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452A -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452A
KR19990036452A KR1019980008631A KR19980008631A KR19990036452A KR 19990036452 A KR19990036452 A KR 19990036452A KR 1019980008631 A KR1019980008631 A KR 1019980008631A KR 19980008631 A KR19980008631 A KR 19980008631A KR 19990036452 A KR19990036452 A KR 19990036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witch
shaft
valv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975B1 (ko
Inventor
타케시 쿠쯔하라
히로키 요시무라
요시카즈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모리 테 쯔로오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625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72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26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82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25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82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26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1527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 테 쯔로오,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테 쯔로오
Publication of KR1999003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제어기기를 방폭방수(防爆防水) 커버(16)를 구비한 케이스(7)내에 집합적으로 수용하고, 장치 그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한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케이스(7)내에 복수의 설치 플레이트(14)를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하여 설치 플레이트(14)에 회전전달기구(20)를 설치함과 동시에, 회전전달기구(20)에 토크 스위치(torque switch)(27)와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28)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유닛(3)을 조립하여 컴팩트하게 구성한다. 인접하는 설치 플레이트(14) 사이에는 회전전달기구(2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속장치(26)를 설치함과 동시에, 토크 스위치(27)를 구성하는 스위치 기구(27A)와 마이크로 스위치(29), 및 리미트 스위치(28)를 구성하는 스위치 기구(28A)와 마이크로 스위치(30)를 각각 설치한다.

Description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본 발명은 수로, 정수장, 배수처리시스템, 온도조절시스템, 각종 제어시스템, 발전소 등의 유로(流路)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밸브체, 수문 등의 밸브를 구동 제어하는 수동·전동 전환식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수장, 발전소 등의 각종 공장에서의 유로에 설치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사람의 조작으로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중앙정보시스템화의 제어로 되어 있다.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진단 그 자체를 상위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행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설비가 대규모로 되고,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현장에 가서 점검 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수리점검작업이 고가로 되고, 메인티넌스비용 등도 높아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는 밸브 컨트롤러 자체에 체크 기능이 대부분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가서,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고, 점검 그 자체도 부정확하고 또 점검비용도 높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전체의 제어를 중앙정보시스템에서 처리하는 것은 장치가 크게 되고 복잡한 구조로 되기 때문에, 일부 정보의 처리를 내장한 컨트롤러에서 처리한다는 분산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이 채용되게 되었다.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유로 제어의 기본으로 되는 정보는, 유로중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게이트, 밸브체 등의 밸브의 개방도(開放度), 유량, 유속 등이고, 밸브의 개방도 조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많은 형식의 전동식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개소 62-292978호 공보, 특개소 64-49778호 참조).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하기 위해, 토크 스위치(torque switch),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등의 각종 제어기기를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개소 64-79407호 공보, 실공평 5-37373호 공보, 실공평 6-35343호 공보 참조). 또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밸브 개방도 지시계 등을 수용한 케이스내의 결로(結露)를 방지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개평 8-114275호 공보참조).
상기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분산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내부에 연산회로 즉, 연산 컨트롤러를 가지고, 제어계의 일부를 부담 가능하게 하고, 아주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밸브의 개폐시간 즉, 밸브 개폐속도 등의 개폐 컨트롤을 전기적으로 자동 설정하여 자기 제어할 수 있지만, 하지만,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토크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지시장치 등의 각종 제어기기는 각각 별개의 케이스내에 수용되어 있어 그들 각종의 케이스를 방폭방수용 커버를 구비한 케이스내에 수용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장치 그 자체가 대형으로 되지 않을 수 없고,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밸브 개방도 지시계용 감속장치가 회전전달기구에 조립되어 있지만, 감속장치의 회전감속비율은 대폭적인 변경이 요구된다. 즉, 밸브를 상하 이동시키는 회전축의 회전수는 예컨대, 1회전부터 100회전까지 변화하는 것이고, 그 변화하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지시장치의 지침의 회전각도로서 예컨대, 0。 ∼ 270。로 감속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되는 감속장치에서는 그 회전감속비율이 1/2 ∼ 1/2000정도의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감속장치는 상기와 같은 감속비율(1/2 ∼ 1/2000)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없고, 그 때문에, 감속장치로서 감속비율이 1/2, 1/4, 1/8 ∼ 1/2000이라는 유형의 것이 다수 준비되어 있고, 요구되는 감속비율에 따라 감속장치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또한, 감속장치에서는 출력축의 회전방향이 정역(正逆)으로 회전하는 양쪽 유형이 요구되기 때문에, 회전이 반대로 되는 유형을 준비해 두어 출력축의 회전방향의 요망에 따라서 선택할 필요가 있고, 감속장치로서 아주 다른 종류의 것을 준비하지 않을 수 없고, 제조 메이커로서는 다른 종류의 감속장치를 준비하기 때문에, 재고량도 다수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도 17의 (C)와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맞물림 클러치는 회전축에 고정되고 또한 단면에 도그(dog)치(齒)(94)를 구비한 통체(91), 및 회전축상을 미끄러질 수 있고 또한 단면에 통체(91)의 도그치 (94)에 맞물리는 도그치 (92)를 구비한 슬리브(sleeve)(96)로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96)의 치구(齒溝)(93)의 폭과 통체(91)의 치구 (95)의 폭은 통체(91)가 회전하고 있을 때, 슬리브(96)가 미끄러져 도그치 92와 도그치 94가 맞물리기 쉽도록 도그치 92와 도그치 94와의 치폭(齒幅)보다 각각 크게 형성되고, 양쪽의 도그치 92와 도그치 94와의 사이에 여유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도 17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맞물림 클러치는 슬리브(96)의 도그치 92와 통체(91)의 도그치 94가 도 17의 (C)의 상태에서 (D)의 상태로 맞물릴 경우에는 슬리브(96)의 도그치 92와 통체(91)의 도그치 94의 사이에는 양쪽의 도그치 사이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도그치 92와 도그치 94사이에 충격력이 작용하여 도그치 92, 94에 부러짐이나 균열 등이 발생하고, 또 정역(正逆) 회전시마다 도그치 92와 도그치 94에 충격이 작용하여 소음의 발생과 함께 부러짐 등의 발생의 우려가 있어 맞물림 클러치 그 자체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와 같이 내장된 컨트롤러를 설치한 경우에, 컨트롤러를 작동하기 위해 센서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을 다수 사용하고 있지만, 그들의 전기부품을 설치본체에 설치하여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고, 예컨대,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를 하우징(housing) 등의 설치본체에 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마이크로 스위치에 대하여 배선되는 리드선을 마이크로 스위치에 땜납부착, 또는 나사고정으로 설치해 고정하고 있었다.
