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741A - 건자재운반용자주식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건자재운반용자주식리프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5741A KR19990035741A KR1019970079680A KR19970079680A KR19990035741A KR 19990035741 A KR19990035741 A KR 19990035741A KR 1019970079680 A KR1019970079680 A KR 1019970079680A KR 19970079680 A KR19970079680 A KR 19970079680A KR 19990035741 A KR19990035741 A KR 199900357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lift
- cage
- conveying
- convey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1—Handling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or like enclosed sp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요지
건물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상층으로 건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므로써, 작업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작업, 노력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건자재를 적재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 소정위치에 상기 운반수단의 안착면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수단의 상하방 이동로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 상기 운반수단이 상기 안착부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운반수단을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제공수단; 및 상기 가이드 수단을 건물의 외측에서 다수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의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리프트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보다 안전하면서 능률적으로 인접한 상층 및 하층으로 건자재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노력 및 경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공정 관리측면에서 일관성 있는 작업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2는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링크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3a 및 도3b는 도2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의 "A" 및 "B" 부분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상세도;
도4는 도1의 리프트장치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4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가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1의 리프트장치의 케이지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도6의 케이지 고정장치가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8은 도1의 리프트장치가 곡선형 발코니 또는 슬래브에 고정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9는 도1의 리프트장치가 직선형 발코니 또는 슬래브에 고정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슬래브(또는 발코니) 2: 케이지
3: 가이드 레일 4: 케이지 안착부
5: 리프트 링크 조립체 6: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21: 베이스 23: 디딤판
24: 지주 25: 슬라이딩 지주
51: 작동수단(모터 및 전동수단)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복수층 구조의 건축물에서 거푸집 등과 같은 건자재를 상층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중인 건물의 외부 발코니 또는 슬래브에 장착되어 케이지에 적재된 건자재를 하나의 층에서 상부 인접 층으로 건자재를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자체가 상부 및 하부 층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건조 중에 하나의 층이 형성되고 나면, 상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푸집 또는 건자재를 상부층으로 운반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한 거푸집 및 건자재를 상부층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각 층의 슬래브 형성시, 공동부를 미리 만들어서, 작업자가 인력으로 필요한 건자재를 인접한 상층으로 운반이 완료된 후, 다시 상기 공동부를 콘크리트 타설하여 메우는 방식으로 각 층의 슬래브 및 벽구조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인력을 이용한 건자재의 인접층간의 운반은 건자재의 낙하와 같은 불상사가 발생하여 작업자를 위험하게 하고 건자재의 손상이 초래하여 자재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운반 작업 완료 후, 상기한 공동부의 타설은 중복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일관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메워진 공동부가 위치된 각층 슬래브 부분은 인접한 다른 부분의 슬래브 강도보다 약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층 아파트의 경우, 최고층까지 상기한 인력방식의 운반작업은 인력 및 공정관리 측면에서 합리적인 방식이 아니었다.
상기한 인력방식에 의한 작업을 탈피하기 위하여, 건조중인 건물의 외부에서 기중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로부터 건자재를 각 층으로 운반하는 외부 공급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한 외부공급방식은 운반 소요시간이 길어지며, 고가의 장비 투입에 따른 작업 경비가 상승시키고, 또한 운반되는 건자재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층의 슬래브 형성시, 공동부를 만들 필요 없이, 건물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상층으로 건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므로써, 운반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작업 수행, 작업노력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중인 건축물의 층고 및 외측부 형상에 관계없이, 장치 자체도 건조중인 건물의 외면에서 인접한 층 사이를 서로 이동할 수 있어서, 운반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현장적응성이 우수한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자재를 적재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 소정위치에 상기 운반수단의 안착면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수단의 상하방 이동로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 상기 운반수단이 상기 안착부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운반수단을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제공수단; 및 상기 가이드 수단을 건물의 외측에서 다수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의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리프트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리프트 