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615A -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615A
KR19990036615A KR1019980036399A KR19980036399A KR19990036615A KR 19990036615 A KR19990036615 A KR 19990036615A KR 1019980036399 A KR1019980036399 A KR 1019980036399A KR 19980036399 A KR19980036399 A KR 19980036399A KR 19990036615 A KR19990036615 A KR 19990036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axle
vehicle body
support structure
cro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506B1 (ko
Inventor
가즈오 이시카와
야스히로 니와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1999003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8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with arrangements for levelling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05Suspension l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6Suspension or mounting of wheels on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2Rigid axle suspensions pivoted
    • B60G2200/322Rigid axle suspensions pivoted with a single pivot point and a straight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6Means for locking th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2Fork lift trucks, Cl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압 실린더(7)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포크리프트의 후차축(3)을 피봇팅 제어한다. 후차축(3)은 차체(1)에 피봇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7)는 후차축(3)을 차체(1)에 연결된다. 2개의 유압 오일실(9a, 9b)은 유압 실린더(7)로 한정되어 있다. 후차축(3)을 선택적으로 피봇팅을 허용하거나 억제하도록 오일실(9a, 9b) 사이의 유압 오일의 운동은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억제된다. 차체(1)는 차체(1)의 측부에 위치된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재(2) 및,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2)에 연결된 한 쌍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를 포함한다. 후차축(3)은 크로스 프레임 부재(4)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7)의 일단부는 상부 연결축(8, 11)에 의해 크로스 프레임 부재(4)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연결축의 부분인 상부 핀(8)은 크로스 프레임 부재(4)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1)에 유압 실린더(7)를 결합하기 위한 전용 브래킷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것은 차체(1)의 유압 실린더(7)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Description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본 발명은 차체에 대하여 차체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포크리프트는 차체, 상기 차체에 의해 지지된 후차축 및, 상기 후차축에 설치된 후륜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후차축은 차체에 대하여 피봇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차축은 포크리프트가 요철면을 따라 이동될 때조차 각 바퀴와 접지면 사이의 마찰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차체에 대하여 피봇식으로 한다. 차축의 피봇팅 구조는 포크리프트의 구동 안정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의 중심은 이동되는 적재 화물로 인하여 상승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포크리프트가 방향이 전환될 때 갑작스런 방법으로 조향되면, 포크리프트상에 측면으로 작동되는 원심력(측면 가속)은 포크리프트 본체를 기울게할 수 있다. 따라서, 차축 록킹 장치는 상기 상태하에서 포크리프트를 안정시키기 위해 제안되었다. 검출된 편요 가속 또는 측면 가속이 소정 값을 초과할 때 장치는 차체에 대하여 차축의 피봇팅을 제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차체(20)와 후차축(21) 사이에 위치된 유압 실린더(22)를 포함한다. 실린더는 통로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유압 오일실을 가진다. 전자기 밸브(23)는 통로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기 밸브(23)는 2개의 오일실 사이의 유압 오일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폐쇄된다. 이것은 차체(20)에 대하여 후차축(21)을 피봇팅을 억제하고 유압 실린더(22)를 록킹시킨다. 차체(20)에 대하여 후차축(21)을 피봇팅시키기 위해, 전자기 밸브(23)는 통로를 개방시킨다. 이것은 2개의 오일실 사이의 유압 오일을 이동시키어 유압 실린더(22)를 언록킹시킨다.
