U-TOC 섹터 2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섹터 2는 사용자가 악곡을 기록한 일시(date)를 주로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U-TOC 섹터 2는 기록 트랙에 대응하는 포인터 P-TRD1 내지 P-TRD255를 포함하는 포인터부와 이들 포인터부에 의해 지정되어야 할 슬롯을 포함하는 슬롯부를 갖는다. 슬롯부는 255개의 8 바이트 슬롯 01h 내지 FFh를 가지며, 상술한 U-TOC 섹터 0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일시 데이터(date data)를 제어한다.
각 슬롯 01h 내지 FFh는 6 바이트에서의 악곡(또는 트랙) 기록일시를 기록한다. 이들 6 바이트는 각각 연, 월, 일, 시, 분, 및 초에 대응하는 값을 기록한다. 각 8 바이트 중 나머지 2 바이트는 메이커 코드와 모델 코드, 즉 악곡이 기록되는 기록 장치의 제조자를 표시하는 코드 데이터 및 그 기록 장치의 모델을 표시하는 코드 데이터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트랙이 첫번째 악곡으로 기록되었을 때, 포인터 P-TRD1에 의해 지정된 슬롯은 기록일시, 메이커 코드, 및 모델 코드를 기록한다. 기록일시 데이터는 기록 장치의 내부 클럭을 참조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1)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슬롯(00h)으로서의 8 바이트는 디스크 단위의 기록일시를 기록하는 전용 영역으로 제공되며, 이 슬롯은 임의의 포인터 P-TRD(X)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다.
U-TOC 섹터 2에서, 슬롯 포인터 P-EMPTY도 미사용 슬롯을 제어한다. 미사용 슬롯에 대하여, 링크 정보가 모델 코드 대신에 기록된다. 각 미사용 슬롯의 선두에 위치한 슬롯 포인터 P-EMPTY에, 미사용 슬롯이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되어 제어된다.
4-4. U-TOC 섹터 4
도 10은 U-TOC 섹터 4를 나타낸다. 상술한 섹터 1과 같이, 섹터 4는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트랙에 악곡 타이틀이나 또는 디스크에 대한 디스크명을 부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도 10 및 도 8을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터 4의 형태는 섹터 1의 형태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섹터 4는 한자 및 유럽 문자에 대하여 코드 데이터(2 바이트 코드)를 기록하는데 적합하다. 섹터 1의 데이터 이외에, 문자 코드 속성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서 기록된다.
섹터 1과 마찬가지로, U-TOC 섹터 4의 문자 정보는 포인터 P-TNA1 내지 P-TNA225 및 이 포인터 P-TNA1 내지 P-TNA225에 의해 지정된 255개의 슬롯 01h 내지 FFh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는 U-TOC가 형성되지 않은 재생 전용 디스크를 지원하고; 재생 전용 디스크의 경우, 디스크명 및 트랙명에 대한 문자 정보가 P-TOC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P-TOC 섹터로서, U-TOC 섹터 1 및 4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섹터가 준비된다. 디스크 제조자는 미리 P-TOC 섹터 내에 디스크명 및 트랙명을 기록할 수 있다.
5. AUX-TOC
5-1. AUX-TOC 섹터 0
본 실시예의 디스크(90)에서,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UX 데이터 파일 및 AUX-TOC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설정되어, AUX 데이터 파일로서 예를 들어 악곡과 같은 프로그램과는 독립적으로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록한다.
AUX 데이터 파일은 AUX-TOC에 의해 제어된다. 이 AUX-TOC는 3개의 연속하는 클러스터 각각에 기록된다. 따라서, 제어 데이터 구조에서, 1개의 클러스터 내의 32 섹터가 U-TOC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UX-TOC 섹터 0 내지 9가 설정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AUX 데이터 파일을 제어한다.
우선, 도 11을 참조하여 AUX-TOC 섹터 0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AUX-TOC 섹터 0은 주로 AUX 데이터 영역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 할당 테이블(area allocation table)로서 제공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섹터 0은 헤더에 수반하여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백업 정보, ASPB(Auto Sequence Play Back) 플래그, 및 사용된 섹터 정보를 이 순서로 기록한다. ASPB 플래그는 AUX 데이터 파일로서, 예를 들면 정지 화상, 텍스트, 및 가라오케 텍스트가 프로그램으로서의 악곡의 재생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된 섹터 정보로서, AUX-TOC 내에 기록된 섹터 사용 상태가 표시된다.
이 AUX-TOC 섹터 0은 포인터 P-DFAA, P-EMPTY, P-BLANK, P-SPICT, P-TEXT, 및 P-KRAOK를 포함하는 포인터부를 갖는다.
이 섹터 0의 테이블부는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및 링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255개의 8 바이트 파트 테이블을 포함한다. AUX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U-TOC 섹터 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포인터 P-DFAA(pointer for defective area of auxiliary area)는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기록된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AUX 데이터 영역 내의 결함 영역을 제어한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함 영역이 있을 경우, 다른 파트 테이블은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된다.
포인터 P-EMPTY(Pointer for Empty Slot)는 이 AUX-TOC 섹터 0 내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을 링크 형태로 제어한다.
포인터 P-BLANK(Pointer for Blank Area)는 U-TOC 섹터 0과 마찬가지로, AUX 데이터 영역 내의 프리 영역, 즉 AUX 데이터 파일이 기록될 수 있는 영역을 파트 테이블 링크 형태로 제어한다.
포인터 P-SPICT(Pointer for Still Picture)는 AUX 데이터 영역 내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즉, 후술하는 화상 파일 섹터)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파트 테이블 링크 형태로 제어한다. 하나의 화상 파일은 1개 또는 2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포인터 P-SPICT에 의해 제어되어야 할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 영역은 클러스터 단위의 영역으로 된다.
포인터 P-TEXT(Pointer for TEXT data)는 파트 테이블 링크 정보에 의해, AUX 데이터 영역 내의 텍스트 파일(즉, 후술하는 텍스트 파일 섹터)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제어한다. 하나의 텍스트 파일의 파일 길이는 1 섹터이다. 그러나, 포인터 P-TEXT에 의해 제어되어야 할 텍스트 파일 영역은 클러스터 단위의 영역으로 된다.
포인터 P-KRAOK(Pointer for Karaoke data)는 AUX 데이터 영역 내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즉, 후술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파트 테이블 링크 형태로 제어한다. 하나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1개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1개 또는 2개의 섹터에 기초한 파일이다.
그러나, 포인터 P-KRAOK에 의해 제어되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 영역은 클러스터에 기초한다.
포인터 P-SPICT, P-TEXT, 및 P-KRAOK는 AUX 데이터 영역 내의 화상 파일(정지 화상), 텍스트 파일, 및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파트 테이블 내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제어한다. 그러므로, 섹터 0의 제어 상태에 따라, 상술한 각 영역이 자유롭게 분할 설정될 수 있기도 하며, 각 영역의 길이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는 단축형으로, 사운드 그룹 위치까지 지정할 수 있다.
각 AUX-TOC 섹터 1 내지 9 내의 테이블부 또는 슬롯부에서, 3 바이트로 기록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도 단축형으로, 사운드 그룹 단위로 위치 지정이 행해질 수 있다.
AUX-TOC가 재생 전용 디스크 상에 형성된 경우, 각 파트 테이블 내의 링크 정보는 이용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AUX 파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포인터는 P-SPICT, P-TEXT, 및 P-KRAOK이다. 화상 파일, 텍스트 파일, 및 가라오케 파일과는 다른 파일이 AUX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되는 경우, 그 파일의 종류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영역 제어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포인터부는 P-SPICT, P-TEXT, 및 P-KRAOK를 포함하여 최대 255 종류의 파일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5-2. AUX-TOC 섹터 1
AUX-TOC 섹터 1 내지 5는 정지 화상 정보로서의 화상 파일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 12에 나타낸 AUX-TOC 섹터 1은 정지 화상 할당 테이블로서의 제어 섹터로서 제공되어, 상술한 AUX-TOC 섹터 0에서의 포인터 P-SPICT에 의해 설정된 화상 파일 영역 내의 화상 파일로서 기록된 데이터 파일을 제어한다.
AUX-TOC 섹터 1에서, 화상 파일은 AUX-TOC 섹터 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어야 할 1개의 정지 화상에 대한 화상 파일의 길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1 클러스터 또는 2 클러스터이다. 1개의 파일이 1클러스터 길이인 경우, AUX 데이터 영역은 38개의 화상 파일까지 기록할 수 있다. 이들 화상 파일 중 하나는 이른바 디스크 표지 이미지(예를 들면, 디스크 표지로서 제공되는 표지 화상)로서 제공된다.
표지 화상 파일과 다른 37 화상 파일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포인터 P-PNO(X)로서, 포인터 P-PNO1 내지 P-PNO37이 AUX-TOC 섹터 1 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더 많은 화상 파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AUX 데이터 영역의 더 많은 확장 및 파일 사이즈의 더 많은 변경을 도모하기 위해서, 포인터 P-PNO(X)가 도 12에 괄호로 나타낸 바와 같이 P-PNO255까지 설정될 수 있다.
포인터부에서, 포인터 P-PFRA 및 P-EMPTY도 형성된다.
또한, 테이블부에서,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및 화상 모드(또는 SPICT 모드)를 기록하기 위한 각 255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가 포인터부 내의 상술한 포인터들에 대응하는 8 바이트 파트 테이블로서 형성된다.
파트 테이블 00h는 소정의 포인터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 파트 테이블은 표지 화상으로서 제공되는 화상 파일의 어드레스를 제어하는 데만 이용된다.
포인터 P-PNO1 내지 PNO37은 특정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하나의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각 영역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포인터 P-PNO1에 의해 지정되는 파트 테이블은 1장째의 이미지 데이터로서 제공되는 화상 파일의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및 이미지 모드(또는 SPICT 모드)를 기록한다.
AUX-TOC 섹터 1은 링크 정보에 의해 파트 테이블을 링크함으로써 파일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화상 파일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섹션에 걸쳐 이산적으로 기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섹터 내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은 포인터 P-EMPTY가 원점으로서 이용되는 링크 형태 (파트 테이블 내의 8번째 바이트가 링크 정보로서 제공됨)로 제어된다.
포인터 P-PFRA는 프리 영역, 즉 상술한 AUX-TOC 섹터 0에서의 포인 P-SPICT에 의해 설정된 화상 파일 내의 화상 파일 기록 가능 영역을 제어한다. 프리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섹션의 어드레스는 포인터 P-PFRA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기록된다. 이 프리 영역 제어에서, 파트 테이블은 각 파트 테이블 내의 8번째 바이트에 의해 제공된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되는 경우도 있고, 프리 영역으로서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분리 섹션을 제어한다.
5-3. AUX-TOC 섹터 2
도 13은 AUX-TOC 섹터 2의 형태를 나타낸다. 섹터 2는 정지 화상명(picture name) 테이블로서 제공된다. 화상명이 각 기록 화상 파일에 할당된 경우, 섹터 2는 화상명으로서 제공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으로 된다.
AUX-TOC 섹터 2는 기록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포인터 P-PNA1 내지 P-PNA37(P-TNA255까지 확장 가능)을 포함하는 포인터부를 갖는다. 이 섹터는 포인터 P-TNA1 내지 P-TNA37에 의해 지정되는 255개의 8 바이트 슬롯 01h 내지 FFh 및 1개의 8 바이트 슬롯 00h를 포함하는 슬롯부도 갖는다.
