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159B1 -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159B1 KR920001159B1 KR1019870015653A KR870015653A KR920001159B1 KR 920001159 B1 KR920001159 B1 KR 920001159B1 KR 1019870015653 A KR1019870015653 A KR 1019870015653A KR 870015653 A KR870015653 A KR 870015653A KR 920001159 B1 KR920001159 B1 KR 9200011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emory
- digital
- parallel
- conver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Circuit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와 스큐 보정 회로.
제3도는 본 발명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밍 콘트롤 2 : 어드레스 카운터
3 : 클럭 발생기 4 : 병렬/ 직렬 변환부
5 : 직렬/ 병렬 변환부 6 : 입출력 포트
7 : 콘트롤 파트 8 : 마이콤
9 : 버퍼 10 : 메모리
11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12 :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
13 : 2 체배기
본 발명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상처리를 디지탈로 행하도록 하므로써 다기능 사용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없애주도록 한 디지탈 화상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아나로그만의 화상처리 방식을 사용하였던 관계로 정지화면(still), 느린화면(Slow), 배속화면 등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많은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디지탈 메모리를 이용하여 화상을 처리해 주므로써 다기능 사용시 발생 되었던 노이즈를 제거해 줌과 동시에 다양한 화상 처리 기법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나로그만의 화상 처리 방식에서 벗어나 메모리와 고속의 디지탈-아니로그 변환기와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화상 처리의 디지탈화를 이루어 주므로써 여러 가지 다기능을 행할 수 있으며, 노이즈가 없는 깨끗한 화면을 얻을 수 잇도록 한 것이다.
또한 메모리의 저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렬(Serial)로 들어온 데이타를 3 단계로 나누어 병렬(Parallel)로 순차적인 메모리를 하므로써 램(RAM)의 억세스 타임(Access Time)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메모리에서 데이타를 불러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를 통하여 아나로그 변환 시킬때에는 병렬의 3 단계 신호를 직렬로 변환시킨후 아나로그 변환시키도록 하였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로써 비데오 입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와, 디지탈 신호 입력을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와,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12)의 디지탈 신호를 바이콤(8)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메모리(10)에 기억시키는 한편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에 인가시키는 콘트롤 파트(7)로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상세 회로도로써, 마이콤(8)의 제어신호(스큐 보정신호, 리드/라이트 신호, 메모리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를 받아 입출력 포트(6)와 어드레스 카운터(2) 및 메모리(10)의 콘트롤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밍 콘트롤(1)과, 상기 타이밍 콘드롤(1)의 콘트롤을 받아 1필드 분의 어드레스를 카운트 한 후 버퍼(9)를 통하여 메모리(10)에 카운트 값을 인가시키는 어드레스 카운터(2)와, 비데오 입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의 직렬 디지탈 신호를 병렬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 변환부(5)와,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5)의 병렬 데이타를 메모리(10)에 기억시키고 메모리(10)에 기억된 데이타를 출력시키는 입출력 포트(6)와, 상기 입출력 포트(6)의 병렬 디지탈 신호 출력을 직렬 디지탈 신호로 변환 시키는 병렬/직렬 변환부(4)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4)의 직렬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와, 상기 기능 블록에 클럭 신호를 인가시키는 클럭 발생기(3)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클럭 발생기(3)는 2 체배기(13)를 통과한 21.4MHZ의 신호를 인가 받아 어드레스 카운트(2)와 타이밍 콘트롤(1)에 클럭 신호를 인가시키는 한편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와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에 클럭 신호를 인가시키게 구성된다.