상부 브래킷(24)은 유압 실린더(22)를 지지하기 위해 차체(20)에 용접되어 있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24)은 기판 및, 상기 기판(27)에 고착된 한 쌍의 평행 지지판(28)을 가진다. 상부 핀(25)은 지지판(28)으로 지지되어 있고 후차축(21)의 피봇팅축과 평행하다. 유압 실린더(22)는 실린더 관을 가진다. 보어를 가지는 상부 결합부(26)는 실린더 관의 상부에 한정되어 있다. 상부 결합부(26)는 결합부 보어를 통하여 연장되는 상부 핀(25)과 함께 지지판(28)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2)는 차체(2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브래킷(30)은 후차축(21)에 고착되어 있다. 하부 핀(29)은 브래킷(3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후차축(21)의 피봇팅축과 평행하다. 보어를 가지는 하부 결합부(26)는 실린더 관의 바닥부에 한정되어 있다. 하부 핀(29)은 하부 결합부(26)의 보어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것은 유압 실린더(22)를 후차축(2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상부 브래킷(24)은 유압 실린더(22)를 차체(20)에 연결하기 위해 전용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전용 브래킷(24)의 사용은 유압 실린더(22)를 지지하기 위해 요구된 물질 수를 증가시키고 유압 실린더(22)를 차체(2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브래킷(24)의 사용은 포크리프트를 제조하는 동안 부가적인 작업을 생성하여 능률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축의 피봇팅을 제어하는 유압 실린더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축의 피봇팅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유압 실린더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차축은 차체에 대하여 피봇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는 상부 결합부에 의해 차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상단부, 하부 결합부에 의해 차축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하단부 및, 가동식 피스톤 로드를 포함한다. 차축은 피스톤 로드가 이동될 때 피봇팅되고 피스톤 로드가 이동되지 않을 때 피봇팅되지 않는다. 지지 구조체는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골조가 포함된다. 골조는 상부 결합부에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발명의 원리가 설명되는 첨부된 도면을 동반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포크리프트의 리어 섹션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차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차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종래 포크리프트의 차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도 4의 차체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크리프트 차체 2 : 측부 프레임 부재
3 : 후차축 4 : 크로스 프레임 부재
5 : 고정판 6 : 지지판
7 : 실린더 8 : 상부 핀
9 : 실린더 관 10, 15 : 보어
11 : 상부 결합부 12 : 브래킷
13 : 하부 핀 14 : 피스톤 로드
16 : 하부 결합부 17 : 전자기 밸브
이하, 포크리프트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는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 차체(1)는 한 쌍의 평행한 측부 프레임 부재(2)를 포함한다. 측부 프레임 부재(2)는 금속판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차체(1)의 어느 한 측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평행한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2개의 측부 프레임 부재(2)의 후반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차체(1)에 대해 측면으로 연장된다.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거의 차량의 전폭에 이른다. 각 프레임 부재(2, 4)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가진다. 또한, 프레임 부재(2, 4)는 차체의 지지 구조체의 일부인 골조를 형성한다. 즉, 프레임 부재(2, 4)는 차량 중량의 실질적인 부분을 차축(3)과 차체(1) 사이의 피봇팅 커플링으로 전달한다.
고착판(5)은 2개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의 중간부에 고착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판(6)은 고착판(5)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차체(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차축(3)은 중심핀(3a)에 의해 지지판(6)에 피봇팅으로 연결되어 있다. 후차축(3)은 도 3의 평면도에서 중심 핀(3a) 둘레로 피봇되어 있다. 후륜(18)은 포크리프트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조향된다.
유압 실린더(7)는 상부 결합부에 의해 차체(1)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결합부는 차체(1)에 연결된 제 1 부품과 실린더(7)에 연결된 제 2 부품인 2개의 결합 부품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 1 부품은 상부 핀(8)으로 형성된다. 상부 핀(8)은 2개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 각각의 일단부에 직접적으로 고착되고 차체(1)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핀(8)은 원통형이고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압 실린더(7)는 실린더 관(9)을 포함한다. 보어(10)를 가지는 상부 결합부(11)는 실린더 관(9)의 상부에 한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의 제 2 부품은 상부 결합부(11)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핀(8)은 2개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 사이에 배치된 상부 결합부(11)에 있는 보어(10)안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부 핀(8)의 외면은 보어(10)의 표면을 슬라이딩 접촉시킨다. 이것은 유압 실린더(7)를 차체(1)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 상부 핀(8)의 축은 중심 핀(3a)의 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7)는 후차축(3)의 피봇팅 축과 평행인 축 둘레의 차체(1)에 대하여 피봇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2)은 후차축(3) 일단의 상부면에 고착된다. 유압 실린더(7)는 2개의 결합 부품을 가지는 하부 결합부에 의해 브래킷(12)에 연결된다. 하부 결합부의 제 1 부품은 브래킷(12)에 연결되고, 제 2 부품은 실린더(7)에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 1 부품은 하부 핀(13)으로 형성된다. 하부 핀(13)은 브래킷(12)으로 지지되고 차체(1)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7)는 피스톤 로드(14)를 포함한다. 보어(15)를 가지는 하부 결합부(16)는 피스톤 로드(14)의 바닥단부에 한정되어 있다. 하부 결합부(16)는 설명된 실시예에서 하부 결합부의 제 2 부품으로 형성된다. 하부 핀(13)은 유압 실린더(7)를 후차축(3)에 피봇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보어(15)를 통하여 삽입된다. 하부 핀(13)의 축은 중심 핀(3a)의 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7)는 후차축(3)의 피봇팅 축과 평행인 축 둘레의 후차축(3)에 대하여 피봇식이다.
