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129U -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129U
KR19990032129U KR2019970044883U KR19970044883U KR19990032129U KR 19990032129 U KR19990032129 U KR 19990032129U KR 2019970044883 U KR2019970044883 U KR 2019970044883U KR 19970044883 U KR19970044883 U KR 19970044883U KR 19990032129 U KR19990032129 U KR 19990032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refrigerator
brack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4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129U/ko
Publication of KR19990032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29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상부도어 상측을 고정, 지지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가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되게 하며, 자체 하중에 의해 도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냉장고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의 선단에 연장된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의 하부면에 고정된 힌지핀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지지되도록 각각 수직 하방향으로 소정 구간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브라킷에 수직 하향 절곡된 지지단을 본체의 상부 모서리 전면과 측면에 접촉되도록 안착하면 브라킷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본체에 형성된 볼트구멍이 일치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힌지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지지단이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지지되어 도어의 처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가스킷의 밀리지 않아 기밀성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상부도어를 조립할 때에 가스킷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통상 프레온 또는 메탄 등과 같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냉매가 상변화되면서 발생되는 온도차를 이용하여 대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냉매 가스의 상변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냉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게 냉장고의 본체(1)에 마련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공급하여 순환되게 하는데, 냉장고 본체(1)에는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도어(3)와 하부도어(5)가 설치되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케하고 있다.
상기 상부도어(3)와 하부도어(5)는 각각 이들을 개폐할 수 있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로 본체(1)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어힌지는 하부도어(5)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힌지(10)와, 하부도어(5)의 상부면과 상부도어(3)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힌지(20)와, 상부도어(3)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힌지(3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힌지(10)는 냉장실의 바닥면 일측 지점에 설치되는 바, 이는 본체(1)에 볼트 결합된 브라킷(12)과, 상기 브라킷(12)에서 수직 연장된 힌지판(14)과, 상기 힌지판(14)의 상부면에 수직 연장된 힌지핀(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힌지핀(16)은 상기 하부도어(5)의 하부면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중간힌지(20)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구획판의 일측 지점에 설치되는 바, 이는 본체(1)에 볼트 결합된 브라킷(22)과, 상기 브라킷(22)에서 수직 연장된 힌지판(24), 그리고 상기 힌지판(24)의 상하면에 각각 수직 연장된 힌지핀(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힌지판(24)의 상측에 돌출된 힌지핀(24)은 상부도어(3)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힌지판(24)의 하측에 돌출된 힌지핀(26)은 하부도어(5)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구멍(5a)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상부힌지는(30)는 냉장고의 본체(1)에 볼트(40)로 결합된 브라킷(32)과, 상기 브라킷(32)의 선단에 연장된 힌지판(34), 그리고 상기 힌지판(34)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된 힌지핀(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냉장고의 상부도어(3)에는 상부 일측소에 상기 힌지핀(36)이 삽입되는 힌지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힌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는(30)는 브라킷에 형성된 네 개의 볼트구멍을 관통하는 볼트(40)에 의해 냉장고 본체(1)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킷(32)의 선단에는 소정 구간 상향 절곡된 힌지판(34)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판(34)의 하부면에는 힌지핀(36)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판(34)과 브라킷(32)은 일체의 패널이 프레스되어 단차부를 이루게 절곡된 것이며, 상기 힌지핀(36)은 용접으로 고정된 것이다.
