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334U -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334U
KR19990032334U KR2019970045090U KR19970045090U KR19990032334U KR 19990032334 U KR19990032334 U KR 19990032334U KR 2019970045090 U KR2019970045090 U KR 2019970045090U KR 19970045090 U KR19970045090 U KR 19970045090U KR 19990032334 U KR19990032334 U KR 199900323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neutral
vehicle
safety devic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5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334U/ko
Publication of KR19990032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34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시동시 변속기의 중립위치를 감지하여 변속기가 중립위치에서만 스타트모터로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클러치페달을 밟지 않고도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속레버(3)의 변속위치시 온되는 제 1,2쉬프팅감지용 스위치(4,5)인 변속단 중립판별수단과, 이 변속단 중립판별수단에서 변속단이 중립인 경우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배타적 노어케이트(6)인 디지털논리수단, 이 디지털논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온신호에 따라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를 통전시켜 주는 릴레이(7)인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시동시 클러치페달을 밟지 않고도 배터리의 전원이 스타트모터에 인가되어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자가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동을 걸 때는 외력에 의해 크랭크축을 회전시켜야만 하는 바, 이를 위해 통상 시동에 사용하는 스타트모터와 이의 부속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스타트모터의 구동에 따라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부속장치인 동력전달장치는 플라이휠의 원주상에 장착된 링기어와, 이 링기어에 치합되면서 스타트모터의 회전축상에 장착된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타트모터에는 차량내 탑재된 전원공급수단의 배터리가 차실내에 마련된 키이박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바, 이에 따라 시동시 운전자는 키이를 키이박스에 삽입시킨 다음 이를 회전시켜 배터리의 전원이 스타트모터로 공급되게 하면 되었다.
한편, 수동변속기를 탑재한 자동차에서 시동시 변속기의 기어를 중립위치에 두지 않고 1단이나 기타 변속단에 치합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게 되면, 차체가 급발진되어 사고의 위험이 있는 바, 이와 같은 위험을 배제하고자 종래에는 시동시 클러치의 작동으로 동력을 단절된 상태에서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시동안전장치를 마련하였다.
즉, 상기 시동안전장치는 배터리와 스타트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이그니션 락스위치인 바, 이 이그니션 락스위치는 클러치페달측에 설치되어 있어 클러치페달의 가압시에만 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이그니션 락스위치는 시동시 클러치페달의 가압에 따라 온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스타트모터에 인가되어 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시동안전장치에서와 같이 클러치페달상에 이그니션 락스위치를 두고서 시동시 운전자로 하여금 매번 클러치페달을 밟아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시켜 시동을 걸게 하는 종래의 시동안전장치에서는 시동시 운전자가 반드시 클러치페달을 밟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시동시 변속기의 중립위치를 감지하여 변속기가 중립위치에서만 스타트모터로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클러치페달을 밟지 않고도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동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쉬프팅감지용 스위치의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키박스 1a-스타트단
2-스타트모터 3-변속레버
4,5-제 1,2쉬프팅감지용 스위치 6-배타적 노어케이트
7-릴레이 8-트랜지스터
9-배터리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속레버의 변속위치시 온되는 제 1,2쉬프팅감지용 스위치인 변속단 중립판별수단과, 이 변속단 중립판별수단에서 변속단이 중립인 경우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배타적 노어케이트인 디지털논리수단, 이 디지털논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온신호에 따라 키박스의 스타트단과 스타트모터 사이를 통전시켜 주는 릴레이인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동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쉬프팅감지용 스위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변속기의 변속단이 변속상태일 경우를 감지하는 변속단 중립판별수단과, 이 변속단 중립판별수단에서 변속단이 중립인 경우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논리수단, 이 디지털논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온신호에 따라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를 통전시켜 주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단 중립판별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3)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변속레버(3)가 1,3,5단으로 쉬프팅될 경우에 온되는 제 1쉬프팅감지용 스위치(4)와, 상기 변속레버(3)가 2,4,R(후진변속)단으로 쉬프팅될 경우에 온되는 제 2쉬프팅감지용 스위치(5)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논리수단은 상기 제 1,2쉬프팅감지용 스위치(4,5)에서 동시에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두 개의 입력단자(x,y)로 각각 입력전압이 인가되어 출력단자(z)로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된 배타적 노어케이트(6;Exclusive -NOR Gate)로 구성된다.