하지만, 마이크로 스위치를 정확하게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땜납부착이나 나사고정으로 고정하는데는 노력이나 작업시간이 걸리고, 또 배선이 복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컴팩트한 설치구조를 얻는 것은 곤란했었다.
또한, 상기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분산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내부에 연산회로 즉, 연산 컨트롤러를 가지고, 제어시스템의 일부를 부담 가능하게 하고, 아주 간단하게 또한 정확하게 밸브의 개폐시간 즉, 밸브 개폐속도 등의 개폐 컨트롤을 전기적으로 자동 설정하여 자기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어 작동하기 위한 제어기기를 방폭방수 커버를 구비한 케이스내에 집합적으로 수용하고, 또 회전전달기구의 감속장치, 리미트 스위치와 토크 스위치를 케이스내의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직접 설치하고, 종래와 같이 각각의 단독용 케이스에 수용하는 것을 폐지하여 장치 자체의 부품점수를 저감하고, 장치 그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스위치 유닛과 그것에 인접하는 터미널 유닛과의 접속을 간결하게 구성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전달기구의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 톱니바퀴의 수를 선정하는 것만으로 감속비율을 대폭으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축의 회전방향을 정역(正逆)중 어디로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통체의 회전상태에서도, 통체의 도그치에 슬리브의 도그치가 부드럽게 맞물릴 수 있고, 또 도그치 사이에 여유가 없는 도그치끼리의 충격을 배제하여 내구성이 좋은 맞물림 클러치에 의한 구동전환장치를 구비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을 설치본체에 고정하는 것에, 프린트 기판 그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을 설치본체에 고정한 설치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된 소정의 위치에 아주 정밀하게 또한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 착탈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부품의 설치 구조를 구비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의 개략도,
도 2는 본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구동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스위치 유닛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의 설명도,
도 8은 도 1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밸브 개방도(開放度) 지시계용 감속장치의 한 감속비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밸브 개방도 지시계용 감속장치의 감속비율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전개도,
도 11은 도 10의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의 작동공정을 설명하는 전개도,
도 12는 전기부품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프린트 기판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4는 전기부품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설치구조에서의 설치 플레이트와 프린트 기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마이크로 스위치와 작동캠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의 작동공정을 설명하는 부분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유로를 개폐 조절하는 밸브를 설치한 스핀들(spindle), 상기 스핀들을 왕복 구동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고 또한 설치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수동 핸들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수동구동기구 또는 상기 회전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전동구동기구로 전환하는 구동전환장치,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 상기 회전전달기구에 조립된 토크 스위치와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 및 상기 밸브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접속하는 터미널 유닛을 가지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스에는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설치 플레이트가 상기 설치본체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회전전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속장치, 상기 토크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내의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는 밸브 개방도 지시장치 및 원거리 밸브 개방도 지시용 발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 유닛과 상기 터미널 유닛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방폭방수용 커버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마그네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본체에는 상기 전기부품을 수용한 방폭방수용 커버를 구비한 통모양의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수동전환레버, 상기 수동전환레버에 의해 결합/분리(斷接)되는 맞물림 클러치 및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동구동기구의 구동으로 전환하는 자동복귀기구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스위치 기구와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크 스위치는 스위치 기구와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인접하는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스위치 유닛을 조립한 회전전달기구를 컴팩트하게 또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스위치 유닛과 터미널 유닛을 공통의 케이스내에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전달기구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 유닛과 상기 터미널 유닛을 방폭방수커버로 확실하게 밀봉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또 장치 전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상기 스위치 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된 컨트롤러의 전기부품에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비교하여 부품을 저감하여 장치 그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스위치 유닛을 수용한 케이스내에는 인접하는 설치 플레이트사이에서 토크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의 제어기기를 적정하게 배열할 수 있고, 법규제에 대해서도 최적으로 순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의 밸브 개방도 지시계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동되고 또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측 회전축, 상기 입력측 회전축에 고정된 입력 톱니바퀴, 상기 입력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 상기 주축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감속용 톱니바퀴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보조축,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서로 맞물리는 감속 톱니바퀴열,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최종단의 감속용 톱니바퀴에 맞물리고 또한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각각 고정된 링크 톱니바퀴, 상기 주축 또는 상기 보조축에 고정된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 및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출력 톱니바퀴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측 회전축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를 상기 주축에 회전 방향으로 고정했을 때의 상기 출력 톱니바퀴의 회전방향과 상기 보조축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했을 때의 상기 출력 톱니바퀴의 회전방향과는 역회전방향이다.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를 상기 주축 또는 상기 보조축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하는 선택은 상기 출력측 회전축에 요구되는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입력측 회전축에서 상기 출력측 회전축으로의 회전감속비율은,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조립된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 톱니바퀴의 수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 톱니바퀴의 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링 톱니바퀴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틈에는 칼라(collar)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고정된 눈금판과 상기 출력측 회전축에 설치된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 및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상기 감속용 톱니바퀴는 입력측의 큰 지름 톱니바퀴와 출력측의 작은 지름 톱니바퀴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입력측 회전축에서 상기 출력측 회전축으로의 회전감속비율은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조립되는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톱니바퀴의 수를 감속비율에 맞추어 변경함으로써, 대폭으로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소망하는 변속 비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를 상기 주축 또는 상기 보조축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출력 톱니바퀴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감속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간단히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용 톱니바퀴를 다수 준비하는 것만으로 되고, 소망하는 감속비율을 얻음과 동시에 출력 톱니바퀴의 정역(正逆)중 어느 하나의 회전방향으로도 대응할 수 있고, 감속장치의 재고량을 저감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수동전환레버에 의해 맞물림 클러치가 절단되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가 수동조작으로 전환되고, 또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복귀기구 유닛에 의해 상기 맞물림 클러치가 접속되어 상기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가 전동구동으로 전환된다.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상기 수동전환레버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의 탄력에 맞서 상기 맞물림 클러치를 구비한 슬리브가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기 맞물림 클러치가 절단되고,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자동복귀기구 유닛이 작용하여 상기 수동전환레버의 상기 슬리브로의 조작이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기 맞물림 클러치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회전축에 고정된 단면에 도그치를 구비한 통체와 상기 회전축상을 미끄러질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체의 상기 도그치에 맞물리는 도그치를 구비한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를 가진다. 상기 맞물림 클러치는, 한쪽의 도그치는 낮은 치장(齒長)과 높은 치장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도그치의 사이의 치구는 상기 낮은 치장의 도그치와 상기 높은 치장의 상기 도그치가 맞물리는 폭을 가지고,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는 상기 낮은 치장의 도그치와 상기 높은 치장의 도그치의 사이의 치구에 맞물림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한쪽의 도그치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맞물림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낮은 치장과 상기 높은 치장의 사이의 상기 치구에 직접 맞물림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쪽의 도그치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맞물림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치선면(齒先面)이 상기 한쪽의 낮은 치장의 도그치의 치선면에 맞닿아 상기 한쪽의 도그치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낮은 치장과 상기 높은 치장과의 사이의 상기 치구에 맞물림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치구의 폭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치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치구에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맞물림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치구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와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둘레방향에 여유가 없는 것이다.