장치 자체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자재를 적재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 소정위치에 상기 운반수단의 안착면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수단의 상하이동로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 상기 운반수단이 상기 안착부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수단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상기 승강수단에 정방향 및 역방향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 상기 가이드 수단을 건물의 외측에서 다수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의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리프트 고정수단; 및 상기 운반수단을 슬래브 또는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운반수단의 일측 양단에 구비된 운반수단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도1b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2는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링크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1"은 슬래브 또는 발코니 "2"는 케이지, "3"은 가이드 레일, "4"는 케이지 장착부, "5"는 리프트 링크 조립체, "6"은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7"은 롤러, "21'은 베이스, "22' 및 "41"은 링크 장착레일, "23" 디딤판, "24"는 지주, "25"는 슬라이딩 지주, "51'은 작동수단 "71"은 롤러 프레임을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상층으로 운반될 건자재가 적재되는 케이지(2); 상기 케이지(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3);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소정위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의 안착면을 제공하는 케이지 안착부(4); 상기 케이지(2)를 상기 베이스(21)에 대해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지(2)와 상기 베이스(21) 사이에 구비된 리프트 링크 조립체(5); 상기 리프트 링크 조립체(5)가 팽창하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1)의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작동수단(51); 리프트 장치를 건물 외측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3)의 다수 위치에서 힌지 결합된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부층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된 케이지를 그 층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지 고정장치(10)(도6 및 도7 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건자재 운반시에 케이지의 이동 또는 비정상적인 이동에 대해 주위를 환기시켜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경고음 발생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층고 높이에 알맞게 자동으로 케이지가 정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층고 조절용 자동멈춤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지는, 상부층으로 이송된 건자재가 적재되는 운반체이며, 리프트 링크 조립체(5)를 통해 케이지 안착부(4)에 연결된 베이스(21), 베이스(21)를 가이드 레일(3)을 따라서 상하방으로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7), 롤러(7)를 양단에서 각각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71), 베이스(21)의 좌우측 및 정면 측에 구비되어 베이스(21) 상면에서 건자재가 적재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지주(24), 비교적 긴자재를 운반 시에 자재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정면측 가이드(2) 상에 구비된 슬라이딩 지주(25), 및 상부층으로 상승한 케이지(2)의 베이스(21)의 레벨과 슬래브 또는 발코니의 레벨의 차이를 보상하며, 양측 사이의 발생된 공간을 제거하여 안전한 작업의 수행을 보장하는 디딤판(2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은,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홈 형강으로서, 케이지(2)의 일단 양측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여 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현장반출 및 반입 시 또는 1층 설치시등 지면의 간섭과 운반의 용이를 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케이지(2)를 상기 가이드 레일(3)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은 그의 소정위치에 케이지 안착부(4)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지(2)는 그 하면의 베이스(21)를 상기한 리프트 링크 조립체(5)를 통하여 안착부(4)의 상면에 지지되는 동시에, 그 일단 양측에 연결되어 각각의 가이드 레일(3)의 홈 내에 구비된 롤러(7) 및 롤러 프레임(71)을 통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결과, 케이지(2)는 링크 조립체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미끄럼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 링크 조립체(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긴 막대 부재(52)를 그의 중심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여 링크부재를 형성하고, 하나의 링크부재의 양단을 다른 링크부재의 대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여러 개의 링크부재를 갖는 리프트 링크 조립체(5)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링크 조립체(5)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수단(51)에 의해 접혀진 최초상태에서 팽창되어(즉, 조임 상태가 되어) 케이지(2)를 상층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수축되어(즉, 접혀져서) 케이지(2)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본 발명의 경우, 층고 높이가 2800mm일 때, 링크 조립체(5)는 최초 접힘 상태에서 최초각이 4°이며, 팽창상태에서는 최대 조임각이 36°가 되도록 조립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링크 조립체(5)가 채용되었지만, 운반될 건자재의 중량에 따라서, 복수개의 링크 조립체가 채용될 수도 있다. 링크 조립체(5)는 그의 팽창 및 수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수단(51)에 그의 최하부 링크부재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수단(51)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최하부 링크부재의 양단을 좁히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된 나사축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최하부 링크부재의 일단을 수평이동시키므로써, 링크 조립체(51)를 확장시키거나 수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작동수단(51)으로서 모터 및 전동수단에 의해 논의되었지만, 예를 들면, 유압을 이용한 단동식 또는 복동식 실린더와 같은 작동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서 링크 조립체(51)을 구동시키는 메커니즘도 고려될 수 있다.
