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352B1 -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 Google Patents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352B1
KR100251352B1 KR1019970076648A KR19970076648A KR100251352B1 KR 100251352 B1 KR100251352 B1 KR 100251352B1 KR 1019970076648 A KR1019970076648 A KR 1019970076648A KR 19970076648 A KR19970076648 A KR 19970076648A KR 100251352 B1 KR100251352 B1 KR 10025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ehicle
ecu
shock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642A (ko
Inventor
장진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3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1Rear collision or recoiling bounce after 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2030/082Vehicle operation after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정지하고 있는 자동차의 후부에 달려오던 자동차가 추돌되었을 때 정지해 있던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충격을 최소화하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장치의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에 연결된 ECU(22), 상기 ECU(22)에 연결되며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충격감지센서(21) 및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를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에 답력을 가하여 정차해 있을 때 자동차의 후방에서 다른 자동차가 달려와 충돌하게 되면 정지해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가 일시적으로 릴리스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정지하고 있는 자동차의 후부에 달려오던 자동차가 추돌되었을 때 정지해 있던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충격을 최소화하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동장치(brake system)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동장치에는 여러형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상태에 따라 주행시 제동하기 위한 주브레이크와 주차시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가 있다. 주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발로 주작하므로 푸트브레이크(foot brake)라고 불리며, 주차브레이크는 주로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핸드브레이크라고도 불린다.
브레이크는 작동방식에 따라 다시 로드나 와이어를 이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푸트 브레이크는 유압식이고 주차브레이크는 기계식이다.
유압식브레이크는 그 형식에 따라 드럼식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디스크브레이크는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서 제동패드을 유압에 의하여 눌러서 제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식을 캘리퍼형(caliper type brak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드럼식 브레이크는 휠 실린더, 브레이크 슈, 백플레이트 및 브레이크 드럼으로 구성되며 브레이크드럼의 원주내측면을 향하여 양측으로 설치된 브레이크 슈를 휠실린더로 가압하여 브레이크의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의 편의상 전륜과 후륜의 일측의 휠만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1)을 작동시키면 페달아암(1a)에 연결된 푸시로드(1b)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2)내의 피스톤(2a)이 전진하여 실린더(2)내의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므로써 전,후륜측의 브레이크라인(3,4)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브레이크라인(3,4)의 종단과 연통된 캘리퍼(전륜측)나 브레이크슈(후륜측)의 휠실린더(6,8)로 고압의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여 라이닝이나 패드를 브레이크드럼(10,내부확장식)이나 디스크(캘리퍼식,전륜측)에 압착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을 해방시키면 압축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실린더(2)로 복귀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브레이크장치에 의해 자동차가 정지해 있을 때 후방에서 다른 자동차가 달려와 상기 자동차의 후부에 충돌하게 되면 종래의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한 자동차는 브레이크작용의 경직성으로 인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그대로 흡수하게 된다. 그래서, 탑승자의 상해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페달에 답력을 가하여 정차해 있을 때 자동차의 후방에서 다른 자동차가 달려와 충돌하게 되면 정지해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가 잠시 해제되었다가 다시 제동되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정지해 있는 자동차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을때에는 작용하지 않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되이다.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20 : 전방장애물감지센서 21 : 후방충격감지센서
22 : ECU 23 : 솔레노이드밸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장치의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ECU, 상기 ECU에 연결되며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충격감지센서 및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장애물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ECU는 상기 전방장애물감지센서가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후방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였다하더라도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 및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충격감지센서(21), 상기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 및 후방충격감지센서(21)에 연결된 ECU(22), 상기 ECU(22)에 연결되어 주브레이크장치의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시그날을 ECU(22)로 인가한다.
또한, 후방충격감지센서(21)는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후방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을 감지하여 시그날을 ECU(22)로 인가한다.
상기 ECU(22)는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가 감지한 장애물의 유무와 후방충격감지센서(21)가 감지한 충격센서를 인가받아 솔레노이드밸브(23)로 시그날을 전달한다. 이때,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가 전방의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인식했을 때 상기 ECU(22)는 후방충격감지센서(21)가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센서를 상기 ECU(22)에 인가하더라도 상기 ECU(22)는 전,후륜의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를 작동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가 자동차의 전방에 장애물이 없다는 시그날이 ECU(22)로 인가될 때에만 후방충격감지센서(21)의 시그날을 수용하여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를 작동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는 주브레이크장치의 유압계통을 구성하는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래서, 전술한 ECU(22)가 시그날을 인가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는 작동된다.
이어 상기와 구성된 본 발명의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신호를 기다리기 위해 브레이크페달에 조작력을 풀(full)로 가하여 정차해 있을 때 후방에서 달려 온 자동차가 정차해 있는 자동차의 후방에 충돌하게 되면 정차해 있던 자동차의 후부에 설치된 후방충격감지센서(21)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센서를 ECU(22)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ECU(22)는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를 개방하여 유압계통 내부의 브레이크오일의 압력을 저하시켜 잠겨있던 브레이크를 일시적으로 느슨하게 하여 자동차가 앞으로 밀려가면서 후방에서 가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그런데, 자동차의 전방에 자동차 또는 다른 장애물이 있으면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가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ECU(22)로 시그날을 인가하면 후방에서 달려 온 자동차가 충격을 가하더라도 ECU(22)가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를 작동하지 않아 정차해 있던 자동차가 전방을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주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장치의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에 연결된 ECU(22), 상기 ECU(22)에 연결되며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충격감지센서(21) 및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장애물감지센서(20)를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에 답력을 가하여 정차해 있을 때 자동차의 후방에서 다른 자동차가 달려와 충돌하게 되면 정지해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가 일시적으로 릴리스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주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장치의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ECU, 상기 ECU에 연결되며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충격감지센서 및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장애물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전방장애물감지센서가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후방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였다하더라도 전,후륜 브레이크 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추돌시 충격완화장치.
KR1019970076648A 1997-12-29 1997-12-29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KR10025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648A KR100251352B1 (ko) 1997-12-29 1997-12-29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648A KR100251352B1 (ko) 1997-12-29 1997-12-29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642A KR19990056642A (ko) 1999-07-15
KR100251352B1 true KR100251352B1 (ko) 2000-05-01

Family

ID=1952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648A KR100251352B1 (ko) 1997-12-29 1997-12-29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791B1 (ko) * 2022-12-26 2023-06-08 세이프티위드 주식회사 차량의 후방 추돌을 경고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64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352B1 (ko) 후방 추돌시 충격완화장치
KR100224391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10036903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693602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장치
KR19990026221U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0167917B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0124017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9990019603A (ko) 차량에서 스티어링 휠의 브레이크 시스템
KR970002204Y1 (ko) 유압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0126342Y1 (ko) 자동차용 제동장치
KR19980035815A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
KR200141808Y1 (ko) 자동차용 마스터실린더의 리턴포트
KR100211706B1 (ko) 브레이크페달 연동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0193667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보호 장치
KR0185895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보호 장치
KR19980049205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19980022188U (ko) 자동차의 노즈 다운 방지장치
KR100267646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0173868B1 (ko) 자동차 주행중 시동 &#39;오프&#39;시의 브레이크 유압 공급장치
KR19990015760U (ko) 보조브레이크장치
KR19980037204U (ko) 차량 추돌시 자동 브레이크장치
KR19980085365A (ko) 차량용 제동장치
KR19990031764U (ko) 차량 구름방지 장치
KR19990018802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장치
KR20030018594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