구동전환장치에 조립된 맞물림 클러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의 도그치와 통체의 도그치와의 맞물림을 부드럽게 달성할 수 있고, 양쪽의 도그치사이에 여유가 실질적으로 없기 때문에, 정역(正逆) 회전을 행하여도 도그치에 충격력은 작용하지 않고, 충격에 의한 도그치의 부러짐이나 클러치 등의 발생도 없고, 내구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전환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을 수동 핸들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수동구동기구와 상기 회전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전동구동기구와의 전환작동 때, 맞물림 클러치의 도그치사이에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아주 부드럽게 달성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종래의 장치에 비교하여 부품을 저감하여 장치 그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은 인접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맞추는 삽입부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단면에 맞닿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프린트 기판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전기부품과 접속하는 프린트 배선이 설치되고,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 구멍에 걸어 맞춘 클립(clip)에 의해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스토퍼부를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상기 단면으로 눌러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삽입부의 측부가 끼워 맞추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삽입홈에 끼워 맞추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서 튀어나온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부품은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상기 프린트 배선으로 접속된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설치된 작동편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된 캠에 의해 작동된다.
전기부품의 설치 구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에 설치된 프린트 기판을 설치 플레이트의 미리 결정된 위치결정 홈에 삽입하여 클립으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프린트 기판을 설치 플레이트의 정확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전기부품의 설치 작업을 아주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부품을 스위치 유닛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유닛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스위치 유닛이나 터미널 유닛을 1개의 케이스내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부품의 설치구조는 종래의 전기부품의 설치구조와 같이, 땜납부착이나 나사에 의한 설치를 행할 필요가 없고, 배선작업이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의 설치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노력이 들지 않게 된다. 또한, 프린트 기판은 규정한 사이즈로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개략적으로 하우징(5)을 구성하는 설치본체(6)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핀들(1), 스핀들(1)에 설치된 수로 등의 유로(57)에 설치된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21), 스핀들(1)을 여러 가지의 정보에 따라서 구동제어하는 제어기기 등을 구성하는 전기부품(19)으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25), 스핀들(1)을 수동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수동 핸들(12), 스핀들(1)을 자동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모터(11), 및 스핀들(1)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본체(6)에 설치된 스핀들 커버(22)를 가지고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예컨대, 중앙 컨트롤러에서의 지령을 분산처리하기 위한 내장된 컨트롤러(25)가 받고, 컨트롤러(25)의 제어에 의해 밸브(21)를 구동제어하여 밸브(21)에 의해 유로(57)의 개폐조절을 행함과 동시에, 밸브(21)의 작동상태, 유로(57)의 유속, 유량 등의 각 정보를 유량센서(도시하지 않음), 리미트 스위치(28), 토크 스위치(27) 등의 각 센서로 검출하고, 상기 각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25)는 밸브(21)나 유로(57)에 대한 각 정보에 따른 최적의 상태로 밸브(21)의 개폐조절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주로, 유로(57)를 개폐 조절하는 밸브(21)를 설치한 밸브봉을 구성하는 스핀들(1), 스핀들(1)을 왕복 구동하기 위해 회전구동되는 웜 기어(worm wheel)(9)에 맞물리는 웜(10)을 설치하고 또한 설치본체(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8), 회전축(8)을 수동 핸들(12)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수동구동기구 또는 회전축(8)을 모터(1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전동구동기구로 전환하는 구동전환장치(2), 회전축(8)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측의 회전축(42)으로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20), 회전축(42)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5), 회전전달기구(20)에 조립된 스위치 유닛(3), 및 밸브(21)나 유로(57)의 각종 정보를 교환하여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유닛(3), 스위치 유닛(3)에 접속된 터미널 유닛(4), 및 터미널 유닛(4)을 통해 스위치 유닛(3)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구동전환장치(2)를 수동구동기구로 전환하는데는 수동전환레버(18)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전동구동기구로의 전환은 모터(11)가 회전에 따라서 자동복귀기구 유닛(32)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회전축(8)은 축받이(63)에 의해 설치본체(6, 61)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동 핸들(12)에서 회전되는 회전축(53)은 축받이(64)에 의해 설치본체(6)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동조작레버(18)에서 회전되는 조작축(62)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본체(6)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8), 회전축(53) 및 조작축(62)은 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수동 핸들(12)과 수동전환레버(18)의 조작이 스핀들(1)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8)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8)은 웜(10)이 설치된 회전축(8A)과, 슬리브(34)가 스플라인(spline)(35)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워 맞춰진 회전축(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34)는 그 일단부에 맞물림 클러치(31)를 구성하는 클릭 즉, 도그치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 톱니바퀴(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8B)상에는, 맞물림 클러치(31)의 다른 쪽 클릭 즉, 도그치가 설치된 자동복귀기구 유닛(32)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클러치(31)가 접속될 때는 슬리브(34)의 도그치와 자동복귀기구 유닛(32)의 도그치가 맞물린 상태이다. 