상기 힌지핀(36)은 상부도어의 일측소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를 조립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냉장고의 하부도어를 설치하고, 중간힌지에 상부도어를 결합하여 임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힌지(30)의 힌지핀(36)을 상부도어의 힌지구멍에 삽입하고, 브라킷(32)에 형성된 네 개의 볼트구멍을 본체(1)에 형성된 네 개의 볼트구멍과 연통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볼트구멍에 각각 볼트(40)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냉장고의 상부도어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힌지는 볼트를 결합할 때 약 2 ∼3㎜만 위치 이동되어도 도어가 처지면서 가스킷이 밀리게되어 기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가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되게 하며, 자체 하중에 의해 도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힌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냉장고와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장고 본체 1a,1b : 슬롯
3 : 상부도어 3a : 힌지구멍
10 : 하부힌지 20 : 중간힌지
30 : 상부힌지 32 : 브라킷
34 : 힌지판 36 : 힌지핀
37 : 지지단 39 : 고정단
40 : 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 구성은 냉장고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의 선단에 연장된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의 하부면에 고정된 힌지핀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지지되도록 각각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브라킷에 수직 하향 절곡된 지지단을 본체의 상부 모서리 전면과 측면에 접촉되도록 안착하면 브라킷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본체에 형성된 볼트구멍이 일치된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힌지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지지단이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도어의 자체 하중에 의해 도어가 처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어의 조립 작업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킷(32)에 형성된 네 개의 볼트구멍(33)을 관통하는 볼트(40)에 의해 냉장고 본체(1)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킷(32)의 선단에는 힌지판(34)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판(34)의 하부면에는 힌지핀(36)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판(34)의 양측에는 본체(1)의 전면에 지지되도록 브라킷(32)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단(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킷(32)의 일측면는 본체(1)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단(39)이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단(37)과 고정단(39)은 브라킷(32)의 일측이 프레스된 것이며, 상기 힌지핀(36)은 힌지판(34)에 용접으로 고정된 것이다.
물론, 상기 냉장고 본체(1)에는 상기 브라킷(32)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상응하는 네 개의 볼트구멍(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핀(36)은 상부도어의 일측소에 형성된 힌지구멍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30)는 이하 설명하는 순서로 결합되어 도어를 지지한다.
먼저, 하부힌지와 중간힌지를 결합하여 냉장고의 하부도어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힌지에 돌출된 힌지핀에 상부도어를 안착하여 임시 고정한다.
다음, 상부도어의 힌지구멍에 힌지핀을 삽입함과 동시에 브라킷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과 고정단을 본체의 모서리부에 밀착시킨다. 이때에는 브라킷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본체에 형성된 볼트구멍이 일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를 조립하면 도어의 조립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는 정확한 위치에 힌지를 결합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도어의 처짐을 방지한다.
즉,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는 자체 하중에 의해 힌지로 고정된 반대편 선단이 하방향으로 처지려는 우력이 작용되지만, 브라킷의 측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은 본체의 측면에 지지되어 이러한 우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면서 도어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브라킷에 수직 하향 절곡된 지지단을 본체의 상부 모서리 전면과 측면에 접촉되도록 안착하면 브라킷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본체에 형성된 볼트구멍이 일치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힌지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지지단이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지지되어 도어의 처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가스킷의 밀리지 않아 기밀성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도어의 조립 작업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제품의 신뢰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이어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첨부한 청구범위를 통하여 본 고안의 사상을 정확히 이해한다면 약간의 변형을 가감한 실시 행위는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냉장고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의 선단에 연장된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의 하부면에 고정된 힌지핀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지지되도록 각각 수직 하방향으로 소정 구간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KR2019970044883U 1997-12-31 1997-12-31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KR199900321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883U KR19990032129U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883U KR19990032129U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29U true KR19990032129U (ko) 1999-07-26

Family

ID=6969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883U KR19990032129U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12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4692C (en) Oven door assembly
EP3237819B1 (en) Refrigerator
US20100264782A1 (en) Modular refrigeration and/or freezer appliance
JP3655863B2 (ja) 保管庫、特に器具保管庫
KR19990032129U (ko)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GB2149488A (en) Method of fabricating heat insulation housing for a refrigerator
KR100299874B1 (ko) 냉장고용도어의상부힌지
JPH0984218A (ja) 制御盤筐体及び拡張制御盤筐体
JP2002325315A (ja) フレーム枠、被覆体及び支台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
KR200197565Y1 (ko) 냉장고의도어힌지
KR19990032128U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KR19990027941U (ko)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KR19990033871U (ko) 냉장고용 도어의 상부힌지
KR100688940B1 (ko) 냉장고
JPH11341616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のフレ―ム架構用のフレ―ム脚片部
KR200247295Y1 (ko) 차량의 조립식 냉동/보온실
JP2000046462A (ja) 断熱箱体
CN219368084U (zh) 制冷器具
KR100262397B1 (ko) 냉장고의 도어높이 조절장치
KR19990035523U (ko) 냉장고
KR200151225Y1 (ko) 냉장고
JPH09154190A (ja) リモコン取付装置
KR200181544Y1 (ko) 차량의 조립식 냉동/보온실
KR20010057903A (ko) 냉장고 도어의 상부힌지장치
KR20040002170A (ko)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