슬롯 00h 내지 FFh는 화상명으로서의 문자 정보를 ASCII 코드 또는 다른 문자 코드로 기록한다.
문자 코드로서, 예를 들면 00h는 ASCII 코드로 표현되고, 01h는 모디파이드(modified)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8859-1 코드로 표현되며, 02h는 뮤직 시프티드(music-shifted) JIS(Japanese Industry Standard) 코드로 표현된다.
포인터 P-PNA1 내지 P-PNA37은 하나의 화상 파일에 대해 화상명을 기록하는 특정 파트 테이블을 각각 지정한다. 예를 들면, 포인터 P-PNA1에 의해 지정된 슬롯은 제1 화상 파일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자를 기록한다. 링킹 정보를 이용하여 슬롯을 링킹함으로써, 하나의 화상 파일에 대한 화상명을 7 바이트(또는 7 문자)보다 많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슬롯 00h에 대한 8 바이트는 표지 화상의 표지 화상명을 기록하는 전용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 슬롯은 포인터 P-PNA(X)로 지정되지 않는다.
포인터 P-EMPTY는 미사용 슬롯을 링크 형태로 제어한다.
5-4. AUX-TOC 섹터 3
도 14는 AUX-TOC 섹터 3의 형태를 나타낸다. 섹터 3은 정지 화상 기록일시 테이블로서, 화상 파일을 기록했던 기록일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AUX-TOC 섹터 3은 기록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포인터 P-PRD1 내지 P-PRD37(P-PRD255까지 확장 가능)을 포함하는 포인터부를 갖는다. 이 섹터는 이들 포인터 P-PRD1 내지 P-PRD37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부도 갖는다.
슬롯부는 상술한 U-TOC 섹터 2와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일시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255개의 8 바이트 슬롯 01h 내지 FFh 및 1개의 8 바이트 슬롯 00h를 포함한다.
슬롯 01h 내지 FFh는 화상 파일 기록일시를 6 바이트로 각각 기록한다. 이들 6 바이트는 년, 월, 일, 시, 분, 및 초를 각각 표현하는 값을 기록한다. 나머지 2 바이트는 메이커 코드 및 모델 코드, 즉 악곡이 기록되는 기록 장치의 제조자를 표시하는 코드 데이터 및 그 기록 장치의 모델을 표시하는 코드 데이터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제1 화상 파일이 디스크 상에 기록되었을 때, 포인터 P-PRD1에 의해 지정된 슬롯은 기록일시, 메이커 코드, 및 모델 코드를 기록한다. 기록일시 데이터는 기록 장치의 내부 클럭을 참조하여 시스템 컨트롤러911)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슬롯(00h)으로서의 8 바이트는 표지 화상의 기록일시를 기록하는 전용 영역으로서 제공되어, 이 슬롯은 소정의 포인터 P-PRD(X)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다.
AUX-TOC 섹터 3에서, 슬롯 포인터 P-EMPTY도 미사용 슬롯을 제어한다. 미사용 슬롯에 대하여, 링크 정보가 모델 코드 대신에 기록된다. 슬롯 포인터 P-EMPTY가 각 미사용 슬롯의 선두에 배치됨에 따라, 미사용 슬롯이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되어 제어된다.
5-5. AUX-TOC 섹터 4
도 15는 AUX-TOC 섹터 4의 형태를 나타낸다. 섹터4는 기록 화상 파일의 코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지 화상 코드로서 제공된다.
AUX-TOC 섹터 4는 기록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포인터 P-PCD1 내지 P-PCD37(P-PCD255까지 확장 가능)을 포함하는 포인터부를 갖는다. 이 섹터는 이들 포인터 P-PCD1 내지 P-PCD37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부도 갖는다. 슬롯부는 255개의 8 바이트 슬롯 01h 내지 FFh 및 1개의 8 바이트 슬롯 00h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화상 파일에 대하여, 포인터 P-PCD1에 의해 지정된 슬롯이 그 화상 파일의 코드 정보를 기록한다.
슬롯(00h)으로서의 8 바이트는 표시 화상 파일의 코드 정보를 기록하는 전용 영역으로서 제공되어, 이 슬롯은 소정의 포인터 P-PCD(X)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다.
AUX-TOC 섹터 4에서, 포인터 P-EMPTY도 미사용 슬롯을 제어한다.
5-6. AUX-TOC 섹터 5
도 16에 나타낸 AUX-TOC 섹터 5는 정지 화상 플레이백 시퀀스 테이블로서 제공된다.
이 테이블은 악곡 등의 프로그램의 재생에 동기하여 화상을 출력(즉,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서 제공된다.
섹터 5는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를 포함한다. 이들 포인터는 U-TOC 섹터 0과 동일한 것으로, 악곡 등의 프로그램으로서의 트랙 1 내지 255에 대응한다.
섹터 5의 파트 테이블부는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에 의해 지정되는 255개의 8 바이트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를 포함한다. 파트 테이블부는 이들 포인터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 1개의 파트 테이블 00h도 갖는다.
각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그 트랙의 선두 위치 어드레스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인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특정 화상 파일은 포인터 P-PNO(*)에 의해 표시된다. 포인터 P-PNO(*)는 AUX-TOC 섹터 0에 의해 제어되는 각 화상 파일에 상당하는 값을 갖는다. 또한, 이 포인터는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파트를 링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곡이 제1 트랙으로서 재생된 때, 재생 중의 특정 타이밍으로 제1 화상 파일의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한 경우, 이미지 출력 기간을 규정하는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는 포인터 P-TNO1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기록되며, 특정 화상 파일이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로서 포인터 P-PNO(*)에 의해 표시된다. 제1 트랙의 재생을 시작한 후의 1분 0초의 시점으로부터 그 재생을 시작한지 1분 30초가 되는 시점까지의 기간 중에 제1 화상의 이미지를 출력 표시하고자 한 경우, 제1 트랙의 재생을 시작한 지 1분 0초에 상당하는 어드레스 포인트와, 그 재생을 시작한지 1분 30초에 상당하는 어드레스 포인트는 포인터 P-TNO1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오프셋 어드레스 내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기록된다. 그리고, 포인터 P-PNO(*)가 포인터 P-PNO1의 값을 취해 제1 화상 파일을 지정한다.
1개의 트랙의 재생 중에 차례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한 경우,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이 링크되어, 출력되어야 할 화상 파일 및 출력 기간을 제어한다.
표지 화상으로서 제공되는 화상 파일의 출력 타이밍으로서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파트 테이블 00h 내에 기록된다.
그러나, 이들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는 네가티브(negative) 오프셋 어드레스로서 기록된다.
한편, 임의의 트랙에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 내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모두 "000h"인 경우, 지정된 화상 파일의 이미지는 그 트랙의 음성을 출력하는 기간 중에 모두 표시되어 유지된다.
AUX-TOC 섹터 5에서, 포인터 P-EMPTY도 미사용 파트 테이블을 제어한다.
5-7. AUX-TOC 섹터 6
AUX-TOC 섹터 6 및 AUX-TOC 섹터 7은 텍스트 파일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 17에 나타낸 AUX-TOC 섹터 6은 텍스트 할당 테이블로서의 제어 섹터로서 제공되어, 상술한 AUX-TOC 섹터 0에서의 포인터 P-TEXT에 의해 설정된 텍스트 파일 영역 내의 텍스트 파일로서 기록되는 데이터 파일을 제어한다.
AUX-TOC 섹터 6에서, 텍스트 파일은 U-TOC 섹터 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AUX 데이터 영역이 텍스트 파일을 기록하는데 사용되었을 경우, 텍스트 데이터의 38 클러스터(× 32 클러스터 × 2324 바이트)가 기록될 수 있다. 이 텍스트 데이터는 최대 255 파일로서 AUX-TOC 섹터 6 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각 텍스트 파일의 길이는 섹터에 기초한다.
1개의 특정 텍스트 파일이 이른바 디스크 표지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또는 표지 텍스트)로서 배치될 수 있다.
텍스트 파일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포인터 P-TXT(X)로서, 포인터 P-TXT1 내지 P-TXT255가 AUX-TOC 섹터 6 내에 형성된다.
이 섹터의 포인터부에서, 포인터 P-TFRA 및 P-EMPTY도 형성된다.
이 섹터의 테이블부는 255개의 8 바이트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를 포함하며, 각 파트 테이블은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및 문자 모드 및 수퍼임포즈 비트(superimposed bit)를 기록한다.
파트 테이블 00h는 어떤 포인터에 의해서도 지정되지 않는다. 이 테이블은 표지 텍스트로서 배치되는 텍스트 파일의 어드레스 및 문자 코드를 제어하는 데만 사용된다.
포인터 P-TXT1 내지 P-TXT255는 특정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1개의 텍스트 파일을 기록하는 각 영역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포인터 P-TXT1에 의해 제정된 파트 테이블은 제1 텍스트 파일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 문자 코드, 및 수퍼임포즈 비트를 기록한다.
AUX-TOC 섹터 6은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파트 테이블이 링크되는 파일 제어 동작을 행하지는 않는다. 즉, 1개의 텍스트 파일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섹션에 걸쳐 기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섹터 내의 미사용 테이블은 원점으로서 포인터 P-EMPTY가 사용되는 링크 형태로 제어된다.
포인터 P-TFRA는 AUX-TOC 섹터 0에서의 포인터 P-TEXT에 의해 설정된 텍스트 파일 영역 내의 프리 영역 또는 텍스트 파일 기록 가능 영역을 제어한다.
프리 영역인 섹션의 어드레스는 포인터 P-TFRA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기록된다. 이 프리 영역 제어에서, 파트 테이블은 각 파트 테이블의 8번째 바이트에 의해 제공된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되고, 프리 영역으로서의 2개 또는 그 이사의 분리 섹션을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5-8. AUX-TOC 섹터 7
도 18에 나타낸 AUX-TOC 섹터 7은 텍스트 플레이백 시퀀스로서 제공된다.
이 테이블은 악곡 등의 프로그램의 재생에 동기하여 텍스트 파일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서 제공된다.
섹터 7은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를 갖는다. 이들 포인터는 U-TOC 섹터 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악곡 등의 프로그램으로서의 트랙 1 내지 255에 대응한다.
섹터 7의 파트 테이블부는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에 의해 지정되는 255개의 8 바이트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를 포함한다. 이들 포인터에 의해 지정되지 않는 1개의 8 바이트 파트 테이블 00h도 테이블부 내에 형성된다.
이 섹터의 제어 형태는 상술한 AUX-TOC 섹터 5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즉, 각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그 트랙의 선두 위치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인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특정 텍스트 파일은 포인터 P-TXT(*)로 표시된다. 포인터 P-TXT(*)는 AUX-TOC 섹터 6에 의해 제어되는 각 텍스트 파일에 상당하는 값을 갖는다. 또한, 이 포인터는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파트 테이블을 링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곡이 제1 트랙으로서 재생된 때, 재생 중인 특정 타이밍으로 제1 텍스트 파일의 문자를 출력하고자 한 경우, 문자 출력 기간을 규정하는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포인터 P-TNO1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오프셋 어드레스 형태로 기록되고, 특정 텍스트 파일이 포인터 P-TXT(*)에 의해 출력되어야 할 문자로서 표시된다. 1개의 트랙의 재생 중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문자 정보를 출력하고자 한 경우,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이 링크되어 출력되어야 할 텍스트 파일 및 출력 기간을 제어한다.