게다가, 회전축(8B)상에는 모터(11)의 출력축(72)에 설치된 톱니바퀴(59)가 맞물림 톱니바퀴(33)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자동복귀기구 유닛(32)과 톱니바퀴(33)의 사이에는 완충부재(60)가 개재되어 있다. 조작축(62)에 설치된 캠 요크(cam yoke)(56)는 슬리브(34)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홈(65)에 걸려 맞춰지고, 수동전환레버(18)에 의한 조작축(62)의 회전에 의해 캠 요크가 회전하면, 슬리브(34)가 회전축(8)상을 미끄러져 이동하고, 맞물림 클러치(31)를 결합/분리할 수 있다. 수동전환레버(18)에 의해 슬리브(34)가 스프링(36)의 탄력에 맞서 맞물림 클러치(31)에서 해방되어 미끄러져 이동하고, 슬리브(34)의 톱니바퀴(55)와 수동 핸들(12)로 회전되는 회전축(53)에 설치된 톱니바퀴(54)가 맞물림 되게 된다. 톱니바퀴(55)와 톱니바퀴(54)가 맞물림 되면, 수동 핸들(12)로 회전축(8)을 회전시키는 수동구동기구로 전환된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본체(6)에 설치되고 또한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설치 플레이트(14)를 수용한 케이스(7)내에 회전전달기구(20)를 수용하고, 서로 인접하는 설치 플레이트(14)사이에는 회전축(8)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2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속장치(26)를 설치함과 동시에, 또 스위치 유닛(3)을 구성하는 적어도 토크 스위치(27) 및 리미트 스위치(28)가 각각 설치되고, 장치 자체를 부품점수를 저감하여 컴팩트하게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스위치 유닛(3)은 카운터 기구로 구성되고, 설치본체(6)에 설치된 케이스(7)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위치 유닛(3)은 회전축(8)의 토크를 검출하는 유닛화된 토크 스위치(27)와, 밸브(21)의 왕복이동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28)를 적어도 가지고 있다. 토크 스위치(27)는 회전축(8)의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27A) 및 토크 스위치(27)에 설치된 밸브 개방방향과 밸브 폐쇄방향의 상한과 하한의 과(過)토크 상태시를 검출하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29)(1개만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28)는 밸브(21)의 왕복이동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28A) 및 밸브(21)의 왕복이동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30)(1개만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유닛(3)은 상기의 제어기기 외에, 플리커 스위치(flicker switch)(37)(도 4), 인터록 스위치(inter-lock switch)(66)(도 5), 개방도 원거리 지시용 발신기(67)를 구성하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위치 유닛(3)을 수용하는 케이스(7)에는 그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방폭방수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터미널 유닛(4)은 스위치 유닛(3)에 인접하여 설치본체(6)에 설치되어 있다. 터미널 유닛(4)을 수용하는 케이스(7)에는 그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방폭방수커버(17)가 설치되어 있다. 터미널 유닛(4)은 스위치 유닛(3)의 각 제어기기와 컨트롤러(25)를 접속하는 입력측 단자(68)와 프린트 기판(70)을 통해 스위치 유닛(3)과 접속되는 출력측 단자(69)로 구성되어 있는 전원 터미널을 구성하고, 입력측 단자(68)와 출력측 단자(69)는 터미널 본체(71)에서 밀봉상태로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하우징(5)을 구성하는 설치본체(6)에는 컨트롤러(25)를 수용한 통모양의 케이스(23)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25)는 스위치 유닛(3)을 제어하는 적어도 마그네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부품(19)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모양의 케이스(23)는 그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방폭방수 커버(58)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25)는 터미널 유닛(4)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 유닛(3)의 각종 제어기기와 정보의 교환을 행하여 밸브(21)를 최적 상태로 작동제어하고 있다.
게다가, 구동전환장치(2)는 수동전환레버(18)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맞물림 클러치(31)와, 모터(11)의 회전에 의해 전동구동기구의 구동으로 전환하는 자동복귀기구 유닛(32)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전환장치(2)는 통상은 모터(11)에 의한 구동상태로 자동복귀기구 유닛(32)에 의해 설정되고, 조작자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의 점검 등에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할 때, 수동전환레버(18)에 의해 수동 핸들(12)로 조작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것이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모터(11)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선, 모터(11)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받아 컨트롤러(25)에서의 지령으로 회전한다.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톱니바퀴(59)를 통해 회전축(8)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톱니바퀴(33)를 회전하여 자동복귀기구 유닛(32)을 작동시킨다. 모터(11)의 회전에 의해 자동복귀기구 유닛(32)이 작용하면, 슬리브(34)는 스프링(36)의 탄력으로 맞물림 클러치(31)가 접속상태로 되고, 톱니바퀴(33)의 회전이 슬리브(34)로 전달되어 슬리브(34)가 회전한다. 슬리브(34)의 안쪽 둘레면에 스플라인(35)이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34)의 스플라인(35)은 회전축(8)에 형성된 스플라인(35)과 서로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34)의 회전은 회전축(8)으로 전달된다. 회전축(8)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8)에 설치된 웜(10)이 회전하고, 웜(10)의 회전은 스핀들(1)에 설치된 웜 기어(9)를 회전 구동한다. 회전축(8)의 회전에 의해, 웜(10)이 회전하여 웜(10)에 맞물린 웜 기어(9)가 회전한다. 웜 기어(9)의 회전은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력 전달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나사(24)(도 1)를 회전시키고, 수나사(24)와 맞물리는 암나사(73)가 설치된 스핀들(1)이 상하 이동한다. 스핀들(1)의 선단에는 밸브(2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21)가 상하 이동하여 유로(57)가 개폐 조절된다. 한편, 회전축(8)의 회전은 회전축(13)으로 전달된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회전축(8)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밸브(21)의 유로의 개폐상태, 또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그것에 따라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회전축(8)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38)를 통해 회전축(13)으로 전달된다. 회전축(13)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40)를 통해 입력측 회전축(41)을 회전시킨다. 입력측 회전축(41)에는 톱니바퀴(43)가 고정되어 있고, 톱니바퀴(43)에는 입력측 회전축(41)과 같은 축에 배치된 출력측 회전축(42)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측 회전축(41)에 설치된 톱니바퀴(43)의 회전은 감속장치(26)의 입력 톱니바퀴(47)로 전달되고, 감속장치(26)의 복수의 톱니바퀴열(49)에 의해 감속되어 감속장치(26)의 출력 톱니바퀴(48)로 전달된다. 출력 톱니바퀴(48)의 회전은 출력측 회전축(42)의 고정된 톱니바퀴(44)에 전달되고, 출력측 회전축(42)의 회전으로서 출력된다.
