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466U -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 Google Patents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466U
KR19990033466U KR2019990006921U KR19990006921U KR19990033466U KR 19990033466 U KR19990033466 U KR 19990033466U KR 2019990006921 U KR2019990006921 U KR 2019990006921U KR 19990006921 U KR19990006921 U KR 19990006921U KR 19990033466 U KR19990033466 U KR 19990033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ound absorbing
absorbing tube
main body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백
Original Assignee
이성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백 filed Critical 이성백
Priority to KR2019990006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466U/ko
Publication of KR19990033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46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판모양으로 구성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내향함몰형성되는 결합홈부를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 하부면에 뚜껑과 일체로 구성되고, 일측에 안내통공이 구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안내통공의 상부에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가 개구되고, 원주형의 주름절곡부가 구비된 매립돌출형 흡음관과; 상기 뚜껑과 절단선을 따라 분리가 가능하고, 저면에 흡음관이 부착되고, 상기 흡음관을 돌출시키고 개구시키는 손잡이가 부착된 마개;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면에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따라서 흡음관이 상기 본체에 내장되었다가 돌출되므로 먼지나 불순물에 오염되지 않은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고, 돌출부가 직접 입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흘러 나오므로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고, 흡음시 고개를 심하게 뒤로 젖혀야 하는 문제가 해결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uneven form drinking straw contained can}
본 고안은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 뚜껑에 다수개의 주름절곡부가 구비된 매립돌출형 흡음관을 부착하여 상기 흡음관를 통하여 음료가 유출되게 함으로써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흡음 할 수 있게하는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명이 발달하고 우리의 생활이 점차 나아짐에 따라 생활용품 소비의 다양함이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그중에 인스탄트, 일회용품 등의 소비가 늘어가는 추세이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된 포장용품의 소비량이 가장 으뜸으로 손꼽힌다. 특히 음료와 맥주 등을 알미늄이나 스틸용기에 넣어 포장판매하는 캔 종류의 소비량은 선진국과 후진국을 막론하고 실로 엄청나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과거에 비해 캔 음료의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 예를들면 고속도로 휴게실의 음료는 100% 캔화 되어있고, 직장단위의 야유회나 체육대회 등의 행사시에도 간편함을 위해 캔 음료를 선호한다. 그리고 독신자나 부유층도 캔의 일회성 및 간편성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가 대부분의 가정으로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캔용기가 사용되어 진다.
일반적인 종래의 캔 용기를 첨부도면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상부면에 뚜껑(2)이 상기 본체(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2) 상부 중간면에 따개손잡이(3)가 고정핀(4)으로 뚜껑(2)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따개손잡이(3) 일측 하단부에 절단선(5)을 따라 절단 되어 내부로 기울어져음료수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마개(6)가 구비되었다. 그리고 상기 뚜껑(2)의 외주말단부와 본체(5) 연결부분은 내부로 오목하게 굴곡부(7)가 형성되었고, 본체(1) 상부 말단부가 뚜껑(2)보다 상부로 일정부분 돌출된 돌출부(8)가 구비되었다.
상기 따개손잡이(3)를 고정핀(4)을 축으로 하여 일측을 상부로 들어 올리면, 따개손잡이(3) 타측하단부에 구비된 마개에 따개손잡이(3)의 타측에 의해 하방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마개(6)가 절단선(5)을 따라 절단되어 본체(1)내부로 경사지게 유입되어 배출구를 개방시킨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음료가 배출되어 흡음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 하부에 원형상으로 구비된 결합돌기(미표시)가 상기오목부(7)에 삽입됨으로써 여러개의 캔을 안정되게 적치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돌출부(8)는 입술을 갖다대어 용이하게 흡음 할 수 있도록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에서 기술한 캔 용기는 후술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캔을 마시기 위해서는 본체의 돌출부 및 뚜껑부위에 입을 접촉시켜야하는바, 입을 대는 부분이 유통과정이나 보관방법에 따라 정도 차이는 있으나 먼지나 불순물에 의해 대부분 오염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구를 개방시킬때 캔 뚜껑의 일부가 캔 내부로 유입되므로 뚜껑 상부면에 묻어있던 먼지나 불순물을 고스란히 흡음하게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둘째, 음료수 흡음시 본체 상부 돌출부에 입을 대고 흡음하는바, 상기 돌출부는 입의 흡음부위 구조와 잘 융화되지 못하고, 촉감이 좋지 않아 거부감을 일으킬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셋째, 캔을 입에 대고 흡음할 시,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안내로 없이 배출되므로써 입주변이나 턱으로 흘러 내릴 수 있고, 또한 고개를 뒤로 젖혀서 흡음해야하는 등 많은 불편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첫째 목적은 흡음관이 뚜껑을 따기 전에는 본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존재하고, 뚜껑을 제거할 시 압축된 다수개의 주름절곡부가 펼쳐짐에 의해서 상기 흡음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흡음관이 외부의 먼지나 불순물에 오염되지 않고 정결하게 유지된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기 흡음관이 원주상으로 구성되고, 마개를 제거할 시 흡음관이 외부로 노출됨에 의해, 흡음시 원주상의 흡음관이 입속으로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흡음이 가능하게하여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고개를 뒤로 심하게 젖히지 않고서도 흡음할 수 있는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 - 종래의 음료수 캔의 사시도.