이같은 본 발명의 상세 동작을 제3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모리(10)에 데이타를 라이트(Write)하거나 리드(Read)시키는 리드/라이트(Read/Write)신호의 타이밍은 시스콘 마이콤(8)으로부터 제어를 받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어드레스 클리어(Address Clear)신호를 기준으로 1필드(field)를 단위로써 행하게 되며 이때의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는 의사적인 RF 스위칭 신호로써 드럼(Drum)이 회전할 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타이밍 콘트롤(1)에 의해 제어받고 필드 길이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카운터(2)는 클럭 발생기(3)의 클럭을 카운트하게 되나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의 폴링엣지(Falling Edge)에서 리셋트 되게 되며 또한 그점으로부터 1필드 분(262.5H, 스큐 보정시는 263H:여기서 H는 1수평주기)이 메모리(10)에 기록되고 다음 펄드를 읽는다.
즉, 어드레스 카운터(2)는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의 폴링 엣지에서 클리어 되고 그점으로부터 1필드 분의 화상이 메모리(10)에 기록되고 다음 필드를 읽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어드레스 카운터(2)의 리셋트 되는 시점은 제2도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입력 비데오 신호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를 통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 후 직렬/병렬 변환부(5)를 통하여 병렬 데이타로 바뀌어 입출력 포트(6)에서 메모리(10)에 기록시킴과 동시에 병렬 데이타를 병렬/직렬 변환부(4)에서 직렬 데이타로 바꾼 후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를 통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의사 수직 동기 신호와 함께 비데오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즉 메모리(10)에 1필드분의 비데오 신호가 병렬 디지탈 데이타로 기록되는 도중에는 동시에 다시 아나로그 변환시킨 비데오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마이콤(8)에서 인가시키는 메모리 인에이블(Memory Enable)신호는 필드 메모리(10)의 사용 유무를 제어하는 신호로써 메모리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 레벨로 인가 될 때에는 디지탈 화상 처리 모우드가 되어 필드 메모리(10)가 동작하게 되고 하이레벨로 인가될때에는 필드 메모리(10)의 동작이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8)에서 인가되는 리드/라이트(Raed/Write) 신호는 타이밍 콘트롤(1)를 통하여 입출력 포트(I/OPORT)(6)에 인가되어 필드 메모리(10)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되어지며 리드/라이트(Read/Write)신호가 로우 레벨 일때에는 필드 메모리(10)에 데이타가 라이트 되어지고 하이 레벨일때에는 리드 되어지게 된다.
이때 리드/라이트 신호의 절환 타이밍은 게이트 어레이(Gate array)인 콘트롤 파트(7)내부의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와 동기하여 절환시킨다.
즉 메모리 인에이블 신호와 리드/라이트 신호가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와 동기되어 1필드분의 화상을 메모리(10)에 라이트 및 리드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이콤(8)에서 인가시키는 스큐(Skew) 보정신호(0.5H/NOR)는 스큐 보정을 제어하는 신호로 콘트롤 파트(7) 내부의 타이밍 콘트롤(1)에서 어드레스 카운터(2)의 필드길이를 결정하는 신호로 인가되어지며 스큐 보정신호(0.5H/NOR)가 로우레벨이면 1필드 길이가 262.5H 설정되고 하이레벨이면 263H로 설정하여 준다.
즉, 필드 메모리(10)에 입력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필드와 필드간에 연속되지 않아 스큐(Skew)가 발생하게 되므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드 메모리(10)는 262.5H를 기록하는 노르말시(보통시)와 263H를 기록하는 스큐 보정시로 나누어 행하게 된다.
이러한 노르말시와 스큐 보정시의 어드레스 카운터(2)의 동작은 제2도에 나타내었으며 여기서 필드 메모리시 의사적인 RF 스위칭 신호이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의 폴링 엣지에서 어드레스 카운터(2)가 리셋트 되고 카운트를 OH로부터 시작되게 된다.
이때 어드레스 카운트(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의 라이징 엣지(Rising edge)와는 관계가 없고 콘트롤 파트(7)내부에서는 노르말시 262.5H에 달한후에 OH로부터 시작되며 스큐 보정시에는 263H 에 달한후에 OH로부터 시작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서 메모리 방법을 살펴본다.