출력측 회전축(42)의 단부에는 지침(45)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7)내에 고정된 복수의 설치 플레이트(14)의 1매에 눈금판(46)이 설치되어 있다. 눈금판(46)은 방폭방수 커버(16)에 설치된 투명판(50)을 통해 보일 수 있다. 지침(45)은 눈금판(46)상을 회전 이동함으로써, 밸브(21)의 개폐도를 눈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8)의 회전력은 톱니바퀴 기구(38A) 및 토크 샤프트(39)를 통해 회전축(13A)에 전달되고, 회전축(13A)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51)를 통해 토크 스위치(27)의 스위치 기구(27A)로 전달되고, 토크 스위치(27)에 의해 회전축(8)의 토크가 검출된다. 토크 스위치(27)의 작동상태, 즉, 상한과 하한의 과토크의 상태는 마이크로 스위치(29)를 통해 컨트롤러(25)에 입력된다. 또, 회전축(8)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38)를 통해 회전축(13)으로 전달되고, 회전축(13)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40)를 통해 입력측 회전축(41)을 회전시킨다. 입력측 회전축(41)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52)를 통해 카운터 기구로 이루어지는 리미트 스위치(28)의 스위치 기구(28A)로 전달되고, 리미트 스위치(28)에 의해 회전축(8)의 회전수가 검출된다. 리미트 스위치(28)의 작동상태, 즉 상한과 하한은 마이크로 스위치(30)를 통해 컨트롤러(25)에 입력된다.
다음에,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수동 핸들(12)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전환장치(2)를 작동시키는데는 수동전환레버(18)를 회전시키고, 슬리브(34)에 끼워 맞춰진 캠 요크(56)를 회전시킨다. 캠 요크(56)의 회전은 슬리브(34)를 스프링(36)의 탄력에 맞서 회전축(8)상으로 미끄러져 이동시키고, 슬리브(34)를 맞물림 클러치(31)에서 이탈시켜, 모터(11)와의 구동연결상태를 해방한다. 게다가, 캠 요크(56)를 회전시켜 슬리브(34)를 미끄러지게 이동시키면, 슬리브(34)의 톱니바퀴(55)는 수동 핸들(12)을 설치한 회전축(53)에 설치된 톱니바퀴(54)에 맞물리도록 된다.
상기의 조작에 의해 슬리브(34)의 톱니바퀴(55)와 회전축(53)에 설치된 톱니바퀴(54)를 맞물린 상태로 한 후, 수동 핸들(12)을 회전시키면 회전축(53)이 회전하고, 그 회전은 톱니바퀴(54)에서 톱니바퀴(55)로 전달되어 슬리브(34)를 회전시킨다. 슬리브(34)가 회전함으로써 회전축(8)이 회전한다. 회전축(8)의 회전에 의해 웜(10)이 회전하고, 웜(10)에 맞물리는 웜 기어(9)가 회전한다. 웜 기어(9)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전달 경로를 따라 밸브(21)가 상하 이동하고, 유로(57)가 개폐 조절된다. 한편, 회전축(8)의 회전은 회전축(13)으로 전달된다. 회전축(13)의 회전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침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15)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토크 스위치(27) 및 리미트 스위치(28)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감속장치(26)를 설명한다.
감속장치(26)는 표시장치(15)의 지침(45)으로 회전축(13)의 회전이 전달된 입력측의 회전축(41)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측의 회전축(42)으로 전달한다. 입력측 회전축(41)은 밸브(21)(도 1)를 스핀들(1)로 상하 이동시켜 구동하기 위한 회전축(8)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동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8)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38)를 통해 회전축(13)을 회전시키고, 회전축(13)의 회전은 톱니바퀴 기구(40)를 통해 입력측 회전축(41)에 전달된다. 출력측 회전축(42)의 회전 비율은 밸브개방도로서 표시하는 표시장치(15)의 지침(45)으로 전달된다. 감속장치(26)는 설치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측 회전축(41), 입력측 회전축(41)에 병렬로 배치된 설치 플레이트(14)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주축(80), 및 주축(80)에 병렬로 배치된 설치 플레이트(14)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보조축(81)을 가진다.
감속장치(26)는 입력측 회전축(41)에 고정된 입력 톱니바퀴(43), 주축(8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 톱니바퀴(43)에 맞물리는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47), 보조축(81)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47)에 맞물리는 감속용 톱니바퀴(84), 주축(80)과 보조축(81)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서로 맞물리는 감속 톱니바퀴열(49), 감속 톱니바퀴열(49)의 최종단에 위치하는 감속용 톱니바퀴(85)에 맞물리고 또한 주축(80)에 고정된 링 톱니바퀴(82), 링 톱니바퀴(82)에 맞물리고 또한 보조축(81)에 고정된 링 톱니바퀴(83), 주축(80) 또는 보조축(81)에 고정된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에 맞물리는 출력톱니바퀴(44)를 설치하고 또한 설치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측 회전축(4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47) 및 감속용 톱니바퀴(84, 85)는 입력측의 큰 지름 톱니바퀴(87)와 출력측의 작은 지름 톱니바퀴(88)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47) 및 감속용 톱니바퀴(84, 85)는 주축(80)과 보조축(81)상에 있어서 인접하는 톱니바퀴끼리가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주축(80)과 보조축(81)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는 주축(80)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했을 때의 출력 톱니바퀴(44)의 회전방향과, 보조축(81)에 회전방향으로 고정되었을 때의 출력 톱니바퀴(44)의 회전방향과는 역회전방향으로 출력된다. 