제2도 -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캔의 사시도.
제3도 - 본 고안에 의한 매립돌출형 음료수 캔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본체 51 : 상단부
60 : 뚜껑 61 : 절단선
62 : 요입홈 63 : 결합홈부
70 : 지지부재 80 : 흡음관
81 : 주름절곡부 90 : 마개
91 : 고정핀 92 : 따개손잡이
93 : 결합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은,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판모양으로 구성되고, 상부 의주면을 따라 내향 함몰형성되는 결합홈부를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 하부면에 뚜껑과 일체로 구성되고, 일측에 안내통공이 구비된 지지부재과; 상기 안내통공의 상부에 지지부재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가 개구되고, 원주형의 주름절곡부가 구비된 매립돌출형 흡음관과; 상기 뚜껑과 절단선을 따라 분리가 가능하고, 저면에 흡음관이 부착되고, 상기 흡음관을 돌출시키고 개구시키는 손잡이가 부착된 마개;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 외주면에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흡음관은 상기 지지부재과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안내통공 상부에 안내유로가 구비되고, 안내유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주형 주름절곡부가 형성되어 주름이 접히고 펼쳐짐에따라 매립돌출이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그리고, 마개는, 저면이 상기 흡음관의 상부면과 결합선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 구비된 절단선을 따라 뚜껑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고정핀으로 고정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흡음관이 본체 내부에 내장되었다가 마개를 따면 외부로 유출되므로 흡음관이 먼지나 불순물로 오염되지 않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원주형의 흡음관이 외부로 돌출되어 입을 직접 흡음관에 대고 흡음이가능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으며 고개를 뒤로 심하게 젖힐 필요도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본고안에 따른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 본체(50)상부면에 상기 본체(50)와 일체로 구성된 뚜껑(60)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60)의 일측에 절단선(61)을 따라 뚜껑(60)과 분리가능한 형태로 마개(90)가 장착되고, 마개(90)의 일측 끝단부에는 고정핀(91)을 이용하여 따개손잡이(92)를 고정시킨다. 한편 따개손잡이(92)에는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분은, 내부로 일정부분 함몰된 요입홈(62)이 형성된 뚜껑(60)의 상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따개손잡이(92)의 통공에 손가락을 삽입할 시, 상기 요입홈(62)이 소정공간을 확보하여 손가락이 쉽게 삽입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원판모양으로 구성된 뚜껑(60)의 상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향 함몰 형성된 결합홈부(6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50)의 하부 외주면에는 원형상의 결합돌기(미도시)가 상기 본체(50)와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부(63)와 결합돌기(미도시)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다량의 캔을 상하로 적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뚜껑(60)의 높이보다 본체(50)의 상단부(51)를 약간 높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함홈부(63)와 결합돌기가 결합할때, 뚜껑(60)보다 약간 높게 구성된 본체 상단부(51)가 상기 결합을 보조하여 안정된 상하 적치가 가능하게 한다.
제 3도는 흡음관(80)이 본체(50) 내부에 매립된 경우와 본체(50) 외부로 돌출된 경우의 종단면도로서, 뚜껑(60) 하부면 일측에 지지부재(70)가 상기 뚜껑(60)과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일측에 안내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이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형상의 둘례가 줄어드는 형태로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통공 상부의 안내유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주상의 주름절곡부(81)가 구비된 흠음관(80)이 상기 지지부재(70)와 일체로 구성되어 안내유로를 따라 캔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흡음관(80)의 상부면은 상기 마개(90)의 저면에서 결합선(93)을 따라 분리 가능한 형태로 상기마개(90)의 저면에 부착된다.
흡음관(80)이 본체(50) 내부에 매립된 상태는 도 3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0)과 절단선(61)을 따라 분리 가능한 마개(90)가, 상기 마개(9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주름절곡부(81)를 가진 흡음관(8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주름절곡부(81)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흡음관(80)이 본체(50) 내부에 내장되게 한다. 이때 상기 흡음관(80)과 일체로 구성된 지지부재(70)가 주름절곡부(81)의 압력을 전달받아 하방으로 편향된 상태가 된다.
