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109U - 액자 및 메모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 Google Patents

액자 및 메모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109U
KR19990033109U KR2019990003213U KR19990003213U KR19990033109U KR 19990033109 U KR19990033109 U KR 19990033109U KR 2019990003213 U KR2019990003213 U KR 2019990003213U KR 19990003213 U KR19990003213 U KR 19990003213U KR 19990033109 U KR19990033109 U KR 199900331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cture
support
distribution pan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0052Y1 (ko
Inventor
박성대
Original Assignee
박성대
상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대, 상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대
Priority to KR2019990003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0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 및 메모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전반 커버의 도어에 개재시킨 그림, 사진, 메모판 등이 상기 분전반 커버로부터 이탈 분실될 우려가 없고, 자체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이 조명장치가 상기 그림 또는 사진을 비추게 하여 그 시각적 수려함을 더욱 증진시키며, 야간에 정전이 될 경우에도 랜턴과 같은 보조 장비 없이 이를 찾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분전반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단기 등을 수용하는 분전반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전면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개폐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분전반의 커버에 있어서,
내측에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이 설치된 전구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가 수용되는 전지 수용부를 형성하여서 된 몸체를 구비하며, 이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 개폐되는 도어와 써포트를 구비하여 그 사이에 그림 또는 사진 등을 개재시키되, 상기 도어의 후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써포트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와 써포트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를 탄력 지지하도록 힌지축에 스프링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자 및 메모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CONTACT BREAKER BOX COVER}
본 고안은 액자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림 또는 사진, 메모판 등을 개재시키고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그림 또는 사진이 조명을 받아 시각적으로 수려함을 더욱 증진시키거나 잊기쉬운 내용을 메모하여 항상 체크할 수 있고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서도 차단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분전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건물의 각 곳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배선에는 외부에서 갑자기 과전류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배선의 피복이 벗겨져 단선되어 전류가 누출되는 누전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건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는 분전반에 수용되어 건물의 벽 등에 매입 설치되어 있는데, 그 전면 부분은 상기 분전반의 커버에 수용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분전반커버는 상기 분전반의 앞 부분을 이루며, 건물의 벽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개폐되며 내부에 수용된 차단기를 볼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 설치된 분전반의 커버는 차단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에 형성한 투시창을 통해 그 내부에 수용된 차단기를 볼 수 있으며, 정전되거나 또는 배선공사를 할 경우에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차단기의 스위치를 조작한 후, 도어를 폐쇄하여 차단기의 노출을 피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전반의 커버는 벽면 등에 돌출 설치되어 있어 쉽게 눈에 띄나, 그 자체로 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 건물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여, 건물의 사용자들은 분전반의 커버가 설치된 부분의 벽면 등에 가구와 같은 물건을 놓아 상기 분전반의 커버가 가려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정작 상기와 같이 차단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가구를 치워야 하는 등 여간 불편한게 아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분전반 커버의 도어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개재하여 마치 액자가 걸려있는 듯한 심미감을 얻을 수 있는 분전반커버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분전반 커버는 기존 커버의 도어 외측면에 그림 또는 사진 등을 위치시키고 이 그림 또는 사진을 고정시키는 틀을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벽면 등에 돌출 설치된 분전반 커버 상에 또다시 돌출되는 틀이 설치되므로 미관상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건물 사용자들이 건물내에서 활동중 이 돌출 부분에 걸리게되어 활동에 방해가 되고, 또한 상기 틀이 분전반 커버와 일체로 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사용자들에 걸리는 등 외부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이탈되어 그림 또는 사진과 틀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어왔으며, 분전반 커버의 자체 조명장치가 없으므로 야간에 정전이 될 경우에는 이를 찾기위해 랜턴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전반 커버의 도어에 개재시킨 그림 또는 사진, 메모판 등이 상기 분전반 커버로 부터 이탈 분실될 우려가 없고, 자체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이 조명장치가 상기 그림 또는 사진을 비추게 하여 그 시각적 수려함을 더욱 증진시키거나, 또는 잊기쉬운 내용을 메모하여 항상 체크할 수 있게하며, 야간에 정전이 될 경우에도 랜턴과 같은 보조 장비 없이 이를 찾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분전반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단기 등을 수용하는 분전반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전면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개폐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분전반의 도어에 있어서,
내측에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이 설치된 전구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가 수용되는 전지 수용부를 형성하여서 된 몸체를 구비하며, 이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 개폐되는 도어와 써포트를 구비하여 그 사이에 그림 또는 사진, 메모판 등을 개재시키되, 상기 도어의 후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써포트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와 써포트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를 탄력 지지하도록 힌지축에 스프링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에 그림을 개재시키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전지 수용부 (12) 전구 삽입홈 (13) 소켓
(14) 개폐 버튼 (15) 전지 (16) 전구 (20) 도어
(21) 투명 투시창 (22) 걸림 돌기 (30) 써포트 (31) 투시공
(32) 결합홈 (33) 힌지축 (40) 스프링 (50) 그림