이하,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상기한 링크 조립체(5)의 구조를 상세하게 다시 설명한다. 도3a 및 도3b는 도2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의 "A" 및 "B" 부분을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52"는 막대부재, "54'는 단부축, "55'는 베어링, "56"은 가이드 롤러, "57"은 힌지축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링크 조립체(5)의 상측 막대부재의 최상단 및 하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56)가 장착된다. 즉, 케이지(2)의 베이스(21)의 하면 및 케이지 안착부(4)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미끄럼 운동하여서 케이지(2)를 밀어붙이기 위하여, 링크 조립체(5)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된 막대부재(52)의 최상단부(즉, 베이스(21)의 하면에 근접하는 부분 및 케이지 안착부(4)의 상면에 근접하는 막대부재의 단부)에는 외팔보 형식의 단부축(54)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단부축(54)의 각 자유단에는 베어링(55)을 통하여 롤러(56)가 각각 장착된다. 케이지(2)와 케이지 안착부(4) 사이에서의 상기 링크 조립체(5)의 설치는 케이지(2)의 베이스(21)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된 "ㄷ"자형 홈 형강으로 된 링크 가이드 레일(21) 및 안착부(4)의 상면에서 일체로 구비된 "ㄷ"자형 홈 형강으로 된 링크 가이드 레일(41)의 홈 내에 상기한 롤러(56)가 각각 삽입되므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작동수단(51)에 의해 구동되면, 케이지(2)의 베이스(21)의 하면 및 케이지 안착부(4)의 상면 사이에서 이들과 맞닿은 상태로 구비된 링크 조립체(5)는 팽창되고, 그의 막대부재(52)의 상측 및 단부에 장착된 롤러(56)는 구름 운동하여 미끄러지면서 베이스(21) 및 안착부(4)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붙이게 되며, 그 결과, 케이지(2)가 안착부(4)에 대해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56)의 외주에는 링크 조립체(5)와 베이스(21) 및 안착부(4) 사이의 충격,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등과 같은 내충격 및 내마모를 위한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6)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3)의 다수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에 각각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3)을 몇 개층의 슬래브 및 발코니(1)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가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3)을 따라서 케이지(2)가 상승하여 건자재를 운반하게 된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상기한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4는 도1의 리프트장치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를 나타내며, 도5는 도4의 레일 고정장치가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61'은 상부 클램프, "62"는 하부 클램프, "63"은 힌지축, "64"는 횡지지부재, "65"는 조임봉, "66'은 압력판을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고정장치(6)는 그 일단에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횡지지부재(64) 및 그 말단에 압력판(66)을 가지며 상기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하방으로 진행하는 조임봉(65)으로 구성된 상부 클램프(61), 마찬가지로, 그 일단에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횡지지부재(64) 및 그 말단에 압력판(66)을 가지며 상기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상방으로 진행하는 조임봉(65)으로 구성된 하부 클램프(62), 및 봉상부재로서 상기 두 상하부 클램프(61, 62)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지지하는 힌지축(63)으로 구성된 두 개의 클램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힌지축(63)은 층고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측 클램프(61)는 힌지축(63)에 대해 공회전하고 하측 클램프(62)만 힌지축(63)의 외주에 가공된 나선을 통해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레일(3)에 일체로 구비된 다수의 장착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6)에 의한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의 설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측 클램프(61)의 조임봉(65)을 조임으로써 그의 압력판(66)을 하강시켜 슬래브 또는 발코니(1)의 상면에 각각 밀착하도록 하는 동시에, 각 하측 클램프(62)의 조임봉(65)을 조임으로써 그의 압력판(66)을 상승시켜 슬래브 또는 발코니(1)의 하면을 각각 압박시키므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의 레일 고정장치(6)는 리프트 장치를 3개의 층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각각 고정한다. 즉, 가이드 레일(3)은 레일 고정장치(6)에 의해 가운데의 기준층 및 인접한 상부 및 하부층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각각 고정된다.
