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93A -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93A
KR19990033893A KR1019970055336A KR19970055336A KR19990033893A KR 19990033893 A KR19990033893 A KR 19990033893A KR 1019970055336 A KR1019970055336 A KR 1019970055336A KR 19970055336 A KR19970055336 A KR 19970055336A KR 19990033893 A KR19990033893 A KR 1999003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ack plate
wheel
vehicle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893A/ko
Publication of KR1999003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93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그의 외측면으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를 형성하여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튕겨져 올라오는 돌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파이프 및 ABS센서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드럼(28)과 대향으로 배치되며 휠 실린더(36)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백 플레이트(50)에는 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52)가 형성되어 있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성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그의 외측면으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를 형성하여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튕겨져 올라오는 돌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파이프 및 ABS센서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제동을 위해 사용하는 브레이크는 크게, 주행속도를 줄이거나 운행중에 일시적인 정차를 위해 사용하는 주 제동용의 휠 브레이크와, 장시간의 주차를 위해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로 나눌 수 있으며, 휠 브레이크는 마찰력을 발생하는 형태에 따라 드럼식과 디스크식 브레이크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휠 브레이크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 브레이크 페달(2)은 핀(4)을 중심으로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을 밟으면, 페달(2)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로드(6)가 가압된다. 이때, 부우스터(8)에 의해 페달의 가압력이 배가되면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0)내의 피스톤을 밀게 된다.
피스톤의 이동으로 압축된 브레이크 오일은 브레이크 파이프(12)를 통해 프론트 휠에 설치된 캘리퍼(16)의 실린더로 공급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4)를 정지시키는 한편, 브레이크 파이프(38)를 통해 리어 휠에 설치된 휠 실린더(36)로 공급되어 브레이크 라이닝을 팽창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드럼과의 마찰접촉에 의해 제동력을 얻게 된다.
최근에는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휠 브레이크에 각종 안전장치를 채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안티록 브레이크 장치(anti lock brake system;이하, ABS장치라 칭함)가 있다. ABS장치는 바퀴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그 변화에 따라 제동력을 다르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어떠한 주행조건에서나 어느 바퀴도 록(lock)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때, 바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ABS센서는 다음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보인 단면도이다. 리어 액슬 케이싱(22)에는 휠의 회전수를 감지한 다음, 와이어(42)에 의해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ABS센서(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백 플레이트(26)에는 상기한 휠 실린더(36)가 설치되어 있어, 제동시에 브레이크 라이닝을 팽창시키게 된다.
리어 휠 브레이크에는 브레이크 라이닝과 마찰 접촉하여 제동력을 얻는 브레이크 드럼(28)이 구비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28)은 타이어(24)가 장착된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허브(30)상에 장착되며, 리어 액슬 케이싱(22)에 고정되는 백 플레이트(26)와 대향으로 배치된다. 휠 허브(30)에는 이탈 방지용 너트(34)가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에서는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튕겨져 올라온 돌이나 물체가 백 플레이트를 지나 내측으로 유입되어 브레이크 파이프를 손상시키거나 ABS센서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먼지나 물 등이 ABS센서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휠 스피드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백 플레이트를 지나 내측으로 유입되는 돌이나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브레이크 파이프의 손상을 막고 ABS센서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 전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브레이크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브레이크 페달 8:부우스터
10: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20:브레이크 라이닝
22:액슬 하우징 28:브레이크 드럼
50:백 플레이트 52:차폐부
52a:만곡부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을 팽창시켜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킴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휠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드럼과 대향으로 배치되며 휠 실린더가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에는 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돌이나 작은 물체가 튕겨져 올라오는 경우, 백 플레이트의 차폐부에 의해 제지되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브라이크 파이프 및 ABS센서의 손상을 막아 항상 우수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를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파이프(38)나 ABS센서(40)등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 플레이트(50)의 외주면에 차폐부(52)를 형성하였다. 이 차폐부(52)는 스틸 강판을 얇게 프레스 가공한 다음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백 플레이트(50)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틸 강판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성 보강을 위해 차폐부(52)의 일부를 벤딩시킨 만곡부(52a)를 형성하였다.
이 백 플레이트(50)의 외측면으로부터 도 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휠 브레이크에는 브레이크 라이닝과 마찰 접촉하여 제동력을 얻는 브레이크 드럼(2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 드럼(28)과 대향으로 리어 액슬 하우징(22)측에는 백 플레이트(50)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 4는 백 플레이트(50)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것으로, 백 플레이트(50)의 외주부에는 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5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노면으로부터 튕겨져 올라오는 이물질이나 돌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리어 액슬 케이싱(22)에 설치된 ABS센서(40)나 브레이크 파이프(3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돌이나 작은 물체가 튕겨져 올라오는 경우에도 백 플레이트의 차폐부에 의해 제지되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브라이크 파이프 및 ABS센서의 손상을 막아 항상 우수한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브레이크 파이프(38)를 통해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을 팽창시켜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킴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휠 실린더(36)를 포함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드럼(28)과 대향으로 배치되며 휠 실린더(36)가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50)에는 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KR1019970055336A 1997-10-27 1997-10-27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KR19990033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336A KR19990033893A (ko) 1997-10-27 1997-10-27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336A KR19990033893A (ko) 1997-10-27 1997-10-27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93A true KR19990033893A (ko) 1999-05-15

Family

ID=6604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336A KR19990033893A (ko) 1997-10-27 1997-10-27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8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6133B1 (en) Brak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KR19990033893A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백 플레이트
KR0123822B1 (ko) 마찰패드 마모감지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
WO1998003354A3 (en) Wheels and brakes for vehicles
KR100372420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JP2671054B2 (ja) 車輪回転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100230206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킹 시스템
KR100980971B1 (ko) 스피드 센서용 톤휠 및 그 제작방법
KR200212672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점검장치
KR100343577B1 (ko)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마모경고장치
KR100709679B1 (ko) 드럼 브레이크
KR100289306B1 (ko) 차량의전륜휠스피드센서용로터
KR100251352B1 (ko)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KR19990019859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경보장치
KR015822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
KR200293356Y1 (ko) 드럼 브레이크
KR19990033846A (ko) 차량의 후륜 휠 스피드 센서용 로터
KR100267646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19990020968A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9990026450U (ko)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
JPH1044951A (ja) 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における車輪速センサのシール構造
KR19990032537A (ko) 자동차용 충돌 방지 장치
KR19990040169A (ko) 급제동시 차량충돌 방지장치
KR19980041319U (ko) 브레이크 라이닝 센서를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 조립체
KR20010062949A (ko) 차량용 디스크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