표지 텍스트로서 제공되는 텍스트 파일의 출력 타이밍으로서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파트 테이블 00h 내에 기록된다.
그러나, 이들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는 네가티브 오프셋 어드레스로서 기록된다.
한편, 임의의 트랙에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 내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모두 "000h"인 경우, 지정된 화상 파일의 이미지는 그 트랙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기간 중에 모두 표시되어 유지된다.
AUX-TOC 섹터 7에서, 포인터 P-EMPTY도 미사용 파트 테이블을 제어한다.
5-9. AUX-TOC 섹터 8
AUX-TOC 섹터 8 및 섹터 9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출력되어야 할 악곡에 동기하여 예를 들어 가사를 제공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 파일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로서, 가사 등의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문자 출력 타이밍을 미세하게 설정하기 위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가 한 쌍으로 기록된다.
이들 섹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1개의 트랙에 기록되는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2개의 섹터, 즉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로 이루어진다. 섹터 8은 주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를 제어하는 반면에, 섹터 9는 주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를 제어한다.
도 19에 나타낸 AUX-TOC 섹터 8은 가라오케 텍스트 할당 테이블로서의 제어 섹터로서 제공된다. 이 제어 섹터는 상술한 AUX-TOC 섹터 0에서의 포인터 P-KRAOK에 의해 설정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영역 내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로서 기록된 데이터 파일(가라오케 파일 데이터 섹터)을 제어한다.
AUX-TOC 섹터 8은 U-TOC 섹터 0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제어한다.
U-TOC 섹터 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최대 255 트랙이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될 수 있으므로, 이들 트랙에 대응하는 최대 255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제어될 수도 있다.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1개의 트랙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U-TOC 섹터 0에서 사용되는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가 이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변경없이 이 AUX-TOC 섹터 8에서 사용된다.
포인터 P-KFRA 및 P-EMPTY도 섹터 8 내에 형성된다.
이 섹터의 테이블부는 255개의 8 바이트 파트 테이블 01h 내지 FFh를 가지며, 각 파트 테이블은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및 문자 코드(특히, 문자 코드 및 수퍼임포즈 비트)를 기록한다.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는 특정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기록하는 각 영역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포인터 P-TXT1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제1 트랙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와 문자 모드와 수퍼임포즈 비트를 기록한다.
AUX-TOC 섹터 8은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파트 테이블을 링크하는 파일 제어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즉,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섹션에 걸쳐 기록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섹터 내의 미사용 테이블은 원점으로서 포인터 P-EMPTY가 원점으로서 사용되는 링크 형태로 제어된다(각 파트 테이블의 8번째 바이트가 링크 정보로서 제공된다).
포인터 P-KFRA는 AUX-TOC 섹터 0에서의 포인터 P-KRAOK에 의해 설정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영역 내의 프리 영역 또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기록 가능 영역을 제어한다. 프리 영역인 섹션의 어드레스가 포인터 P-KFRA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 내에 기록된다. 이 프리 영역 제어에서, 파트 테이블은 각 파트 테이블의 8번째 바이트에 의해 제공된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되고, 프리 영역으로서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분리 섹션을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5-10. AUX-TOC 섹터 9
상술한 바와 같이, AUX-TOC 섹터 8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구성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를 제어한다. 한편, AUX-TOC 섹터 9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에 기록된 문자 정보의 출력 타이밍을 미세하게 설정하기 위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한 쌍으로 기록되어야 할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를 제어한다.
상술한 AUX-TOC 섹터 8과 마찬가지로, 섹터 9는 트랙에 대응하는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에 의해 대응하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어드레스를 기록하는 각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섹터 9의 테이블부에서, 이들 포인터 각각에 대응하는 각 8 바이트 파트 테이블은 가라오케 어드레스 파일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즉,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는 특정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트랙 1 내지 255 중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내의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어드레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포인터 P-TNO1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은 제1 트랙에 대응하여 상술한 AUX-TOC 섹터 8에 의해 제어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쌍을 이루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AUX-TOC 섹터 9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파트 테이블을 링크하는 파일 제어 동작을 행하지는 않는다. 즉, 가라오케 어드레스 파일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섹션에 걸쳐 기록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섹터 내의 미사용 테이블은 포인터 P-EMPTY가 원점으로서 사용되는 링크 형태로 제어된다.
따라서, AUX-TOC 섹터 8 및 섹터 9에서, 각 트랙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구성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한 쌍으로 제어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에 기록된 문자 정보의 실제 출력 타이밍은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에 의해 설정된다. 이 설정 방법 및 출력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6. 데이터 파일
6-1. 화상 파일 섹터(picture file sector)
상기와 같이 형성된 AUX-TOC 섹터들에 의해 제어되어야 할 3종류의 AUX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1개의 정지 화상의 파일 길이, 즉 1개의 화상 파일의 사이즈는 1 클러스터 또는 2 클러스터에 상당한다.
화상 파일이 1 클러스터인 경우, 최대 37 화상 파일과 1개의 표지 화상 파일이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될 수 있다.
1개의 정지 화상은 640 × 480 도트로 이루어진다. 각 화상 파일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 Group) 포맷에 기초한다. 각 화상 파일은 AUX-TOC에 의해 제어되어, 파일 비트 스트림은 JPEG에 의해 지정된 SOI 마커로부터 파일의 EOI 마커까지이다.
섹터 형태로서, 모드 2가 이용되고, 3번째 층 ECC(Error Correction Code)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1개의 섹터의 이미지 데이터 용량은 2324 바이트이거나, 또는 1개의 클러스터의 용량은 74368 바이트이다.
상술한 화상 파일을 제공하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섹터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동기 패턴, 클러스터 어드레스, 섹터 어드레스, 및 모드 정보로 이루어진 헤더에 수반하여, 에러 정정 모드에 대한 정보(Mode), 데이터 파일 속성을 나타내는 카테고리 정보(Category), 및 데이터 파일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Index)가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 배치된다. 시스템 식별자(ID)도 화상 파일 섹터 내에 기록된다.
헤더 아래에, 데이터 DP0 내지 DP23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324 바이트의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섹터의 최후 4 바이트에, 에러 검출 코드(EDC0 내지 EDC3)가 기록된다.
6-2. 텍스트 파일 섹터
텍스트 파일로서, ASCII, 모디파이드 ISO 8859-1, 및 뮤직 시프티드 JIS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텍스트 파일로서의 섹터는 문자 및 제어 코드를 기록한다. 제어 코드는 라인 피드(line feed), 페이지 피드(page feed), 및 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텍스트 파일을 구성하는 섹터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화상 파일과 마찬가지로, 헤더, 에러 정정 모드 정보(Mode), 카테고리 정보(Category), 인덱스 정보(Index), 및 시스템 식별자(ID)가 이 순서로 배치된다. 이들 정보 다음에, 데이터 DT0 내지 DT23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324 바이트의 문자 정보가 기록된다.
이 섹터의 최후 4 바이트에, 에러 검출 코드(EDC0 내지 EDC3)가 기록된다.
6-3.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상술한 바와 같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1개의 트랙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다. 동시에, 각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가 쌍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에 기록된 가가 등의 문자 정보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내에 기록된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트랙의 노래 또는 반주에 동기한 타이밍으로 표시 출력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는 ASCII, 모디파이드 ISO8859-1, 및 뮤직 시프티드 JIS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는 스크린 상의 문자 표시 위치, 폰트, 컬러, 라인 피드, 와이프 등을 지정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 코드를 기록한다.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후술하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와 한 쌍으로 구성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화상 파일과 마찬가지로, 헤더, 에러 정정 모드 정보(Mode), 카테고리 정보(Category), 인덱스 정보(Index), 및 시스템 식별자(ID)가 이 순서로 배치된다. 이들 정보 이후에, 데이터 DK0 내지 DK23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324 바이트의 문자 정보 및 제어 코드가 기록된다.
이 섹터의 최후 4 바이트에, 에러 검출 코드(EDC0 내지 EDC3)가 기록된다.
6-4.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도 23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쌍을 이루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형태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화상 파일과 마찬가지로, 헤더, 에러 정정 모드 정보(Mode), 카테고리 정보(Category), 인덱스 정보(Index), 및 시스템 식별자(ID)가 이 순서로 배치된다. 이들 정보 이후에, 데이터 AK0 내지 AK23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324 바이트의 문자 정보(및 제어 코드)가 기록된다.
이 형태에서, 하나의 어드레스는 4 바이트(클러스터 어드레스, , 섹터 어드레스, 또는 사운드 그룹 어드레스)로 표현된다.
즉, 하나의 어드레스가 예를 들면 도 24에서의 1 라인을 형성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AK0 내지 AK3의 4 바이트로 기록된다.
그러나, AUX-TOC 내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 등의 어드레스 표기에 따라, 클러스터, 섹터, 및 사운드 그룹이 3 바이트의 단축형으로 표현되고, 나머지 1 바이트는 더미로 된다.
하나의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오프셋 어드레스 형태로 4 바이트로 표현되기 때문에,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섹터당 581 어드레스 값까지 기록할 수도 있고, 또는 트랙으로서의 대응하는 악곡 내에 581 타이밍(또는 트랙 스타트 어드레스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AUX-TOC 섹터 8 및 9에서의 각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섹터 단위의 1개의 악곡에 대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과 가라오케 어드레스 파일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7. 프로그램 동기형 데이터 파일 재생
AUX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 및 이들 데이터 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AUX-TOC 섹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각 데이터 파일은 프로그램의 재생에 동기하여 이미지 표시 및 문자 표시 등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다음은 이 데이터 파일 재생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화상 파일은 AUX-TOC 섹터 1에 의해 제어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표시를 위해 임의의 시점에서 화상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표시 모니터(24) 상에 또는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외부 부착형 모니터 디바이스 상에 화상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11)는 AUX-TOC 섹터 2 및 3에 의해 제어되는 화상명 및 기록일시를, 화상으로서의 이미지를 표시할 때에 예를 들면 표시 모니터(2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UX-TOC 섹터 5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프로그램에 동기하여 선정된 화상 파일의 표시 출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UX-TOC 섹터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임의의 트랙의 악곡의 재생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상 파일로서 이미지를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표시되는 특정 타이밍으로 출력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파일의 출력 동작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즉, 각 텍스트 파일이 AUX-TOC 섹터 6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임의의 시점에서 문자 표시를 위해 텍스트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표시 모니터 상에 또는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외부 부착형 모니터 디바이스 상에 텍스트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UX-TOC 섹터 7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프로그램의 재생에 동기하여 선정된 텍스트 파일의 표시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UX-TOC 섹터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임의의 트랙의 악곡의 재생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텍스트 파일로서의 이미지를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표시되는 특정 타이밍으로 출력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트랙으로서의 악곡의 재생에 동기하여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출력 표시하거나, 보컬 또는 가라오케 가이드로서 악곡의 연주에 동기하여 가사로서의 문자 정보를 출력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1개의 트랙에 대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각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도 25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에 기록된 문자 정보에 대한 출력 타이밍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의 (a)는 도 23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중에서 데이터 DK0 내지 DK7로서 기록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데이터 DK0 내지 DK7을 표현하는 값 59h, 6Fh, …, 77h는 ASCII 코드 내의 문자 정보로서 제공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예는 데이터 DK0 내지 DK7로서트랙의 가사의 일부를 형성하는 문자 정보 "Y", "o", "u", " ", "k", "n", "o", 및 "w"를 기록한다.