이하,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케이지 고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은 도1의 리프트장치의 케이지 고정장치를 나타내며, 도7은 도6의 케이지 고정장치가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은 상부 클램프, "12'는 하부 클램프, "13"은 힌지축, "14a"는 정지측 지지부재, "14b"는 가동측 지지부재, "15"는 조임봉, "16"은 압력판을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 고정장치(10)는 상부 클램프(11)의 횡지지부재가 정지측 및 가동측 지지부재(14a, 14b)로 구성되고, 상하부 클램프 조립체가 케이지(2)의 일단 양측부의 소정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작용이 상기한 레일 고정장치(6)의 구성 및 작용이 유사하다. 따라서, 더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케이지 고정장치(10)의 목적은 리프트 장치자체를 상층부 및 하층부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리프트 장치를 상층부 및 하층부로 이동시킬 때에는, 케이지(2)가 기준층으로부터 상층으로 링크 조립체(또는 링크장치(5))의 팽창으로 완전히 상승되었을 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측 클램프(11)의 가동측 지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한 후 조임봉(15)을 조임으로써 그의 압력판(16)을 하강시켜 슬레브 또는 발코니(1)의 상면에 각각 밀착하도록 하는 동시에, 각 하측 클램프(12)의 조임봉(15)을 조임으로써 그의 압력판(16)을 상승시켜 슬래브 또는 발코니(1)의 하면을 각각 압박시키므로써 케이지(2)를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고정한 후, 레일 고정장치(6)를 해제하여 가이드 레일(3)을 기준층, 상층 및 하층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1)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다음, 작동수단(51)(모터 및 전동수단)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리프트 링크 조립체(5)가 접혀지게 된다. 이때, 케이지(2)의 베이스(21)는 케이지 고정장치(10)에 의해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링크 조립체(5)의 수축(접힘) 동작은 가이드 레일(3)의 케이지 안착부(4)를 끌어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3)이 상승하게 된다. 링크 조립체(5)가 완전히 접혀져서 가이드 레일(3)의 레일 고정장치(6)들이 원래의 고정층에서 한 층씩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레일 고정장치(6)를 각각 상승된 층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고정하면 가이드 레일(3)(리프트 장치)의 위치는 재설정된다. 이 후, 재설정된 기준층으로부터 건자재를 인접한 상층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고정된 케이지 고정장치(10)를 해제하고 작동수단(51)을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케이지(2)는 상층으로 이동하여 건자재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리프트 장치를 한 개 층씩 상승시켜서 설치하면서 건자재를 하나의 층에서 인접한 상층으로 운반하며, 최고층까지 용이하게 건자재를 차례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 상기 리프트장치를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한 방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이하,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의 작용을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도8은 도1의 리프트장치가 곡선형 발코니 또는 슬래브에 고정된 예를 나타내며, 도9는 도1의 리프트장치가 직선형 발코니 또는 슬래브에 고정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는 세 개의 층을 일회의 상하강 단위로 채택한다. 즉, 리프트 장치는 레일 고정장치(6)를 통해 가이드 레일(3)을 기준층, 상층 및 하층에 고정된다(도9 참조). 기준층에서 건조작업이 완료되어 기준층에서 사용되었던 거푸집 등과 건자재를 다음 층으로 운반할 경우, 건자재를 케이지(2) 내에 적재한 후, 작동수단(51)을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링크 조립체(5)가 조여져 팽창하면서 케이지(2)를 상층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케이지(2)가 완전히 상층 레벨로 상승하면, 디딤판(24)을 설치하여 적재된 건자재를 하역하고 그 층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또 다시 한 층 더 위로 건자재의 운반이 필요할 경우, 리프트 장치를 한층 씩 위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케이지(2)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6)를 해제한 후, 작동수단(51)을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링크 조립체(5)가 수축되면서(접혀지면서) 고정된 케이지(2)에 대해 가이드 레일(3)이 상승하게 되고 링크 조립체(5)가 완전히 접혀지면, 가이드 레일(3)은 상부로 한 층 상승한 상태가 되며, 이때, 다시 각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재설정된 위치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각각 고정하면 리프트 장치의 기준층의 상부 이동(기준층의 재설정)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한 재설정 기준층으로부터 인접한 상층으로의 건자재 운반한 상기한 방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는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또는 발코니(1)의 형상이 직선일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6)와 케이지 고정장치(10)는 서로 방해되지 않고 평행하게 위치되어 슬래브 또는 발코니(1)에 각각 고정된다. 그러나, 슬래브 또는 발코니(1)의 형상이 곡선형일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6)의 상하부 클램프(61, 62)가 케이지 고정장치(10)를 간섭할 수 있으므로, 케이지 고정장치(10)의 상부 클램프(11)의 가동측 지지부재(14b)를 정지측 지지부재(14a)로부터 연장하여 레일 고정장치(6)와 간섭하지 않는 적당한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안전하면서 능률적으로 인접한 상층 및 하층으로 건자재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노력 및 경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공정 관리측면에서 일관성 있는 작업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건자재를 적재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소정위치에 상기 운반수단의 안착면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수단의 상하방 이동로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상기 운반수단이 상기 안착부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운반수단을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상기 운반수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 및상기 가이드 수단을 건물의 외측에서 다수의 슬래브 또는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수단의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리프트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수단은 "ㄷ"자 단면형상을 갖는 홈 