또,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를 주축(80) 또는 보조축(81)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하는 선택은 출력측 회전축(42)에 요구되는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입력측 회전축(41)에서 출력측 회전축(42)으로의 회전감속비율은 주축(80)과 보조축(81)에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된 감속 톱니바퀴열(49)의 감속 톱니바퀴(84, 85)의 수에 의해 조정된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감속장치(26)에서는 감속 톱니바퀴열(49)의 감속용 톱니바퀴(84)의 수는 2개이고 3단 감속으로 구성되는 것에 비하여, 도 9에 나타낸 감속장치(26)에서는 감속 톱니바퀴열(49)의 감속용 톱니바퀴(84)의 수는 8개이고 9단 감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감속장치(26)는 도 8에 나타낸 감속장치(26)의 감속비율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감속 톱니바퀴열(49)의 감속용 톱니바퀴(84, 85)의 수에 의해 발생하는 링 톱니바퀴(82, 83)와 설치 플레이트(14)와의 틈에는 칼라(86)가 배치되어 감속 톱니바퀴열(49)에 거터(gutter)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와 출력 톱니바퀴(44) 사이의 감속비율은 여러 가지를 조합시킨 것이 준비되어 있고, 감속 톱니바퀴열(49)에서 감속된 감속비율을 지침(45)의 회전각에 정합시키도록,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와 출력 톱니바퀴(44)와의 사이의 감속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즉, 감속장치(26)의 주된 감속비율은 감속 톱니바퀴열(49)의 감속용 톱니바퀴(84, 85)로 행하고, 감속비율의 미세한 조정은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와 출력 톱니바퀴(44) 사이의 감속비율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감속장치(26)에서는, 입력측 회전축(41)의 회전은 주축(80)에 회전이 자유로운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47)로 전달되고, 다음에,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47)에서 주축(80)과 보조축(81)에 회전이 자유로운 감속 톱니바퀴열(49)의 감속용 톱니바퀴(84, 85)로 전달되고, 감속 톱니바퀴열(49)에서 소망하는 감속비율까지 감속하여 전달된다. 그후에, 최종단의 감속용 톱니바퀴(85)의 회전은 주축(80)과 보조축(81)에 고정된 링 톱니바퀴(82, 83)로 전달된다. 그래서, 링 톱니바퀴(82, 83)의 회전은 주축(80)과 보조축(81)을 회전시키고, 다음에 주축(80) 또는 보조축(81)에 고정된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를 회전시킨다.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48)의 회전은 출력톱니바퀴(44)를 통해 감속비율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출력측 회전축(42)으로 전달된다.
게다가, 표시장치(15)는 설치 플레이트(14)에 고정된 눈금판(46)과 출력측 회전축(42)에 설치된 지침(45)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구동전환장치(2)의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31)를 설명한다.
맞물림 클러치(31)는 회전축(8)에 고정된 통체(91)와 회전축(8)상을 미끄러질 수 있는 슬리브(90)와의 사이의 동력전달을 결합/분리하는 것이다. 통체(91)에는 그 단면에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90)에는 그 단면에 통체(91)의 도그치 94와 도그치 95사이의 치구(96)에 맞물리는 도그치 92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90)의 도그치 92의 사이의 치구(93)는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가 맞물리는 폭을 가지고, 슬리브(90)의 도그치 92는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의 사이의 치구 96에 맞물린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맞물림 클러치(31)는 예컨대, 슬리브(90)에 2개의 도그치 92가 지름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면, 통체(91)에는 높은 도그치 94와 낮은 도그치 95가 각각 2개씩 설치되게 된다. 즉, 통체(91)에는 슬리브(90)의 설치된 도그치 92의 수와 같은 수의 높은 도그치 94와 낮은 도그치 95가 각각 설치되게 된다.
맞물림 클러치(31)에서는 슬리브(90)와 통체(91)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를 둔 상태로 있을 때, 슬리브(90)의 도그치 92와 통체(91)의 도그치 94, 95와의 맞물림은 수동 등으로 슬리브(90)가 회전축(8)상을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90)의 도그치 92가 통체(91)의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의 사이의 치구(96)에 직접 맞물리던가, 또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90)의 도그치 92의 치선면(99A)이 통체(91)의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의 치선면(99B)에 맞닿아 슬리브(90)와 통체(91)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90)의 도그치 92는 통체(91)의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의 사이의 치구(96)에 맞물리는 것이다.
따라서, 맞물림 클러치(31)는 슬리브(90)의 도그치 92와 통체(91)의 도그치 94, 95가 맞물릴 경우에는 슬리브(90)의 도그치 92는 충분한 폭이 있는 통체(91)의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사이에 부드럽게 삽입되고, 그 후에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의 맞물림 위치가 일치하여 직접 맞물리던가, 또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슬리브(90)의 치선면(99A)이 통체(91)의 낮은 치장(98)의 치선면(99B)에 맞닿은 후에, 슬리브(90)와 통체(91)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리는 것에 의해 슬리브(90)의 도그치 92와 통체(91)의 도그치 94, 95의 사이의 충격이 완화되고, 또 양쪽은 확실하게 또한 부드럽게 맞물리는 상태로 된다.
슬리브(90)의 도그치 92의 치폭은 통체(91)의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의 사이의 치구(96)의 폭에 실질적으로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브(90)의 도그치 92가 통체(91)의 낮은 치장(98)의 도그치 95와 높은 치장(97)의 도그치 94의 사이의 치구(96)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슬리브(90)의 도그치 92와 통체(91)의 도그치 94, 95의 치구(96)와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여유가 없는 상태이다. 그 때문에, 슬리브(90)와 통체(91)가 역회전했다고 하여도, 도그치 92와 도그치 94, 95와의 사이에는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도그치 92, 94, 95에 부러짐,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 ∼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조립된 전기부품의 설치 구조를 설명한다.