도 25의 (b)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중에서 어드레스 데이터 AK0 내지 AK7로서 기록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는 4 바이트 중 3 바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단축형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오프셋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데이터 AK0 내지 AK3으로서 기록되며, 다른 하나의 오프셋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데이터 AK4 내지 AK7로서 기록된다. 이 예에서, 도 4에 나타낸 어드레스 값 "클러스터 0032h, 섹터 04h, 사운드 그룹 0h" 및 어드레스 값 "클러스터 0032h, 섹터 13h, 사운드 그룹 9h"가 어드레스 값 "클러스터 0032h, 섹터 00h, 사운드 그룹 0h"부터 시작하는 오프셋 어드레스로서 각각 기록된다.
도 25의 (a) 및 (b)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AUX-TOC 섹터 8 및 9에 의해 한 쌍의 섹터로서 제어된다.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어드레스 데이터 AK0 내지 AK3은 가라오케 텍스트 섹터의 데이터 DK0 내지 DK3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로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어드레스 데이터 AK4 내지 AK7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데이터 DK4 내지 DK7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로서 제공된다.
도 25의 (a) 내지 (c)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및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는 4 바이트 단위로 서로 연관되어 있다. 즉,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K8 내지 DK11은 어드레스 데이터 AK8 내지 AK11에 대응하고, 데이터 DK12 내지 DK15는 어드레스 데이터 AK12 내지 AK15에 대응하며, 데이터 DK2320 내지 DK2323은 어드레스 데이터 AK2320 내지 AK2323에 대응한다.
즉,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에 기록된 문자 정보에서, 출력 타이밍으로서의 어드레스가 4 바이트 단위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내에 기록된다.
이 배치는, 시스템 컨트롤러(11)가 예를 들면, 도 25의 (a)에 나타낸 문자 "YOU"를 도 25의 (b)에 나타낸 "클러스터 0032h, 섹터 04h, 사운드 그룹 0h"의 재생 타이밍으로 출력해야 하고, 도 25의 (a)에 나타낸 문자 "KNOW"를 도 25의 (b)에 나타낸 "클러스터 0032h, 섹터 13h, 사운드 그룹 9h"의 재생 타이밍으로 출력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가사로서 제공되는 문자 정보의 출력 타이밍이 4 바이트 단위로 제어되므로, 이 출력 타이밍을 제공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악곡에 일치시켜 프리셋팅함으로써 악곡의 노래나 반주에 동기하여 가사를 형성하는 문자를 출력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이용한 표시 동작에 기초하여 가라오케를 연주할 때, 노래해야 할 가사가 적절한 타이밍으로 표시된다. 또한, 통상의 가창 연주를 들을 때, 노래의 가사가 노래에 동기하여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의 즐거움을 넓힐 수 있다.
도 25의 (c)는 어드레스 정보가 오프셋 어드레스로 표현되지 않고 절대 어드레스(단축형)로 표현된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출력 타이밍은 절대 어드레스로 지정될 수도 있다.
도 25의 (b) 및 (c)는 단축형으로 기록된 어드레스의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4 바이트 영역이 할당되므로 어드레스가 항상 단축형으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도 3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재생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재생이 지시되었을 때, 단계 S101에서 U-TOC 영역이 재생되고, 단계 S102에서 프로그램 영역 내의 각 악곡의 기록 위치 등의 데이터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103에서, AUX-TOC 영역이 재생되어, 화상 파일, 텍스트 파일, 및 가라오케 파일이 기록되는 AUX 데이터 영역에서의 기록 위치와 악곡 넘버에 대응하는 각종의 파일 넘버 정보와, 동기 재생을 위한 타이밍 정보를 작성한다. 그 결과로 작성된 테이블이 단계 S104에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105에서, 보조 데이터가 AUX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재생되고, 재생된 보조 데이터가 단계 S106에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107에서, 광학 픽업이 악곡이 기록되는 프로그램 영역으로 이동되어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단계 S108에서, 음성 데이터의 재생에 동기하여, 현재 재생된 악곡 넘버에 대응하는 이미지, 텍스트, 가사 데이터가 AUX-UTOC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악곡 넘버에 대응하는 각종의 파일 넘버 정보와 메모리 내에 저장된 동기 재생을 위한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된 타이밍으로 메모리로부터 출력된다.
선정된 타이밍으로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텍스트, 및 가사 데이터가 단계 S109에서 CRT 등의 모니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단계 S110에서, 모든 악곡이 재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8로 복귀하여, 재생되는 악곡 넘버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동기적으로 재생된다.
모든 악곡이 재생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프로그램 영역 내의 악곡의 재생 및 메모리로부터의 보조 데이터의 재생이 단계 S111에서 종료된다.
상기한 U-TOC 데이터, AUX-UTOC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상기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1개의 메모리 디바이스이거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조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저장 사이즈의 메모리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8. AUX 데이터 기록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을 위해 출력될 수 있는 AUX 데이터 파일은 악곡이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된 후(또는 그와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90)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의 경우, 사용자는 조작 패널(23), 또는 인터페이스(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이미지 스캐너를 조작하여 문자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한다.
화상 데이터로서의 이미지 데이터나 텍스트 파일로서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 사용자는 관련된 프로그램의 트랙 넘버 또는 출력 타이밍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연관성을 주기 위한 트랙 넘버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AUX 데이터 영역 내의 하나의 화상 파일 또는 하나의 텍스트 파일로서 기록될 수 있도록 디스크(90) 사의 기록 동작을 제어한다. 동시에, 시스템 컨트롤러(11)는 기록된 데이터 파일이 AUX-TOC 섹터 1 또는 섹터 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AUX-TOC를 갱신한다.
한편, 이미지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트랙 넘버를 사용자가 입력했을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화상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을 디스크(90) 상에 기록하고, AUX-TOC 섹터 1 또는 섹터 6 이외에도 플레이백 시퀀스 테이블로서 제공되는 AUX-TOC 섹터 5 또는 섹터 7을 갱신한다.
즉, 제어 상태는 기록된 데이터 파일이 특정 트랙의 재생 시에 출력 표시되어 실현된다.
사용자가 지정된 트랙에서의 출력 타이밍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지정된 트랙을 위해 사용되는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가 AUX-TOC 섹터 5 또는 섹터 7에서 각각 "000h"로 된다. 즉,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 파일로서의 이미지 또는 문자가 지정된 트랙의 재생 중에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상태가 된다.
분명하게, 사용자가 출력 타이밍 정보를 입력했을 경우, 이 입력에 따라 사용되어야 할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의 값이 AUX-TOC 섹터 5 또는 섹터 7에서 설정된다. 즉, 데이터 파일이 지정된 트랙의 재생 중의 선정된 기간에 재생 출력되는 상태가 된다.
재생 타이밍은 사용자가 지정된 트랙의 재생 음성 출력을 들으면서, 이미지 또는 문자의 출력 개시 및 종료 타이밍에서 사용자가 선정된 조작 스위치를 턴온할 수 있게 하여 입력된다.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트랙의 지정 및 출력 타이밍 설정 조작은 데이터 파일을 기록한 때에 행할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행할 수도 있다. 즉, 편집 조작 모드는 사용자가 AUX-TOC 섹터 5 또는 섹터 7에 대해서만 데이터 갱신 조작을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조작 패널(23)이나,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를 조작함으로써 문자 데이터를 임의로 입력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1개의 악곡의 가사 등의 문자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다. 문자 데이터의 입력에 수반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사용자에게 특정 트랙의 지정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랙 넘버를 입력한다.
그 후,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지정된 트랙의 재생을 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첫번째 문자부터 4 바이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되어 있는 4 바이트의 문자에 대하여, 사용자는 재생 음성을 들으면서 요구되는 출력 타이밍을 기다려, 그 타이밍이 되면, 사용자는 선정된 타이밍 지정 스위치를 누른다.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이 스위치 누름 조작의 타이밍에서 재생 위치의 어드레스를 표시되어 있는 4 바이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로서 사용한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11)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내에 기록되어야 할 어드레스의 하나로서의 어드레스를 유지한다.
입력된 문자 정보의 최후 4 바이트에 대하여 이러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내에 기록되어야 할 각 어드레스 값을 설정한다.
그 후,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입력된 문자 정보를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로서, 그리고 설정된 4 바이트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어드레스 값을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로서 AUX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한다. 동시에, 시스템 컨트롤러(11)는 AUX-TOC 섹터 8 및 섹터 9를 갱신한다.
따라서, 재생을 위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출력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노래 또는 연주와 동기하여 문자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가 실현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각 문자의 출력 타이밍을 악곡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만이 갱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화상 파일, 텍스트 파일, 및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임의로 기록할 수 있게 되고, 특정 트랙에 대응하여 출력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들 파일들은 대응하는 프로그램(또는 트랙)의 갱신없이 이들 파일 및 그의 AUX-TOC만을 갱신하여 기록될 수 있으므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출력 타이밍을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고, 그와 관련된 트랙을 AUX-TOC의 갱신만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록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기록 동작이 지시되었을 때, 단계 S201에서 U-TOC 영역이 우선 재생된다. 단계 S202에서, 프로그램 영역의 각 악곡의 기록 위치 등의 데이터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203에서, AUX-UTOC 영역은 화상 파일, 텍스트 파일, 및 가라오케 파일이 기록되는 AUX 데이터 영역 내의 기록 위치 및 악곡 넘버에 대응하는 각종의 파일 넘버 정보와, 동기 재생을 위한 타이밍 정보를 작성한다. 그 결과로 작성된 테이블이 단계 S204에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205에서, 보조 데이터가 AUX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재생된다. 재생된 보조 데이터가 단계 S206에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207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이미지 스캐너로부터 공급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 AUX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보조 데이터 상에 부가적으로 기록된다.
단계 S208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데이터를 프로그램 영역 내에 미리 기록된 악곡과 연관시키는 조작이 도 1에 나타낸 조작 패널(23)을 이용하여 행해졌는지를 판별한다.
단계 S208에서 연관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연관된 악곡 넘버가 선택된다. 단계 S209에서, 단계 S208에서 선택된 악곡 넘버에 대응하는 악곡이 재생된다. 재생되는 음성 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타이밍에서 캡쳐된 정지 화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동기적으로 재생하고자 한 경우, 사용자는 단계 S210 내지 S213에서 동기 재생의 기간을 지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계 S210에서, 재생되는 음성 신호를 들으면서, 사용자는 정지 화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의 동기 재생이 개시된 위치에서 도 1에 나타낸 조작 패널(23) 상에서 선정된 조작을 행한다.
단계 S211에서, 상기한 선정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재생되는 위치의 오프셋 어드레스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212에서, 재생되는 음성 신호를 들으면서, 사용자는 정지 화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의 동기 재생이 종료되는 위치에서 도 1에 나타낸 조작 패널(23)의 선정된 조작을 행한다.
단계 S213에서, 상기한 선정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재생되는 위치의 오프셋 어드레스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한편, 단계 S208에서 악곡 넘버만이 지정되고 동기 재생 개시 위치 및 동기 재생 종료 위치가 단계 S210 및 S212에서 각각 지정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14에서 "000h"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야 랄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215에서, 단계 S208에서 지정된 악곡 넘버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단계 S216에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 부가 기록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가 AUX 데이터 영역 상에 기록된다. 단계 S217에서, AUX 데이터 영역 내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AUX-TOC 섹터 1 또는 6에 의해 제어된다.