형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운반수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 내에 구비된 상하이동 안내수단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구름운동을 하는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가 그 양단부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롤러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수단은두 개의 막대부재를 그 중심부가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된 다수의 링크부재를 형성하고, 하나의 링크부재의 단부를 인접한 다른 링크부재의 대응 단부에 각각 링크 연결하여 구성한 리프트 링크 조립체,상기 리프트 링크 조립체의 최상측 및 최하측 링크부재의 자유 단부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롤러, 및상기 운반수단의 하면 및 상기 가이드 수단의 안착부의 상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자유단부에 구비된 롤러를 수평이동가능하게 구속하는 롤러 가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동력제공수단은 최하부 링크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일단을 수평 이동시키므로써, 상기 승강수단의 링크조립체를 팽창 또는 수축시켜 상기 운반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가능 모터 및 전동수단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한 링크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상기의 운반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리프트 고정수단은,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그 일단부에 갖는 횡지지부재 및 그 말단에 압력판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진행하는 조임봉으로 구성된 상부 및 하부 클램프, 및 봉상부재로서 상기 두 상하부 클램프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으로 구성된 두 개의 클램프 조립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자재 운반용 리프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운반수단 고정수단은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그 일단부에 갖는 횡지지부재 및 그 말단에 압력판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진행하는 조임봉을 갖는 상부 및 하부 클램프로 구성된 두 개의 클램프 조립체를 포함하며,상기 각 클램프 조립체는 운반수단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9680A KR100261135B1 (ko) | 1997-12-30 | 1997-12-30 |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9680A KR100261135B1 (ko) | 1997-12-30 | 1997-12-30 |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741A true KR19990035741A (ko) | 1999-05-25 |
KR100261135B1 KR100261135B1 (ko) | 2000-07-01 |
Family
ID=1953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9680A KR100261135B1 (ko) | 1997-12-30 | 1997-12-30 |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6113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28180B2 (en) | 2006-01-25 | 2008-09-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testing for failed bit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CN114837454A (zh) * | 2022-04-29 | 2022-08-02 | 江苏鸿基节能新技术股份有限公司 | 建筑物自动平移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252Y1 (ko) * | 2011-01-18 | 2013-06-03 |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
-
1997
- 1997-12-30 KR KR1019970079680A patent/KR10026113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28180B2 (en) | 2006-01-25 | 2008-09-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testing for failed bit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CN114837454A (zh) * | 2022-04-29 | 2022-08-02 | 江苏鸿基节能新技术股份有限公司 | 建筑物自动平移装置 |
CN114837454B (zh) * | 2022-04-29 | 2024-01-30 | 江苏鸿基节能新技术股份有限公司 | 建筑物自动平移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61135B1 (ko) | 200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3405692B2 (en) |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 |
CA2370398C (en) | Elevating platform assembly | |
DE2605970C3 (de) | Einrichtung zur Erleichterung des Materialtransports und des Aufbaus von längs ihres Umfangs geschlossenen Wänden aus Formstein, insbesondere der Auskleidung von Konvertern, metallurgischen öfen, wie Hochöfen, Warmhaltevorrichtungen o.dgl | |
CA2150197A1 (en) | Rail loading train for transporting and for loading and unloading long welded rails | |
CN117127610B (zh) | 一种桩基钢筋笼下放纠偏定位装置及施工工艺 | |
KR102492911B1 (ko) | 건축물 벽의 표면 평탄장치 | |
CN114837435A (zh) | 一种高层建筑液压卸料平台装置及其工作方法 | |
US2009018817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 |
US4125193A (en) | Climbing device for climbing crane | |
JP6530674B2 (ja) | 機械式駐車装置 | |
KR19990035741A (ko) | 건자재운반용자주식리프트장치 | |
US6170608B1 (en) | Scaffold conveyor system | |
KR101016263B1 (ko) |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을 위한 더블시저타입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 |
JP3015351B1 (ja) | 重量物搬送装置 | |
JPH07228356A (ja) | トラックローダー | |
EP3283427B1 (en) | A lifting jig for lifting elements along the fagade of a building | |
JP2009274863A (ja) | 昇降装置及び該昇降装置を用いる貨物積替え方法 | |
US20080078624A1 (en) | Vertical conveyor with hydraulic drive | |
US4886145A (en) | Underground vehicle lift | |
US3735464A (en) | Apparatus for fabricating wall panels and the like for buildings | |
JPH0270688A (ja) | 建築工事用仮設揚重装置 | |
CN219154321U (zh) | 履带卷装机构 | |
JP4185190B2 (ja) | ローラコンベア | |
JP2019202839A (ja) | 車両整備用リフト及びリフト装置 | |
JPH081278Y2 (ja) | 重量物運搬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