이때, 따개손잡이(92)를 상부로 잡아 당겨 마개(90)가 제거된 경우는 도 3의 (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따개손잡이(92)의 통공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핀(91)을 축으로 하여 상기 따개손잡이(92)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절단선(61)을 따라 마개(90)가 상기 뚜껑(60)으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흡음관(80)의 일부가 캔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소정의 힘을 더 가하면 다수개의 주름절곡부(81)가 팽장하고, 상기 주름절곡부(81)의 팽창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편향된 지지부재(70)가 상방향의 장력을 받게되어 상부로 편향되어 흡음관이 외부로 모두 노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동안 따개손잡이(92)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마개(90)의 저면과 흡음관(80)의 상부면이 결합선(93)을 따라 분리되고, 흡음관(80)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됨과 동시에 흡음구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지지부재(70)에도 다수개의 주름절곡부(81)를 만들어상향압력이 가해질때 지지부재(70)가 용이하게 상방향으로 편향되게 하는 방법도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음구가 내장된 매립돌출헝 음료수 캔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캔 뚜껑(6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요입홈(62)부위를 통과하면서 따개 손잡이(92)의 일측에 만들어진 통공에 손가락을 삽입한다. 그런다음 따개손잡이(92)에 상향장력을 가하게 되면 따개손잡이(92) 끝단에 장착된 고정핀(91)을 축으로 하여 상기 장력이 마개(90)에 전달되고, 상기 마개(90)는 절단선(61)을 따라 고정핀(91)이 부착된 측면에서 분리되기 시작하여 뚜껑(60)으로 부터 완전 분리된다. 이 과정중에 주름절곡부(81)가 다수개 구비된 흡음관(8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하향압력이 제거됨에 의해 주름절곡부(81)의 주름이 일부 펴진다. 재차 따개손잡이(92)에 상향장력을 가하면 주름절곡부(81)가 상향장력을 받아 펼쳐짐과 동시에 주름절곡부(81)를 포함한 흡음관(80)과 일체로 구성된 지지부재(70)에 상향압력이 가해져 상기 지지부재(70)가 상부쪽으로 편향되어 흡음관(80)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다. 이때 다시 따개손잡이(92)에 상향장력을 가하게 되면 결합선(93)을 따라 마개(90)와 흡음관(80)이 분리되고 흡음구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흡음 할 수 있다. 이때 과도한 상향장력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면 흡음관(80)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 마개(90)가 분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이때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주름절곡부(81)를 상부로 당겨 흡음관(80)을 인위적으로 노출시키 내용물을 흡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흡음관이 내장된 음료수 캔에 의하면, 흡음관이 마개를 따기 전에는 캔에 내장되었다가 마개를 딸때 비로서 외부로 노출되므로 흡음관이 외부의 먼지나 오염물질에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흡음관이 외부로 노출되고 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입의 구조와 잘 호응하고, 내부의 내용물을 흡음할 시 흡음관에 입을 직접대고 흡음함으로써 외부로 흘리거나 턱주위 및 입주변으로 흘러 내리지 않게 하고, 흡음시 고개를 뒤로 심하게 젖히지 않고 흡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헝성되고, 원판모양으로 구성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내향 함몰형성되는 결합홈부를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 하부면에 뚜껑과 일체로 구성되고, 일측에 안내통공이 구비된 지지부재과;
    상기 안내통공의 상부에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가 개구되고, 원주형의 주름절곡부가 구비된 매립돌출형 흡음관과;
    상기 뚜껑과 절단선을 따라 분리가 가능하고, 저면에 흡음관이 부착되고, 상기 흡음관을 돌출시키고 개구시키는 손잡이가 부착된 마개;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 외주면에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은 상기 지지부재과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안내통공 상부에 안내유로가 구비되고, 안내유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주형 주름절곡부가 형성되어 주름이 접히고 펼쳐짐에따라 매립돌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음료수 캔.
  3. 제 1항 내지 제 2항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저면이 상기 흡음관의 상부면과 결합선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 구비된 절단선을 따라 뚜껑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 고정핀으로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수 캔.
KR2019990006921U 1999-04-16 1999-04-16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KR199900334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21U KR19990033466U (ko) 1999-04-16 1999-04-16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21U KR19990033466U (ko) 1999-04-16 1999-04-16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466U true KR19990033466U (ko) 1999-08-05

Family

ID=5475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921U KR19990033466U (ko) 1999-04-16 1999-04-16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4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691A (ko) 개별 음료수 용기용 마개
US5492253A (en) Cap attachment for small neck plastic bottle of liquid
WO2004045977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13502355A (ja) ストローを保持するくぼみ部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9990033466U (ko) 매립돌출형 흡음관이 내장된 캔
JP2008114924A (ja) 容器用キャップ
US6173579B1 (en) Sealed liquid container
KR200395866Y1 (ko) 압축티슈가 보관된 음료용기
KR200174370Y1 (ko) 두개의 흡음구가 구비된 음료수 캔
JPH10338239A (ja) 空気の混入を防止した自立型容器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200433697Y1 (ko) 다단으로 절첩이 가능한 페트병
KR20090000903A (ko) 일회용 빨대
KR20090106326A (ko) 발열용기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KR200253153Y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KR200348268Y1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0225681Y1 (ko) 절첩식 음료수 페트병
KR200313473Y1 (ko) 음료 용기
KR100540699B1 (ko) 음료용기
JP2001294269A (ja) スパウト付きの袋体の収容容器
KR20100004978U (ko) 분리형 음료용기
KR100877961B1 (ko) 컵을 갖는 용기
KR200250089Y1 (ko) 스트로우 내장형 음료수 용기
KR0122378Y1 (ko) 압착이 용이한 플라스틱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