유압 실린더(7)는 다중 이동형 실린더이고 실린더 관(9)의 피스톤(14a)으로 한정된 한 쌍의 유압 오일실(9a, 9b)을 가진다. 오일실(9a, 9b)은 통로(T1, T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밸브(17)는 통로(T1, T2) 사이의 유압 실린더(7)와 일체로 형성된다. 유압 오일을 축적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도시 생략)는 통로(T1, T2)에 연결된다. 제어기(19)는 포크리프트를 안정시키기 위해 편요 가속과 측면 가속을 지시하는 신호와 같은 포크리프트의 이동상태를 지시하는 신호에 따라 전자기 밸브(17)를 제어한다.
전자기 밸브(17)는 오일실(9a, 9b) 사이의 제조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통로(T1, T2)를 밀폐시킨다. 이것은 피스톤 로드(14)의 이동을 억제시킨다. 결국, 유압 실린더(7)는 후차축(3)을 차체(1)에 록킹시키고 관련된 피봇팅을 억제한다. 전자기 밸브(17)가 통로(T1, T2)를 개방함에 따라 오일실(9a, 9b) 사이의 유압 오일이 이동될 때 피스톤 로드(14)는 해제된다. 이것은 차체(1)에 대하여 후차축(3)을 피봇팅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7)는 상부 핀(8)에 의해 차체(1)에 연결된다. 상부 핀(8)은 차체(1)의 부품인 크로스 프레임 부재(4)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사용된 바와 같이(도 4, 5) 유압 실린더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분리식인 전용 브래킷은 반드시 공급될 필요는 없다. 이것은 물질의 수를 줄이고 유압 실린더(7)를 차체(1)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그러므로, 포크리프트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차체(1)는 상부 핀(8)과 2개의 평행한 크로스 프레임 부재(4)를 통하여 후차축(3)에 연결되어 있다. 부가하여, 각각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그것의 평면이 후차축(3)의 피봇팅 축과 수직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유압 실린더(7)를 통하여 후차축(3)에 의해 크로스 프레임 부재(4)에 작용된 힘은 크로스 프레임 부재(4)의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작동된다. 판 물질은 그 평면과 법선 방향으로 그것과 비교시 그 평면 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후차축(3)으로부터 유압 실린더(7)에 작용된 힘에 저항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유압 실린더(7)에 상관없이, 비교적 무거운 실린더 관(9)은 차체(1)에 결합되고, 가벼운 피스톤 로드(14)는 후차축(3)에 결합된다. 피스톤 로드(14)가 후차축(3)과 일체로 이동되므로, 후차축(3)이 노면을 거쳐 나아갈 때 피스톤 로드(14)가 후차축(3)의 피봇팅에 대해 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14)는 가벼워야 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7)는 비교적 가벼운 피스톤 로드(14)가 후차축(3)에 연결되도록 방향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이나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많은 다양한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산업상에 있어서 숙련된 자에 의해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은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2개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가 사용된다. 그러나, 하나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만이 사용되면, 지지판은 차체(1)의 왼측부에 위치된 측부 프레임 부재(2)에 고정된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우에서, 유압 실린더(7)가 차체(1)에 연결되어 사용된 상부 핀(8)은 크로스 프레임 부재(4)와 지지판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유압 실린더(7)는 지지판을 부가함으로써 단지 차체(1)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도 4, 5에 도시된 종래 기술 구조와 비교하여 유압 실린더(7)를 차체(1)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단일 유압 실린더(7)는 후차축(3)의 일단부와 차체(1)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2개의 유압 실린더(7)는 후차축(3)의 각단부에 위치된 하나의 실린더(7)와 함께, 후차축(3)과 차체(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질소 가스 등을 사용하는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7)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 밸브(17)가 통로(T1, T2)를 폐쇄할 때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를 완전히 록킹할 수 없다. 즉, 상기 실린더는 후차축(3)의 피봇팅이 제한되지만 피봇팅이 억제되지는 않는다.
