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785A -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785A
KR20050097785A KR1020040023034A KR20040023034A KR20050097785A KR 20050097785 A KR20050097785 A KR 20050097785A KR 1020040023034 A KR1020040023034 A KR 1020040023034A KR 20040023034 A KR20040023034 A KR 20040023034A KR 20050097785 A KR20050097785 A KR 2005009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detected
synchronization sig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934B1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2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9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29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buffer having a specific structure
    • G11B2020/10638First-in-first-out memories [FIFO]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는 각 채널에서 입력되는 각각의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수단과, 표시 장치를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는 수단과, 각 분할 화면에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기 신호를 갖는 비디오 신호의 개수에 따라 모니터를 분할한 후 동기 신호를 갖는 비디오 신호를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APPARATUS FOR MULTI-SCREEN DISPLAY}
본 발명은 다중 화면 분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채널의 수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압축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 Digital Video Recorder)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은행, 상가, 가정 등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감시 시스템의 보안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송출되는 영상 신호를 압축 처리하여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이 통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수 개의 카메라가 전송하는 다수개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하나의 모니터를 다수 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채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즉, 하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4분할(Quad) 또는 16분할하여 여러 개의 채널을 하나의 화면에 멀티스크린(Multi-Screen)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다중 채널을 하나의 모니터에 분할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카메라(90)는 촬영한 비디오 신호(100)를 디코더(decorder ; 101)에 입력시키고, 디코더(101)는 아날로그 신호인 비디오 신호(100)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에, 디코더(101)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의 표준 비디오 포맷(ITU-R)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FIFO(First-In First-Out) 기억 장치(102)에 저장한다. 즉, 각각의 감지 카메라(90)가 전송하는 영상을, 예를 들어 4개로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각각 채널의 영상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FIFO(102)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어서, EPLD(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 104)의 제어 하에 제 1 FIFO(102), 제 2 FIFO, 제 3 FIFO, …, 제 n FIFO 등을 하나씩 번갈아 가며 액세스하여, 분활된 화면을 차례로 주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640ㅧ480 해상도의 텔레비전 모니터에 4개의 화면으로 320ㅧ240 해상도의 멀티스크린(106, 107, 108, 109)를 구성하는 경우 제 1 화면(106)의 첫 번째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제 1 FIFO(102)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한 후에는 EPLD(104)의 제어 하에 제 화면(107)을 주사하기 위하여 제 2 FIFO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야한다.
이와 같이하여 다수개의 FIFO(102)로부터 순차적으로 동기화되어 액세스 되어 읽어온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인코더(103)에 내장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D/A 컨버터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모니터(105)에 출력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다채널 다중 화면 분할 시스템의 경우, 분할 화면의 개수는 카메라(9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리모콘과 같은 키 입력 수단의 조작을 통해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 유무에 따라 분할 화면을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를 제공하고자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n 개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화면에 n 개의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상기 각 채널에서 입력되는 각각의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는 수단과, 상기 각 분할 화면에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수단은 상기 각각의 채널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n 개의 디코더로 구성되며, 외부의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n 개의 디코더들 중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동시키는 디코더 그룹과,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에 대응되는 디코더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에 대응되는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RGB 신호로 순차 변환시키는 인코더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회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채널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장치, 예를 들면 모니터(214)를 n 개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화면에 n 개의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채널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한 후 모니터(214)를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와 같은 다채널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2, 3, … n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 그룹(200), 각각의 카메라에 대응되어 연결된 제 1, 2, 3, … n 동기 신호 검출부로 구성된 동기 신호 검출 그룹(202), 각각의 동기 신호 검출부에서 동기 신호를 수신받는 마이컴(204), 각각의 동기 신호 검출부에 대응되어 연결된 제 1, 2, 3, … n 디코더로 구성된 디코더 그룹(206), 기억 그룹(210)을 제어하는 EPLD(208), 각각의 디코더에 대응되어 연결된 제 1, 2, 3, … n FIFO로 구성된 기억 그룹(2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FIFO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더(212) 및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14)를 포함한다.
동기 신호 검출 그룹(202)은 각각의 채널, 즉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며, 동기 신호 검출에 따라 모니터(214)의 분할 화면 개수를 제어할 수 제어 신호를 마이컴(204)에 제공한다. 즉, 동기 신호 검출 그룹(202)의 각각의 동기 신호 검출부는 동기 신호가 검출될 경우에만 제어 신호를 마이컴(204)에 제공한다.
마이컴(204)은 동기 신호 검출 그룹(204)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개수에 따라 모니터(214)의 분할 화면의 개수를 결정한 후 EPLD(208)를 제어하며, 제어 신호를 송출한 동기 검출부에 연결된 디코더만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디코더 그룹(206)에 제공한다.
디코더 그룹(206)은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신호가 검출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에 연결된 디코더만을 구동시키고, 구동된 디코더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구동 신호에 의해서 구동된 디코더는 카메라에서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의 표준 비디오 포맷에 의거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기억 그룹(210)에 저장시킨다. 즉,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디오 신호 중 동기 신호가 검출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가 4개인 경우, 즉 4개의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4개의 분할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4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구동된 디코더에 연결된 FIFO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어서, EPLD(208)는 기억 그룹(210) 중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FIFO를 하나씩 번갈아가며 액세스하여, 분할된 화면을 차례로 주사하게 된다. 즉, 제 1, 3, 4, 5 FIFO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ELPD(208)는 첫 번째 화면의 첫 번째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제 1 FIFO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한 후 두 번째 화면을 주사하기 위하여 제 3 FIFO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와 같이하여 다수개의 FIFO로부터 순차적으로 동기화되어 액세서하여 읽어온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인코더(212)에 내장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D/A 컨버터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모니터(214)에 출력된다. 즉, 기억 그룹(210)의 FIFO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RGB 신호로 순차 변환되어 모니터(214)에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즉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 검출을 통해 구동될 디코더를 결정함과 더불어 동기 신호가 갖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수에 대응하여 모니터를 자동으로 분할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된 비디오 신호를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모니터의 화면을 분할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은 동기 신호를 갖는 비디오 신호의 개수에 따라 모니터를 분할한 후 동기 신호를 갖는 비디오 신호를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다중 채널을 하나의 모니터에 분할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회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카메라 그룹 202 : 동기 신호 검출 그룹
204 : 마이컴 206 : 디코더 그룹
208 : EPLD 210 : 기억 그룹
212 : 인코더 214 : 모니터