(60) 차단기 (100) 분전반 도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에 그림을 개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 커버가 벽면에 설치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단기 등이 수용되는 몸체(10)가 구비되며, 이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힌지축(33)에 의해 회동 개폐되는 도어(20)와 이 도어(20)의 후면에 결합되는 써포트(30)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 사이에 그림(50) 또는 사진, 메모판 등을 개재하여 분전반 커버(100)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도어(20)는 중앙에 투명 투시창(21)을 형성하고 후측면 투명 투시창(21)의 외주연에 다수의 결합 돌기(23)를 형성하며 저면에 폐쇄시 본체(1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22)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이 도어(20)의 후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써포트(30)는 중앙에 도어(20) 폐쇄시에도 차단기(60)를 볼 수 있는 투시공(31)을 형성하며 외주연에 상기 도어(20)의 후측면에 형성한 결합 돌기(23)가 삽입되는 결합홈(32)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에 있어서 도어(20)와 써포트(30)의 상단은 힌지축(33)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되, 이 힌지축(33)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33)에 도어(20)와 써포트(30)가 결합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도어(20)와 일체로 형성하여 써포트(30)와 몸체(10)를 결합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첨부한 도면 도 3에서와 같이 써포트(30)와 일체로 형성하여 도어(2)와 몸체(1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는 등 기타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가 이 힌지축(33)에 의해 회동될 수 있으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가 설치되는 몸체(10)는 하단에 위치하여 도어(20)의 걸림 돌기(22)를 탄력적으로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개폐 버튼(14)을 형성하며 내부 중앙에 형성한 차단기 수용공(17)의 양측에 전구 삽입홈(12)을 형성하고 이 전구 삽입홈(12)에 소켓(13)을 설치하여 전구(16)가 삽입 설치되도록 하며 내부 하단에 상기 소켓(13)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15)가 수용되는 전지 수용부(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소켓(13)은 평상시에는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전원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고 정전이 되면 전지(15)로 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소켓(13)에 결합된 전구(16)가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힌지축(33)에 스프링(40)을 설치하여 도어(20)와 써포트(30)가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개폐되도록 하여 분전반 커버(10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내부에 차단기(60)을 수용하며 벽면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축(33)에 의해 회동되는 도어(20)와 써포트(30) 사이에 그림(50) 또는 사진, 메모판 등을 개재시키고 도어(20)의 후면에 형성한 결합 돌기(23)가 써포트(30)의 결합홈(32)에 삽입되도록 하여 도어(20)와 써포트(30)를 결합시킨다.
이후 몸체(10)의 내부에 형성한 전구 삽입홈(12)의 소켓(13)에 전구(16)을 삽입시켜 상기 전구 삽입홈(12) 내에 전구(16)가 안착되도록 하고. 전지 수용부(11)에 전지(15)를 삽입 설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하여 모든 설치가 완료되며, 상기 전구(16)는 항상 점등된 상태로 그림(50) 또는 사진, 메모판 등을 비추게 되어 상기 그림(50) 또는 사진의 시각적 수려함을 더욱 증진시키게 된다. 즉, 전구(16)가 체결된 소켓(13)이 평상시에는 건물로 들어오는 전원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전구(16)를 점등시키고, 정전이 되어 상기 전원으로 부터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면 즉시 전지 수용부(11)에 수용 설치된 전지(15)로 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전구(16)는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전구(16)의 불빛이 써포트(30)의 투시공(31)을 통해 그림(50) 또는 사진의 후측면을 비추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에서는 상기 불빛이 그림(50) 또는 사진을 투광하여 비춰지므로 은은한 조명효과가 있으며, 이로인해 그림(50) 또는 사진이 더욱 수려해 보이고 상기 전구(16)가 항상 점등된 상태로 있으므로 정전시에도 분전반 커버(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이의 위치를 찾기위해 랜턴 등의 보조 장비가 없어도 된다.
또한 그림(50) 또는 사진 대신 메모판을 개재시킬 때에도 이 메모판에 항상 불빛이 비춰지므로 이 메모판에 메모한 내용이 쉽게 눈에 띄어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면 도 2에서는 그림(50)이 도어(20)의 투명 투시창(21) 전체 면적을 차지하여 써포트(30)의 투시공(31)이 상기 그림(50)에 가려져 외부에서 차단기(60)를 볼 수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써포트(30)의 투시공(31) 외주연에 그림(50) 또는 사진을 배열하여 투시공(31)을 가리지 않게하므로써 액자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단기(60)를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사용도중 차단기(60)를 조작하거나 전구(16) 또는 건지(15)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 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도어(20)의 걸림돌기(22)를 잡고있는 개폐 버튼(14)을 누르면 상기 걸림 돌기(22)를 잡고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힌지축(33) 상에 설치된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는 도어(20)와 써포트(30)가 힌지축(33)에 의해 회동되며 개방된다. 이때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는 결합 돌기(23)와 결합홈(32)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 된 상태이며 스프링(40)의 탄발력으로 그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20)와 써포트(30)가 개방된 후 차단기(60)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전구(16) 또는 전지(15)를 교체할 때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려 한손으로 이 도어(20)와 써포트(3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상기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고, 상기 작업이 끝나면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를 닫게 되는데, 이때 도어(20)의 걸림 돌기(22)는 개폐 버튼(14)에 걸림되어져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2)와 써포트(30) 사이에 그림(50) 또는 사진을 개재시켜 사용하는 본 고안은 상기 그림(50) 또는 사진을 교체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도어(20)와 써포트(30)를 개방시킨후 도어(20)와 써포트(30)가 분리되도록 양자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결합홈(32)에 삽입되어 있던 결합 돌기(23)가 상기 결합홈(32)으로 부터 분리 이탈하게 되어 도어(20)와 써포트(30)가 분리되며, 이후 그림(50) 또는 사진을 교체한 다음 결합 돌기(23)가 결합홈(32)에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는 다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와 써포트가 동일 힌지축에 체결되어 회동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와 써포트가 그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하여도 그 어느것도 몸체로 부터 이탈되지 않아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써포트가 도어의 후면에 위치하므로 돌출되지 않아 건물의 사용자가 사용에 방해를 받지않고, 사진, 그림, 메모등을 투시공의 외주연에 배열하면 사진 등이 설치된 상태로 커버가 폐쇄시에도 차단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체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그림 또는 사진의 시각적 수려함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은 물론 비상시에도 그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도어와 써포트가 스프링에 탄지되므로 상기 도어와 써포트의 개폐가 용이하고 차단기의 스위치 조작이나 전구, 전지 등을 교체할 때에도 그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 고안이다.