단계 S217에서 저장된 기록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218에서 AUX-TOC 섹터 1 또는 6이 편집되어 갱신된다.
단계 S219에서, 악곡 넘버가 지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악곡 넘버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11에서 이 기록 조작이 종료된다. 악곡 넘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AUX-TOC 섹터 5 또는 7이 편집되어 메모리 내에 저장된 악곡 넘버,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갱신된다.
9. 변형예
9-1. 변형예 A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상기한 배치에 대해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은 예를 들어 2개의 변형예 A 및 B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A는 AUX-TOC 섹터 9를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한 예에서, 각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변형예 A에서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하나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로만 구성된다.
따라서, 1 트랙은 AUX-TOC 섹터 8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에 관계되고, AUX-TOC 섹터 9는 불필요하다.
이 경우,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는 예를 들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맷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헤더, 에러 정정 모드 정보(Mode), 인덱스 정보(Index), 및 시스템 식별자(ID)가 상술한 비변형예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변형예 A에서는 1024 바이트의 문자 정보(및 제어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데이터 DK0 내지 DK1023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공된다. 나머지 1024 바이트의 영역이 어드레스 데이터 AK0 내지 AK1023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가사 등의 문자 정보 및 이 문자 정보의 출력 타이밍으로서의 어드레스 정보가 하나의 섹터 내에 기록된다.
분명하게, 이 경우, 1개의 트랙에 대하여 기록될 수 있는 가사 등의 문자 정보는 섹터당 상술한 비변형예의 절반인 1024 바이트로 된다. 그러나, AUX-TOC 섹터 8에서의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섹터 단위의 1개의 악곡에 대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도, 문자 정보의 4 바이트마다 1개의 어드레스 정보가 대응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K0 내지 DK3은 어드레스 데이터 AK0 내지 AK3에 대응하고, 데이터 DK4 내지 DK7은 어드레스 데이터 AK4 내지 AK7에 대응하며, …, 데이터 DK1020 내지 DK1023은 어드레스 데이터 AK1020 내지 AK1023에 대응한다.
이 배치는, 상술한 비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노래 또는 반주에 동기하여 가사의 표시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9-2. 변형예 B
변형예 B도 AUX-TOC 섹터 9에 의한 제어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변형예 A와 달리,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의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1개의 트랙에 대한 문자 정보는 2324 바이트이다.
변형예 B에서, 임의의 트랙에 대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는 AUX-TOC 섹터 8에 의해 지정된다. 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와 쌍을 이루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선정된 규칙에 의해 지정된다.
예를 들면, 도 28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영역 내에 설정된 클러스터를 나타낸다. 전반부의 16 섹터 S00 내지 S0F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로서 각각 사용하기 위해 지정되고, 후반부의 16 섹터 S10 내지 S1F는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 AF를 각각 사용하기 위해 지정된다.
임의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에 대한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항상 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보다 16 섹터 앞의 섹터로 된다.
즉, 제어 정보가 특히 제공되지 않은 경우,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및 가라오케 어드레스 섹터는 섹터 S00과 섹터 S10이, 섹터 S01과 섹터 S11이 서로 1:1 대응하는 관계로 된다.
또한, 이 배치는 노래 또는 반주와 동기하는 예를 들어 가사의 표시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9-3. 변형예 C
실제 가라오케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멜로디로서 뜻있는 전체를 형성하는 수개의 라인의 가사가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이른바 와이프 처리(wipe processing)가 가사 라인을 형성하는 표시 문자 상에 행해진다. 와이프 처리는 연주되는 노래에 따라 가라오케 가수를 가이드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와이프 처리는 노래 멜로디의 진행에 따라 가사 문자의 표시색을 순차적으로 바꾼다.
이제까지 설명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 구조 및 제어 배치에 따르면, 전체 가사가 예를 들어 각 프로그램(또는 악곡)에 대한 노래 또는 반주에 동기하여 적절한 타이밍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멜로디의 진행에 따라 가사 문자를 와이핑하는 등의 비교적 미세한 표시 제어는 문자 데이터 등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선정된 제어 정보의 정의를 필요로 한다.
다음은 변형예 C로서, 상기한 가사 와이핑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가라오케 가사 표시 능력을 실현하기 위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C도 AUX-TOC 섹터 9를 사용하지 않는다. 변형예 C에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로서의 문자 정보와, 실제 가라오케 가사로서의 그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정보가 선정된 규칙에 따라 각 섹터 내에 저장되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형성한다.
변형예 C에서, 상술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낸 AUX-TOC 섹터 8에서의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에 의해 각각의 트랙 1 내지 255에 관련된 하나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기록하는 영역이 특정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제어된다. 즉, 포인터 P-TNO(X)에 의해 나타내는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는 그 포인터에 대응하는 트랙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저장되는 스타트 및 엔드 섹터의 어드레스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하나의 트랙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는 섹터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이들 섹터가 AUX 데이터 영역 내에 이산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기록되어야만 한다.
도 29는 변형예 C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의 포맷을 나타낸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가 하나의 트랙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는 경우, 도 29에 나타낸 섹터는 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스타트 섹터로서 제공된다.
이 경우, 라인 0 내지 3(1 라인 = 4 바이트)의 슬롯에 의해 형성된 헤더, 라인 11의 슬롯 내의 에러 정정 모드 정보(Mode), 카테고리 정보(Category), 인덱스 정보(Index), 및 시스템 식별자(ID)의 순서로 구성되는 형태가 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는 라인 12 내지 587의 슬롯에 의해 형성된 2304 바이트 영역 내에 기록된다.
상기한 데이터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6 라인의 슬롯마다 배치되는 "블럭" 단위로 사용된다. 따라서, 각 블럭의 사이즈는 4 바이트 × 6 = 24 바이트이다. (587-11)/6 = 96으로 제공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섹터는 96 블럭 #1 내지 #96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1블럭의 바이트 데이터는 최상부 라인의 상위 바이트부터 하위 바이트까지의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4로서 배치되고, 그 다음으로 라인 2의 상위 바이트부터 하위까지의 바이트 5, 바이트 6, …, 바이트 23 및 바이트 24로서 배치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SOL(Start Of Line)은 블럭 #1의 바이트 1에 설정된다. SOL은 현재 블럭이 가라오케 가사로서 표시되는 라인의 스타트 문자를 포함하는 블럭이다. 예를 들면, SOL은 선정된 고정 비트 패턴으로 형성된다. 즉, 변형예 C는 가사 표시 라인을 형성하는 각 문자열 정보에 대하여 SOL에 의해 제어된다.
CTL, Fnt, P-X및 P-Y는 블럭 #1 내의 바이트 2 내지 바이트 5에 각각 설정된다. CTL은 가사 와이핑, 타이틀, 다른 요구 속성의 실행 또는 비실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Fnt는 가사 표시에 의해 사용되는 폰트의 종류, 사이즈 및 색상 등의 폰트 관련 표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이 Fnt는 와이핑 처리 전후에 문자 색상 및 문자 속성의 세팅 또는 후술하는 표시 문자를 변화시킨다. P-X 및 P-Y는 각각 X 좌표 및 Y 좌표를 나타내며, SOL에 제어되는 문자열 정보(또는 가사 표시 라인)의 표시 위치(예를 들면, 가사 표시 라인의 표시 개시 위치)를 나타낸다.
다음 바이트 6 내지 바이트 8은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더욱 상세하게, 가사 표시 라인의 제1 문자는 SOL이 존재하는 블럭의 바이트 6내에 저장된다. 이 예에서, 1 바이트 코드로서 대표적인 알파벳 문자에 의해 문자 a, b 및 c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가 바이트 6 내지 바이트 8 내에 저장된다.
바이트 9 내지 바이트 12에 의해 형성된 4 바이트 영역에서, Display Start Address가 설정된다. 이 어드레스에 대하여, 현재 블럭의 SOL에 의해 제어되는 가사 표시 라인이 표시되는 시각(또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에서의 어드레스)이 설정된다. Display Start Address는 상기한 절대 어드레스 및 오프셋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Wipe Start 및 Wipe End는 바이트 13과 바이트 14에 의해 형성된 2 바이트 영역, 및 바이트 15와 바이트 16에 의해 형성된 2 바이트 영역에 각각 설정된다. Wipe Start는 상기한 Display Start Address에 대한 오프셋 값에 의해 와이프 개시 시각(또는 어드레스)을 표시한다. Wipe End는 상기한 Display Start Address에 대한 오프셋 값에 의해 와이프 종료 시각(또는 어드레스)을 표시한다.
Display End는 바이트 18 및 바이트 18에 의해 형성된 2 바이트 영역에 설정된다. Display End는 Display Start Address에 대한 오프셋 값에 의해, 현재 라인의 SOL에 의해 제어되는 가사 표시 라인의 표시가 종료(또는 소거)되는 시각(또는 어드레스)을 표시한다.
현재 블럭 내에 저장된 각 문자 정보(또는 텍스트 데이터)의 와이프 제어와 관련된 정보가 바이트 19 내지 바이트 24 내에 저장된다. 와이프 제어와 관련된 정보로서, WL* 및 PL*이 설정된다. WL*로서는, 가사로서 표시되는 문자*를 와이핑하는데 필요한 시간 기간에 상당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PL*로서는 문자*의 와이핑의 종료로부터 와이핑되어야 할 다음 문자의 와이핑의 개시까지의 시간 기간이 저장된다.
그러므로, WLa 및 PLa가 바이트 6 내에 저장된 문자 "a"에 대한 와이프 제어 정보로서 도 29에 나타낸 블럭 #1의 바이트 19 및 바이트 20에 각각 설정된다. 이어서, 바이트 7 내에 저장된 문자 "b"에 대한 와이프 제어 정보 WLb 및 PLb가 바이트 21 및 바이트 22에 각각 설정된다. 또한, 바이트 8 내에 저장된 문자 "c"에 대한 와이프 제어 정보 WLc 및 PLc가 바이트 23 및 바이트 24에 각각 설정된다.
따라서, SOL이 바이트 1에 위치하는 블럭은 가라오케 가사 표시 라인의 선두 문자를 포함하는 블럭이다. 이 SOL을 포함하는 블럭은 CTL, Fnt, P-X, P-Y, Display Start Address, Wipe Start, Wipe End, 및 Display End 등의 가사 표시 라인과 관련된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영역(이하, 헤더 블럭이라 함)으로서도 기능한다. 그러므로, 이들 표시 제어 정보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 내의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 할당되어야 하므로, 3개의 문자의 텍스트 데이터 및 와이프 제어 정보만이 SOL을 갖는 블럭 내에 저장된다.
이 경우, 블럭 #1에 수반하여, 블럭 #2는 블럭 #1로서의 동일 가사 표시 라인의 문자 정보 및 이 문자 정보와 관련된 와이프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블럭을 포함하는 SOL에서와 같이 동일의 가사 표시 라인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가 저장되는, SOL을 갖는 블럭에 수반하는 블럭에 있어서, 데이터 블럭을 형성하는 24 바이트 중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8이 가사 문자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할당된다. 나머지 바이트 9 내지 바이트 24는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8 내에 저장된 문자(또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와이프 제어 정보 WL* 및 PL*이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도 29에 나타낸 블럭 #2에 대하여, 7 문자의 텍스트 문자, 즉 d, e, f, g, h, i, 및 j가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7 내에 저장된다. 이 경우, 문자 "j"가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의 끝이 되므로, 텍스트 데이터가 바이트 8에 기어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 all "0s"가 설정되어 텍스트 데이터가 그 바이트에 저장되지 않는 것을 표시한다.