입력 비데오 신호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에서 6비트의 직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진후 콘트롤 파트(7)에 입력되어지게 되나 이 디지탈 신호의 전송 레이트(Rate)는 10.7Mb(메가비트)/S로 행하므로 범용 메모리(10)로서는 입력과 출력을 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에서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직렬/병렬 변환부(5)를 통하여 속도를 1/3로 다운(Down)시켜 6비트 * 3에 전송레이트를 3.58Mb/S로 행하여 지게 한다.
이같이 직렬/병렬 변환부(5)에서 6비트 * 3에 전송레이트가 3.58Mb/S 변환된 신호는 라이트 모우드(WRITE MODE)인 경우 입출력 포트(6)에서 메모리(10)로 전송되어 메모리(10)에 라이트되어짐과 동시에 병렬/직렬 변환부(4)를 통하여 다시 직렬 데이타 신호로 변환된후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11)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의사 수직 동기 신호와 함께 비데오 신호로 출력 되어진다.
여기서 라이트 모우드의 입력신호와 리드 모우드시 메모리(10)로부터 리드된 신호는 6비트 * 3(전송레이트 3.58Mb/S)이고 이신호가 병렬/직렬 변환부(4)를 통하여 직렬 신호로 변환되면 원래의 6비트 * 1(전송 레이트 10.7Mb/S)가 되므로써 메모리(10)의 저속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리드 모우드(READ MODE)의 경우에는 메모리(10)에서 리드시킨 데이타 입력을 병렬/직렬 변환부(4)에서 직렬 데이타로 변환시키고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를 통하여 의사 수직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시키게 된다.
이같이 필드 메모리(10)에는 1필드분의 화상 데이타가 메모리되고 읽혀지게 되므로 비데오테이프 레코더의 정지 화면(Still)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 메모리(10)에 메모리시키는 동작은 중단시키고 이미 메모리(10)에 메모리되었던 1필드 분의 화상 데이타만 반복적으로 리드시켜 입출력 포트(6)와 병렬/직렬 변환부(4) 및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를 통하여 출력하게 하므로써 비데오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정지 화면은 아나로그 방식신호 처리에 비해서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는 화면이 된다.
즉 정지 화면 시청시에는 메모리(10)에 메모리 되었던 1필드 분의 비데오 화상이 디지탈로 처리되어 출력되므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느린화면(SLOW)이나 배속 화면을 시청하고자 선택을 하게 되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변화시켜 느린 화면을 구성하는 비데오 신호나 배속화면을 구성하는 비데오 신호를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에 인가시키게 된다.
즉 정상적인 재생시 비데오 헤드가 테이프에 기록된 하나의 트랙을 (Trace)하며 화상정보를 얻어내게 되나 느린화면 선택시에는 테이프 주행 속도가 느려져 읽어낸 트랙을 재차 읽어 내고 다음 트랙을 읽어내게 되며 배속화면 선택시에는 테이프 주행 속도가 빨라져 몇 개의 트랙을 비스듬히 주행하면서 읽어내게 된다.