또,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배타적 노어케이트(6)에서 온신호를 받아 접속되어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를 통전시켜 주도록 된 릴레이(7)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상기 배타적 노어케이트(6)과 릴레이(7) 사이에서 스위칭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이고, 9는 차량내 탑재된 전원인 배터리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동안전장치에서는, 상기 변속레버(3)가 중립일 경우에 상기 제 1쉬프팅감지용 스위치(4)와 제 2쉬프팅감지용 스위치(5)가 각각 오프되어 상기 배타적 노어케이트(6)의 두 입력단자(x,y)로는 각각 배터리(9)로부터 12V의 입력전압이 인가되어 출력단자(z)로 12V의 출력전압을 송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8)가 스위칭되어 릴레이(7)의 코일(7a)로 전원을 인가시켜 이를 자화시킴으로써 릴레이(7)의 가동단자(7b)가 접속되어 상기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시동시 배터리(9)의 전원이 스타트모터(2)로 인가되어 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변속기의 중립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변속레버(3)가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쉬프팅감지용 스위치(4)와 제 2쉬프팅감지용 스위치(5)중 어느 한 곳은 온되므로 배타적 노어케이트(6)에의 두개의 입력단자(x,y)중 어느 한 곳으로는 배터리(9)로부터 입력전압이 인가되지 못하게 되어 출력단자(z)에서 출력전압을 송출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8)는 스위칭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7)의 코일(7a)도 자화되지 못해 가동단자(7b)의 접속도 끊어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지되어 시동시 배터리(9)의 전원이 스타트모터(2)로 인가될 수 없어 시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결과로 상기 시동안전장치는 차량의 시동시 변속기의 변속단이 중립인, 즉 동력이 단절된 상태에서만 배터리(9)의 전원이 키박스(1)의 스타트단(1a)을 거쳐 스타트모터(2)로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동시 차체의 급발진을 방지하므로 안정된 시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시동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동력차단을 위해 클러치페달을 밟아 주는 불편함도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시 동력이 단절된 상태에서만 배터리의 전원이 키박스의 스타트단을 지나 스타트모터로 인가되어 시동이 걸릴 수 있게 됨으로써, 시동시 급발진의 방지는 물론 매 시동시마다 동력차단을 위해 클러치페달을 밟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변속기의 변속단이 변속상태임을 감지하는 변속단 중립판별수단과, 이 변속단 중립판별수단에서 변속단이 중립인 경우에만 온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논리수단, 이 디지털논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온신호에 따라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를 통전시켜 주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중립판별수단은 변속레버(3)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변속레버(3)의 변속위치시 온되는 제 1,2쉬프팅감지용 스위치(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논리수단은 제 1,2쉬프팅감지용 스위치(4,5)에서 동시에 오프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두개의 입력단자(x,y)로 각각 배터리(9)의 입력전압이 인가되어 출력단자(z)로 출력전압을 송출하도록 된 배타적 노어케이트(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배타적 노어케이트(6)에서 온신호를 받아 접속되어 키박스(1)의 스타트단(1a)과 스타트모터(2) 사이를 통전시켜 주도록 된 릴레이(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KR2019970045090U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KR199900323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090U KR19990032334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090U KR19990032334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34U true KR19990032334U (ko) 1999-07-26

Family

ID=6968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090U KR19990032334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3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82B1 (ko) * 2006-03-31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 모터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82B1 (ko) * 2006-03-31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 모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924A (en) Ignition switch bypass circuit
KR19990032334U (ko)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KR20010006299A (ko)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의 시동 인터로크 시스템
KR200167135Y1 (ko) 무선 시동장치의 안전장치
KR200156492Y1 (ko) 차량의 기어중립 시동제어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0146227B1 (ko)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 장치
KR0126025Y1 (ko) 기어위치 검출을 위한 시동 통제장치
KR970045308A (ko) 차량의 안전 시동 장치 회로
KR200174680Y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0201168Y1 (ko) 수동기어 자동차의 안전장치
KR970007583B1 (ko) 자동차용 전기클러치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200153163Y1 (ko) 자동차의 기계식 시동잠금장치
KR200154468Y1 (ko) 발전기 차단 형태의 도난 방지 장치
KR100350267B1 (ko) 대형 반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시동시 안전장치
KR970004458Y1 (ko) 자동차의 스타팅 모타 보호장치
KR19980072477A (ko) 차량용 시동 시스템
KR970075333A (ko)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해제시 엔진시동 불가장치
JPS6225427Y2 (ko)
KR970045348A (ko) 자동차의 기동안전장치
KR970069721A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970045323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비중립상태시 원격시동장치 및 방법
KR19990047066A (ko) 반자동 변속기의 크래킹 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31787A (ko) 자동차의 중복시동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