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592A -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592A
KR19990035592A KR1019970057418A KR19970057418A KR19990035592A KR 19990035592 A KR19990035592 A KR 19990035592A KR 1019970057418 A KR1019970057418 A KR 1019970057418A KR 19970057418 A KR19970057418 A KR 19970057418A KR 19990035592 A KR19990035592 A KR 1999003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memory
inpu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090B1 (ko
Inventor
박현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0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영상기기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스틸(일시정지)기능을 실행했을 경우 소정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NTSC방송방식의 영상신호 및 PAL방송방식의 영상신호에 대해 하나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스틸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여 편집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M개의 N비트 레지스트로 이루어지고, 입력되는 M비트 데이터를 N비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필드신호 및 방송방식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저장영역을 결정하고, 메모리가 갖는 데이터 라이트/리드시 필요한 펄스를 발생하는 HV동기처리부와, 스틸신호에 따라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라이팅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리딩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메모리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HV 동기처리부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데이터 입력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팅하고, 메모리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스틸시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메모리에서 리딩된 N비트 데이터를 변환한 후 최상위 비트를 로우신호로 대치하여 A/D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출력 리부와, 데이터 출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출력 처리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기계적 조작에 의한 스틸기능을 구현할 경우 발생하는 화면의 떨림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컴퓨터 본체등을 통한 편집기능 수행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데 이때 1프레임의 화면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차례대로 전송 가능하도록 하며 한 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NTSC/PAL 방송방식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본 발명은 엔티에스씨/팔(이하 "NTSC/PAL"라 칭함)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기기에 대하여 디지털데이터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스틸(일시정지)기능을 실행했을 경우 소정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NTSC방송방식의 영상신호 및 PAL방송방식의 영상신호에 대해 하나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스틸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여 편집가능하도록 하는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록재생장치나 캠코더(CAMCORDER)의 경우에 있어서 스틸(일시정지) 기능은 기계적 조작에 의한 아날로그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였다.
기계적 조작에 의한 아날로그적으로 스틸기능을 수행할 시 화면의 떨림등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 본체 등을 이용해서 기록재생장치 및 캠코더로 제작된 영상신호를 편집하고자 할 경우 데이터 전송을 하려면 전송할 영상신호가 디지털 데이터이어야 함으로 종래의 아날로그 데이터인 영상신호의 전송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영상기기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스틸(일시정지)기능을 실행했을 경우 소정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NTSC 방송방식의 영상신호 및 PAL방송방식의 영상신호에 대해 하나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스틸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여 편집가능하도록 하는 NTSC/PAL 방속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D 변환부 20 : 데이터 입력 처리부
30 : HV 동기 처리부 40 : 메모리 제어부
50 : 메모리 60 : 데이터 출력 처리부
70 : 비디오 출력 처리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M개의 N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입력되는 M비트 데이터를 N비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필드신호 및 방송방식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저장영역을 결정하고, 메모리가 갖는 데이터 라이트/리드시 필요한 펄스를 발생하는 HV 동기처리부와, 스틸신호에 따라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라이팅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리딩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메모리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HV 동기처리부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팅하고, 메모리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스틸시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메모리에서 리딩된 N비트 데이터를 변환한 후 최상위 비트를 로우신호로 대치하여 A/D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출력 처리부와, 데이터 출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출력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의 영상 매체를 이용한 통신 환경이 나날이 변화되고 있으며, 종래의 경우 영상 매체는 단순히 보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었으나 최근의 경우는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통신을 하게 되고, 또한 컴퓨터 본체를 이용하여 편집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종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 처리의 경우 전송등의 문제로 인하여 전술한 기능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계적 조작으로 인한 스틸기능 수행시 화면 떠림 보정 및 전송을 위해서 영상신호를 하나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NTSC/PAL 신호에 대해 디지털 스틸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D 변환부(10)는 캠코더 및 기록재생장치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M+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입력 처리부(20)는 M개의 N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입력되는 M비트 데이터를 N비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HV 동기처리부(3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D), 수직동기신호(VD), 필드신호(FLD) 및 방송방식신호(NTSC/PAL)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신호의 어드레스(A0-A8)를 지정한다.
메모리 제어부(40)는 스틸신호(STILLH)에 따라 데이터 입력 처리부(2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D0-D15)를 메모리에 라이팅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리딩한다.
