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260Y1 -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260Y1
KR910008260Y1 KR2019890010342U KR890010342U KR910008260Y1 KR 910008260 Y1 KR910008260 Y1 KR 910008260Y1 KR 2019890010342 U KR2019890010342 U KR 2019890010342U KR 890010342 U KR890010342 U KR 890010342U KR 910008260 Y1 KR910008260 Y1 KR 910008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memory
terminal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161U (ko
Inventor
박정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260Y1/ko
Publication of KR910003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2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2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lot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프린터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디코더 3 : A/D변환기
4 : 메모리 5 : D/A변환기
6 : 앤코더 7 : 모니터
8 : 프린터 9 : 제어부
SW1-SW4 : 제1, 2, 3, 4스위치
본 고안은 비디오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호의 흐름을 간단한 스위칭 조작으로 NTSC와 같은 영상신호와 프린터에 기억된 내용을 절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린터라 함은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어 피일드(field) 메모리 또는 프레임(frame) 메모리 등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고 이를 억세스하여 화상을 프린트 출력하는 장치를 말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디오 프린터장치는 영상신호의 순간적인 포착에 의한 화상신호의 기록 또는 영상 스틸 카메라와 같은 기록장치를 통하여 재생된 기록영상을 프린팅하고자 하는 기능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기능이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블럭도로서 디코더(2), A/D변환부(3), 메모리부(4), 프린터부(8), D/A변환부(5), 엔코더(6)와 연결되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9)와, 입력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를 디코딩하여 R.G.B의 신호와 동기신호(Composit Sync Signal)로 출력하는 디코더(2)와, 상기 디코더(2)의 R.G.B신호를 제어부(9)의 소정 샘플링 클럭에 의해 소정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변환부(3)와 상기 A/D변환부(3)의 출력데이터를 제어부(9)의 라이트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저장하고 억세스 출력하는 메모리부(4)와, 제어부(9)에서 리드 어드레스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메모리부(4)의 영상데이터를 프린트하는 프린터부(8)와, 제어부(9)의 샘플링 펄스에 의해 상기 메모리(4)에 저장된 디지탈 R.G.B신호를 아날로그 R.G.B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변환부(5), 제어부(9)의 동시신호에 의해 상기 D/A변환부(5)의 아날로그화된 R.G.B신호를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앤코더(6)와, 상기 엔코더(6)의 출력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와 같이 회로에 영상신호(CVS)가 입력단자(A)로 입력되면 디코더(2)는 영상신호를 R.G.B 아나로그 신호로 분리함과 동시에 수평수직 동기를 포함하는 동기신호(CSS)를 디코딩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9)는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입력동기신호(CSS)에 기초하여 A/D변환부(3)에 샘플링 펄스를 제공하며 라이트(write)어드레스 신호를 메모리(4)에 입력시킨다.
상기 A/D변환부(3)는 제어부(9)의 샘플링 펄스에 의해 디코더(2)에서 출력된 아나로그 R.G.B 신호를 디지탈 R.G.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A/D변환부(3)의 디지탈 R.G.B 출력신호는 제어부(9)의 라이트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메모리부(4)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메모리 기능수행이 완료되어진후 제어부(9)에서 리드 어드레스 신호가 메모리부(4)에 인가되면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소정의 영상데이터가 프린터부(8)로 송출하여 프린트되며 또한 D/A변환부(5)는 제어부(9)의 샘플링 펄스에 의해 상기 디지탈 R.G.B 신호를 아나로그 R.G.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D/A변환부(5)의 출력인 아나로그 R.G.B 신호를 입력하는 엔코더(6)는 제어부(9)의 동기신호에 의해 엔코딩하여 영상신호(CVS)를 출력하여 모니터(7)에 디스플레이 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 장치는 프린터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있었고 메모리에 1필드(field) 또는 1프레임(frame)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여 화상이 정지화 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동화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 선택에 의해 메모리 시키지 않고 입력영상신호를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메모리시킴과 동시에 입력영상신호를 동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미 메모리에 기억된 영상정보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절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블럭도로서 전술한 제1도의 구성중 단자(A)와 디코더(2)사이와, 상기 디코더(2)와 A/D변환부(3)사이와, D/A변환부(5)와 엔코더(6)사이와 상기 엔코더(6)와 모니터(7)사이에 제1, 2, 3, 4스위치가 접속되며 단자(A)는 제1스위치(SW1)의 중립단자와 연결되고 제1스위치(SW1)의 a단자는 제4스위치(SW4)의 C단자에 연결되며, 제1스위치(SW1)의 b단자는 디코더(2)의 입력측과 연결된다. 