프레임 부재(2, 4)는 평평한 판을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임 부재(2, 4)는 정사각형 또는 타원 횡단면을 가지는 비임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2, 4)는 고체이거나 또는 중공형일 수 있다. 중공형인 프레임 부재(2, 4)는 리브로 보강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2, 4)는 강, 알루미늄 합금, 섬유 보강된 합성 수지와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실린더 관(9)은 차체(1)에 연결되는 반면, 피스톤 로드(14)는 후차축(3)에 연결된다. 그러나, 실린더 관(9)은 후차축(3)에 연결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14)는 차체(1)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차량의 중심을 하향시킨다.
다양한 종류의 결합부는 핀(8, 13)과 결합부와 결합된 보어(10, 15)로 형성된 단순 실린더형 피봇팅 결합부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과 소켓 결합부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구형 슬라이딩면 또는 볼은 상부 핀(8)과 맞추어지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오목 슬라이딩면을 가지는 소켓은 볼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 결합부의 보어(10)에 공급된다. 볼과 소켓은 표면을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볼을 수용하기 위해 내면을 가지는 실린더형 베어링은 결합부 보어(10)안에 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베어링의 내면은 원형 라인을 볼의 표면과 접촉시킨다. 상기 구조는 유압 실린더(7)를 후차축(3)의 피봇팅축과 평행한 축 둘레로 피봇팅시킬 수 있고 또한, 상부 핀(8)의 결합부 둘레의 어떠한 방향으로 자유로이 피봇팅시킬 수 있다. 동일 방법에서, 커넥팅 로드를 실린더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는 자유로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은 포크리프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셔블 로우더(shovel loader) 또는 트럭 크래인과 같은 다른 형태의 산업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와 버스와 같은 다른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와 종속항의 동등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1. 차축(3)이 차체(1)에 대하여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유압 실린더(7)가 상부 결합부(8, 11)에 의해 차체(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상단부, 하부 결합부(13, 16)에 의해 차축(3)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하단부 및, 가동식 피스톤 로드(14)를 포함하고, 피스톤 로드(14)가 이동될 때 차축(3)이 피봇팅되고, 피스톤 로드(14)가 이동되지 않을 때 차축(3)이 피봇팅되지 않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차체(1)의 일부로 구성되는 골조(2, 4)는 상부 결합부(8, 11)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 4)는 차체(1)의 일측부에 위치된 제 1 측부 프레임 부재(2), 차체(1)의 대향 측부에 위치된 제 2 측부 프레임 부재(2) 및, 측부 프레임 부재(2)를 연결하기 위해, 측부 프레임 부재(2)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4)를 포함하고,
    상부 결합부(8, 11)는 크로스 프레임 부재(4)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차축(3)은 크로스 프레임 부재(4) 아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7)는 상부 결합부(8, 11)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14)는 하부 결합부(13, 1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결합부(8, 11, 13, 16)의 피봇 축은 차축(3)의 피봇팅 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결합부는 골조(4)에 고착된 제 1 부품(8)과 유압 실린더(7)에 고착된 제 2 부품(11)을 포함하고, 하부 결합부는 차축(3)에 연결된 제 1 부품(13)과 유압 실린더(7)에 연결된 제 2 부품(16)을 포함하고, 결합부(8, 11, 13, 16)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부품(8, 13)은 제 2 부품(11, 16)에 대해 각각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골조는 차폭의 일부를 각각 스패닝하고 차축(3) 위쪽 위치의 차량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진 한 쌍의 평행한 크로스 프레임 부재(4)를 포함하고,