메모리(50)는 메모리 제어부(4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HV 동기처리부(30)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팅하고, 메모리 제어부(4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딩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 처리부(60)는 스틸기능 수행시 메모리 제어부(40)에 의해 메모리(50)에서 리딩된 N비트 데이터를 변환한 후 최상위 비트를 로우신호로 대치하여 A/D 변환부(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갖는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비디오 출력 처리부(70)는 데이터 출력 처리부(6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10비트 A/D 변환부(10)에서 변환된 영상신호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입력 처리부(20)에는 16비트 레지스터 9개를 구비하여 최상위 비트를 하나 버리고 9비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9비트의 연속적인 데이터를 16비트 레지스터를 이용해서 순서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즉, 9비트의 16개의 데이터를 16비트의 9개 레비스터에 저장함으로써 동기가 맞게 된다. 데이터 입력 처리부(20)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16비트로 변환된 데이터는 메모리(50)에 라이트되기 위해 메모리 제어부(40)로 출력된다.
이때 HV 동기 처리부(30)는 영상신호를 메모리(50)에 라이트하기 위해 데이터 라이트 위치를 지정하는데, 이때 외부에서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D), 수직동기신호(VD), 필드신호(FLD) 및 방송방식신호(NTSCC/PAL)에 따라 전술한 데이터 라이트 위치가 지정된다.
우선 NTSC 방송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HV 동기처리부(30)로 입력되는 방송방식신호(NTSC/PAL)가 하이이면 NTSC 방송방식이라 인식하고, 수직동기신호(VD)를 기준으로 수평동기신호(HD)를 카운트하게 되는데, 이때 카운트는 시각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22라인까지 카운트한다. 22라인이 되면 이때부터 디지털로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16비트 단위로 메모리(50)에 라이트하게 된다.
전술한 메모리(50)는 ROW 512*COLUMN 512*16Bit의 구조로 되어있다.
이때 동기처리부(3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필드신호(FLD)로 메모리(50)의 저장되는 영상신호의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가 저장되는 영역을 결정하게 된다. 즉, 필드신호(FLD)가 로우이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필드가 짝수필드임을 인지하여 메모리(50)의 ROW 0-255라인 사이에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필드신호(FLD)가 하이이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필드가 홀수필드임을 인지하여 메모리(50)의 ROW의 256-511 라인 사이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참고로 NTSC 방송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한 필드는 262.5 라인이지만 시각 영상신호는 22라인부터 임으로 실제로 메모리(50)에 저장되어질 라인은 241라인만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1라인에 샘플링되어지는 영상신호는 10Bit*768개로 메모리(50)의 칼럼(COLUMN)의 512개를 초과하고 있지만 데이터가 16비트이므로 데이터 입력 처리부(20)는 16비트로 처리하면서 실제로 메모리(50)에 라이트되어질 칼럼수는 768*9/16=432개로 메모리(50)의 칼럼수보다 작음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NTSC 방송방식의 경우 짝수 필드 및 홀수 필드를 모두 메모리(5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PAL 방송방식인 경우를 설명하면, 방송방식신호(NTSC/PAL)가 로우이면 PAL 방송방식이라 인식하고, NTSC방송방식일 때와 마찬가지로 수직동기신호(VD)를 기준으로 수평동기신호(HD)를 카운트하게 되는데 이때 카운트는 시각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26라인까지 카운트한다. 26라인이 되면 이때부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16비트 단위로 메모리(50)에 저장하게 되는데, 필드신호(FLD)가 로우이면 짝수필드임을 인지하여 메모리(50)의 ROW 0-255라인 사이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라이트하고, 필드신호(FLD)가 하이이면 홀수필드임을 인지하여 메모리(50)의 ROW 256-511 라인 사이에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가 라이트한다.
참고로 PAL 방송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한 필드는 312.5라인이지만 시각 영상신호는 26라인으로부터 임으로 실제로 메모리(30)에 저장되어질 라인은 288라인으로 1필드를 저장해야 되는 256 ROW보다 크기 때문에 메모리(50)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변환하여야 한다.