따라서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에 입력되는 비데오 신호는 정상적인 재생시와 다름없이 느린화면이나 배속화면 선택시 동일한 정보량을 갖고 인가되게 되며 여기서 느린 화면이나 배속화면 선택시의 읽어낸 비데오 신호만 차이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느린 화면이나 배속화면 선택시에도 메모리(10)에 메모리 시키고 읽어내는 과정을 재생시와 동일하게 수행시키게 되면 노이즈 없는 느린 화면이나 배속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메모리(10)에 저장되는 데이타의 전송 레이트가 3.58Mb/S이므로 비데오 신호의 1필드에 대한 데이탈 저장 용량은 227.5 * 263 * 18bit=59832.5 * 18bit가 필요하게 되어 메모리(10)의 용량을 64K * 18bit용량의 메모리(10)로 비데오 신호의 화상 처리를 원활히 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아나로그의 비데오 신호를 디지탈화 시켜 메모리를 이용하여 기억시킴과 동시에 다시 아나로그 화상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화상처리의 디지탈 화를 이룰 수 있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다기능 사용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없앨 수 있고 또한 화상 처리의 디지탈 화가 되어야 가능한 여러 가지 디지탈 기술 즉 노이즈 없는 정지화면, 노이즈 없는 저속화면, 텔레비젼의 정지화면, 줌(ZOOM) 화면 등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마이콤(8)의 제어신호(스큐 보정신호, 리드/라이트 신호, 메모리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 클리어 신호를 받아 입출력 포트(6)와 어드레스 카운터(2) 및 메모리(10)의 콘트롤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밍 콘드롤(1)과, 상기 타이밍 콘트롤(1)의 콘트롤을 받아 1필드 분의 어드레스를 카운트 한 후 버퍼(9)를 통하여 메모리(10)에 카운트 값을 인가시키는 어드레스 카운터(2)와, 비데오 입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의 직렬 디지탈 신호를 병렬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 변환부(5)와,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5)의 병렬 데이타를 메모리(10)에 기억시키고 메모리(10)에 기억된 데이타를 출력시키는 입출력 포트(6)와, 상기 입출력 포트(6)의 병렬 디지탈 신호 출력을 직렬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병렬/직렬 변환부(4)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4)의 직렬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11)와, 상기 기능 블록에 클럭 신호를 인가시키는 클럭 발생기(3)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클럭 발생기(3)는 2체배기(13)를 통과한 21.4MHZ의 신호를 인가 받아 어드레스 카운터(2)와 타이밍 콘트롤(1)에 클럭 신호를 인가시키는 한편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와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1)에 클럭 신호를 인가시키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5653A KR920001159B1 (ko) | 1987-12-29 | 1987-12-29 |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5653A KR920001159B1 (ko) | 1987-12-29 | 1987-12-29 |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0794A KR890010794A (ko) | 1989-08-10 |
KR920001159B1 true KR920001159B1 (ko) | 1992-02-06 |
Family
ID=1926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15653A KR920001159B1 (ko) | 1987-12-29 | 1987-12-29 |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1159B1 (ko) |
-
1987
- 1987-12-29 KR KR1019870015653A patent/KR9200011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0794A (ko) | 1989-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055836B2 (ja) | ビデオ処理システム | |
US4698698A (en) | Digital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
US5452022A (en) | Image signal storage device for a still video apparatus | |
JPS62243490A (ja) | ビデオ編集および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KR920001159B1 (ko) | 디지탈 화상 처리 회로 | |
US4975788A (en) | Video signal skew corrector | |
KR940007677A (ko) | 화상기억장치 | |
KR100224090B1 (ko) | 엔티에스씨/팔 방송방식겸용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 |
JPH02226979A (ja) | 複合ビデオフレームストア | |
JPH06178202A (ja) | 画像縮小装置 | |
KR960011736B1 (ko) | 영상신호 저장 및 기록장치 | |
KR900008244Y1 (ko) |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화상기록 재생회로 | |
JPH10162132A (ja) | 画像データ制御回路 | |
JP2530728B2 (ja) | 復号化装置 | |
KR930001640B1 (ko) | 비데오신호의 재생/기록방법 및 장치 | |
JPS63272191A (ja) | 時間軸変動補正回路 | |
JP3274479B2 (ja) | 画像記憶方法及び画像記憶装置 | |
JPS5994164A (ja) | Tv画像デ−タ入力装置 | |
KR910006031Y1 (ko) | 디지탈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정지화면의 프레임 및 필드 메모리 선택회로 | |
KR890002583B1 (ko) | 모니터 재생중 컴퓨터로 억세스 가능한 메모리 구성회로 | |
KR100246786B1 (ko) | 아이. 씨 카드를 이용한 윈도우 기록 및 재생장치 | |
KR970057687A (ko) | 피디피 티브이(pdp tv)의 메모리 장치 | |
JP3107555B2 (ja) | データ処理装置 | |
RU1785034C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е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индикатора | |
KR930001797B1 (ko) | 디에이티의 오디오/비디오신호 합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29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