    유압 실린더(7)에 의해 상부 결합부(8, 11)에 작용된 힘이 개입 부품을 통하여 전달되지 않고 상부 결합부의 제 1 부품(8)에서 크로스 프레임 부재(4)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상부 결합부의 제 1 부품은 크로스 프레임 부재(4) 사이에 위치되고 크로스 프레임 부재에 직접적으로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 결합부의 제 1 부품은 각 단부가 크로스 프레임 부재(4)의 하나에 직접적으로 고착된 실린더형 핀(8)이고, 상기 핀(8)은 차축(3)의 피봇팅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8. 제 6 항에 있어서,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차량의 중량의 일부가 차체(1)와 차축(3) 사이의 피봇팅 커플링에 전달되는 골조의 하중 전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9.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각 크로스 프레임 부재(4)는 차축(3)의 피봇팅 축에 수직인 평면을 가지는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7)는 조절된 통로(T1, T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유체실(9a, 9b)을 포함하고, 유체실(9a, 9b) 사이의 유체가 이동될 때 피스톤 로드(14)가 이동되고, 유체실(9a, 9b) 사이의 유체가 이동되지 않을 때 피스톤 로드(14)가 이동되지 않으며, 차축(3)의 피봇팅은 피스톤 로드 이동의 억제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차량은 유체실(9a, 9b) 사이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이동 및 억제하기 위한 조절된 통로(T1, T2)에 위치된 밸브(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은 적어도 포크리프트를 포함하는 산업 차량이고, 산업 차량은 차축(3)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후륜(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KR1019980036399A 1997-10-15 1998-09-04 차축의요동제어용유압실린더의지지구조체 KR100348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82011A JPH11115436A (ja) 1997-10-15 1997-10-15 車軸揺動制御用流体圧シリンダの支持構造
JP97-282011 1997-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15A true KR19990036615A (ko) 1999-05-25
KR100348506B1 KR100348506B1 (ko) 2002-10-25

Family

ID=1764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399A KR100348506B1 (ko) 1997-10-15 1998-09-04 차축의요동제어용유압실린더의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03027B1 (ko)
EP (1) EP0909668B1 (ko)
JP (1) JPH11115436A (ko)
KR (1) KR100348506B1 (ko)
CN (1) CN1105041C (ko)
AU (1) AU701696B1 (ko)
CA (1) CA2249505C (ko)
DE (1) DE69819281T2 (ko)
TW (1) TW5182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1788B2 (ja) * 2003-04-25 2008-10-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および、産業車両
DE102004030471A1 (de) * 2004-06-24 2006-01-19 Adam Opel Ag Kraftfahrzeug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US20080142644A1 (en) * 2006-12-15 2008-06-19 O'roark Corey Flight apparatus having movable motors
US8280590B2 (en) * 2010-05-24 2012-10-02 Deere & Company Automatically adjustable axle oscillation stops
US8684649B2 (en) * 2011-06-13 2014-04-01 Johan Redekop Grain cart
DE202016004580U1 (de) * 2016-07-25 2016-10-27 Liebherr-Werk Ehingen Gmbh Achsaufhängung
CN107458151B (zh) * 2017-08-30 2023-03-14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全承载公交客车后桥限位装置安装结构
CN111623005B (zh) * 2019-02-28 2022-05-31 威海新安精密机械有限公司 气压缸组
CN113417327B (zh) * 2021-06-10 2022-07-26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井下蓄电池铲运机
CN116695818B (zh) * 2023-06-26 2024-01-30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含回转平台自适应静压支撑装置的挖装机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59747A (ko) * 1950-04-04
DE505661C (de) * 1930-08-22 Friedrich Krauss Vorrichtung zum starren Abstuetzen des federnd aufgehaengten Rahmens gegenueber den Radachsen,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2407092A (en) * 1942-08-01 1946-09-03 Int Harvester Co Vehicle
FR949887A (fr) * 1947-07-22 1949-09-12 Auxiliaire De L Entpr Soc Dispositif de blocage d'oscillation d'essieu de palonnier pour engins de terrassement et pour grues
FR1307620A (fr) * 1960-12-06 1962-10-26 Dispositif stabilisateur, amortisseur et correcteur de la cote et de l'inclinaison du plan de charge d'un véhicule
US3142363A (en) * 1960-12-06 1964-07-28 Tamini Mario Stabiliz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DE1580385C3 (de) * 1966-04-23 1975-04-17 Buehler-Miag Gmbh, 3300 Braunschweig Untergestell für ein Hub- und Förderfahrzeug
US4236591A (en) * 1978-08-17 1980-12-02 Molby Lloyd A Off-road vehicle that both oscillates and articulates
ATE8694T1 (de) * 1979-08-14 1984-08-15 Tourdelos Limited Stellmotor.