블럭 #2의 바이트 8 내지 바이트 22 내에, 문자 d, e, f, g, h, i, 및 j에 대한 와이프 제어 정보 (WLd 및 PLd) 내지 (WLj 및 PLj)가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이 경우, all "0s"가 바이트 8에 설정되므로 바이트 23 및 바이트 24 양쪽에 all "0s"가 설정된다.
이 경우, 블럭 #1 및 블럭 #2가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즉 10문자 "a" 내지 "j")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록됨과 동시에, 가사 표시 타이밍 및 위치 등의 표시 제어 정보 및 이 가사 표시 라인을 형성하는 각 문자의 와이프 타이밍을 기록한다.
도 29는 상기한 블럭 #1 및 블럭 #2 내에 저장된 가사 표시 라인으로부터 계속되는 가사 표시 라인에 대한 데이터가 블럭 #3부터 저장되는 상태 예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문자 k, l, 및 m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와 이에 부수하는 와이프 제어 정보가 블럭 #3 내에 저장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사 표시 라인의 실제 표시 형태에 부수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가 저장된다. 최후의 블럭 #96은 진행되는 블럭으로부터 계속되는 가사 표시 라인을 형성하는 문자 x, y, 및 z에 대한 문자정보 및,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3 및 바이트 8 내지 바이트 13 내에 와이프 제어 정보 (WLx 및 PLx) 내지 (WLz 및 PLz)를 각각 저장한다.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1개의 악곡(또는 1개의 트랙)이 1개의 섹터 내에 저장될 수 없는 경우, 초과 부분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연속하는 섹터 내에 저장될 수 있다. 1개의 악곡(또는 1개의 트랙)을 저장하기 위한 연속되는 섹터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섹터 수는 1개의 트랙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충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 따르면, 각 가사 표시 라인의 문자수가 예를 들어 3개 이내이면,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데이터는 SOL을 갖는 블럭만으로 완결되고, 이에 수반되는 블럭은 다음의 가사 표시 라인에 대응하는 SOL이 설정된다.
한편, 1개의 문자 표시 라인을 형성하는 문자수가 11개를 초과하면, SOL을 갖는 블럭에 수반하여 블럭 #2로서 설명된 형태를 갖는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을 형성하는 문자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수로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1)는 헤더 블럭의 바이트 1에 설정된 SOL에 의해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에 대응하는 각 블럭 사이의 구획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SOL에 의해 식별된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에 대응하는 헤더 블럭과 이에 수반하는 데이터 블럭(데이터 블럭은 가사 표시 라인당 문자의 수에 따라 수반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각 가사 표시 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이 표시 문자 라인과 그의 각 문자에 설정된 표시 제어 정보 및 와이프 제어 정보에 따라 가라오케 가사의 표시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0의 (a) 내지 도 30의 (d)를 참조하여 도 29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에 의해 실현되는 가라오케 가사 표시의 예를 설명한다. 도 30의 (a) 내지 (d)에 나타낸 표시 처리는 예를 들어 외부에 부착된 모니터 디바이스 등의 비교적 큰 스크린을 갖는 표시 디바이스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에 대응하는 트랙의 악곡(즉, 가라오케)을 재생하는 동안, 시스템 컨트롤러(11)는 도 29에 나타낸 블럭 #1 및 블럭 #2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3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모니터(24; 또는 외부 부착형 모니터 디바이스)의 선정된 위치에 한 라인의 텍스트 데이터 문자 "a, b, c, d, e, f, g, h, i, 및 j"의 가사를 표시한다. 이 때, 이 가사 표시 라인을 표시하는 개시 타이밍이 블럭 #1의 Display StartAddress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표시 스크린 상의 표시 위치는 블럭 #1의 P-X 및 P-Y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 후, 시스템 컨트롤러(11)는 Wipe Start 정보와, 한 라인의 가사를 형성하는 텍스트 데이터 문자 "a, b, c, d, e, f, g, h, i, 및 j"에 설정된 와이프 제어 정보에 따라 각 표시 문자에 대한 와이프 표시의 타이밍 제어를 행한다.
이는 이들 텍스트 데이터 문자가 도 3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곡의 진전에 동기하여 "a"부터 순차적으로 와이핑될 수 있게 한다. 각 와이핑된 문자는 예를 들어 할로우(hollow) 문자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실제 와이프 처리에서, 와이핑된 문자는 예를 들어 변화된 색상 등의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0의 (b)는 예를 들면 상기 텍스트 데이터 "a, b, c, d, e, f, g, h, i, 및 j"에 기초하는 가사 라인에 수반하여, 텍스트 데이터 "k, l, m, n, 및 o"에 기초하는 가사 라인이 표시되도록, 도 29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내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로서, 문자 "e"가 와이핑되는 타이밍으로 텍스트 데이터 "a, b, c, d, e, f, g, h, i, 및 j"에 기초하는 가사 라인 아래에 텍스트 데이터 "k, l, m, n 및 o"에 기초하는 가사 라인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텍스트 데이터 "k, l, m, n, o"에 기초하는 가사 라인에 대응하는 Display Start Address, P-X 및 P-Y에 따라 표시를 개시한 결과를 초래한다.
다음에, 예를 들면 도 3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사 라인 "a, b, c, d, e, f, g, h, i, 및 j"가 와이핑되고, 그에 수반하는 가사 라인 "k, l, m, n, 및 o"의 와이핑이 개시되는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가사 라인 "a, b, c, d, e, f, g, h, i, 및 j"에 대한 와이핑의 종료 시간은 블럭 #1 내의 Wipe End에 대응하며, 가사 라인 "k, l, m, n, 및 o"에 대한 와이핑 개시 시간은 블럭 #3 내의 Wipe Start에 의해 결정된다.
도 30의 (c)에 나타낸 상태 다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0의 (d)에서, 가사 라인 "a, b, c, d, e, f, g, h, i, 및, j"에 대한 와이핑이 종료되어, 가사 라인 "k, l, m, n, 및 o" 내에 포함되는 문자 "n"까지 와이핑이 행해진다. 가사 라인 "a, b, c, d, e, f, g, h, i, 및 j"에 대한 표시는 블럭 #1 내에 저장된 Display End의 정보에 기초하여 종료된다.
도 30의 (a) 내지 (d)에 나타낸 표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면, 가사 데이터 "a, b, c, d, e, f, g, h, i, 및 j" 및 가사 데이터 "k, l, m, n, 및 o"에 대한 Display Start Address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들 가사 라인의 동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이들 가사 라인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P-X 및 P-Y에 서로 상이한 선정된 표시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이들 라인이 요구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가 지정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해진 경우, 가사 라인은 통사의 가라오케 가사 표시 배치에 일반적으로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즉, 어떤 타이밍으로 어떤 문자(라인)수를 포함하는 가사 텍스트가 미리 표시되어 있는 경우, 표시된 가사의 문자는 악곡의 멜로디 진해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와이핑될 수 있다.
한편, 변형예 C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의 선정된 위치에, 한자 또는 유럽 문자 등의 2 바이트 코드 텍스트 데이터가 가사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 3 바이트 영역, 즉 바이트 6 내지 바이트 8이 할당되어, 예를 들어 SOL이 설정되는 블럭(도 29의 경우에는 블럭 #1) 내에 이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2 바이트 텍스트 데이터의 1개의 문자가 바이트 6 및 바이트 7에서 기록된 경우, 바이트 8이 사용되지 않고 남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2 바이트 코드 텍스트 데이터의 상위 1 바이트가 바이트 8 내에 저장되고, 하위 2 바이트는 다음의 블럭(도 29의 경우에는 블럭 #2)의 바이트 1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2 바이트 코드 텍스트 데이터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섹터 내에 저장된 경우, 2쌍의 "WL*과 PL*"이 도 29에 나타낸 형태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의 1개의 문자에 대해 할당된다. 따라서, 따라서, 예를 들면 이들 2쌍의 "WL*과 PL*"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멜로디의 진행에 따라 표시된 문자의 좌측 절반이 먼저 와이핑되고, 이어서 우측 절반이 와이핑되는 표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재생 시스템이 예를 들어 가사 와이프 표시 능력을 갖지 않은 경우, 변형예 C는 적어도 상술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배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악곡의 진행에 동기하여 가사 텍스트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9에 나타낸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내용 중, 적어도 문자 정보(또는 텍스트 데이터) 및 Display Start Address 정보만이 판독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텍스트 데이터 및 Display Start Address가 SOL로 식별되는 블럭에 기초하는 각 데이터 영역에 대해 판독되어, 판독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가사 라인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후, 작성된 가사 라인이 Display Start Address에 기초하는 타이밍으로 표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된 가사 라인의 표시는 다음의 Display Start Address에 기초하여 가사 라인이 표시되는 타이밍으로 종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예 C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로서 저장되어야 하는 가사에 대한 문자 정보 및 이 문자 정보에 대한 각종의 제어 정보를 지정한다. 이 배치는, 비교적 간단한 제어 배치를 통해 문자 정보와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관련시키면서, 가사의 와이프 표시를 포함하는 실제 가라오케 가사 표시 방법에 거의 적합한 표시 형태를 실현한다. 또한, 변형예 C는 1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로서의 섹터수를 한정하지 않고, 1개의 악곡의 가사 문자수가 평균을 초과한 경우에, 충분한 섹터수를 링크함으로써 모든 문자가 조절될 수 있다.
9-4. 변형예 D
다음은 변형예 D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C와 마찬가지로, 변형예 D도 표시된 문자의 와이프 처리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배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변형예 D는 AUX-TOC 섹터 9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변형예 D는 특정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는 트랙 1 내지 255 각각에 대응하는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기록하는 영역을 제어한다. 그러나, 변형예 D는 1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선정된 수의 연속하는 섹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지정한다. 다음은 1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1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연속하는 3개의 섹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AUX-TOC 섹터 8에서의 포인터 P-TNOn에 의해 지정되는 AUX 데이터 내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매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AUX-TOC 섹터 8의 포인터 P-TNOn에 의해 지정되는 트랙 n에 대응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AUX 데이터 영역 내에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3개의 섹터(#n, #n+1, #n+2)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섹터 #n은 AUX-TOC 섹터 8의 포인터 P-TNO(n)에 의해 표시되는 파트 테이블의 스타트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되고, 섹터 #n+2는 그 파트 테이블의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1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3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위에서 아래로 제1 섹터, 제2 섹터, 및 제3 섹터라 칭한다.
도 32, 33 및 34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제1 섹터, 제2 섹터 및 제3 섹터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낸 제1 섹터에서, 헤더의 다음에는 라인 11부터 포인터부가 이어진다. 포인터부는 포인터 P-FRA 및 포인터 P-KRL1 내지 P-KRL255를 이 순서로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은 최초 라인 78에서의 슬롯에서 최후 라인 587에서의 슬롯까지이다. 변형예 C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영역은 6 라인의 슬롯(24 바이트)으로 이루어진 블럭 단위로 형성된다. 이 경우, 85 블럭은 (587-77)/6 = 85로 주어진 바와 같이 각 섹터에 대해 제공된다.
도 33 및 도 34에 각각 나타낸 제2 섹터 및 제3 섹터에서, 포인터부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는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내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섹터의 포인터 P-KRL1 내지 P-KRL255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기 때문이다.