PAL의 경우 1라인에 샘플링되어지는 영상신호는 10비트 *752개로 칼럼의 512개를 초과하고 있지만 데이터가 16비트이므로 데이터 입력 처리부(20)에서 16비트로 처리하면서 실제로 라이트되어질 칼럼수는 752*9/16=423개로 512보다 작으므로 칼럼에 대해서 저장되어질 공간이 89*16비트 정도 남게 된다. 칼럼의 남는 공간을 이용해서 ROW에서 부족한 영상신호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짝수 필드의 경우 26라인에서 280라인까지는 순차적으로 저장을 하게 되고, 28라인으로부터 312.5라인까지는 칼럼의 남는 구간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추가로 저장되어질 영상신호의 라인과 칼럼의 남는 메모리(50)의 공간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초과되는 데이터는 33(영상라인 수) * 752(샘플링 개수) * 개수 = 223344비트이고, 남는 메모리(50)의 공간은 256(ROW수) * 89(남는 COLUMND영역) * 16비트 =364544비트로 저장되어질 영상신호보다 크기 때문에 PAL 방송방식의 경우도 1필드에 대해서 256ROW에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홀수 필드의 경우도 동일하게 처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짝수 필드 및 홀수 필드에 대해서 메모리(50)에 모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 제어부(40)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스틸신호가 로우이면 메모리(50)에 라이트 기능을 수행하고 스틸신호가 하이이면 리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PCLK 신호는 시스템 클럭으로서 메모리(50)의 리드 및 라이트시의 클럭 및 영상신호의 샘플링 클럭등으로 사용되며, RESET신호는 모든 제어신호의 초기화를 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원 온시에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 신호이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40)에서는 메모리(50) 라이트 및 리드시에 필요한 각종 펄스(RAS, CAR, WE, OE)를 발생하여 메모리(50)로 출력한다.
스틸시 데이터 출력 처리부(60)는 메모리(50)에서 읽어진 16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16비트 9개)는 9비트 데이터(9비트 16개)로 변환되어 데이터 입력 처리부(20)로 입력되던 데이터의 구조로 변환된다.
9비트로 변환된 데이터의 최상위비트를 로우로 해서 10비트의 데이터로 변환되고, 오디오 출력 처리부(70)는 변환된 10비트의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신호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기계적 조작에 의한 스틸기능을 구현할 경우 발생하는 화면의 떨림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컴퓨터 본체등을 통한 편집기능 수행시 데이터 전송시 필요한데 이때 1프레임의 화면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차례대로 전송가능하도록 하며 한 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NTSC/PAL 방송방식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수단;
    M개의 N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입력되는 M비트 데이터를 N비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갖고, 펄스에 따라 갖고 있는 데이터를 리딩하거나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팅하는 메모리;
    외부에서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필드신호 및 방송방식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저장영역을 결정하고, 메모리가 갖는 데이터 라이트/리드시 필요한 펄스를 발생하는 HV 동기처리수단;
    스틸신호에 따라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라이팅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리딩하는 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HV 동기처리부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팅하고, 메모리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딩하는 메모리;
    스틸시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메모리에서 리딩된 N비트 데이터를 변환하여 최상위 비트를 로우신호로 대치하여 A/D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출력 처리수단; 및
    상기 데이터 출력 처리수단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출력 처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방송방식신호가;
    하이이면 NTSC 방송방식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방송방식신호가;
    로우이면 PAL 방송방식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TSC/PAL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KR1019970057418A 1997-10-31 1997-10-31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KR10022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18A KR100224090B1 (ko) 1997-10-31 1997-10-31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18A KR100224090B1 (ko) 1997-10-31 1997-10-31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592A true KR19990035592A (ko) 1999-05-15
KR100224090B1 KR100224090B1 (ko) 1999-10-15

Family

ID=1952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418A KR100224090B1 (ko) 1997-10-31 1997-10-31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57B1 (ko) * 1997-12-31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다중방송신호처리장치
KR100734310B1 (ko) * 2006-02-03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동기 검출기 및 그 동기 검출기를포함하는 동기 선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57B1 (ko) * 1997-12-31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다중방송신호처리장치
KR100734310B1 (ko) * 2006-02-03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동기 검출기 및 그 동기 검출기를포함하는 동기 선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4090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2274A (en) Video interface system utilizing reduced frequency video signal processing
US5444483A (en) Digital electronic camera apparatus for recording still video images and motion video images
JPS6055836B2 (ja) ビデオ処理システム
JP2592378B2 (ja) フォーマット変換器
JPS62193378A (ja) 方式変換装置
KR100194922B1 (ko) 화면비 변환장치
JPH06319104A (ja) 画像信号入出力装置
KR100224090B1 (ko)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JP3369591B2 (ja) 文字表示装置
JP2006301667A (ja)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の制御装置
JP200624628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5982359A (en) Memory device for storing 9-bit video data formed of 8-bit video and 1-bit color frame information, the latter being converted to 8-bit data
US6434281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970057687A (ko) 피디피 티브이(pdp tv)의 메모리 장치
KR920001159B1 (ko)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JP3702469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カラーテレビカメラ
JPH0222980A (ja) 画像メモリ装置
SU14014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е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индикатора
KR910008260Y1 (ko)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KR970003177A (ko) 비디오 처리장치
JPH02185181A (ja) デジタル式テレビ信号記録装置
KR19990048614A (ko) 보간용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JPH0232702B2 (ko)
JPS59126377A (ja) 高速度撮像装置
JPH01263778A (ja) 画像メモリのアドレス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