또한 제2스위치(SW2)의 e단자는 상기 디코더(2)의 출력측과 연결되고 제2스위치(SW2)의 f단자는 A/D변환부(3)의 입력측 및 엔코더(6) 입력측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3스위치(SW3)의 g단자는 D/A변환부(5)의 출력측과 연결되며 제3스위치(SW3)의 h단자는 엔코더(6)의 입력측과 연결된다. 또한 제4스위치(SW4)의 d단자는 엔코더(6)의 출력측과 제4스위치(SW4)의 중립단자는 모니터(7)와 연결되어 새로이 접속구성된 것을 제외한 그 이외의 구성 및 참조번호는 동일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스위치(SW1)의 중립단자 a단자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SW2)가 닫힌 상태이고 제3스위치(SW3)가 열린상태이고 제4스위치(SW4)의 중립단자가 C단자에 연결된 경우에는 단자(A)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제1, 4스위치(SW1, SW4)를 통해 모니터(7)로 입력하게 되어 사용자가 메모리 또는 프린트를 하지 않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스위치(SW1)의 중립단자가 b단자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SW2)가 닫힌상태이고 제3스위치가 열린상태로 제4스위치(SW4)의 중립단자가 d단자와 연결된 경우에는 단자(A)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제1스위치, 디코더(2), 제2스위치(SW2), A/D변환부(3)를 통해 메모리(4)로 송출되는 동시에 입력영상신호가 제1스위치(SW1), 디코더(2), 제2스위치(SW2), 엔코더(6), 제4스위치(SW4)을 통해 모니터(7)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메모리 또는 프린트시킴과 동시에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동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SW1)의 중립단자가 b단자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SW2)가 열린상태이고 제3스위치(SW3)가 닫힌 상태이며 제3스위치(SW3)의 중립단자가 d단자와 연결된 경우에는 메모리(4)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D/A변환부(5), 제3스위치(SW3), 엔코더(6), 제4스위치(SW4)를 통해 모니터(7)에 송출하게 되어 메모리(4)에 기억된 영상정보를 모니터(7)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위치의 연결상태에 따라 메모리 또는 프린트를 하지않고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직접 모니터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메모리 또는 프린트시키는 동시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메모리가 기억된 영상정보를 모니터상에 표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비디오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단자(A)와 디코더(2)사이와, 상기 디코더(2)와 A/D변환부(3)사이와, D/A변환부(5)와 엔코더(6)사이 및 엔코더(6)과 모니터 사이에 제1, 2, 3, 4스위치가 접속되어 사용자가 입력영상신호를 메모리 또는 프린트하지 않고 직접 모니터(7)에 송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제1절환수단과,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메모리 또는 프린트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제2절환수단과, 사용자가 이미 기억된 영상정보의 내용을 모니터(7)에 표시할 수 있는 제3절환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린터장치.
KR2019890010342U 1989-07-14 1989-07-14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KR910008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342U KR910008260Y1 (ko) 1989-07-14 1989-07-14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342U KR910008260Y1 (ko) 1989-07-14 1989-07-14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61U KR910003161U (ko) 1991-02-26
KR910008260Y1 true KR910008260Y1 (ko) 1991-10-15

Family

ID=1928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342U KR910008260Y1 (ko) 1989-07-14 1989-07-14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2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61U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7632A2 (en) Digital camera
US5452022A (en) Image signal storage device for a still video apparatus
KR910008260Y1 (ko)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KR930010485B1 (ko) 자막정보 처리장치
KR100224850B1 (ko) 영상 신호 합성장치
US615141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apability of synthesizing contents of plural memories
KR200151054Y1 (ko) 재생화면의 줌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
JPS60264176A (ja) 画像蓄積装置
US6434281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545381B2 (ja) モニタ内蔵型プリンタ
CA2313998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6121263A (ja) 映像信号の記録方法
JP2602189B2 (ja) 画像表示方法
KR0164573B1 (ko) 정보 텔레비젼의 정보 화면 기록 장치
KR930004490Y1 (ko) 모니터에 있어서의 동적화상과 정지화상의 전화회로
KR0141148B1 (ko) 멀티 영상 선택 기록 및 재생 장치
KR950010026B1 (ko) 캠코더의 타이틀소스 변경회로
JPS62207090A (ja) ビデオプリンタ装置
KR20050097785A (ko)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JPH06318061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H04331589A (ja) 文字記憶/再生装置
JPH0618920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9990031964A (ko) 컴퓨터 화면 정보 저장 장치
JPH05167974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970017539A (ko) 브이씨알의 화면 편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