각 제2 섹터 및 제3 섹터에서, 라인 78 내지 587은 데이터 영역에 슬롯으로서 할당되므로, 85 블럭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영역이 각 섹터 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에 의해 형성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로서, 합계 85 × 3 = 255로 이루어진 데이터 영역이 존재한다. 즉,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의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 255 블럭이 블럭 #1 내지 #85(제1 섹터), 블럭 #86 내지 #170(제2 섹터), 및 블럭 #171 내지 #255(제3 섹터) 내에 설정된다. 이는 최대 255라인의 가사가 후술하는 변형예 D의 데이터 영역 포맷에 따라 1개의 트랙에 대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5의 (a) 내지 (c)는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내의 포인터 P-KRL(n)과 슬롯간의 관계를 제공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인터 P-KRL(n)은 1개의 트랙 내의 가사 라인이 n번째 라인(255 라인까지)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인터 P-KRL(n)의 값은 P-KRL1 내지 P-KRL255 중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각 포인터 P-KRL(n)의 영역 내에 실제로 기록되어야 할 값, 즉 포인터 P-KRL(n)에 의해 지정된 값은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내에 포함되는 최대 블럭수 255에 대응하여 1 내지 255까지이다. 포인터 P-KRL(n)에 의해 지정되는 값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K≤85, 86≤L≤170, 171≤M≤255
포인터 P-KRL(n)의 지정값으로서 값 K가 취해진 경우, 지정된 값에 대응하는 슬롯은 도 3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섹터 내에 지정된다. 예를 들면 K=1인 경우, 제1 섹터 내의 라인 78에서의 슬롯이 지정된다. 이는 블럭 #1 내의 선두 슬롯을 지정한다. K=2인 경우, 제1 섹터 내의 라인 84에서의 슬롯(블럭 #2 내의 선두 슬롯)이 지정된다.
즉, 포인터 P-KRL(n)으로서 값 K가 지정되면, 제1 섹터 내의 라인 72+6K에서의 슬롯이 지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섹터 내의 최후의 블럭 #85가 지정되면, 라인 72+6×85= 라인 582에서의 슬롯이 값 K=85로부터 지정된다.
포인터 P-KRL(n)의 지정값으로서 값 L이 취해진 경우, 도 3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섹터 내의 슬롯이 지정된다. 즉, 제2 섹터 내의 라인 6L-438에서의 슬롯에 의해 표시되는 라인이 지정된다.
예를 들면, L=86인 경우, 6×86-438=78이고, 제2 섹터 내의 라인 78에서의 슬롯(블럭 #86의 선두 슬롯)이 지정된다. L=2인 경우, 6×87-438=87이고, 제2 섹터 내의 라인 87에서의 슬롯(블럭 #87 내의 선두 슬롯)이 지정된다. L=170인 경우, 6×170-438=582이고, 제2 섹터의 최후의 블럭 #170의 선두 슬롯이 지정된다.
포인터 P-KRL(n)의 지정값으로서 값 M이 취해진 경우, 도 3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섹터 내의 라인 6M-948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이 지정된다.
예를 들면, M=171인 경우, 6×171-948=78이고, 제3 섹터 내의 라인 78에서의 슬롯(블럭 #171의 선두 슬롯)이 지정된다. M=172인 경우, 6×172-948=87이고, 제3 섹터 내의 라인 87에서의 슬롯(블럭 #172 내의 선두 슬롯)이 지정된다. M=255인 경우, 제3 섹터의 최후의 블럭 #255의 선두 슬롯인 라인 582에서의 슬롯(6×255-948=582)이 지정된다.
즉, 포인터 P-KRL(n)의 지정값은 결과적으로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내에 저장된 블럭 넘버 #1 내지 #255에 대응하여 블럭을 지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포인터 P-KRL(n)에 의해 지정된 블럭은 1개의 트랙 내의 "n"번째의 가사 라인을 형성하는 블럭 중 제1 블럭이고, 후술하는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의 포맷에 따르는 경우에 항상 바이트 1에 SOL이 설정되어 있는 헤더 블럭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11)는 제1 섹터의 포인터 P-KRL(n)을 판독하고, 도 35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인터 P-KRL(n)의 값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 포인터에 의해 지정된 원하는 슬롯 위치를 식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2"(십진 표기)가 포인터 P-KRL2로서 기록된 경우, 제1 섹터의 라인 84에서의 슬롯은 72+6K=72+6×2+84로 주어지도록 지정된다. 이는 어떤 트랙 내의 제2 가사 라인으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블럭이 제1 섹터의 라인 84에서의 슬롯(블럭 #2)으로부터 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블럭 #2는 바이트 1에 SOL이 기록된 헤더 블럭이다.
도 36은 가라오케 가사의 한 라인에 대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가사 라인이 트랙 내에 우선 저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도 36은 제1 섹터의 포인터 P-KRL1의 "1"(십진 표기)에 의해 지정된 제1 섹터의 라인 78에서의 슬롯으로부터 시작하는 한 라인의 가사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6에서, 도 29에 나타낸 변형예 C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D에서, 가사로서의 문자 정보가 각 블럭의 바이트 8 내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대신에, 다음의 블럭 위치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가 저장된다. 이 경우, 링크 정보 LinkP로서 도 35를 참조하여 상술한 포인터 P-KRL(n)의 지정값과 동일한 정의에 따라 1 내지 255(십진 표기)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된다. LinkP=0인 경우, 현재 블럭 다음에 다른 블럭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즉, LinkP=0이 설정된 블럭은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데이터의 1개의 가사 라인을 형성하는 1개의 블럭보다 많은 최후 블럭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SOLD;바이트 1에 설정되어 있는 블럭 #1에서, 가사를 형성하는 문자 "a" 및 "b"의 텍스트 데이터가 바이트 6 및 바이트 7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이는 이 트랙에 대한 제1 가사 라인이 문자 "a" 및 "b"부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트 8 내에 저장된 링크 정보는 LinkP=4(=K)를 나타낸다. 이는 블럭 #1 후에 제1 섹터의 라인 96(=72+6×4)에서의 슬롯을 제1 슬롯으로 하는 블럭 #4를 논리적으로 링크시킨다.
블럭 #1의 것으로서 동일한 가사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블럭이 블럭 #2인 경우, LinkP=2가 링크 정보로서 설정된다. 도 29에 나타낸 변형예 C와 마찬가지로, CTL, Fnt, P-X, P-Y, Display Start Address, Wipe Start, 및 Wipe End가 블럭 #1 내의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 설정된다. 이 경우의 블럭 #1에서, 문자 "a" 및 "b"에 관련된 와이프 제어 정보 WLa, PLa, WLb, 및 PLb가 바이트 19 이후에 설정된다. 이 경우의 바이트 23 및 바이트 24는 정의되지 않는다. 이는 바이트 8 내에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된 것이 없기 때문에, 바이트 23 및 바이트 24에 설정되는 와이프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한 블럭 #1 후에 링크되는 블럭 #3에서, 텍스트 데이터 문자 "c", "d", "e", "f", "g", "h", 및 "i"가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7 내에 저장된다. 바이트 8에서의 링크 정보는 LinkP=0이고, 블럭 #3에 이어서 다른 블럭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이 1개의 가사 라인을 형성하는 텍스트 파일 데이터는 2개의 블럭 #1 및 #3에 의해 형성된다. 한 라인의 가사는 9개의 텍스트 데이터 문자 "a", "b", "c", "d", "e", "f", "g", "h", 및 "i"에 의해 형성된다.
블럭 #3에서, 예를 들어 바이트 1 내지 바이트 6 내에 텍스트 데이터 문자 "c", "d", "e", "f", "g", 및 "h"를 저장함으로써 한 라인의 가사가 완결된 경우,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바이트 7에 all "0s"가 설정된다.
도 36에 나타낸 블럭 #3에서, 텍스트 데이터 문자 c, d, e, f, g, h, 및, i에 관련된 와이프 제어 정보 WLc, PLc 내지 WLi, 및 PLi가 바이트 9 내지 바이트 22 내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이 경우에도, 링크 정보가 블럭 #3의 바이트 8에 설정되기 때문에, 바이트 23 및 바이트 24는 정의되지 않는다.
변형예 D에서, 제1 섹터 내의 포인터 P-FRA는 예를 들어 프리 영역으로서의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내의 블럭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포인터 FRA에 설정되는 값은 실제 제어 배치에 기초하여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인터 P-KRL(n)의 지정값과 동일한 정의에 따른 1 내지 255(십진 표기) 중 하나이다.
예를 들면, 포인터 P-FRA에 의한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에서의 미사용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미사용 영역의 개시 블럭인 어떤 블럭(#n)이 포인터 P-FRA에 의해 지정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그 블럭의 선두 라인의 슬롯이 지정된다). 이 블럭(#n)에 이어서 미사용 영역으로서의 블럭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면 블럭(#n)의 바이트 8에서의 링크 정보의 영역에, 블럭(#n)에 이어서 미사용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선두 라인에서의 슬롯을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현재 블럭에 이어서 미사용 영역으로서의 다른 블럭이 없는 경우, 바이트 8에서의 링크 정보로서 예를 들면 all "0s"가 기록된다.
변형예 C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 배치는 일반적인 가라오케 가사 표시 배치에 거의 따르는 표시 동작을 실현한다. 즉,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가라오케 가사 표시 능력이 제공된다.
이 경우, 1개의 가사 표시 라인으로서의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이 링크 정보에 의해 블럭을 링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1개의 트랙에 대한 제1 섹터 내지 제4 섹터의 영역 내에서, 가사 문자 정보에 대한 각종의 표시 제어 정보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문자 정보의 수정 및 변경에 대해서도 상응하는 자유도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가사 표시 라인을 형성하는 문자를 추가하는 등의 수정을 행함에 있어서, 그 가사 표시 라인을 위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블럭수가 증가하는 경우, 제1 섹터 내지 제3 섹터 내의 프리 영역 블럭 또는 미사용의 블럭 중에서 특정 블럭이 선택되고, 선택된 블럭을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는 블럭에 추가하면 된다. 이 때, 새롭게 추가되는 블럭의 링크 관계는 이전의 블럭의 링크 정보에 의해 표시된다.
가사 표시 라인을 위한 가라오케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수가 할당된 경우, 가사 문자를 추가하여 수정된 데이터가 상기한 블럭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섹터 내의 포인터 P-FRA의 값 및 프리 영역으로서의 블럭 내의 링크 정보가 필요에 따라 재기록된다.
가라오케 시스템의 응용예로서 변형예 C 및 변형예 D를 설명했지만, 실제 응용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영역 내에 메인 데이터로서 외국어 회화 학습용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변형예 C 및 변형예 D에 기초하여 작성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즉, 메인 데이터로서 외국어의 예문이 발음에 동기하여, 예를 들면 그 예문 또는 응답문을 형성하는 문자가 표시되고, 발음의 가이드로서 와이프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적어도 변형예 C 및 변형예 D에서는, 표시 문자에 대하여 선정된 표시 제어 정보에 의해 표시 형태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면, 가라오케만의 응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시 제어 정보는 변형예 C 및 변형예 D에서 정의된 것과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문자열이나 각 문자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광자기 디스크가 디스크(90)로서 사용된다. AUX 데이터 및 AUX-TOC의 구조 및 출력 동작이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 전용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분명할 것이다.