JPS58183307A (ja) 1982-04-17 1983-10-26 Toyod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における車軸固定装置
FI71269C (fi) * 1983-10-07 1986-12-19 Valmet Oy Anordning foer foerbaettrande av stabiliteten av traktor ellernaogon annan arbetsmaskin
DE3524862A1 (de) 1985-04-12 1986-10-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daempfung von bewegungsablaeufen
JPS62110509A (ja) 1985-11-08 1987-05-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DE3632416A1 (de) * 1986-09-24 1988-04-07 Schaeff Karl Gmbh & Co Knickgelenktes arbeitsfahrzeug mit hoehenverstellbaren raedern
US4802690A (en) * 1986-11-12 1989-02-07 Raidel John E Suspension assembly for steer axle with single air spring mounted directly over the axle
US4750751A (en) * 1986-11-26 1988-06-14 Deere & Company Pivoting axle for a hillside combine
US5366860A (en) 1989-09-29 1994-11-22 Applied Biosystems, Inc. Spectrally resolvable rhodamine dyes for nucleic acid sequence determination
EP0603394B1 (en) * 1991-09-09 1997-04-2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DE4235264B4 (de) * 1992-10-20 2004-07-08 Same Deutz-Fahr S.P.A., Treviglio Hydraulische Vorderachssicherung und Blockierung für ein landwirtschaftliches Fahrzeug
US5639119A (en) * 1992-12-04 1997-06-17 Trak International, Inc. Forklift stabilizing apparatus
JP3087487B2 (ja) * 1992-12-26 2000-09-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1996015390A1 (de) * 1994-11-14 1996-05-23 Industrieanlagen-Betriebsgesellschaft Mbh Schwing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fahrzeuge
FI105329B (fi) * 1995-05-04 2000-07-31 Ponsse Oy Vakautusjärjestelmä
JP3166617B2 (ja) 1996-03-28 2001-05-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制御装置
US6240353B1 (en) * 1996-03-19 2001-05-2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Industr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9668A1 (en) 1999-04-21
US6203027B1 (en) 2001-03-20
CA2249505C (en) 2003-07-15
AU701696B1 (en) 1999-02-04
CA2249505A1 (en) 1999-04-15
CN1105041C (zh) 2003-04-09
DE69819281D1 (de) 2003-12-04
CN1223205A (zh) 1999-07-21
KR100348506B1 (ko) 2002-10-25
JPH11115436A (ja) 1999-04-27
TW518289B (en) 2003-01-21
EP0909668B1 (en) 2003-10-29
DE69819281T2 (de)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208B2 (en) Tag axle operating system
US7740252B2 (en) Payload-carrying motor vehicle with tag axle having force relievable suspension
US7775533B2 (en) Payload-carrying motor vehicle with tag axle having disableable brakes
US6331010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cylinders
KR19990036615A (ko) 차축 피봇팅 제어용 유압 실린더의 지지 구조체
US7775308B2 (en) Payload-carrying motor vehicle with tag axle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suspension
US7040631B2 (en)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RU2487018C2 (ru) Система стабилизатора для подвески моста и стабилизатор
CA2241228C (en) Structure for supporting resistance cylinders
US5320192A (en) Rear wheel steering device
EP11549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spension of a cab on a vehicle frame
US7770906B2 (en) Passively steerable module axle
AU2021106220B4 (en) Compensator for fifth-wheel couplings
US6206154B1 (en) Axle pivoting controller and hydraulic cylinder for industrial vehicles
AU709836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pivot controlling damper
JPH01235731A (ja) 作業車両、殊にトラクターシャベル
US20220410988A1 (en) Automated compensator for fifth-wheel couplings
JP2522456B2 (ja) 車両における後輪操舵装置
RU2144870C1 (ru) Сист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вого кузова
GB2582937A (en) Chas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