토크 스위치(27)와 리미트 스위치(28)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유닛(3)을 구성하는 전기부품은 서로 인접하는 설치 플레이트(14)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설치본체(6)를 구성하는 케이스(7)내에 수용되어 장치 자체를 부품 점수를 저감하여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유닛(3)은 회전축(8)의 토크를 검출하는 유닛화 된 토크 스위치(27)와, 밸브(21)의 왕복이동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28)를 적어도 가지고 있다. 토크 스위치(27)는 회전축(8)의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27A) 및 토크 스위치(27)에 설치된 밸브 개방방향과 밸브 폐쇄 방향의 상한과 하한의 과토크 상태시를 검출하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29)(1개만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28)는 밸브(21)의 왕복이동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기 위한 카운터 기구의 스위치 기구(28A) 및 밸브(21)의 왕복이동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30)(1개만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유닛(3)은 상기의 제어기기 외에, 플리커 스위치(37)(도 4), 인터록 스위치(66)(도 5), 개방도 원거리 지시용 발신기(67)를 구성하는 포텐쇼미터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위치 유닛(3)을 수용하는 케이스(7)에는 그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방폭방수 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는 전기부품인 마이크로 스위치(100)(도 7의 마이크로 스위치(29, 30)에 상당)를 스위치 유닛(3)에 조립한 설치구조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100)는 도 12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03)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01)와 커넥터(102), 및 프린트 기판(103)의 배면에 프린트된 프린트 배선(108)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108)은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01)와 커넥터(102)를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101)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편을 구성하는 롤러(109)와 스프링체(110)를 가지고 있다. 롤러(109)는 설치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14)에 설치된 캠(115)에 맞닿음으로써, 스프링체(110)의 탄력에 맞서 이동하고, 프린트 기판(103)의 프린트 배선(108)을 온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03)은 설치본체(6)와 거리를 둔 상태로 배치하여 설치된 복수의 설치 플레이트(14)사이에 끼워 맞추는 삽입부(105)와, 설치 플레이트(14)의 단면(111)에 맞닿는 스토퍼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103)은 삽입부(105)의 양측면에서 튀어나온 돌출부(104)에 형성되고, 돌출부(104)의 단면이 설치 플레이트(14)의 단면(111)에 맞닿는 스토퍼부(106)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서는 프린트 기판(103)을 설치 플레이트(14)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클립(107)이 사용되어 있다. 클립(107)은 프린트 기판(103)을 감싸안은 상태로 양단의 걸림부(116)를 설치 플레이트(14)에 형성된 걸림구멍 등의 걸림구멍(117)에 각각 걸고, 스토퍼부(106)를 설치 플레이트(14)의 단면(111)으로 눌러서 프린트 기판(103)을 설치 플레이트(14)에 탄성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설치 플레이트(14)에는 프린트 기판(103)을 고정하기 위해, 미리 위치 결정된 소정의 위치에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03)의 삽입부(105)의 측부는 설치 플레이트(14)의 삽입홈(112)에 끼워 맞추어 클립(107)으로 고정됨으로써, 프린트 기판(103)은 설치 플레이트(14)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100)의 위치 설정은 프린트 기판(103)의 삽입부(105)를 설치 플레이트(14)의 삽입홈(112)에 간단히 삽입하고, 다음에 클립(107)으로 프린트 기판(103)을 설치 플레이트(14)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정확하게 또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회전전달기구의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 톱니바퀴의 수를 선정하는 것만으로 감속비율을 대폭으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축의 회전방향을 정역(正逆)중 어디로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을 설치본체에 고정하는 것에, 프린트 기판 그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을 설치본체에 고정한 설치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된 소정의 위치에 아주 정밀하게 또한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 착탈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유로를 개폐 조절하는 밸브를 설치한 스핀들(spindle), 상기 스핀들을 왕복구동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고 또한 설치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수동 핸들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수동구동기구 또는 상기 회전축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전동구동기구로 전환하는 구동전환장치,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 상기 회전전달기구에 조립된 토크 스위치(torque switch)와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 및 상기 밸브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접속하는 터미널 유닛을 가지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스에는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설치 플레이트가 상기 설치본체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회전전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속장치, 상기 토크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의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는 밸브 개방도(開放度) 지시장치 및 원거리 밸브 개방도 지시용 발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 유닛과 상기 터미널 유닛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방폭방수(防爆防水)용 커버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마그네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본체에는 상기 전기부품을 수용한 방폭방수용 커버를 구비한 통 모양의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수동전환레버, 상기 수동전환레버에 의해 결합/분리(斷接)되는 맞물림 클러치 및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구동기구의 구동으로 전환하는 자동복귀기구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스위치 기구와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크 스위치는 스위치 기구와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밸브 개방도 지시계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동되고 또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측 회전축, 상기 입력측 회전축에 고정된 입력 톱니바퀴, 상기 입력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 상기 주축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감속용 톱니바퀴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보조축,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서로 맞물리는 감속 톱니바퀴열,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최종단의 감속용 톱니바퀴에 맞물리고 또한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각각 고정된 링 톱니바퀴, 상기 주축 또는 상기 보조축에 고정된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 및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출력 톱니바퀴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측 회전축을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를 상기 주축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했을 때의 상기 출력 톱니바퀴의 회전방향과 상기 보조축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했을 때의 상기 출력 톱니바퀴의 회전방향과는 역회전방향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를 상기 주축 또는 상기 보조축에 회전방향으로 고정하는 선택은 상기 출력측 회전축에 요구되는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회전축에서 상기 출력측 회전축으로의 회전감속비율은 상기 주축과 상기 보조축에 조립된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 톱니바퀴의 수에 의해 조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에 있어서, 주된 회전감속비율은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상기 감속용 톱니바퀴의 수의 선택으로 달성되고, 미세한 조정의 회전 감속비율은 상기 감속용 출력 톱니바퀴와 상기 출력 톱니바퀴와의 감속비율의 선택으로 달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감속 톱니바퀴의 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링 톱니바퀴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와의 틈에는 칼라(collar)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고정된 눈금판과 상기 출력측 회전축에 설치된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용 입력 톱니바퀴 및 상기 감속 톱니바퀴열의 상기 감속용 톱니바퀴는 입력측의 큰 지름 톱니바퀴와 출력측의 작은 지름 톱니바퀴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수동전환레버에 의해 맞물림 클러치가 절단되어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가 수동조작으로 전환되고, 또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복귀기구 유닛에 의해 상기 맞물림 클러치가 접속되어 상기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가 전동구동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전환레버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의 탄력에 맞서 상기 맞물림 클러치를 구비한 슬리브(sleeve)가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기 맞물림 클러치가 절단되고,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자동복귀기구 유닛이 작용하여 상기 수동전환레버의 상기 슬리브로의 