Claims (2)

  1. 차단기(60) 등을 수용하는 분전반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축(33)에 의해 회동 개폐되는 도어(20)로 이루어진 분전반의 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 개폐되는 도어(20)와 써포트(30)를 구비하여 그 사이에 그림(50) 또는 사진 등을 개재시키되, 상기 도이(20)의 후면에 결합돌기(23)를 형성하고 써포트(30)에 상기 결합돌기(23)가 삽입되는 결합홈(32)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20)와 써포트(3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20)를 탄력 지지하도록 힌지축(33)에 스프링(40)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내측에 전구(16)가 결합되는 소켓(13)이 설치된 전구 삽입홈(12)을 형성하고 이 소켓(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15)가 수용되는 전지수용부(1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KR2019990003213U 1999-03-02 1999-03-02 분전반 커버 KR200270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13U KR200270052Y1 (ko) 1999-03-02 1999-03-02 분전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13U KR200270052Y1 (ko) 1999-03-02 1999-03-02 분전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09U true KR19990033109U (ko) 1999-08-05
KR200270052Y1 KR200270052Y1 (ko) 2002-03-28

Family

ID=5475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213U KR200270052Y1 (ko) 1999-03-02 1999-03-02 분전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1746A (zh) * 2019-08-16 2019-12-13 江苏东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省力新型电缆沟盖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43B1 (ko) 2012-10-26 2013-08-20 (주)서경테크 배전함박스용 광고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1746A (zh) * 2019-08-16 2019-12-13 江苏东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省力新型电缆沟盖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052Y1 (ko)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68822A1 (en) Light device
US6808283B2 (en) Sensitive lighting fixture for construction junction box
TWI331763B (en) Operating switch mechanism
KR101360673B1 (ko) 러기지 램프
KR200270052Y1 (ko) 분전반 커버
KR200421668Y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커버패널
WO1999017419A2 (en) Fire extinguisher cabinet with emergency lighting
JP2005077800A (ja) 表示装置および誘導灯装置
JP3186530U (ja) ドア構造
JP3988529B2 (ja) 保安灯
JP4788614B2 (ja) 配線器具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JP3575182B2 (ja) 分電盤
JPH10134674A (ja) 防滴形押釦スイッチ
JP3444109B2 (ja) 分電盤
CN211628941U (zh) 一种带有指示灯的开关
JP4380763B6 (ja) 配線器具
CN210976888U (zh) 一种带灯门把手
CN109149227B (zh) 无边框配线器具
KR200312899Y1 (ko)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장치
JPH10108318A (ja) 分電盤
JP2004259694A (ja) 平板状プラグ
TWI470661B (zh) 開關
JPH10108315A (ja) 分電盤
CN109088219B (zh) 无边框配线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