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508A -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508A
KR19990034508A KR1019970056127A KR19970056127A KR19990034508A KR 19990034508 A KR19990034508 A KR 19990034508A KR 1019970056127 A KR1019970056127 A KR 1019970056127A KR 19970056127 A KR19970056127 A KR 19970056127A KR 19990034508 A KR19990034508 A KR 1999003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uspension ho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junc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학열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5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508A/ko
Publication of KR1999003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508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조향 안정성을 위하여 서스팬션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서, 엔진 룸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서스팬션 하우징의 상부에 다수개의 서스팬션 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서스팬션 볼트를 매개로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정션(junction)이 고정되며, 상기 정션의 결합부가 판형의 스트립에 의하여 서로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는 서스팬션 하우징이 엔진의 진동 및 차량의 동적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서스팬션의 조향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 차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룸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서스팬션 하우징(suspension housing)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 부재인 스트립(strip)를 형성함으로써 서스팬션 하우징의 강성을 강화하는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행시 노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토션 빔과 차체사이에는 서스팬션이 장착되며, 차체의 전방의 경우 이 서스팬션의 상단부는 차체의 엔진 룸에 형성된 서스팬션의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엔진 룸의 개략적인 형상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전방에는 엔진등 동력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인 엔진 룸(2)이 형성되며, 상기 엔진 룸(2)의 양측벽에는 반구형의 서스팬션 하우징(3)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서스팬션 하우징(3)의 하부에는 휠이 고정되는 토션 빔이 횡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션 빔의 양단부에는 완충 기능을 위한 서스팬션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스팬션의 상단부는 서스팬션 하우징(3)의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차체(1)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하우징은 엔진 룸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엔진의 진동에 영향을 받음과 아울러, 차량의 동적 하중을 받기 때문에 급격한 코너링이나 악로 주행시 변형이 발생되어 조향 안정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스팬션의 조향 안정성을 유지 및 향상하기 위하여 서스팬션 하우징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엔진 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2 : 엔진 룹
3 : 서스팬션 하우징 4 : 서스팬션 볼트
5 : 정션 6 : 스트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안정성을 위하여 서스팬션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서, 엔진 룸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서스팬션 하우징의 상부에 3∼4개의 서스팬션 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서스팬션 볼트를 매개로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정션(junction)이 고정되며, 상기 정션의 결합부가 판형의 스트립에 의하여 서로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는 서스팬션 하우징이 엔진의 진동 및 차량의 동적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서스팬션의 조향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 차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전방에는 엔진등 동력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인 엔진 룸(2)이 형성되며, 상기 엔진 룸(2)의 양측벽에는 반구형의 서스팬션 하우징(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스팬션 하우징(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서스팬션 볼트(4)의 단부가 돌출되며, 이 서스팬션 볼트(4)의 단부를 매개로 정션(5)이 고정된다. 상기 정션(5)은 하부(51)가 말굽형태로 이루어져 서스팬션 볼트(4)에 고정되며, 일측 상부는 볼트공을 갖는 플랜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52)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션(5)의 결합부(52)에 판형 스트립(6)의 단부가 볼트로 고정되어 엔진 룸(2)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는 각 서스팬션 하우징(3)의 상부에 돌출된 서스팬션 볼트(4)를 매개로 정션(5)이 고정되며, 상기 각 정션(5)을 스트립(6)으로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및 차체의 동적 하중에 대응하여 조향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체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는 볼트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탈착이 가능하여 정비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는 서스팬션 하우징이 엔진의 진동 및 차량의 동적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서스팬션의 조향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 차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조향 안정성을 위하여 서스팬션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서, 엔진 룸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서스팬션 하우징의 상부에 3∼4개의 서스팬션 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서스팬션 볼트를 매개로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정션이 고정되며, 상기 정션의 결합부가 판형의 스트립에 의하여 서로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의 결합부는 스트립의 단부에 볼트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구조.
KR1019970056127A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19990034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127A KR19990034508A (ko)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127A KR19990034508A (ko)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08A true KR19990034508A (ko) 1999-05-15

Family

ID=6604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127A KR19990034508A (ko)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5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4374A (en) Power unit suppor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US6299240B1 (en) Lightweight vehicle frame construction using stiff torque boxes
KR100535004B1 (ko) 프런트 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 구조
US6120060A (en) Rear suspension support assembly
US5549350A (en) Rear underbody structure
KR100570591B1 (ko) 파워플랜트 마운트 장치
KR100220036B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KR100448791B1 (ko) 자동차 플로어의 리어 서스펜션 연결부 구조
KR19990034508A (ko)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JP2000085579A (ja) 鉄道車両用台車枠
KR19990034507A (ko)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19990016743U (ko)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19990016742U (ko)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19990016741U (ko)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100439965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강성구조
KR100333881B1 (ko) 자동차 프레임 보강 구조
KR101189353B1 (ko) 리어 서스펜션 암 장착부 구조
KR0125845Y1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
CN219257464U (zh) 转向管柱的安装总成和车辆
KR20220055294A (ko) 차량 전방구조
KR100539434B1 (ko) 부분 정비성을 갖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163802B1 (ko) 차량용 리어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체
KR20070055804A (ko) 자동차의 현가아암구조
KR100578568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100369733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