조작이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기 맞물림 클러치가 접속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환장치는 회전축에 고정된 단면에 도그치를 구비한 통체와 상기 회전축상을 미끄러질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체의 상기 도그치에 맞물리는 도그치를 구비한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장치에서의 맞물림 클러치를 가지고, 상기 맞물림 클러치는, 한쪽의 도그치는 낮은 치장(齒長)과 높은 치장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도그치의 사이의 치구(齒溝)는 상기 낮은 치장의 도그치와 상기 높은 치장의 상기 도그치가 맞물리는 폭을 가지고,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는 상기 낮은 치장의 도그치와 상기 높은 치장의 도그치의 사이의 치구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도그치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맞물림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낮은 치장과 상기 높은 치장의 사이의 상기 치구에 직접 맞물리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도그치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와의 맞물림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치선면(齒先面)이 상기 한쪽의 낮은 치장의 도그치의 치선면에 맞닿아 상기 한쪽의 도그치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낮은 치장과 상기 높은 치장과의 사이의 상기 치구에 맞물리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치구의 폭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치폭(齒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상기 치구에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한쪽의 도그치의 치구와 상기 다른 쪽의 도그치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여유가 없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은, 인접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맞추는 삽입부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단면에 맞닿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프린트 기판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전기부품과 접속하는 프린트 배선이 설치되고,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어 맞춘 클립에 의해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스토퍼부를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상기 단면으로 눌러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삽입부의 측부가 끼워 맞추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삽입홈에 끼워 맞추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위치 결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서 튀어나온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은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상기 프린트 배선으로 접속된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본체에 설치된 작동편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된 캠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KR1019980008631A 1997-10-03 1998-03-14 밸브구동용액츄에이터장치 KR100313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625997A JPH11107254A (ja) 1997-10-03 1997-10-03 弁開度指示計用の減速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8626197A JPH11108229A (ja) 1997-10-03 1997-10-03 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8625897A JPH11108239A (ja) 1997-10-03 1997-10-03 動力伝達装置における噛み合いク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97-286259 1997-10-03
JP28626297A JP3841527B2 (ja) 1997-10-03 1997-10-03 電気部品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た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97-286261 1997-10-03
JP97-286258 1997-10-03
JP97-286262 1997-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52A true KR19990036452A (ko) 1999-05-25
KR100313975B1 KR100313975B1 (ko) 2002-08-24

Family

ID=2747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631A KR100313975B1 (ko) 1997-10-03 1998-03-14 밸브구동용액츄에이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13975B1 (ko)
CN (1) CN1100228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19B1 (ko) * 2006-09-19 2008-03-12 한국중부발전(주) 고압밸브 구동용 유압액츄에이터 장치
KR101116813B1 (ko) * 2010-03-22 2012-02-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밸브 구동용 액추에이터
CN107859770A (zh) * 2016-09-22 2018-03-30 上海城投原水有限公司 一种阀门控制方法及一种电动开阀器
CN109578663A (zh) * 2019-01-28 2019-04-05 深圳中科捷飞科技有限公司 密集安装阀门的操作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144B2 (en) * 2005-05-31 2008-08-12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Pivot and bearing assembly for a manual valve operator
KR101189971B1 (ko) * 2010-11-25 2012-10-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스트로크 가변형 밸브구동기
JP5912636B2 (ja) * 2012-02-17 2016-04-27 西部電機株式会社 バルブコントロールと電動ゲート及び電動弁
CN103335166A (zh) * 2013-06-13 2013-10-02 常熟市惠尔石化仪表有限公司 带防爆结构的阀门限位开关
CN104835663B (zh) * 2015-06-05 2017-03-01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自动控制工程分公司 汽轮机开关盒
JP6975979B2 (ja) * 2016-10-26 2021-12-01 株式会社フジキン 流量調整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流体制御装置
JP7051101B2 (ja) * 2018-10-26 2022-04-11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KR102196416B1 (ko) * 2019-12-30 2020-12-30 (주)에너토크 마이크로 스위치의 홀딩 기능을 갖는 컨트롤 유닛을 구비한 밸브 개폐용 액추에이터
KR102535504B1 (ko) * 2021-11-23 2023-05-26 (주)에너토크 전동 액츄에이터용 스위치 장치
CN116642047B (zh) * 2023-07-27 2023-10-20 陕西航天泵阀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执行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838A (en) * 1977-07-13 1979-01-23 Westran Corporation Valve actuator fastener
FR2486628A1 (fr) * 1980-07-11 1982-01-15 Europ Equip Menager Dispositif de commande de bruleur a gaz
JP3462600B2 (ja) * 1994-10-17 2003-11-05 西部電機株式会社 電動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19B1 (ko) * 2006-09-19 2008-03-12 한국중부발전(주) 고압밸브 구동용 유압액츄에이터 장치
KR101116813B1 (ko) * 2010-03-22 2012-02-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밸브 구동용 액추에이터
CN107859770A (zh) * 2016-09-22 2018-03-30 上海城投原水有限公司 一种阀门控制方法及一种电动开阀器
CN109578663A (zh) * 2019-01-28 2019-04-05 深圳中科捷飞科技有限公司 密集安装阀门的操作装置
CN109578663B (zh) * 2019-01-28 2024-03-26 深圳中科捷飞科技有限公司 密集安装阀门的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975B1 (ko) 2002-08-24
CN1100228C (zh) 2003-01-29
CN1213754A (zh) 199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975B1 (ko) 밸브구동용액츄에이터장치
US4858481A (en) Position controlled linear actuator
US10295215B2 (en) HVAC actuator with range adjustment
KR940010370B1 (ko) 전기작동 x-y 이동기구
US10184681B2 (en) HVAC actuator
US10941960B2 (en) HVAC actuator with position indicator
DE69204021T2 (de) Elektronisches Gerät zum Schalte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für Kraftfahrzeuge.
US8079283B2 (en) Device for activating gearshift forks
US20150168006A1 (en) Hvac actuator with removable wire blocking tab
GB2153974A (en) Motorized valve actuator
CA1196414A (en) Transmission control interface mechanism
US20040018907A1 (en) Shift range changeover mechanism
JP4070850B2 (ja) 防爆防水ケースを用いた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833627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KR100288056B1 (ko) 방폭방수 케이스를 구비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US5249476A (en) Automatic selector device for multi-gear change-speed gearbox
JP3841527B2 (ja) 電気部品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た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H11111364A (ja) ターミナ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H11108239A (ja) 動力伝達装置における噛み合いク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GB2256243A (en) An automatic selector device including a multi-way selection valve with stop means for a multi-gear change-speed gearbox
JPH11111520A (ja) 電気部品のケースへ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H11108229A (ja) 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TW469328B (en) Actuator device for driving valve
JPH11107254A (ja) 弁開度指示計用の減速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DE10146958A1 (de) Modul für Aktuatoren in einem 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