Claims (3)

  1. 표시 장치를 n 개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화면에 n 개의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상기 각 채널에서 입력되는 각각의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다중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는 수단과,
    상기 각 분할 화면에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수단은,
    상기 각각의 채널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n 개의 디코더로 구성되며, 외부의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n 개의 디코더들 중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동시키는 디코더 그룹과,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에 대응되는 디코더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된 채널에 대응되는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RGB 신호로 순차 변환시키는 인코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FIF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KR1020040023034A 2004-04-02 2004-04-02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KR10058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034A KR100588934B1 (ko) 2004-04-02 2004-04-02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034A KR100588934B1 (ko) 2004-04-02 2004-04-02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785A true KR20050097785A (ko) 2005-10-10
KR100588934B1 KR100588934B1 (ko) 2006-06-12

Family

ID=3727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034A KR100588934B1 (ko) 2004-04-02 2004-04-02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54B1 (ko) * 2011-08-02 2012-05-14 (주)블루비스 다중 화면 분할 장치 및 방법
KR20130067131A (ko) * 2011-12-13 2013-06-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다채널 영상 시스템에서 출력 가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54B1 (ko) * 2011-08-02 2012-05-14 (주)블루비스 다중 화면 분할 장치 및 방법
KR20130067131A (ko) * 2011-12-13 2013-06-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다채널 영상 시스템에서 출력 가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934B1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06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ultiple video signals
US20040046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definition multi-screen display
US20040075741A1 (en) Multiple camera image multiplexer
KR970019574A (ko)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US6859609B1 (en) Portable digital recorder
KR100324394B1 (ko) 디지털 영상 감시 시스템
KR100588934B1 (ko)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KR100272447B1 (ko) 멀티화면 분할기
KR100649891B1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100393408B1 (ko) 다분할 영상 감시 녹화 시스템
KR20070077381A (ko) 고해상도 화면 분할장치
KR20100082166A (ko) 영상 재생장치
US5822013A (en) Selective projection image freeze device
KR100259548B1 (ko) 디지털다중화상감시시스템
KR100188440B1 (ko) 감시용 카메라시스템의 다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100456402B1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KR100492568B1 (ko) 동영상의 정지영상 변환장치 및 방법
JP3690628B2 (ja) パノラマ画像表示装置
JP200624628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7074455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H1066062A (ja) 多画面表示システム
JPH0767098A (ja) 動画像監視装置
JP2021132339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295326B1 (ko) 디지탈광학기기의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처리장치
KR20020043926A (ko) 동영상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영상저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