분명하게는, 상기의 경우, 디스크 제조자(또는 디스크 소프트웨어 메이커)는 AUX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문자 정보의 출력 타이밍이 프로그램 내의 어드레스(절대 어드레스 또는 오프셋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되지만, 이 어드레스 지정 대신에, 예를 들어 악곡 재생 개시로부터의 시간값이 기록되어 출력 타이밍을 지정할 수 있음은 당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이지만, 본 발명이 각종의 다른 기록 및/또는 재생 시스템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매체는 메인 데이터로서의 프로그램과, 보조 데이터로서의 예를 들면 문자 및 이미지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한다. 보조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특정 영역 내에 기록된다. 데이터 파일은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보조 데이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보조 데이터 제어 정보를 적절하게 지정함으로써, 어떤 데이터 파일이 특정 프로그램에서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하여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신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보조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이 프로그램 영역과는 다른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고 보조 데이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은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기록, 갱신, 및 편집될 수 있다. 이 신규의 구성은, 예를 들어 문자 또는 화상 등의 데이터 파일을 보조 데이터로서 기록하거나 또는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동시에 기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빠른 기록 및 갱신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데이터가 프로그램과는 별개로 보조 데이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보조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프로그램의 재생 동작 상태나 제어 상태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기록, 재생, 편집, 관리 상태를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은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보조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이 보조 데이터 제어 정보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 내에 출력 타이밍에 동기하여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노래 가사의 정보로서의 데이터 파일이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표시될 수 있어, 악곡 연주로서의 노래 내용의 표시 및 가라오케 가이딩으로서의 표시와 같은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 파일이 연대하여 재생됨으로써, 다양한 재생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과 동기하여 출력 동작을 행함에 있어서, 데이터 파일의 출력은 메인 데이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어 출력 타이밍의 수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표시되어야 할 문자의 표시 타이밍을 악곡 또는 프로그램에 일치시키는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신규의 구성은 기능 확장성이 높고 조작이 용이한 기록 및/또는 재생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표시되어야 할 데이터 파일로서의 각 문자나 문자열에 대한 필요한 표시 제어 정보가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파일로서의 문자 정보에 대하여 기록되기 때문에, 메인 데이터 재생에 동기하여 문자 정보를 표시 또는 소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된 문자에 다양한 표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를 들면 가라오케 시스템에 적용했을 경우, 메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라오케 노래로서의 음성을 재생하고 있을 때, 보조 데이터로서의 가라오케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필요한 타이밍으로 필요한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문자열을 형성하는 문자에 대하여 와이핑이라고 알려진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제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가라오케 노래 가이드로서 제공되는 노래 가사 표시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상업적인 레벨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표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특정 용어들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러한 설명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7)

  1.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와,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 상기 제2 제어 영역,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및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제어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상기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재생된 상기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 매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은 정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은 텍스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는 가라오케 데이터이고,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가라오케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될 가사(lylics text)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은 메인 프로그램 넘버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스타트 어드레스(start address) 및 엔드 어드레스(end address)를 내부에서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상응하게 동기 재생될 상기 보조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상응하게 동기 재생될 상기 보조 데이터의 보조 프로그램 넘버를 내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표시 수단 상의 텍스트 데이터의 표시 위치, 폰트, 폰트 컬러 및 와이프 타이밍(wipe timing)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그 내부에서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7.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와,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상에 상기 메인 데이터에 어느 정도 관련된 상기 보조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상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관련시키기 위한 동작 수단; 및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프로그램의 상기 기록 위치 및 상기 동작 수단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제어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 및 동기 재생에서 이용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은 정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기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은 텍스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기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는 가라오케 데이터이고,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가라오케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될 가사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기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은 적어도 메인 프로그램 넘버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를 내부에서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상응하게 동기 재생될 상기 보조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상응하게 동기 재생될 상기 보조 데이터의 보조 프로그램 넘버를 내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기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될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표시 위치, 폰트, 폰트 컬러 및 와이프 타이밍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그 내부에서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기록 장치.
  13.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인 데이터 영역;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영역;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영역; 및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의 적어도 기록 위치와, 타이밍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과 동기하여 상기 보조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은 적어도 메인 프로그램 넘버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내의 상기 메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를 내부에서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상응하게 동기 재생될 상기 보조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 넘버에 상응하게 동기 재생될 상기 보조 데이터의 보조 프로그램 넘버를 내부에서 제어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은 정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프로그램은 텍스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영역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표시 위치, 폰트, 폰트 컬러 및 와이프 타이밍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그 내부에서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19980043908A 1997-10-21 1998-10-20 재생장치,기록장치,및기록매체 KR100590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88731 1997-10-21
JP28873197 1997-10-21
JP34015997 1997-12-10
JP97-340159 1997-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31A true KR19990037231A (ko) 1999-05-25
KR100590143B1 KR100590143B1 (ko) 2006-08-30

Family

ID=2655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908A KR100590143B1 (ko) 1997-10-21 1998-10-20 재생장치,기록장치,및기록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88990B1 (ko)
EP (1) EP0911830A3 (ko)
KR (1) KR100590143B1 (ko)
CN (2) CN1299269C (ko)
AU (1) AU742697B2 (ko)
BR (1) BR9803930A (ko)
CA (1) CA2250678C (ko)
HU (1) HUP9802440A3 (ko)
PL (1) PL329303A1 (ko)
SG (1) SG85607A1 (ko)
TW (1) TW392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980A (ja) * 1998-03-09 1999-09-24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0123549A (ja) 1998-10-13 2000-04-28 Sony Corp 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3551045B2 (ja) * 1998-11-02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4288751B2 (ja) 1999-05-25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データ処理装置
JP3826632B2 (ja) * 1999-09-24 2006-09-2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WO2001029798A1 (fr) * 1999-10-21 2001-04-26 Yoichi Tanaka Systeme de traitement audio/video et support enregistre exploitable par ordinateur sur lequel est enregistre le programme de mise en oeuvre dudit systeme
KR100407494B1 (ko) 1999-10-29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트림 사양정보의 기록 및 이의 제공방법
US6563770B1 (en) * 1999-12-17 2003-05-13 Juliette Kokhab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data
FR2814027B1 (fr) * 2000-09-14 2003-01-31 Cit Alcatel Procede de synchronisation d'un fichier multimedia
JP2002216436A (ja) 2001-01-15 2002-08-0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20173968A1 (en) * 2001-05-17 2002-11-21 Parry Travis J. Encoded audio files having embedded printable lyrics
JP4197585B2 (ja) * 2001-06-14 2008-12-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再生プログラムの修正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KR100563680B1 (ko) * 2001-11-27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가사 데이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20030043299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TWI244078B (en) * 2002-03-29 2005-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k and method of recording data to the same
KR100503066B1 (ko) * 2002-09-14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 저장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US7580614B2 (en) * 2002-12-09 2009-08-25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having expansion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WO2004090885A1 (en) * 2003-04-09 2004-10-2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50012328A (ko) 2003-07-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프레젠테이션 그래픽 데이터 관리 및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WO2005010882A1 (en) * 2003-07-24 2005-02-03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20050035678A (ko) * 2003-10-14 2005-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의 부가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광디스크
KR20050036277A (ko) * 2003-10-15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네비게이션 정보 관리방법
KR100619053B1 (ko) * 2003-11-10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타이틀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및 그 처리장치
KR20050078907A (ko)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서브타이틀 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
KR100739680B1 (ko) * 2004-02-2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 서브타이틀을 기록한저장 매체, 재생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KR100716973B1 (ko) * 2004-02-21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Av 데이터에 동기된 텍스트 서브 타이틀 데이터를기록한 정보저장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US7529467B2 (en) * 2004-02-28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medium recording text-based subtitle stream,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for reproducing text-based subtitle stream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KR100727921B1 (ko) * 2004-02-2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기반의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기록한 저장 매체,재생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DK1728252T3 (da) 2004-03-18 2010-03-22 Lg Electronics Inc Optagemedium samt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at reproducere en undertekststrøm optaget på optagemediet
CN101123110B (zh) * 2004-03-26 2012-11-07 Lg电子株式会社 用于再现/记录文本字幕流的再现/记录方法和设备
JP4218590B2 (ja) * 2004-05-26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961372A (zh) * 2004-06-03 2007-05-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数据载体上对数据分区的方法
EP1640989B1 (en) * 2004-09-22 2016-04-27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 apparatus and music-related data display method
JP2007257755A (ja) * 2006-03-24 2007-10-04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7257754A (ja) * 2006-03-24 2007-10-04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US20090285430A1 (en) * 2008-05-15 2009-11-19 Steven Rifkind Article with sound emitter
JP5104709B2 (ja) * 2008-10-10 2012-12-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0140533A (ja) * 2008-12-10 2010-06-24 Fujitsu Ten Ltd コンテンツ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5330B2 (ja) * 1990-07-06 1999-10-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3049919B2 (ja) * 1992-01-31 2000-06-0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
JP3324158B2 (ja) * 1992-10-09 2002-09-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062784B2 (ja) * 1992-10-20 2000-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
US5621538A (en) * 1993-01-07 1997-04-15 Sirius Publishing, Inc. Method for synchronizing computerized audio output with visual output
JPH0784587A (ja) * 1993-09-13 1995-03-31 Pioneer Electron Corp 表示制御装置
JPH07161138A (ja) * 1993-12-07 199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システムと記録装置と再生装置
JPH07334978A (ja) * 1994-06-03 1995-12-22 Yamaha Corp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H0845246A (ja) * 1994-07-29 1996-02-16 Sony Corp 記録媒体、再生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WO1996007271A1 (en) * 1994-08-31 1996-03-07 Sony Corporation Still picture system
TW329515B (en) * 1995-10-24 199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3698805B2 (ja) * 1996-03-25 2005-09-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H09319640A (ja) * 1996-05-27 1997-12-12 Sharp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3750278B2 (ja) * 1997-05-23 2006-03-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2147B (en) 2000-06-01
AU742697B2 (en) 2002-01-10
CN1516132A (zh) 2004-07-28
US6288990B1 (en) 2001-09-11
SG85607A1 (en) 2002-01-15
CA2250678C (en) 2004-08-10
HU9802440D0 (en) 1998-12-28
PL329303A1 (en) 1999-04-26
KR100590143B1 (ko) 2006-08-30
EP0911830A2 (en) 1999-04-28
HUP9802440A3 (en) 2000-03-28
EP0911830A3 (en) 2002-08-07
CN1118051C (zh) 2003-08-13
BR9803930A (pt) 1999-12-21
CN1299269C (zh) 2007-02-07
CN1215204A (zh) 1999-04-28
AU8837198A (en) 1999-05-13
HUP9802440A2 (hu) 1999-05-28
CA2250678A1 (en) 199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143B1 (ko) 재생장치,기록장치,및기록매체
KR100342118B1 (ko) 기록매체용기록방법및장치
EP0655740B1 (en) Recording medium management method
KR100535289B1 (ko)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US6567349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method and editing apparatus
JPH11185459A (ja)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
US63012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ain data and sub data in synchronization
US6400667B1 (en)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sub data is written/read in periods during which writing/reading of main data is not performed
JPH11232849A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
JP3815146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612754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735987B2 (ja) 編集装置
JP405812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0040344A (ja) 記録装置
JP2000076832A (ja) データコピー方法及びデータコピー装置
JPH09147533A (ja) 記録装置
JPH11176142A (ja) 編集装置
JPH10199211A (ja) 編集装置
JPH075743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86389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1069757A (ja) 編集装置
JPH11250636A (ja) 再生装置
JPH11213631A (ja) 編集装置
JP2002124030A (ja) 記録装置
JP2004355811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